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정보처리유창성의 긍정행동의도효과와 브랜드개입 및 선호도유창성의 매개역할

        최낙환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논집 Vol.20 No.2

        이 연구는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요인으로 브랜드개입과 선호도유창성 개념을 도입하고, 정보처리유창성의 긍정적 행동의도효과를 매개하는가를 탐색하였다. 실험대상으로 갤럭시SⅡ 브랜드를 선정하여, 2×2(개념적 유창성의 고저, 지각적 유창성의 고저)의 실험설계를 하고, 4개의 집단별로 7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지각적 유창성이 개념적 유창성과 선호도유창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또 개념적 유창성이 브랜드개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즉 지각적 유창성이 개념적 유창성과 선호도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개념적 유창성과 브랜드개입을 통하여 선호도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선호도유창성과 브랜드개입이 긍정행동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개입이 선호도유창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따라서 브랜드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이 지각적 유창성과 개념적 유창성의 긍정행동의도에 대한 효과를 매개함을 식별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direct effects of processing fluency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and explores the mediating roles of brand engagement and preference fluency. To verify the indirect effects author selected Galaxy SⅡ as the experimental brand and developed four types of scenarios and story boards which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views of levels of conceptual fluency and perceptual fluency. Four types of scenarios and story boards consist of high conceptual fluency/high perceptual fluency, high conceptual fluency/low perceptual fluency, low conceptual fluency/high perceptual fluency, and low conceptual fluency/low perceptual fluency. The author collected 280 questionnaires from the four groups of 70 undergraduate students each, and analyzed all of the questionnaires that have no problems. The results of testing hypotheses are as follows. Brand engagement can be strengthened under conditions of conceptual fluency and has direct positive influences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Preference fluency can be strengthened under conditions of conceptual fluency and perceptual fluency and also has direct positive influences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And there are also mediating roles of brand engagement on the effects of conceptual fluency on preference fluency. To be involved, occupied, and interested in the brand, it is necessary for the brand information to be processed easily, and the brand engagement influences positively on preference fluency.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Brand engagement plays mediating roles both between processing fluency and preference fluency and between processing fluency and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Preference fluency plays mediating roles both between processing fluency and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and between brand engagement and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유창성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유창성과 말 속도에 관한 비교 연구

        전희정(Hee Cheong Chon),고도흥(Do Heung Ko),신문자(Moon Ja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2

        본 연구는 4, 5세 유창성장애 아동 10명과 정상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비유창성 유형(전형적 비유창성, 비전형적 비유창성)과 말속도(전체말속도, 조음속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 아동에게서 가장 빈번했던 비유창성 유형은 삽입(평균 4.3회)이었으며, 전형적 비유창성이 전체 비유창성 유형의 86.36 %로 나타났다. 유창성장애 아동에게서 가장 빈번했던 비유창성 유형은 음절반복(평균 5.7회)이었으며, 비전형적 비유창성이 전체 비유창성 유형의 54.09 %로 나타났다. 전형적 비유창성은 제시상황간에, 비전형적 비유창성은 아동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상 아동의 전체말속도는 놀이상황에서 평균 4.94SPS(Syllables Per Second), 과제상황에서 평균 3.66SPS였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은 놀이상황에서 평균 4.84SPS, 과제상황에서 평균 3.36SPS였다. 정상 아동의 조음속도는 놀이상황에서 평균 5.07SPS, 과제상황에서 평균 3.99SPS였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은 놀이상황에서 평균 5.26SPS, 과제상황에서 평균 4.32SPS였다.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는 제시상황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창성장애 아동의 경우 놀이상황에서 전체말속도와 조음속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stuttering children with nonstuttering children in terms of (a) the domain of typical disfluency, (b) the domain of atypical disfluency, (c) the overall speech rate, (d) the articulation rate, and (e) the relation of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disfluency type of stuttering children was ‘syllable repetition’ and that of nonstuttering children was ‘interjection’. Second, in the domain of typical disflue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and the story telling context were observed in both group. In the domain of atypical disflue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in each context. Third, the mean overall speech rate was 4.84SPS(Syllables Per Second) and 4.94 SPS i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and 3.36SPS and 3.66 SPS in the story telling context, for the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children, respectively. In both child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interaction and story telling contexts in the overall speech rate. Fourth, the mean articulation rate was 5.26SPS and 5.07 SPS i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and 4.32SPS and 3.99 SPS in the story telling context, for the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children, respectively. In both child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e interaction and story telling contexts in the articulation rate. Fifth, the stuttering children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speech rate between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in both contexts. However, the nonstuttering children did not have a significantly different speech rate in the free interaction context.

      • KCI등재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의 요인 및 역할과 긍정행동의도

        최낙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2

        기존의 연구들이 정보처리유창성과 규제적합성이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고 브랜드평가나 긍정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고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이 브랜드에 대한 긍정행동의도에 매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선호도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보처리유창성과 자아규제적합성, 그리고 브랜드자아개입 개념을 도입하여, 지각적 유창성과 개념적 유창성 그리고 자아규제적합성이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설들을 갤럭시SⅡ 브랜드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브랜드의 지각적 유창성과 개념적 유창성 그리고 자아규제적합성이 긍정행동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브랜드자아개입과 선호도유창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탐색하였다.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s are sensitive to self achievement and maintenance, and ease or difficulty with which the brand informations are processed.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processing fluency and self regulatory fit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and used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preference fluency as media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Perceptual fluency affected conceptual fluency,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conceptual fluency and preference fluency and also had direct impacts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Preference fluency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Self regulatory fit had impacts on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preference fluency. But there were no direct impacts of processing fluency and self regulatory fit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In sum, there were mediating roles of brand engagement in self-concept and preference fluency on the effects of processing fluency and self regulatory fit on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 초등교사의 읽기 유창성 인식과 교사 전문성 개발

        이경화(Kyeong Hwa Lee),오정용(Jung Yong Oh)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4 초등교과교육연구 Vol.40 No.-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읽기 유창성에 관한 인식과 상관관계를 탐구하고, 초등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읽기 유창성 교육 내용, 읽기 유창성 요소를 파악하고, 교사의 읽기 유창성 인식과 교사 전문성과의 관련성을 탐구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 지역 초등학교 교사를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문항은 배경 변인 4문항, 유창성 인식 문항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유창성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결과는 정확성과 자동성 인식에 비해 표현성 인식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 유창성 관련교사 교육 경험 정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읽기 유창성 지도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결과는 모든 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넷째, 읽기 유창성평가 경험 정도를 볼 때, 초등교사 대부분이 읽기 유창성 평가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읽기 유창성 평가 도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결과는 교직 경력과 저학년 지도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경력 교사, 저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가 읽기유창성 평가 도구를 많이 알고 있었다. 여섯째, 읽기 유창성 지도 및 평가 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살펴보면, 표준화된 읽기 유창성 교재와 가정과의 연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읽기 유창성 인식요소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성과 신속성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이를 통해 읽기 유창성의 요소인 정확성, 신속성, 표현성 중 정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교사가 신속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읽기 유창성 관련 교사 교육 경험 정도가 표현성, 읽기 유창성 평가 도구 인식, 유창성 평가 도구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읽기 유창성 관련 교사 교육 경험이 많은 교사가 읽기 유창성 요소인 표현성을 인식하고, 읽기 유창성 지도의 중요성과 평가 도구를 인식하는 것을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노인 연령 집단에 따른 구어 유창성 과제에서의 군집과 전환 특성

        김주영(Juyeong Kima),최현주(Hyunjoo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연소노인부터 고령노인까지 일반 노인을 연령 집단으로 구분하여 구어 유창성 과제의 수행력, 군집과 전환 특성, 오류 유형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55-85세 일반 노인 9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어 유창성 과제 중 의미 유창성은 ‘동물’, ‘가게 물건’ 범주를, 음소 유창성은 ‘ㄱ’, ‘ㅇ’, ‘ㅅ’ 음소 범주를 사용하여, 각 1분 동안 해당 범주의 단어를 산출하도록 하였다. 결과: 첫째, 의미 유창성, 음소 유창성 과제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력이 저하되었다. 둘째, 평균 군집 크기는 의미 유창성, 음소 유창성 과제 모두에서 연령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전환수는 의미 유창성, 음소 유창성 과제 모두에서 연령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사후분석 결과 의미 유창성 중 ‘동물’ 범주에서는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의 전환수 차이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게 물건’ 범주에서는 연소노인과 중간노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미 유창성 과제에서는 반복오류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음소 유창성 과제에서는 기타오류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노화에 따라 구어유창성과 제의수행력 및 군집과 전환특성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s and switches through verbal fluency tasks by different age groups among the elderly. Methods: Ninety-four healthy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verbal fluency task consisted of semantic verbal fluency and phonemic verbal fluency. The categories of ‘animal’ and ‘supermarket’ were used for semantic fluency, and the categories ‘/k/’, ‘/o/’ and ‘/s/’ were used for phonemic fluency.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groups.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in the verbal fluency task decreased as age increased. Second, the mean cluster size for verbal fluenc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tasks of semantic and phonemic verbal fluency. Third, the number of switch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emantic and phonemic verbal fluency. In the post-analysis results of semantic fluenc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ategory of ‘animals’ between the young-old and old-old age group,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number of switches in the category of ‘supermarket’ between the middle-old and old-old age group. Finally, the semantic fluency task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perseverative error, and the phonemic fluency task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other errors. Conclusi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cluster and switch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correct rate through the verbal fluency tasks according to the elderly group.

      • KCI등재

        초등 다문화 학습자의 읽기 유창성 신장 탐구

        송영복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1 No.-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현실에서 다문화 학습자의 학력 소외 현상은 점차 가시화 되고 있다. 학습을 위한 한국어 부적응의 문제가 심각한 학력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 다문화 학습자의 기초 학습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충분한 읽기 능력을 신속하게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초학력을 형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글의 내용을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즉 한국어를 통한 독해 능력이다. 읽기 유창성의 훈련이 학습을 위한 효율적인 독해력 형성에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창성의 개념이 점차 문장 단위를 넘어 담화 텍스트의 차원에서의 이해과정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읽기 유창성 연습이 충실한 독해력 형성에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읽기 유창성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속도감 있는 단어 재인, 글의 이해를 위한 해독 과정의 자동화 형성, 읽기 자료의 예측 가능성 부여 등의 요인들이 필요하다. 단어 읽기 차원의 유창성 신장을 위해 의미 중심의 자모 제시와 분석적 자모 학습을 균형 있게 고려하여 한글 깨치기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생활과 관련된 어휘 지도가 발음 중심과 의미 중심의 교수 방식을 절충하여 실제적으로 실시되어야한다. 음독 읽기 유창성 형성의 핵심적인 방법은 반복 훈련이다. 단순한 반복의 차원을 넘어 유의미한 반복 연습은 유창성 신장에 결정적인 요소이다. 무성 읽기 유창성(Silent reading fluency) 신장을 위해서는 유의미한 맥락과 상황에서 목적을 달리한 반복 읽기 활동이 포함된 읽기 지도 과정이 필요하다. As we enter the age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learners are becoming alienated by their learning capacity. A limited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which is needed for learning, leads to a severe gap in learning capacity. The main reason for the lack of progress among multi-cultural korean learners is that they are not equipped with an adequate reading capacity. The essential element to a basic learning capacity is the ability to fully understand text, in other words the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Reading fluency is the key to developing effective reading to facilitate learning. The concept of fluency is expanding colloquy text, going over sentence unit ones. Such a phenomenon is an indicator that training in reading fluency can lead to a strong reading capacity. In order to improve reading fluency, it is necessary to have accurate and speedy word recognition, automatic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the ability to predict reading data, and so on. Korean language classes must present meaning-focused vowels and consonants, must analyze balanced vowels and consonants, and must teach practical daily words with a focus on pronunciation and meaning. The key of colloquial reading fluency is repetitive training. Not just simple repetition but meaningful repetition is a crucial factor to improving fluency. To improve , it is necessary to create situations in which there is repetitive reading with different purposes in meaningful contexts and situations.

      • KCI등재

        KOLRA 낱말 읽기 유창성 선별 검사의 점자판(Braille Version)에 대한 타당도와 문단글 읽기 유창성에 대한 예측력 분석

        이태훈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6 시각장애연구 Vol.32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braille version of KOLRA word reading fluency test and predictability for paragraph reading fluency. The subjects were 52 blind students of 5 schools for the visual impaired from the third grade through 12th grade. The instruments for measuring word reading fluency and paragraph reading fluency were used the word reading fluency screening test of KOLRA and the paragraph reading fluency sub-test of RA-RC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est-retest was more than 0.9. Second,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word reading fluency of KOLRA and the paragraph reading fluency of RA-RCP was high correlation. And It tended to increase depending on the learning period of braille. S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raille version of KOLRA word reading fluency screen test were demonstrated satisfactory level. And the braille word reading fluency predicted the braille paragraph reading fluency precisely. 본 연구는 KOLRA의 낱말 읽기 유창성 선별 검사의 점자판에 대한 일반화 타당도를 검증하고, 점자 낱말 읽기 유창성의 점자 문단글 읽기 유창성에 대한 예측력 분석을 통해 맹학생을 위한 점자 낱말 읽기 유창성 선별 검사의 개발 유용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개 시각장애학교의 초·중·고 점자 사용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KOLRA의 낱말 읽기 유창성 검사지와 RA-RCP의 문단글 읽기 유창성 검사지를 점역하여 읽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KOLRA 낱말 읽기 유창성 선별 검사의 점자판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공인타당도로 KOLRA의 점자 낱말 읽기 유창성과 RA-RCP의 문단글 읽기 유창성 간의 상관계수가 r=.944, 준거 관련 타당도로 점자학습 기간과 점자 낱말 읽기 유창성 간의 상관계수가 r=.577, 교사의 경험으로 판단한 점자 읽기 정상 범위 학생과 정상 이하 학생 집단 간의 점자 낱말 읽기 유창성의 차이가 t=4.340(p=.000)으로, 점역하여 사용하여도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점자 낱말 읽기 유창성의 점자 문단글 읽기 유창성에 대한 예측력을 알아본 결과, 점자 낱말 읽기 유창성의 점자 문단글 읽기 유창성에 대한 설명력이 89.3%로 점자 낱말 읽기 유창성 선별 검사가 점자 사용 학생의 점자 문단글 읽기 유창성 본검사를 상당히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장에서 점자 읽기 부진 학생을 선별하는 검사로 점자 낱말 읽기 유창성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고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 KCI등재

        영화 제목의 처리 유창성이 상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상상적 유창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정운(Kim, Jungwoon),이루리(Lee, Luri),고민정(Ko, Min Jeo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1

        영화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최근 국내 영화 시장은 세계적인 규모로 성장하였다. 소비자들의 영화 선택에 있어 영화 제목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선행연구들에서 상품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제품 요소로서 제품명에 대한 처리 유창성을 제시하였으나, 이를 영화 제목에 적용한 실증연구는 없었다. 또한, 상상적 유창성은 처리 유창성, 특히 개념적 유창성과 이론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변인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한 연구 역시 희소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 제목에 대한 개념적·지각적 처리 유창성이 소비자가 상품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상품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상적 유창성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역할이 두 처리 유창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검증을 위해 영화 제목의 처리 유창성을 조작한 영화 포스터를 자극물로서 제시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개념적· 지각적 유창성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에 비해 더 우호적인 상품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상적 유창성은 개념적 유창성과 상품 태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적 유창성과 상품 태도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론적·실무적으로 그 의의가 있다. As film consumption continues to increase, the domestic film market has recently grown to a global level. Movie title is a key factor in consumers’ decision on a movie choice. Although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processing fluency(i.e., conceptual and perceptual) on a product nam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product attitudes, no studies to date have looked at the effect of processing fluency in the context of a movie product. Also, even if imagery fluency is closely related to processing fluency(conceptual fluency), studies that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this variable are quite spar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cessing fluency on a movie title on movie product attitudes.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magery fluen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ssing fluency and product attitudes and how this mediation effect changes depending on the two types of the processing fluency.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movie posters manipulating processing fluency on movie titles are presented as an experiment stimulus. As a result, both conceptual and perceptual fluency influence product attitudes positively. Also, imagery fluenc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ual fluency and product attitudes, while the mediation effect of this variabl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erceptual fluency and product attitudes relationship.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 KCI우수등재

        한국어 교육의 流暢性 槪念과 構成 要因

        李燦揆(Lee, Chan-kyu),南芝鉉(Nam, Ji-hyun)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 학습자가 산출한 發話의 유창성에 대한 판단의 근거와 기준을 모국어 화자의 경험과 직관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한국어 학습자가 실제 생산한 말하기 표본 자료를 바탕으로 객관화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 채점자의 주관성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도록 평가자 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口語 流暢性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개념을 분명히 定義하고, 발화 자료를 대상으로 구성 요인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유창성은 정확성을 기반으로 발달된 능력에는 틀림없지만 정확성과는 분리하여 話者의 認知的 能力이 반영된 자연스러운 발화 능력으로 객관적으로 측정가능하면서 聽者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화자의 발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측정가능한 발화 유창성을 통해 화자의 인지 유창성을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한국어 교육의 유창성 연구를 보면 우선 한국어 발화 속도나 休止 등과 유창성의 관련성을 확인하려는 연구가 있는 반면에 평가자의 인식을 통해 유창성의 구성 요인을 찾으려는 연구도 볼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나 모국어 화자의 발화와 시간 변인의 관련성을 종합해보면 발화 속도 단독으로 유창성의 指標가 되기보다는 망설임이나 묵음 休止와 결합하여 聽者의 인상에 유창한 발화로 규정지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oral fluency related experimental studies in Korea. Although fluency constitutes an essential component of second language (L2) proficiency, there are mixed results and gaps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of fluen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reviewing the standards in which native Korean speakers use to determine fluency of non-Koreans’ spoken Korean.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article investigated fluency of L1 English speakers and foreign learners of L2 Korean by eliciting and comparing quantitative evidence from temporal measures. It was observed that syllable per minutes, number of hesitation, number of pause, number of repetition on the experimental studies. This shows that some constructors of fluency like utterance speed did not exactly effect on native judgement of fluency.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analysis of object judgement of fluency may have the potential to provide an objective tool for Korean teachers to assess spoken fluency. In further study to add more reliability I will try to take and study variety spoken performance of Korean learne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유창성 평가를 위한 평가 기준 개발

        이윤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유창성 평가를 위한 평가 규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읽기 유창성이란 텍스트를 정확하고 빠르게 읽고 나서 읽은내용을 기억하는 것이다. 유창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텍스트를 1분간 구두로 읽게 한 후, 이를 통해 단어 인지 정확도, 읽기 속도(WCPM), 음성 표현력 등을 평가한다. 이때, 유창성 지표로 사용되는 읽기 속도는 측정 후에 그 값이 모집단에 비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는 규준(norm)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유창성 규준 개발을 위해 먼저, 초등학생 4, 5, 6학년 1,360명을 전국의 대, 중, 소도시에서 유층표집하여 일대일로 유창성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로 학생들의 유창성 특징을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분석하고요인별로 범주를 조건화하여 통계 처리 후, 최종적으로 초등학생의 영어읽기 유창성 평가 규준을 산출하였다. 도출된 유창성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유창성 평가 결과의 적용 순서와 데이터 해석 방법, 현장에서의 사용방법 등을 상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ading fluency nor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though reading fluency plays an essential role to comprehension, it is duly considered neither in curriculum nor in instruction. Reading fluency assessment provides reliable and valid indicators of achievement with which to measure individual student standing at a given time or to index student progress over time. However, there is no local norms for assessing reading fluency in Korea.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ly, reading texts for test were developed for the 3rd,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and 1,781 oral reading data was collected using ratified sampling from 3rd graders through 6th ones in 16 primary schools. Secondly, students were assessed by one-minute oral reading and their reading was coded as word recognition, reading rate, comprehension, and reading prosody for statistical analysis. Students fluency showed a big gap between districts where schools were located. On the basis of analyzed data, three key elements that were influential on reading fluency were selected and examined for determining fluency norms. Finally, using statistic analysis, fluency norms were developed for students in grades 4 through 6.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on reading instruction and curriculum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