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지원역량과 유아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백영숙(Youngsuk P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선정하고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방법 이를 위하여 S특별시, G도, G시, S도 소재 유치원 교사 42명과 만 5세 유아 387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 관련 유치원교사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24.0과 과 AMOS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변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지원역량, 유아 또래놀이상호작용 간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둘째, 독립변인인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은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직접적인 효과를,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이 증가하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도 증가하지만,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 역량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도 함께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증가 또는 감소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의해서도 의미 있지만,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에 유치원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더해질 때 그 영향력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창의적인 놀이지원 워크샵과 같은 유치원교사 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teaching crea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lay support capacity of kindergarten teachers that affect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Methods For this purpose, 42 kindergarten teachers and 387 5-year-old children located in S special city, G province, G city, and S province were survey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peer pla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ASW 24.0 and AMOS 24.0, and the effects of parameter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bootstrap verification procedure.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lay support ability, an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For example,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abil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teaching crea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increase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ncreased, but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ability also increased and, accordingly,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lso increased. Conclusions The influence on the increase or decrease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s also significant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but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increased when the kindergarten teacher's play support ability was added to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his suggests that re-edu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such as creative play support workshop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 KCI등재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규수(Kyu Soo Kim),박미정(Mi Jeong Park),백승선(Seung Seon Bae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인식은 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지도가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육능력개발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공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목적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에 대한 신뢰 제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진단 및 자기발전에 필요한 자료 제공’이라고 응답하여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에 대해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 교사의 태도 외에 공·사립 유치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 내용 중 ‘학습지도 영역’의 ‘교사의 태도’ 에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방법 중 적절한 평가자 및 평가제도의 운영방법에서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 중 평가결과 통보 방법, 우수교원에 대한 평가결과 연계방법, 맞춤형 연수에 대한 인식에서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유치원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기대효과에서도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자의 주관성 개입’,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업무 과중’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체제 개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꾸준한 지원책 마련’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전면 시행될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and also looks at how that awareness differs by types of agency.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241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an wer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it. Second, the aim of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differed by type of agenc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enhancement of confidence in educa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diagnosis of teacher’s specialty and providing necessary data on teacher’s self-development.” Third, as for the evaluations`` contents, the teachers`` awareness of content composition and of wha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of agency. Regarding the propriety of content of the evaluation index, all the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it positiv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ors and the operational method of evaluation system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ourth, regarding the method of linking to proper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the method of notifying of evaluation results, the method of linking to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customized training were different by type of agency. In addition, the evaluations`` expected effect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ifth, as for the trouble of carrying out these evalua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intervention of evaluator’s subjectivit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teacher’s excessive workload.” As for how to improve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whereas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establishing a continuous support policy to increase teacher’s specialty.” The study``s findings seem to shed light on how to work ou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which after it is established, will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uture.

      • KCI등재

        수석교사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유치원 기관유형 중심으로

        김안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석교사제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과 대전에 근무하고 있는 공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는 교직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수석교사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수석교사제의 구체적인 내용은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의 선발기준에 대해 교육경력 10년 이상인 자가 적합하다고 보았으며, 동료 교사 평가가 선발 전형기준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수석교사의 선발인원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간에 인식의 차가 나타났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전체교원의 10%라고 보았으며 사립유치원 교사는 유치원 당 1명의 수석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란 수업에 전문성을 가진 교사라고 인식하며 수업지원활동이 그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보았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주당 수업시간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 간의 인식의 차를 보였는데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주당 3-4시간 이하라고 응답한 반면 사립유치원 교사는 주당 7-8시간 이하가 적절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넷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 임기가 2년 중임이 적절하다고 보았으며, 원감 수준의 지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연구 활동비는 월 30만원 이상 되어야 한다고 보며, 특별연구비 지원이나 연구년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다섯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수석교사 역할의 명시가 필요하며, 평교사들의 업무 및 수업부담 가중이 생기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한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를 통해 교원들의 수업전문성이 신장될 것이라는 희망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수석교사제도의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밝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Master teacher system". To this end, a survey of 281 teachers working in public/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Daejeon was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Master teacher system as a good opportunit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qualified and specialized teachers can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s and thought it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y had no details about the system.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master teachers should be appointed among teacher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considere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Moreover, they thought that performance and achievements in leading classes inside/outside classes a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list of standards for selecting a master teacher.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answered that the proportion should be 10 percent out of all. Meanwhil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a master teacher should be appointed in every kindergarte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a master teacher as a teacher with professionalism and specialty for class and their pivotal role is to support class. Meanwhile, as for proper weekly class hours of a master teacher, there have been differences of awareness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it should be less than 4 hours weekly. On the other hand,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thought that it should be less than 8 hours per week. Fourth,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that a master teacher can be reappointed for 2 consecutive years at a level of vice-director of a kindergarten. Meanwhile, they thought proper payments for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more than 300,000 won per month and support for special research and study years should be provided as means of an incentive. Fifth,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that a clear role of a master teacher should be designated so that Master teacher system can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y worried that normal teachers' burden of duties and classes would increase when the new system comes into place. Furthermore, they hoped that this new system would increas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pecialization in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s above is expected to positively influence discovering a desirable way for implement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 KCI등재

        유치원 원장과 예비교사가 인식한 사립유치원의 교사채용

        정유리,박성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eacher Recruitment at Private Kindergartens Perceivedby Kindergarten Heads and Preliminary TeachersYury Jeong & Sungeun Park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listen to kindergarten directors and preliminary teachers about their ideas and expectations for teacher recruitment at private kindergartens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recruitment process that would be satisfying for both of them.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had an individual interview with kindergarten directors and preliminary teach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ideas about recruitment at private kindergartens, directors had dissatisfaction with the recruitment of newly appointed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were willing to learn anything after getting a job at a kindergarten; and secondly, as for expectations for recruitment and employment, directors expected new and original qualities from newly appointed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had an expectation for an ideal work environ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ld significance as basic data to improve teacher recruitment, teachers’ roles, and working condition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ey Words: Kindergarten Director, Preliminary Teacher, Ppercep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Recruitment 유치원 원장과 예비교사가 인식한 사립유치원의 교사채용정 유 리*ㆍ박 성 은** 요약: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과 예비교사에게 사립유치원의 교사 채용에 대해 어떠한 생각과 기대를 가지고 있는지 이야기를 듣고 유치원 원장과 예비교사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채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립유치원 원장과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별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립유치원의 채용에 대한 생각으로 원장은 초임교사 채용에 대한 불안함을 나타내었고, 예비교사는 유치원에 취업하여 무엇이든 배우려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둘째, 채용과 취업에 대한 기대로 원장은 초임교사의 새로움과 참신함을 기대하였고, 예비교사는 이상적인 취업 환경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 채용 및 교사로서의 역할, 근무여건 개선 등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다. 핵심어: 유치원 원장, 예비교사, 인식, 사립유치원, 교사채용 □ 접수일: 2021년 12월 30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ungshin Women’s Univ., Email: youri6202@naver.com)** 교신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Doctoral Course, Sungshin Women’s Univ., Email: pse207n@naver.com)

      • KCI등재

        일반논문 : 유치원 기관유형별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의 관계

        장영숙 ( Youngsook J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기관유형(공립, 사립)에 따라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유치원 기관유형별로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97명(공립유치원 교사: 142명, 사립유치원 교사: 15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 정도는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공립과 사립유치원 경우 모두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공립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자기효능감과 자율성은 창의적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립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하위변인 중 의사결정과 자기효능감은 창의적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owerment and creative performance by kindergarten type. The subjects were 297 kindergarten teachers that were comprised of 141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155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empowerment.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empowerme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creative performance.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er score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creative performance. Third,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empower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reativ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was predicted by their self-efficacy and autonomy, while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e performance was predicted by their decision-making and self-efficacy.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이영희(Li Yingji),고흥(Kou H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중국과 한국 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관한 스트레스를 비교 연구하기 위해 2019년 3월 12일부터 4월 28일까지 중국 유치원 교사 205명과 한국 유치원 교사 169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과 한국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국 유치원 교사는 중국 유치원 교사에 비해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치원 교사와 한국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공통점은 직무 피드백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워크로드, 인간관계, 그리고 수업 자율성(teaching autonomy) 순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워크로드와 인간관계 면에서는 기혼 유치원 교사보다 미혼 유치원 교사가 더 많이 직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 피드백에 대한 스트레스는 사립 유치원 교사가 공립 유치원 교사 보다 더 많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를 위한 기본적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국제적으로 개선하고자 할 때, 기본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job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and South Korea. A survey was performed on 205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and 169 in South Korea from 2019. 3. 12. to 2019. 4. 28.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22.0 softwar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difference in job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both country. South Korea kindergarten teachers were experiencing higher job stress. Second, the job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both country showed similarity which the highest stress came from work feedback, followed by workloa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eaching autonomy. Single kindergarten teachers in both countries had higher job stress than married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orkloa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ad higher job stress than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 work feedback. This research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job stress research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rovides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early practice for improving the job stress confronted by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의 내ㆍ외재 동기, 자기효능감 및 창의성

        장영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t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public and private teacher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n their creativity. Subjects were 225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i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in both public kindergarten and private kindergarten.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self-efficacy and creativity in both public kindergarten and private kindergarten. Thir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was positively predicted by teachers' self-control efficacy, and preference of task-difficulty, and enjoyment. On the other h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creativity was positively predicted by teachers' self-control efficacy, challenge, preference of task-difficulty. Teachers' self-control efficacy was the best predictor in explaining teachers' creativity in both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의 내․외재 동기,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교사의 내․외재 동기와 자기효능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중 공립유치원 교사는 99명, 사립유치원 교사는 126명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내․외재 동기, 자기효능감, 창의성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인에서 공립유치원 교사의 평균이 사립유치원 교사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내재동기 전체점수와 창의성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재동기 전체점수와 창의성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자기효능감 전체점수와 창의성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창의성은 교사의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즐김에 의해 예언되었으며, 사립유치원 교사의 창의성은 교사의 자기조절효능감, 도전, 과제난이도 선호에 의해 예언되었다.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자기조절효능감은 교사의 창의성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 KCI등재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황해익(Hwang, Hae-Ik),김은주(Kim, Eun-Ju),송주은(Song, Joo-Eun),김미진(Kim, Mi-Jin),유주연(Yu, Ju-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숲유치원 관련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숲유치원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200명, 유아교사 20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유치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경우 ‘조금 안다’(43.8%), ‘보통이다’(26.9%)라고 응답한 빈도가 높았던 반면, 유아교사의 경우 ‘조금 안다’(42.9%), ‘잘 안다’(36.5%)라고 응답한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숲유치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 응답자 전체가 ‘필요하다’(100.0%)라고 응답하여 숲유치원의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숲유치원에 대한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숲유치원의 운영방법, 숲 방문 횟수, 일일 운영시간, 보조인력, 활동공간, 활동공간 선정요소, 시작연령, 유아 대 교사 비율, 선결요건 및 문제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숲유치원 교사 및 교사의 자질, 영아 대 교사 비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의 비교를 통해 앞으로 숲유치원이 활성화 되고 정착되는 데 체계적인 대학교육 과정 및 숲유치원 연수과정, 관련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숲활동 개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a forest kindergarten and their needs for tha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the forest kindergartens and to facilita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forest kindergarte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5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ir awareness of a forest kindergarten, man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plied that they were a little aware of it(43.8%) and that they were aware of it to a certain extent(26.9%), whereas a lo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 little aware of it(42.9%) and were well aware of it(36.5%). The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the necessity of a forest kindergarten, every respondent of the two groups(100.0%) answered it was necessary, which showed that they felt strong needs for forest kindergart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needs for a forest kindergarten,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opinions on the operation of a forest kindergarten, the frequency of visiting a forest, daily office hours, assistant personnels, activity spaces, considerations for the selection of activity spaces, preschooler age, the ratio of preschooler to teacher, prerequisites and problem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ir opinions on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their qualifications and the ratio of infants to a teac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that attemp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college curriculum, forest kindergarten training courses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required for the successful entrenchment of forest kindergartens, and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of diverse forest activities.

      • KCI등재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김주후 ( Ju Hu Kim ),전유영 ( Yoo Young Jeon ),곽승주 ( Seung Ju Kw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kindergarten evaluation in terms of accountability,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improve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For this direction,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455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for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do province and near th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verall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e purpose of kindergarten evaluation as ‘enhance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expertise and provision of opportunity for working hard.‘ For effec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they chose ‘provision of evaluation system assessing educational practice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teachers also perceived ‘educational planning’ as a judgment criterion of kindergarten accountability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y highly agreed with the role of teachers as primary contributor to kindergarten evaluation. Second, in perception about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in kindergarten evaluation index, teacher was perceived as a key evaluation person for ‘educational goals and plann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evaluation implementation’, ‘young children’s health management and guidance’, 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 Kindergarten director was perceived as a key person in ‘in/outdoor educational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nd ‘furnishment/provision of educational materials’, ‘kindergarten staffs’ personnel welfare and expertise’, ‘budge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nd ‘networking between family and community as well as extra-curriculum management’. Parent was chosen as a key person for ‘education satisfaction’. Third, for opening of the resul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they highly disagreed with open to the public. The reason was found that they concerned about the main direction of evaluation could be changed to a show to the public. For the public offering, in terms of target and range of evaluation results, ‘open the results to the kindergarten staffs only who took evaluation’ was perceived high priority. For the opening methods, ‘pass/fail and opening of kindergartens’ strength and weak points includ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highly agreed. In terms of utilization methods of evaluation results, a strong consensus was on ‘evaluated kindergartens utilize autonomically the results as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s quality’. For opening of the results after categorization of kindergartens by local conditions were marginally agreed. The primary reason was that it is fair to open the evaluation results after categorizing kindergartens in terms of local/starting conditions. Opening path and main conten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opening were chosen as ‘kindergarten homepage’ and ‘curriculum’ respectively. The impact of public offering on parents’ selection of kindergarten was also investigated. The teachers highly agreed with ‘positive impact’ of kindergarten evaluation on parents’ selection. They also agreed with impact of kindergarten evaluation on selection of kindergarten through their job hunting proces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책무성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유치원 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인근에 소재한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 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치원 평가 실시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및 노력의 기회 제공’이라 인식하였고, 유치원 평가의 효과에 대해 ‘교사와 운영자에게 자신이 수행하는 교육실제를 평가하도록 하는 평가체제 마련’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유치원 책무 수행에 대한 판단 준거는 ‘교육계획’이라 인식하였고, 유치원 평가 시 중요 역할자는 ‘교사’라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평가 지표 관련 책임당사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교육목표 및 교육계획 수립’, ‘교육활동 및 평가의 실시 및 활용’, ‘유아의 건강관리 및 지도’, ‘유아의 안전관리 및 지도’, ‘유아의 발달’ 항목에서 ‘교사’를 일차적 책임 당사자로 인식하였으며, ‘실내외 교육환경의 구성 및 관리’, ‘교재교구의 구비 및 제공’, ‘교직원의 인사 복지 및 전문성’, ‘예산의 편성 및 운영’, ‘가정ㆍ지역사회 연계 및 방과 후 과정 운영’의 항목에서는 ‘원장’, ‘교육만족도’에 관하여는 ‘학부모’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유치원 평가 공개에 관한 인식에서는 외부 공개에 대해 반대하는 비율이 찬성보다 높았으며 그 이유는 ‘외부에 보이기 위한 평가로 변질’이 우려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대상 및 범위에 대해 ‘평가를 받은 해당 유치원 교직원에게만 평가 결과 공개’라는 인식이 높았으며 공개 방법으로는 ‘통과/ 미통과, 순위보다는 유치원의 강점과 약점, 개선사항 공개’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았다.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방법으로는 ‘해당 유치원이 자율적으로 유치원 질을 관리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 여건별 범주화 후 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에 대한 인식에서는 찬성이 반대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여건이나 출발선이 비슷한 유치원끼리 묶어서 평가하는 것이 공정한 것이므로’가 주된 의견이었다. 그리고 교사들은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경로로 ‘유치원 홈페이지’, 평가 결과 중 중요 공개 항목으로 ‘교육과정’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평가 결과가 학부모의 유치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치원 평가가 교사들이 취업할 때 유치원 선택에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법적 지위 비교 분석

        김광병 ( Kwang Byung Kim ),김기화 ( Gihwa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5

        우리나라는 유치원교육과 보육이 이분화 되어 발전되어 왔으나 유보통합으로의 정책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법적 지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앞으로 지속될 유보통합 과정에서 수반되어야 하는 교사 자격관리 체계 정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법률의 내용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법적체계는 상이하다. 유치원교사는 교원으로서 교육을 제공하고, 보육교사는 사회복지서비스로서 보육을 제공한다. 둘째, 유치원교사는 전문성 및 예우, 처우 및 지위 향상, 신분보장에 관한 권리에서 보육교사보다 법적 지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법적 의무(책임)분석 결과, 주요 의무(책임) 내용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었다. 유치원교사는 교육관련 규정이, 보육교사는 건강, 안전, 인권과 같은 보육규정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는 유치원교사보다 이행해야 할 의무(책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유치원교사는 보육교사 보다 권리 확보가 법적 차원에서 비교적 잘 이루어져 있었다. 반면, 수행해야 할 의무(책임)는 보육교사가 더 높았다. 따라서 유치원교사가 보육교사보다 높은 법적 지위를 확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date in Korea, kindergarten education and childcare have developed separately, but now there is a revolutionary policy that combines the two, called kindergarten and childcare integration. In this regar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gal statu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structure a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that is required in the continuous proces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integration. This study made use of the content analysis method of related laws. The ke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gal system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differ. Kindergarten teachers provide education as teachers, whereas childcare teachers provide childcare as part of the available social welfare services. Secondly, kindergarten teachers were shown to have a higher legal status in terms of their rights than childcare teachers, with regard to professionalism and respectful treatment, status advancement, and identity security.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legal obligations (responsibilities), the contents of their main obligations (responsibilities) were structured differently.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y involved education-related regulations, whereas for childcare teachers, they involved such childcare matters as health, safety, and human rights. In addition, childcare teachers were shown to have more obligations (responsibilities) than kindergarten teachers. As shown, kindergarten teachers have more structured acquisition of rights from a legal aspect than do childcare teachers. However, childcare teachers had more obligations (responsibilities). Therefore, it was shown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a higher legal status than childcar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