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놀이방해행동과 외로움 간의 관계: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의 조절효과

        장경은,Shyen, Lan 션란,강지혜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3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on children’s disruptive play behavior and lonelines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wo variables, the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 during peer play, and their perceived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on children’s lonelines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71 children aged 4-6,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Both disruptive play behavior and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did not have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child loneliness. However,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ruptive play behavior and child loneliness. Specifically, children showed lower levels of loneliness at the same level of disruptive play behavior when they had higher levels of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for social play skills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ild’s needs. Teacher education would also be indispensable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ractions with children in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가 조절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유아의 외로움을 예측하는 변인으로서 또래놀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과 유아가 지각하는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만 4세에서 만 6세 사이의 유아 171명 및 그들의 어머니와 교사이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과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는 유아의 외로움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었으나, 조절분석에서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가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가 높을수록 동일한 수준의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에서 유아는 더 낮은 수준의 외로움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을 대체할 수 있는 사회적 놀이기술에 대한 개별 유아에 적합한 교육과 유아가 교사에게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사와 유아 간의 정서적 상호작용 코칭을 위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친밀 관계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이경님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6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친밀 관계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 4, 5세 유아 266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양육행동, 교사-유아 친밀 관계, 의도적 통제, 리더십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리더십에 의도적 통제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리더십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리더십에 교사-유아 친밀 관계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도적 통제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큰 인과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유아의 리더십에 의도적 통제와 교사-유아 친밀관계는 직접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유아 친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교사-유아 친밀관계와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교사-유아 친밀 관계는 유아의 리더십 증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교사-유아의 친밀성과 유아 인성 발달 간의 관계에서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

        황윤세 ( Hwang Yoon S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간의 친밀성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2개 유치원에 재원중인 279명의 유아들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우선 교사와 유아간의 친밀한 관계, 또래유능성 및 유아의 인성발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와 유아의 친밀성과 유아의 인성발유능성발 간의 관계에서 또래유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인성발달에서 교사와의 친밀한 관계 및 또래유능성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인성교육실제에서 교사와 또래와의 관계의 중요성과 더불어 이를 고려한 프로그램임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teacher-children’s relationship and children’s personalit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peep competence.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369 5-year-old children and 35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 in Seoul Province participated.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ren’s relationship and child personality. Also,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personality has in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ren’s relationship and children’s personality through the mediation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김현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5 복지상담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 조절능력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 과정에서 유아-교사의 친밀관계, 갈등관계, 의존관계 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시에 위치한 5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212명이고, 이들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게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상호작용, 유아-교 사 관계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교사의 관계는 또래상호작용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또래상호작용을 설명하기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이었 고,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갈등관계 순이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53.4%이었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 절능력과 또래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친밀관계, 갈등관계 및 의존관계의 매개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take a look at the factors that influence children's peer interactions. For this, it was intend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children' self-regulation ability on the children's peer interactions, and it was intend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four to five year-old 212 children from five daycare centers in J city. Teachers were tested by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self-regulation ability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peer interactions. Second, children' self-regulation ability and child-teacher conflict relationships were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peer interactions. Lastly, child-teacher relationships of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e mediated between children' self-regulation ability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s.

      • KCI등재

        유아-교사 친밀 및 갈등관계와 자아탄력성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미나(Lee, Mina),김종훈(Kim, Jonghoon),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는 유아-교사 친밀 및 갈등관계와 또래 놀이행동에서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 6세 유아 463명(남아 265명, 여아 19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 친밀 및 갈등관계와 자아탄력성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교사 갈등관계가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경로와 유아-교사 친밀관계가 또래놀이단절에 미치는 직접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또한 유아-교사 친밀 및 갈등관계가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간접경 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teacher intimacy and conflict relationship and ego-resilience of children in peer play behavior. For this purpose, 463 preschoolers (263 boys, 200 girl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3, 4, 5, and 6 year old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the child-teacher intimacy and conflict and ego-resilience on peer play behavior was significant except the direct path of child-teacher conflict to peer play interaction and the direct path of child-teacher intimacy to peer play disconnection. In addition, the indirect path of infant ego-resilience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child -teacher intimacy and conflict on peer play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간 친밀한 관계의 조절효과

        신계연,장경은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2

        본 연구는 중국 유아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간 친밀한 관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W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세, 5세 유아 251명과 그들의 아버지 251명과 담임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모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간 친밀한 관계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 간의 친밀한 관계 형성을 위한 개별화된 모니터링과 교사 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nese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on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teacher-child intimate relationship’s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51 children aged 4 and 5 who were enrolled in four diffe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W City, Shandong Province, China. The study also included the children’s fathers, and 16 head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for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ir children’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Second, the sub-factors of teacher-child intimate relationship exer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thers’ parental involvement and their children’s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individualized monitoring and teacher education to assist the formation of teacher-child intimate relationship.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친밀 관계가 유아의 또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준아(Han, JunAh),김지현(Kim, JiHyun),조윤주(Cho, Yoon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친밀 관계와 또래 적응의 관계가 어떠한지,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친밀 관계가 유아의 또래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유아의 또래 적응을 증진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는 3∼5세 유아 116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부터 7월까지 실시되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친밀 관계, 또래 적응에 대한 평정은 교사 보고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내적 합치도,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친밀 관계 각각은 유아의 또래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친밀 관계가 유아의 또래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또래 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중 ‘소속감’이었으며, 두 번째 변인은 자아존중감 중 ‘유능감’, 그리고 세 번째 변인은 정서조절능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내적 특성인 소속감과 유능감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이 유아교육기관에서 또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peer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 with preschool children’s self-esteem, emotional regulation, and intimacy in children-teacher relationship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self-esteem, emotional regulation, and intimacy in children-teacher relationships on preschooler s peer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 The participants were 116 preschool children from four day care center and one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2nd to July 3rd, 2016.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preschool children’s peer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 self-esteem, emotional regulation, and intimacy in children-teacher relationship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peer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 and preschool children’s self-esteem, emotional regulation, and intimacy in children-teacher relationships. (2)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preschool children’s self-esteem of belongingness,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peer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

      • 한국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관계에 대한 지각 특성

        단현국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6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한국의 공사립 유치원에서 현직교사로 재직 중인 135명의 여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 적은 교사-유아 관계 평가에 대한 도구적 이해가 평정자 교육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의 평가도구의 세 하위척도인 갈등, 친밀감, 의존 척도에서 교사의 지각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었 다. 그 결과 첫째, 한국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관계 평가의 척도에 대한 지각 특성은 그 민감성에서 높 은 갈등, 상대적으로 낮은 친밀감과 의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 관계 평가 도구에 대 한 지각 반응은 평정자 교육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교 사가 평가도구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가지고 평정할 수 있도록 평정자 교육을 실시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relational responds of self report on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and three subscales: conflict, closeness, dependency. In order to assess professional qualifications,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formal training was analyzed. Participants were 135 teachers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Korea. The results were first, the sensitivity of professional quality on the scale of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was reported higher conflict subscale, and lower closeness and dependency subscal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s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between before and after formal training. As the quality of professionals administrating, scoring and interpreting the Scale should have formal training in standardized testing.

      • KCI등재

        유아-교사 친밀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의 효과

        김태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6

        This study developed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enhancing intimacy i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and infant’s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And it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a theraplay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16 infants between the ages of 2-3. Each group of 8 infants was attached to the experimental 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45 minute group theraplay sessions two times per week for a total of 10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treatment.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Scale(Pianta, 2001) and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Jewsuwan, Luster & Kostelnik, 1993) were used for pre-test and follow-up tests.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analyzed data via SPSS ver. 20.0. The results were that: ⑴ In the pre-test, the degree of intimacy in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had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However, in follow-up test, the degree of intimacy in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hanced. ⑵ In the pre-test,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had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ut in the follow-up test,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hanged optimisticall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group theraplay program is an effective means to facilitate intimacy i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