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수업 참여 경험

        김건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 중 하나인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을 살피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면담내용은 다양한 관점의 교사들과의 토의, 보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서로 마음을 열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들, 변화가 필요한 교육과정과 같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학원의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가진 교사들이 서로 함께 경계 없이 현재의 교육관이나 교육방법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면서 스스로를 성찰하고, 편견을 깨뜨리기도 하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모색하기도 하는 등의 변화를 겪으면서, 상호협력과 통합교육에 대해서도 희망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수업은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에게 함께 토론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었고, 이것이 통합교육과 협력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로 이어졌음이 나타났다. 반면,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따라서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함께 전문적인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어야 하고,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수업이 진행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방법 개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유치원 영어전담 교사의 전공에 따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김지영(Ji-Young Kim),김태영(Tae-You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3

        현재 유치원 영어교육은 객관적인 효과성이 검증되지 않은 채 시행되고 있어 유아 언어발달의 문제, 영어교육 방법의 문제, 유아 영어교사의 자질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영어전담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영어교육의 현 실태와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유치원에 근무하는 영어교사로 유아 관련 전공 교사 3인, 영어 관련 전공 교사 3인, 그리고 조기영어교육 전공 교사 3인으로 하였다. 유치원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 영어교육에서의 유아 인지 발달, 유아 영어 교수방법, 유아 영어교사 전문성에 대한 면담과 수업관찰이 분석되었다. 분석된 내용은 정성적 연구 분석 방법에 의해 코딩 후, 교사 전공에 따라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이를 통해 유치원 영어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영어교육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발달을 고려한 영어교육 현황에 대해 전공과 무관하게 유아 영어교사들은 자신이 소속된 회사나 유치원에서 제공하 는 교재가 유아 발달에 적합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 영어 수업현황에 대해 유아 영어교 사는 유치원 영어수업에서 교사의 영어 사용은 유아와 의사소통, 수업집중,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친 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유치원 영어교사 양성 현황에 대해 유아 영어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로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교사와 영어교사가 지녀야할 자질을 갖춰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 영어교사 는 객관적 기준이 없는 유아 영어교육 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였다. 교사들이 인식한 유아 영어 교육 현황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유아 영어교육 자료를 보급하는 회사와 유치원에서는 유아 발달에 적합한 수업 교재와 수업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는 유아 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수준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아 영어교사 채용시 영 어교사의 전문성을 중요하게 고려하므로 교사를 채용할 때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고려와 함께 교사 전문성 양성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find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English education in kindergarten by analyzing the perspectives provided by kindergarten English teachers with different undergraduate major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English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observing their classes. The data were then analyzed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by categoriz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teachers' undergraduate majors: childhood education and Englis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e text books, which the textbook companies and kindergartens offer, to be inappropriate for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the teachers stated that their English proficiency affects children's interest, attention, and the level of children’s participation. Third, the teachers expressed concern about the unsystematic curriculum in 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companies and kindergartens, which regulate materials for 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need to develop class materials considering children's interest and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the teachers need to use Korean and English considering children's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ory-driven, systematic programs for training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to integrate 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Nuri curriculum.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 중심의 유아생태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들의 경험

        유한나,손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중심의 유아생태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들이 한 학기동안의 수업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지역 3년제 대학 전공심화과정에 재학하며 유아생태교육 수업에 참여한 예비 및 현직유아교사 25명의 저널과 프로젝트 보고서를 수집ㆍ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 중심의 유아생태교육 수업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환경교육을 넘어 통합된 관점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와 유아의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를 경험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되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의 삶에서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하는 것에서 나아가 일상에서 지속가능한 삶을 추구하는 개인 차원의변화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들에게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장기적접근의 교사교육을 제공하고, 한 학기 동안 실시한 효과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유아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사례를 보여주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arly childhood ecological education classes focu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one semester. The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journals and project reports from 25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part in an early childhood ecology education class during their 3-year intensive program.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developed an understand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ith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at goes beyond just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who implemented the curriculum expanded their understanding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experiencing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roles of bo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stently implemente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ased on their newfound understanding of the field. Fourth, the study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ot only applie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also pursued sustainable lifestyl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ntribution to teacher education, offering a long-term approach to sustainable development for both pre-service and incumbent early childhood teachers. It also demonstrates the detailed effects of a single semester of early childhood ecological education classes on these participants.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encourage further investigations and more active studies showcasing exam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후보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비교

        박진희 ( Jin Hee Park ),손원경 ( Won Kyoung S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B시, U시, K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2명과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현직유아교사 294명으로 총 636명의 설문지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과 학년에 따른 유아 인성교육에 관한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현직유아교사의 유아 인성교육에 관한 인식은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유아 인성교육에 관한 인식에는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품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교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아교사의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Pre and Current Childhood Teachers on the Child`s Personality Education. The subjects were 636 teachers in total comprising 294 Current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ren`s home and 342 preliminar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personality of childhood teachers of preliminar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grad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sonality of childhood teachers of current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grade according to variables. Thir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sonality of childhood teachers of preliminary childhood teachers and current childhood teachers except 12 items. Those research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s for teachers to enhance personality development of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김정화 ( Jung Wha Kim ),서정숙 ( Jeong Sook Seo ),이영애 ( Young Ae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1

        유아교육에서 문학교육을 독립된 교과 영역으로 보고자 하는 연구가 늘어남에 따라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여러 교사 변인에 따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향후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126명이다. 설문 항목은 유아문학교육의 목표 및 성격, 유아문학 작품 및 작가, 유아에 대한 이해 및 문학작품의 적합성, 유아문학교육의 교수방법,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유능감에 대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는 대체로 높았지만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유아문학작품 및 작가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았다. 교사의 변인별로는 유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는 높았지만, 교사의 관련 과목 수강 여부나 현직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인식 차이는 전체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유아문학교육을 위해 유아문학교육 평가, 유아문학작품 및 작가에 대한 교육의 강화를 비롯하여 좀 더 효과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운영 될 필요가 있다. The necessity of a program to educat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been recently raised as there are increasing investigations based on the notion that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an be a separat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there is no investigation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literature education. To provide necessary data to make a better literature teach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research carries out an in-depth investigation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eacher variables. The subject consists of 12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The survey items are the goal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literature and writers, the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and the suitability of children`s literature, the teaching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competence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level of teachers` overall perception on literature education is generally high but that the levels of their perceptions on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literature and writers are relatively low.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 variables shows that the level of the perception on literature education is higher as the level of their education is higher but that literature-related course taking or teaching experiences do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n the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operate a more effective, improved teacher program in every aspect including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and the education on literature and writers.

      • KCI등재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 탐색

        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경험한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통합학급 교사 6명이었으며, 15주 동안 협력교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교사교육에 지원한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은 협력교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나, 협력교수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협력교수가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전제조건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있었다. 둘째, 협력교수 교사교육에 참여한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은 협력교수 수행을 시도함으로써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려는 의지를 보였다. 유아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수행은 통합학급 교사로서의 교육철학과 신념, 역할과 책임, 전문성 발달과 향상, 협력과 소통 등으로 세분화 되어 나타났으며, 각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의 협력교수 수행은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점과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실천은 유아통합학급 교사들의 협력적 체계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co-teaching performance i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A teacher support program for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developed by Yang jin-hee(2008) was us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llaboration of the team of 6 co-teachers including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period of 15 weeks.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of co-teachers related to the changes in co-teaching performance.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lassified and arranged by the purpos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ist, the philosophy and belief on co-teaching performance of co-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was changed to mutual confidence and trust between the co-teachers. The co-teachers shared communication techniques on overall aspects about co-teaching. Second, the thought on role and the responsibility of co-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 was changed to the designation of the rol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imit of responsibility. The co-teachers shared the method of trouble-shooting on overall aspects about co-teaching.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t supporting systems that are responsive to the requests of instructors while co-teaching with co-teachers.

      • KCI등재

        교사의 ICT활용교육 경험에 따른 유아 ICT활용교육 운영 실태

        김보현(Kim Bo-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ICT관련 교육 경험 현황을 조사하고 교육 경험에 따른 교사의 ICT활용교육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유아교육기관의 만 3세에서 만 5세 학급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유아 교사의 ICT활용교육 경험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교사면담을 토대로 유아 ICT활용교육 운영 실태 조사 설문 지를 수정, 보완한 후 예비조사를 거쳐 유아교육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아 사용하였다. 유아 교사의 ICT활용교육 경험에 따른 유아 ICT활용교육 운영실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카이제곱(χ2)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복수응답의 경우에는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CT활용교육 경험이 없는 교사가 많았으며 ICT활용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은 교과수업을 통해 ICT소양교육을 실기 수업 방식으로 교육 받았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ICT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교육 경험이 없는 교사들에 비해 유아 스스로 문제를 탐색해 볼 수 있는 교육 환경을 구성해 주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교실에서의 운영 방식에서는 교육 경험이 없는 교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ICT활용능력 뿐 아니라 교사 스스로 ICT활용교육에 관한 신념을 형성하고 교수 전략을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교사 교육을 진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ICT education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ICT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teachers of 3 - to 5 - year - old class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the survey questionnaire on the operation status of ICT utiliz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theories, prior studies and teacher interviews related to ICT use education experience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fter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validity of the content was verified b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In order to find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operational status of infant ICT utilization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ICT utilization training by infant teachers, a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and in the case of multiple responses,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many teachers did not have experience using ICT. The teachers experience of using ICT by teachers was found to be using ICT literacy education through practical lessons. Teachers with experience in ICT recognize that they need to construct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llows them to search for problems themselves, compared to teachers who do not have experience with education. In the actual classroom operation method,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teacher who had no education experience. This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educate teachers to use their ICT skills as well as teachers beliefs about ICT education and construct teaching strategi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개발

        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educational model for facilita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ethical perception.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model, a variety of literature and previous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analyzed and professional group meetings were held. The goal of the educational model are facilita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ethical perception, moral reasoning, and reflective thinking.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such as ethical values regarding young children, their parents, teachers’ colleague, and social communities. The teaching model are Problem Based Learning and the specific strategies are making learning community, connecting experts, collecting information, supporting group activities, brainstorming, and in-depth discussion. The evaluation methods are instructor’s log, learner’s journal, self assessment on teachers’ ethical perception, reflective thinking level, and moral reasoning. The developed model are expected to utilized in various contexts for facilitating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thical perception and practice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직윤리 관련 문헌과 유아교사의 윤리적 딜레마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예비교사 및 현지교사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직윤리 의식 함양 교육과정 모형은 교직윤리의 의미에 대한 인식제고, 교직윤리 의식 개선, 도덕적 추론 능력 증진 및 반성적 사고 능력 증진을 세부 목표로 하여 유아교사의 윤리와 유아, 유아교사의 윤리의 가정, 유아교사의 윤리와 동료, 유아교사의 윤리와 지역사회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세부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은 문제 중심 학습 접근법을 기초로 하였다. 이를 예비 교사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안으로 구성하여 실행해 보면서 모형의 실용적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교사 교직윤리 교육 모형은 예비교사양성과정의 유아교사론 등의 교과목, 현직교사를 위한 직무연수 및 승급교육 등의 맥락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 자율성과 유아교육공동체 관계에서 교사헌신의 매개효과

        이상미(Lee, Sang-Mi),문병환(Mun, Byunghwa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 자율성과 유아교육공동체 관계에서 교사헌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중인 유아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유아교육공동체 형성 그리고 교사헌신 간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 자율성이 교사헌신과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헌신도 유아교육공동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 자율성이 유아교육공동체에 영향을 미칠 때 교사헌신은 완전 매개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화한 교사의 자율성을 실행할 때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에 큰 도움이 되며 유아교육공동체와 함께 유아의 건강한 발달지원을 위한 교사헌신 노력에 힘을 줄 수 있는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aims to shed light on mediating effect of teacher commitment on the in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he study involved 28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the city of G. For data analysis, SPSS 23.0 was utilized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and 3-stag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sults exhibit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the form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teacher commitment. Second, it has turned ou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teacher commitment and the cre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dditionally revealing a significant effect of teacher’s commitment on the child education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impact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eacher commitment works as a complete mediator effect. These outcomes are thought to be of great importance to the formation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when implementing the reinforced teacher’s autonomy in the 2019 modified version of the Nuri educational program, and which will be used as educational materal that can strength on teacher commitment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together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teacher commitment.

      • KCI등재

        교사 특성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놀이지원방법 이해도 및 유아의 교육내용 경험 정도 분석

        천연주,장상옥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Understanding of Play Support Method of Early Childhood Teachersand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 in the 2019Revised Nuri Curriculum Contents by Teacher’s CharacteristicsYeonju Cheon & Sangock J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lay support metho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contents,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content experience, and the relationship. 30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nam were surveyed via questionnaires.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play support method and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differed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education, career, and institution type. Second,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lay support method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 To enhance young children’s experience degree of education content,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play support method of teachers is requested. Key Words: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Contents, Early Childhood Teacher, Understanding of Play Support Method, Degree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 교사 특성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놀이지원방법 이해도 및 유아의 교육내용 경험 정도 분석천 연 주**ㆍ장 상 옥***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방법 이해도와 유아의 교육내용 경험 정도를 교사의 특성에 따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남의 유아교사 302명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놀이지원방법 이해도와 유아의 경험 정도는 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 소지자격과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놀이지원방법 이해도와 유아의 경험 정도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의 경험 정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방법 이해도 향상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핵심어: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유아교사, 놀이지원방법 이해도, 유아의 경험 정도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본 논문은 주저자의 경상국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First Author, Maste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Chunsojil@naver.com)*** 교신저자, 경상국립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sojang@gn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