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간의 상관연구

        박애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xiety and children's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130 children, who were 3-, 4-, and 5-years-olds at a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in kyunggido. A teacher-report Child Depression Inventory (CDI)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ir depression and a parting anxiety ra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mayernal parent's anxiety. ANOVA, Prarson'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Stepwise-Regression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xiety and children's depression. Secondly, according to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age, gender), the anxiety on maternal parenting in having a female child was higher than the anxiety on maternal parenting in having a male child within a relationship with gender. Thirdly, according to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age, gender), depression in a female child was higher than depression in a male chil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eliminary data may be provided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can reduce the anxiety on maternal parenting and change parenting attitude in order to decrease depression in children, throug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xiety on maternal parenting and depression in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기도 소재 유치원, 어린이집 만 3세, 4세, 5세 유아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양육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박지희(2014)가 개발한 어머니의 양육불안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 보고식 아동 우울 척도(Child Depression Inventory(CDI)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t검증 및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불안 하위영역 5개요인 모두에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배경변인(연령,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유아의 성별과 관계에서 여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남아를 둔 어머니 양육불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배경변인(연령, 성별)에 따른 유아의 우울은 남아보다 여아의 우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유아의 우울간의 관계를 이해하므로써 유아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고 어머니의 불안을 감소하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계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채리 ( Chae Ri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변화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인천광역시 내 위치한 S 유치원 7세(만 5∼6세) 유아 중 대상으로 분리불안 과 부적응 문제를 가지고 있는 유아들을 재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은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주1∼2 회, 평균 50∼60분씩 총 11회에 걸쳐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C-TRF(한국판 유아행동 평 가척도-교사용), K-CBCL(한국판 유아행동 평가척도-부모용)와 동적학교생활화(KSD), 집-나무-사랍(HTP)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양적 분석을 위하여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비모수 검정 방법인 Wilcowon 부호순위 검정(Wilcow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a=.05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 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 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회기별 부적응 횟수 기록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넷째, 집-나무-사람(HTP)검사를 실시한 결과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정서적 안정감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동적 학교 생활화(KSD)검사를 실시한 결과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미술치료는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적,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회기별 부적응 행동변화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미술치료의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치료가치가 기대되며, 향후 대규모의 임상연구와 유아의 발달과정에 따른 차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positively clinical art therapy can influence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This research selected as its subjects children with problems of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mong 5- or 6-year-old children attending S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selected subjects received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ith total 11 sessions, for 50 to 60 minutes averagely, once or twice a week, for three months from March till May, 2014. As the testing tools, C-TRF (the Korean edition for teachers), K-CBCL (the Korean edition for parents), Kinetic School Drawing (KSD), and Human-Tree-Person (HTP). To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SPSSWIN 18.0 was employed, and Wilcown Signed Rank Test, one of the nonparametric tests, was utilized, and the significant level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fixed as a=.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it was proved to exert significant effects in quantitative analysi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it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in quantitative analysi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how clinical art therapy influenced the records of maladjustment frequency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by sessions, it was proved to show significant effects.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HTP,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KSD,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verify clinical art therapy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nd also it indicated positive effects on their maladjusted behavior, too, by sessions. The above findings imply clinical art therapy is expected to have therapeutic value on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nd follow-up study based on large-scale clinical research will be needed according to a child’s developmental process afterwards.

      • KCI등재후보

        집단놀이치료가 불안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임지은,탁희욱 한국교육치료학회 2014 교육치료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집단놀이치료가 불안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B시 K초등학교 병설 유치원과 M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만 5세반 유아를 대상으로 불안 검사를 실시한 후 그 중 불안집단의 기준점(cut-off score) 이상으로 불안 점수가 집계된 유아를 각 7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2010년 8월 30일에서 9월 30일까지 실험 집단의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놀이치료를 14회기 실시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는 어떤 처치도 하지 않았다. 효과 검증을 위해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지능 검사 점수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사례 수가 적은 관계로, 비모수 통계기법인 Wilcoxon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집단놀이치료 회기 60분 동안 유아의 사회적 행동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자 유아의 행동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위해 프로그램 회기 전체를 녹화한 비디오를 분석하였다. 또한 행동 변화 관찰 기준을 통해 아동의 사회적 행동변화를 분석하였다. 위 분석의 결과로 첫째, 집단놀이치료에 참여한 불안 유아들은 통제집단 불안 유아들에 비해 사회적 유능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 불안 유아들은 통제집단 불안 유아들에 비해 정서지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질적 분석에서도 아동의 행동변화들이 나타났다. 따라서 집단놀이치료가 불안 유아의 긍정적인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지능, 바람직한 대인관계 형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불안을 호소하는 유아들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지능을 개선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roup play therapy o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anxiet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14 cases of the children with anxiety who go to kindergarten of K and M elementary school, located group N, in Busan. Experimental design was conducted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and by 7 pers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7 persons of the control group. The group play therapy was conducted in total 14 sess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August 30 to september 30 in 2010, and 2~3 times per week but there were no any actions in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xiety,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he Wilcoxon verification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whether the average scores of the test on the group is different or not, and used SPSS.12.0 to test the average pre and post-test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m. It is analyzed qualitatively the behavior change of children as it is recorded 60 minutes of each sessions of the treatment cours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rough these procedures. First, the children with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have been more improved in social competence tha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cond, the children with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in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than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is helpful for the children with anxiety to improve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refore,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improves positively the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for the children with anxiety and shows u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activities for them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We can expect that this program will help the children with anxiety to improve effectively their social competenc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so that they may have a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prevent them from being in social and emotional anxiety.

      • KCI등재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분리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최은아,이희선 한국보육학회 2012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participants were 221 mothers with 3-5 aged preschool children.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Revise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 and Children Self-regulation Scal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version 1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at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dult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and children's self- regulation exist. Also a mother's adults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was negatively related to a child's self-regulation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igh mother's adults attachment and separation anxiety negatively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분리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221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김성현(2003)의 어머니의 성인애착척도, 안지영과 도현심(1998)의 어머니의 분리불안 척도, 이정란(2003)의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불안은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불안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통제가 낮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회피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점검에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회피가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점검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분리불안은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변인인 자기점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분리불안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점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자기점검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성인애착의 회피, 어머니의 분리불안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자기통제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성인애착의 불안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성인애착과 분리불안은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상태불안 및 특성불안 연구

        강문숙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유아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바람직한 과학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부산·경남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300명을 무선표집하여 최종 253부(84.3%)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와 수집된 자료는 과학교수 불안을 측정하는 S-STAI 검사를 하고, 이를 일원분산분석과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경력이 많을수록 과학교수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감소하고, 경력 1년 이하 유아교사는 과학교수 특성불안이, 경력 2년에서 5년은 상태불안이 더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경력과 과학교수 불안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경력이 낮을수록 과학 수업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경력이 높을수록 과학 수업을 실시하고 있을 때 불안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교수에 대한 자신감과 같은 정의적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수 플랫폼과 같은 과학교수 연수 의 장(場)이 마련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science education method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a,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childhood teaching careers, and to suggest the educational valu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300 teachers in charge of 5-year-old children’s classes in bot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Two hundred fifty three questionnaires were qualified for this study among the returned survey.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as us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anxiety, and all these variables were investigated using one-way ANOVA with Scheffé.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ate-anxiety and trait-Anxiety. The result of ANOVA revealed that the more work experi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he more cause of mathematics anxiety they alleviate. These results suggest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o decrease anxiety toward science education methods of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a.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수학불안감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김선,장정애,김미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xiety and verify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 accordance with mathematics anxiety decision factors. Additionally, it draws up a plan to improv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 pre-service teacher curriculum. The subjects were 26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who were asked to test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an average level of mathematics anxiety. Due to the experience the pre-service teachers go through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s the decisive factor in formatting mathematics anxiety, a demand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can help reduce anxiety levels of the pre-service teacher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above-average level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which doesn’t represent a statistically-significant difference regardless of registration of the courses. Accordingly,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help pre-service teachers improv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re necessary.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ere show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and teaching efficacy. It represents an effort to decrease th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preferentially to improve their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불안감을 분석하고 수학 불안감 결정 요인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함과 동시에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수학 교수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에 소재한 5개 대학 유아교육과의 예비유아교사 264명에게 수학불안감과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유아교사는 수학불안을 보통 수준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겪게 되는 수학 관련 경험에 따라 수학 불안감의 정도가 정해지기 때문에 수학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비교사 양성 수학교육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요청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수학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수학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증진을 적극적인 강의 계획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 불안감과 수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학 불안감을 낮추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윤정아(Yun, Jeong?A),정정희(Chung, Ch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리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정적 상관관계, 교수불안과 유아교육과정 실행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45% 설명하며, 이 중 교수몰입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반성적 사고, 교수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의 효과적 향상을 위해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를 증진하고 교수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and reflective thinking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reflective thinking, and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above average. Second, it appeared that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ing flow and reflective thinking, whereas it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ing anxiety. Third, the relativ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and reflective thinking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explain 45% of the inplementation process. The teaching flow has the most influence followed by reflective thinking and teaching anxiety in order. This suggest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reflective thinking and reduce teaching anxiety to effectively improve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 KCI등재

        COVID-19 시기 유아 부모의 양육불안 영향 요인: 문화성향,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부모-교사 파트너십

        정계숙,손환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2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8 No.1

        In a social crisis situation where parenting anxiety may be aggravated by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ve influences of cultural disposition, partnership with teachers and satisfact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on the parenting anxiety.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parents with young children using 4 scales and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parenting anxie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ctors of cultural disposition, partnership with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atisfaction. Second, parents' cultural disposition, partnership with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satisfaction were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ing variables to the parenting anxiety, and cultural disposition had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Particularly, among the sub-factors of cultural disposition, horizontal individualism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on parenting responsibility, dependence on children, perfectionism, and parenting resources, which are sub-factors of parenting anxiety.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e ne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ultural disposition on parenting anxiety and find ways to strengthen parent-teacher partnership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satisfaction in order to reduce parental parenting anxiety experienced in pandemic situations such as COVID-19. COVID-19로 부모의 양육불안이 가중될 수 있는 사회적 위기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불안에 미치는 부모의 문화성향, 부모-교사 파트너십 및 유아교육기관 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자녀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전국에 거주하는 학부모 총 330명을 대상으로 문화성향 척도, 부모-교사 파트너십 척도,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양육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문화성향 및 교사와의 파트너십,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양육불안 요인들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불안 요인에 그들의 문화성향, 부모-교사 파트너십과 유아교육기관 만족도는 정적, 부적 영향요인이며, 문화성향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특히,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은 양육불안 전체와 양육책임 불안, 자녀 의존 불안, 완벽주의 불안, 양육자원 불안 등 모든 하위 불안을 증가시키는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이었다. 이를 토대로 COVID-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양육불안 감소를 위하여 이에 대한 문화성향의 영향 이해와 부모-교사 파트너십과 유아교육기관 만족도를 강화하는 부모교육 방안과 유아교육기관 운영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가 교육실습 불안에 미치는 영향

        윤갑정,차정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을 낮추고, 보다 나은 실습조건을 마련하고자 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가 교육실습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 정도는 평균 3.10이었으며, 하위변인들 중 ‘교육실습평가’와 ‘유아와의 관계’에서의 불안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은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학과만족도와는 낮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가 교육실습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학과만족도가 교육실습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으나. 자기효능감은 교육실습불안에 대하여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들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다양한 지원이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about practical teaching and the concomitant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their department.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effects. Firs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mean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xiety was 3.10, and an evaluation of practical teaching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 children being taught, which are two subcategories thereof,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nxiety. Second, the dimension of pre-service teacher’s anxiety about practical teaching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dimension of pre-service teacher’s anxiety about practical teaching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but it is not significant. Last, although accountability of the regression model which includes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untability of the regression model which includes only self-efficacy, is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support i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is recommended in order to decrease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anxiety about practical teaching.

      •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윤정아,정정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정적 상관관계, 교수불안과 유아교육과정 실행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45% 설명하며, 교수몰입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반성적 사고, 교수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