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서남옥 ( Nam-ok Seo ),김영희 ( Yeong-hee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5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세워진 이론적 모형을 통하여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C군과 E군에 소재하고 있는 5개의 공립유치원, 1개의 사립유치원, 1개의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그 곳에 다니는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463명으로 하였다. 자료는 질문지 조사 방법으로 수집하였고, 유아의 어머니가 작성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제출한 것을 연구자가 회수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2.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처벌반응과 격려반응은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처벌반응이 많을수록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은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격려반응이 많을수록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격려반응은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격려반응이 많을수록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인 긍정감정표출, 부정감정표출, 감정 숨김은 어머니의 처벌반응과 격려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어머니의 긍정감정표출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처벌반응은 적어지고 격려반응이 많아지며, 어머니의 부정감정표출과 감정 숨김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처벌반응은 많아지고, 격려반응은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처벌반응과 격려반응은 어머니의 긍정감정표출, 부정감정표출, 감정 숨김을 매개하여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어머니의 정서반응 중 격려반응만이 어머니의 긍정감정표출, 부정감정표출, 감정 숨김을 매개하여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reaction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3 children (229 boys and 234 girls) aged three to five years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Umsung-gun and Cheongwon- gu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12.0, and path analysis was done using AMOS 7.0.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thers’ discouraging and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ha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e higher the mothers’ discouraging emotional response, the higher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whereas the higher the mother’s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the lower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econd, the mothers’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had a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e higher the mother’s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the higher the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Third,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dissimulated emotion directly influenced their discouraging and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The mothers’ discouraging response decreased and their encouraging responses increased when they expressed highly positive emotion. Also,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dissimulated emotion led to higher levels of discouraging response and lower levels encouraging response. Fourth, the mother’s discouraging and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s mediated their positive, negative, and dissimulated emotion, indirectly affecting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However, only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of the mothers mediated their positive, negative, and dissimulated emotion, indirectly affecting the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n conclusion, the mothers’ discouraging emotional respons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whereas the mothers’ encouraging emotional response had the biggest effect on the children’s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 KCI등재

        유아 그림책의 그림 표현 기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분석 연구

        김정아(Kim, Joung Ah)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상상력이 풍부한 유아의 발달특성으로 인해 유아기의 그림책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좋은 그림책 제작을 위한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따라서 좋은 그림책의 판단 기준의 하나로 언급되는 그림책 그림에 대한 유아의 반응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의 그림 표현기법을 사실적 표현, 만화적 표현으로 나누어 유아의 반응과 선호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 5년 9개월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이야기는 같으나 표현 기법이 다른 2쌍의 그림책을 사용하여 유아의 반응 및 선호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표현 기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χ²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의 그림 표현 기법에 따라 유아의 언어적ㆍ행동적 반응과 선호 반응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그림책 읽기과정에서는 그림에 대한 개인적 선호반응이 많았고, 그림책 선택과정에서는 그림의 미술적 특징에 대한 반응이 많이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그림 표현 기법에 따라 만화적 표현의 그림책 선택에서는 등장인물의 표정, 행동 묘사 등의 개인적 선호 반응이, 사실적 표현의 그림책 선택에서는 그림의 색, 형태 등 미술적 특징에 대한 반응을 많이 하였다. 즉,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과 선호가 그림 표현 기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아가 그림책을 선택할 때 각각의 표현기법에 따라 선택하는 기준을 다르게 적용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wo different techniques of illustrations(real vs animation) of picture book affect the preschooler"s responses. To see the preschooler"s response differences, 4 picture book with two different illustration techniques were given to the 40 five-year-old preschooler"s. Transcripts of preschooler"s responses were analyzed by two categories of response (linguistic vs behavioral response). Preschooler"s response about illustration was analyzed three categories of responses (story content, personal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 of a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its frequency, percentage, and χ²-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chooler"s linguisticㆍbehavioral responses to the illustration types(real vs animation). And there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son for preschooler"s responses about to the illustration techniques. In the process of selection of a picture book, illustration seemed to be an important factor. And illustrations" technique of picture book have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preschooler"s response in terms of "personal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 of art" on illustration of picture book. But there was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of the preschooler"s selection of picture books before and after reading them according to the illustrations techniques.

      • KCI등재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과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의 관계 연구

        김지숙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유아어머니와 장애유아의 정서표현 특성 그리고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통합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세~6세의 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0쌍으로 총 60명이었다.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어머니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장애유아의 정서표현은 담임교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결과] 첫째, 장애유아어머니는 부정적 표현보다 긍정적 표현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유아의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표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어머니들은 부정적 정서를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나, 부정적 정서가 중요하고, 자녀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정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유아어머니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하여 비지지적 반응보다 지지적 반응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부정적 정서표현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넷째, 장애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서는 지지적 반응 중 정서중심반응과 감정표현격려반응이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 있음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고,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자녀의 정서표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애유아어머니에게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their mothers' the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investigate whether the emotional expressions and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s were relat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ir young disabled children. [Method] There were a total of 60 children, 30 pairs of mothers, and 3 to 6-year-ol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measured through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mothers, an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measured by the teache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d positive express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egative expressi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n terms of negative emotions,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negative emotions but they recognized that negative emotions were important, and they recognized negative emotions as emotions that their children naturally experience. Also,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 supportive response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on-supportive responses. Third,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o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Fourth, in the supportive responses of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emotion-centered response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encouragement response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artially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negative emotions of children are related to th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parental education that can guide the use of suitable coping methods for deal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부정적 정서 중심으로

        정슬기(Jeong, Seul Gi),허혜경(Huh, Hae Gyeo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6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구명하고, 상관관계를 토대로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와 담임교사 173쌍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은 지지적반응과, 비지지적 반응 중 지지적 반응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관관계가 증명되었으나, 유아의 타인조절능력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반응유형이 유아의 올바른 정서조절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mothers’ reaction style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ction style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also examined the influences of mothers’ reaction styles on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3 mothers of 3~5-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of privat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yeonggi-Do. Revised versions of ‘Scales of mothers’ reaction styles to the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Scale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were used for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uggests that mothers’ reaction sty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 KCI등재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정서적 반응성과 기초학습 능력의 관계

        배율미,조광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s effortful control, emotional reactivity, and basic learning ability and the effect of their effortful control and emotional reactivity on the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8 children enrolled in 5 preschools located in S and B cities. A teacher report-Korean version of very short CBQ, CBCL, and Test of Basic Learning Ability were used for measuring the children’s effortful control, emotional reactivity, and basic learning skill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Stepwise-Regression analysi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basic learning ability;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emotional reactivity and basic learning abilit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effortful control and emotional reactivity were the predictor variables for explaining relative effect on the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정서적 반응성과 유아의 기초학습 능력의 상관관계가 어떠한 지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정서적 반응성이 유아의 기초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 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강원도 지역에 소재한 5곳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반 유아 108명이었다.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 교사보고식 초간편형 유아 기질 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서적 반응성을 측정하기 위해 부모보고식 유아행동평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취학 직전 기초학습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2월 21일부터 2017년 2월 15일까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 전체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고 정서적 반응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높고 정서적 반응성이 낮을수록 기초학습능력 전체가 높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기초학습능력에 대해 정적 예측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반응성은 기초학습능력에 대해 부적 예측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정서적 반응성이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인성 관련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 문학적 및 인성 덕목을 중심으로

        김유진,김미숙,권정윤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ldren’s literary responses to the picture books about character education and their actual reactions to character virtues. For 18 children aged 5, picture books related to each of the five character virtues-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sharing, order read out a total of 20 times for 7 weeks, and all the reactions were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ldren’s literacy reaction categories-analytical responses, intertextual responses, personal responses, transparent responses, performative responses-that Sipe(2011) suggested. Also, the actual cases of children’s respon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 virtu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literary responses to the picture books related to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were highest, followed by the picture books about respect, order, and sharing. In terms of Sipe(2011)’s categories, analytical responses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followed by personal responses, intertextual responses, transparent responses, and performative responses. Second,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picture book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children’s actual responses appea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education virtues of 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and sharing, and order. 본 연구는 인성 관련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문학적 반응과 인성 덕목 내용에 따른 유아의 실제 반응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인성 덕목(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관련 그림책을 각 1권씩 선정하여 7주 간 총 20회 읽어준 뒤, 모든 반응을 전사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Sipe(2011)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 범주(분석적, 상호텍스트적, 개인적, 동화된, 연행적 반응)를 활용하여, 인성 덕목 내용에 따른 유아의 실제 반응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인성 덕목 관련 그림책별로 유아의 문학적 반응은 배려 관련 그림책, 협력 관련 그림책에서 많았고, 그 다음으로 존중 관련 그림책, 질서 관련 그림책, 나눔 관련 그림책 순으로 나타났다. 문학적 반응 범주별로 유아의 반응은 분석적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개인적 반응, 상호텍스트적 반응, 동화된 반응, 연행적 반응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 관련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의 인성 덕목별로 유아의 실제 반응이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 탐색

        한은형(Han, Eunhyeu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0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독자반응 이론의 흐름을 재정립하여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를 도출함으로써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독자반응이론이 대두된 배경부터 독자반응 이론의 흐름을 세 갈래로 구분하여 재정립하는 과정을 거쳐 유아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독자반응 이론은 유아가 그림책에 대해선택적 관심을 가진 이후 교류, 환기, 반응의 과정을 유기적으로 거치며 의미를 형성하고 재구성하는 전 과정에 초점을 맞춘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을 함의하고 있었다. 이를바탕으로 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자와 텍스트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관점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선택적 관심의 기회확대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 심미적 읽기 과정 속 텍스트와의 교류를 독려해야 한다. 넷째, 환기와 반응을 통하여 문학작품 속 틈을 스스로 메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점을 교수방법 설계의 측면, 유아에 대한 관점 재정립의 측면, 환기와 반응의 명료한 구별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re-establishing the flow of reader response theory and deriving the implications for early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riv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the flow of the reader responsetheory into three categories from the background of the reader response theory. As a result, the reader response theory implie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support focusing on the wholeprocess of forming and reconstructing meanings through organic exchanges, ventilation, and reactions after infants had selective interest in picture book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discoveringthe direction of response based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eacher s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and tex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selective interest.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exchange with texts in the aesthetic reading process. Fourth, through ventilation and reac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gap in literary works to fill themselves. Based on this, the discussion points were presented in terms of the design of teaching methods, the reestablishment of the viewpoint of infants, and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ventilation and response.

      • KCI등재후보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와 중도 지적장애유아의 반응과의 관계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onversation partners an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132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o collect the data, the researchers pre-instructed the subjects’ parents who were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ir children on the last meal after observing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ir children for 3 days. The data was analyzed t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of conversation partners for the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different for children’s sex, age, disability pattern, and degree of disability. Secon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for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onversation partners was different for children’s sex, age, disability pattern, and degree of disabiliti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onversation partners an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as very close. In conclusion, the children’s sex, age, disability pattern, and degree of dis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to choose suitable interventional strategy for next development of their communication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와 지적장애유아의 반응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자가 실시한 장애유아의 의사소통 지도방법에 대한 사전교육을 받은 어머니가 대화 상대자와 장애유아의 행동을 3일간 관찰한 후,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와 장애유아의 반응행동을 질문지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일원변량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하여 처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화상대자는 남자 장애유아에게 언어적 촉구에 의한 중재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중재에 대한 반응은 남자 장애유아는 지연 반응을, 여자 장애유아는 부분 반응을 더 나타내었다. 연령에 따른 대화상대자의 중재도 6세 이상의 장애유아에게 언어적 촉구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중재에 대한 즉각 반응은 6세 이상의 장애유아, 지연 반응은 4세부터 6세까지의 장애유아, 그리고 부분 반응은 4세미만의 장애유아가 더 많이 나타내었다. 신체적 촉구는 지적장애유아에게, 몸짓 촉구와 언어적 촉구는 발달지체와 중복장애유아에게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신체적 촉구는 1급이나 2급 장애유아, 몸짓 촉구나 언어적 촉구는 2급이나 3급 장애유아에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도 지적장애유아에 대한 대화상대자의 중재는 장애유아의 성별, 연령, 장애정도, 그리고 장애유형 등을 고려하여 그에 적절한 중재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주양육자와 유아의 놀이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반응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은영 한국아동부모학회 2016 아동부모학회지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주양육자와 유아의 놀이활동과 반응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아 주양육자에게 육아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09년 아동청소년실태조사에서 가구소득이 일반인 3∼5세 유아 688명이었다. 자료분석은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주양육자와 유아가 함께 신체활동을 하는 것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직접효과를 가지며,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한 간접효과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반응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도 직접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주양육자와 유아가 함께 노래를 부르는 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는 직접효과가 없었지만,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응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Sobel test로 검증했고, 그 결과 반응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주양육자와 유아는 신체활동을 하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응적 상호작용을 하며 함께 신체활동, 노래불러주기를 하면 더욱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arer-child activities- such as a symbolic play, singing-together, reading a book to a child, and physical activities - affect reactive interaction and child’s prosocial behavior, and to find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rearer-child reactive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88 children, 3 to 5 years old, in normal home environments,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f Comprehensive Child and Youth in Korea. We used the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for the research.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reactive interactions between rearer and child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 singing-together and a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a child’s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enhanced by reactive interaction. Thus, rearer-child reactive interactions in ways of bodily activities improve child’s prosocial behavior, causing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 KCI등재

        어머니의 상위정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김소라,김희태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gender difference of mothers' meta-emotion, mothers' reaction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and their behavior problem, and to examin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meta-emotion, mothers' reaction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and their behavior problem. The subjects were 279 pairs of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who were enrolled in 11 child's care centers near Seoul. Mother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hat assesses their meta-emotion and reaction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at assesses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and behavior probl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on young children's gender in suppressive attitude and supportive beliefs of mothers' meta-emotion and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mothers' meta-emotion, mothers' reaction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and their behavior problem. Third, mothers' supportive reaction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 attachment and self-control of their ego-resilience affected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lso it was said that empathic acceptance, suppressive attitude, and supportive beliefs of mothers' meta-emotion, mothers' reaction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attachment, self-control, initiativeness of ego-resilience affected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상위정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유아의 자아탄력성, 문제행동이 차이가 있는지와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는 어떠하고 아울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각 변인들의 영향력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있는 유아교육기관 어머니-유아 279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상위정서의 억압적 태도와 지지적 신념,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의 문제행동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중 지지적 반응, 유아의 자아탄력성 중 자기통제, 애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는 어머니의 상위정서 중 억압적 태도, 공감적 수용, 지지적 신념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중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 그리고 유아의 자아탄력성 중 애착, 자기통제, 주도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