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즈댄스 트레이닝이 최대 유산소성 능력과 혈중 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정(Mi Jung Kim),이만균(Min Gyoon Lee) 한국무용과학회 200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0 No.-

        재즈댄스가 대중화 되어 감에도 불구하고 재즈댄스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8주간의 재즈댄스 트레이닝이 의한 최대 유산소성 능력의 변화와 일정 운동 강 도에서의 혈중 젖산 농도 (blood lactate concentration), 심박수, 그리고 산소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재즈댄스 트레이닝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무용을 전공하는 6명의 여대생들아 피검 자로 참가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전검사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을 검사하고 검사 중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젖산농도를 측정하였다. 8주간의 재즈댄스 트레이닝을 완료한 후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사전검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최대산소섭취량 검사를 위하여 트레드밀을 이용 80m/min에서 시작하여 매 2분마다 20m/min을 증가시켜 탈진에 이르도록 하였다. 산소소비량은 자동 가스분석기(Sensormedics 29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검사 중 매 단계발로 처음 30초 시점에서 혈액을 핑거팁 방법으로 채취하여 YSI 123 젖산분석기를 이용하여 혈중 젖산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의 평균치를 종속 t-검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재즈댄스 트레이닝 전·후의 최대 유산소성 능력 관련 변인은 최대 심박수를 제외한 모든 변인, 즉 최대산소섭취랑, 체중당 최대산소섭취량, 최대환 기량 그리고 총 운동수행시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재즈댄스 트레이닝 전·후의 운동 강도 140m/min에서의 혈중 젖산농도와 심박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산소소비랑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재즈댄스 트레이닝 전·후의 운동강도 180m/min에서의 혈중젖산농도와 심박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산소소비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재즈댄스 트레이닝 전·후의 최대운동 직후에서의 혈중젖산농도와 심박수, 그리고 산소소비량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8주간의 재즈댄스 트레이닝은 최대 유산소성 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준 반면 무산소성 능력 발달에는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재즈댄스 연습이 매우 적합한 유산소성 운동이라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azz dance training on the maximal aerobic power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The examination were repeated to the six collegiat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procedure of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as follows: During the 8-weeks treatment period, the subject participated in 120 min of jazz dance at 70~80% of the HRmax, 5~6 times a week Each subjects performed gradually increment treadmill exercise test to volitional exhaustion(all-out). Respiratory gas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test were performed during a continuous incremental treadmill ruining before and after training period. Work load was gradually incremented by 20 m/min every two minute from the start of the test with 80m/min of treadmill velocity to volitional exhaustion Respiratory gas was analyzed by automated respiratory gas analyzer, Sensormedics 2900, every 20 second Blood sample were taken from alveolar capillary sited on fingers, during the first 30 sec of every stage in treadmil test. Blood lactat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using by automated lactate analyzer, YSI 123. Statistical analysis of five variables related with maximal aerobic power & blood lactate concentration data were performed utilizing dependent t-test. A significant level of .05 for rejection of the null hypothesis was selected. The result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maximal aerobic power were found between before & after a 8-week jazz dance training.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maximal anaerobic power found between before & after the 8-week jazz dance training From the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jazz dance training performed 120 min, 5~6 days/week for 8 weeks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maximal aerobic power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 KCI등재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Polymorphism)에 따른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기능의 차이

        조현철 ( Hyun Chul Cho ) 대한무도학회 2012 대한무도학회지 Vol.14 No.3

        연구는 유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엘리트 선수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유·무산소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대한 ACE 유전자 다형성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Y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 남자 유도 선수 69명으로 ACE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총 3개 그룹(II타입 30명, ID타입 26명, DD타입 13명)으로 구분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유산소성 능력으로 최대산소섭취량, 환기량, 최대 심박수를 측정하였으며, 무산소성 파워로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등속성근기능은 양발의 최대근력, 최대파워, 평균파워를 측정하여 ACE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성 운동능력은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심박수에서 II타입이 ID와 DD타입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환기량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산소성 운동능력에서도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에서 DD형이 II와 ID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등속성 근기능에서는 최대근력(peak torque)과 최대파워, 평균파워에서 DD형이 II와 ID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그 중 오른쪽 슬관절 굴근 운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따라서, 유도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 간에 유산소성 능력에서는 II형이, 무산소성 능력에서는 DD형이 대체로 우세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3가지 다형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세부적인 평가를 위해 다양한 종목과 체급별 분석, 유전형별에 따른 트레이닝의 접목 등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as well as isokinetic muscular functions according to a polymorphism of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This study was also investigated to provide better methods for athletic performance improving and elite athlete selecting of judo player. Total 69 healthy judo play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Genotyping was perfo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or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The athlete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s II, ID, DD genotype groups based upon ACE I/D polymorphism(n=69; II=30, ID=26, DD=13). This groups were measured aerobic capacity testing, maximal incremental cycle ergometer testing, and maximal knee muscle strength measurements. Aerobic fitness indicated higher value in II genotype than ID or DD. However, anaerobic performa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anaerobic fitness and the genotype. Isokinetic test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right knee flexion peak torque, peak power and average power in DD genotype than II or I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erobic capacity was probably affected by II genotype of ACE gene. In addition, anaerobic capacity indicated that DD genotype of ACE gene dominated over other genotyp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E genotype. We need further studies for an accurate comparison of various event according to ACE I/D polymorphism.

      • KCI등재

        유도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Polymorphism)에 따른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기능의 차이

        조현철 대한무도학회 2012 대한무도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as well as isokinetic muscular functions according to a polymorphism of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This study was also investigated to provide better methods for athletic performance improving and elite athlete selecting of judo player. Total 69 healthy judo play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Genotyping was perfo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or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The athlete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s II, ID, DD genotype groups based upon ACE I/D polymorphism(n=69; II=30, ID=26, DD=13). This groups were measured aerobic capacity testing, maximal incremental cycle ergometer testing, and maximal knee muscle strength measurements. Aerobic fitness indicated higher value in II genotype than ID or DD. However, anaerobic performa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anaerobic fitness and the genotype. Isokinetic test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right knee flexion peak torque, peak power and average power in DD genotype than II or I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erobic capacity was probably affected by II genotype of ACE gene. In addition, anaerobic capacity indicated that DD genotype of ACE gene dominated over other genotyp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E genotype. We need further studies for an accurate comparison of various event according to ACE I/D polymorphism. 본 연구는 유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엘리트 선수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유․무산소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대한 ACE 유전자 다형성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Y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 남자 유도 선수 69명으로 ACE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총 3개 그룹(II타입 30명, ID타입 26명, DD타입 13명)으로 구분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유산소성 능력으로 최대산소섭취량, 환기량, 최대 심박수를 측정하였으며, 무산소성 파워로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등속성근기능은 양발의 최대근력, 최대파워, 평균파워를 측정하여 ACE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성 운동능력은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심박수에서 II타입이 ID와 DD타입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환기량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산소성 운동능력에서도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에서 DD형이 II와 ID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등속성 근기능에서는 최대근력(peak torque)과 최대파워, 평균파워에서 DD형이 II와 ID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그 중 오른쪽 슬관절 굴근 운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따라서, 유도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 간에 유산소성 능력에서는 II형이, 무산소성 능력에서는 DD형이 대체로 우세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3가지 다형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세부적인 평가를 위해 다양한 종목과 체급별 분석, 유전형별에 따른 트레이닝의 접목 등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핀수영 기록과 유·무산소능력 및 등속성근력의 관계

        최재일(Jae-il Choi),윤성준(Sung-jun Yun)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6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는 고등학교 핀수영 선수 20명을 대상으로 1.5km 핀수영 경기기록과 유·무산소 능력 및 등속성 근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SPSS ver. 18.0 통계 프로그램으로 변인 간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순상관분석(Pearson`s simple correlation)을 실시하였고, 유산소능력은 GXT, 무산소능력은 Wingate, 등속성 근력검사는 Cybex norm(CSMI)을 이용하였다. 1.5km 핀수영 기록과 유산소성 능력은 V˙ O<sub>2max</sub>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p<.01). 1.5km 핀수영 경기기록과 무산소성 능력은 peak power(W)(p<.01), peak power(W/kg)(p<.05), average power(W)(p<.05), average power(W/kg)(p<.05)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1.5km 핀수영 경기기록과 등속성 근력중 허리관절은 average power(%BW) 신근(p<.001), 굴근(p<.001), total work(%BW) 신근(p<.01)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무릎관절은 peak torque(%BW) 우신근(p<.05), 좌신근(p<.01), average power(%BW) 우신근(p<.05), 우굴근(p<.05), 좌신근(p<.01), total work(%BW) 우신근(p<.01)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fatigue index(%BW) 좌굴근(p<.05)에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발목관절은 peak torque(%BW) 우신근(p<.05), total work(%BW) 우신근(p<.01), 좌신근(p<.05)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This is a research investigating 1.5km section records and correlation with aerobic capacity, anaerobic capacity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of highschool fin swimmers, In the result of aerobic capacity measurement, Statistical techniques for data anlysis were a Pearson`s simple correlation(SPSS ver 18.0). This measure were used GXT for aerobic capacity, Wingate for anaerobic capacity and Cybex norm (CSMI) for isokinetic muscle strength test. the following correlation was shown. in 1.5km records and V˙ O<sub>2max</sub>, negative correlation(p<.01). In the result of anaerobic capacity measurement, in 1.5km records and peak power(W)(p<.01), peak power(W/kg)(p<.05), average power(W)(p<.05), average power(W/kg)(p<.05), negative correlation. In the result of isokinetic strength measurement, As a result of correlation with section records of waist,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in 1.5km records and extensor average power(%BW)(p<.001), flexor average power (%BW)(p<.001), extensor total work(%BW)(p<.01), As a result of correlation with section records of knee joint, extensor of light peak torque(%BW)(p<.05), extensor of left peak torque(%BW)(p<.01), extensor of light average power(% BW)(p<.05), flexor of light average power(%BW)(p<.05), extensor of left average power(% BW)(p<.01), extensor of left total work(%BW)(p<.01), negative correlation, flexor of light fatigue index(%BW)(p<.05),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with section records of ankle joint, extensor of light peak torque(%BW)(p<.05), extensor of light total work(%BW)(p<.01), extensor of left total work(%BW)(p<.05), negative correl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기술, 스피드 및 유산소성 능력 비교 연구

        김영직 ( Yeong-jik Kim ),서태범 ( Tae-beom Seo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4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2 No.3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엘리트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기술, 스피드 및 유산소성 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축구선수 64명이 참여하였으며, 포지션에 따라 공격수(FW, n=22), 미드필더(MF, n=18), 수비수(DF, n=24)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축구선수들의 경기력을 예측할 수 있는 8가지 필드 테스트(2가지 슈팅, 2가지 드리블, 리프팅, 패싱 & 리시빙 테스트, 스피드, 유산소 능력)를 확인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FW는 다른 두 그룹에 비해 파워 드리블 능력과 스피드가 높았고, MF에게 FW와 DF를 연결하는 패스와 리시브 능력이 요구되었다. DF에게는 공을 다루기 위한 리프팅 기술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슈팅 능력, 왕복 드리블 능력, 유산소성 능력에서는 포지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 적용된 6가지 필드 테스트는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경기력 예측을 위한 중요한 측정 방법이라는 새로운 증거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occer performance factors according to playing position in elite high school soccer players. A total of 64 high school soccer player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forward (FW, n=22), midfielder (MF, n=18), defender (DF, n=24) groups. To identify 8 field tests (2 shooting, 2 dribbling, lifting, passing & receiving tests, speed, aerobic capacity) that can predict performance in soccer players, a Delphi method was conducted. As results of this study, FW had higher power dribbling skill and speed than the other two groups, and MF were required to have passing and receiving skills to connect between FW and DF. DF were required to have lifting skill to handle the bal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oting skill, round-trip dribbling skill and aerobic capacity according to playing position. Our finding suggested new evidence that six field tests applied in this study might be an important predictor of performance in high school soccer athletes.

      • KCI우수등재

        Small-sided game 트레이닝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유, 무산소 능력과 경기 중 활동 형태에 미치는 영향

        오지우(OhJi-woo),이용수(LeeYoung-soo),성기운(SungKi-wo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5

        본 연구는 7주간의 small-sided game(SSG) 트레이닝이 중학교 축구선수의 유, 무산소 능력 및 경기 중 활동 형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력 3년 이상의 중학교 축구선수 16명을 비교집단인 인터벌 트레이닝 그룹(Interval training group, ITG, n=8)과 실험집단인 SSG를 수행한 SSGG(Small-sided game training group, n=8)그룹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각 그룹은 모든 기존의 팀 훈련은 동일하게 제한한 환경에서 7주간 주2회 60분씩 각각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7주간의 트레이닝의 결과, 트레이닝 전과 비교하여 유산소성 능력은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p<.05), 무산소성 능력의 지표인 평균 파워가 IT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SSGG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제 경기의 모의 형태인 SSG 트레이닝이 경기 중 선수들의 활동 형태의 변화를 유도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영상촬영을 통해 선수들의 움직임을 기록하고 트레이닝 전, 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7주간의 SSG를 통해 선수들은 경기 중 총 이동거리가 증가하였으며(p<.01) running (p<.05), HIR (p<.01)과 같은 고강도 형태의 움직임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SSG트레이닝은 유소년 축구 선수의 유산소성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경기 중 활동 형태를 더욱 활발한 형태로 변화시켰으며 총 이동거리 또한 증가시켰다. 따라서 기술과 체력의 균형적인 발달이 요구되는 유소년 선수들에게 SSG트레이닝이 체력 발달에 집중된 전통적 트레이닝 방법의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effects of small-sided game (SSG) on aerobic, anerobic capacity and activity pattern in youth elite football players. 16 soccer p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interval training group (ITG, n=8) and small-sided game training group (SSGG, n=8). Participants performed interval and small-sided game training twice a week for 7 weeks in addition to regular football team training. Participants were performed Yo-Yo intermittent test to examine differences of aerobic capacity in ITG and SSGG.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erobic capacity (p<.05). In relation to anaerobic capacity, ITG showed improvement in mean power of the Wingate test (p<.05) whereas SSGG did not show any improvement. To examine the effect of SSG training on activity profile, we recorded and analysed the activities of players in SSGG during SSG. After SSG training for 7 weeks, the participants covered longer total distances (p<.01) and high intensity movement, such as running (p<.05) and high intensity running (p<.01). In conclusion, SSG training can be used as regular training to improve aerobic capacity and activity pattern in youth elite football players.

      • KCI등재

        대사증후군 중년 남성들의 최대 근력, 건강 체력 및 유산소성 능력의 변화

        김지석,김인규,성창수,전태봉,김태일,권선옥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대사증후군 유병에 따른 최대 근력, 건강 체력 및 유산소성 능력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건강한 일반인과 비교하여 대사증후군 질환자에게서 상대적으로 나타나는 체력의 변화를 이해하고, 대사증후군 질환자의 운동처방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특정한 약물처치를 받지 않는 질병이 없는 중년 남성 13명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에 근거하여, 허리둘레, 혈압, 공복 시 혈당,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 등 5개 요소 중 3가지 항목 이상이 판정기준에 초과 또는 미달하였을 때 대사증후군 질환자로 분류하였으며, 일반인 통제집단 7명(평균연령 46.29±5.10세)과 대사증후군 질환 집단 6명(평균연령 48.80±3.38세)의 최대 근력, 건강 체력, 유산소성 능력, 혈액 변인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 집단 (Metabolic Syndrome, MS)의 공복 시 혈당, 중성지방 수치는 일반인 집단(Non-Metabolic Syndrome, NMS)에 비해 유의한 증가 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대사증후군 판정 지표인 허리둘레 및 복부비만율 역시 MS 집단이 NMS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인체조성 검사 결과, 체질량지수와 근육량, 골격근량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체지방율에 서는 MS 집단의 유의한 증가를 발견할 수 있었다. MicroFet을 이용한 상.하지 최대 근력 측정 결과, 좌측 및 우측 상완이두근, 상완삼두 근, 대퇴사두근, 대퇴이두근, 대둔근, 중둔근, 대퇴내전근, 비복근, 전경골근의 근파워 수치에서 두 집단 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 체력의 측정 결과, 상지근력 측정지표인 좌.우 악력과 근지구력 측정 지표인 윗몸 일으키기, 민첩성과 순발력의 측정 지표인 사이드 스텝과 서전트 점프, 유연성 측정 지표인 좌전굴 측정 결과, 집단 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탈진 시까지 수행된 최대산소섭취 량 측정 결과 MS 집단의 유산소 능력이 NMS 집단에 비해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사증후군 유병이 근육량 변화를 통한 최대근력 및 체력의 변화보다는 체지방율 변화를 통한 유산소 능력을 더욱 민감하게 저하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대사증 후군 질환자의 운동처방에 있어서는 유산소 능력의 개선을 위한 처치가 우선되어야 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aximal muscular strength, physical fitness and aerobic capacity in the middle-aged male metabolic syndrome patients compared to the non-metabolic syndrome control. By analyzing metabolic syndrome diagnosis criteria, 6 male subjects were engaged in metabolic syndrome (MS, age 48.80±3.38 yrs) patients group and 7 male subjects were engaged in non-metabolic syndrome (NMS, age 46.29±5.10 yrs) control group. On determining blood variables, the fasting levels of glucose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S group compared to NMS, while the HDL-C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MS. Waist circumference, waist-hip-ratio and % body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body weight, BMI, muscl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in between groups. Maximal muscular strengths of upper and lower limbs measured by MicroFet, such as right and left quadriceps femoris, biceps femoris, gluteus maximus, gluteus medialis, femoral adductor, gastrocnemius, tibialis anterior, biceps brachii and tricept brachi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etween groups. Levels of physical fitness, such as grip strength, sit up, side step, seargent jump and trunk flexion, were also not different in between groups. However, the aerobic capacity determined by VO2max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MS group. The current study has shown that the aerobic capacity is more sensitive to the metabolic syndrome compared to the muscular strength.

      • KCI등재

        카페인로딩이 유산소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영수,윤성원,이명천,이종각,김복주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0 체육과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시합을 앞둔 선수들이 복용하기를 꺼리는 카페인에 카페인로딩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카페인 투여에 따른 최대하 운동부하 전후 혈중 카테콜라민, cAMP, 유리지방산, 중성지질, 글루코스 등의 대사물질들을 측정·분석하여 카페인이 IOC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유산소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학 장거리 선수 6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투여 1군(카페인로딩후 카페인 6mg/kg 투여), 투여 2군(카페인로딩 없이 카페인 6mg/kg 투여)으로 나눠 65%VO2max의 강도로 90분 동안 운동을 부하하였다. 안정시와 운동 30분, 60분, 90분에 채혈하여 대사물질들을 분석하였으며, 운동 후에는 소변에서 카페인 양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변인들을 분석·검토한 결과 카페인은 유산소성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사료되나, 본 연구의 목적인 카페인로딩의 영향에 대해서는 규명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카페인로딩은 카페인을 습관적으로 섭취하는 사람의 경우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카페인 내성을 강화하기 위해 습관성 카페인을 섭취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운동 전 카페인 섭취를 1주일 정도 금지시킨다면 카페인로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개개인에 따라 카페인 함유식품들을 섭취하는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카페인 효과에 대한 카페인로딩 개념을 적용하는데는 좀 더 세밀한 식이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며, 개개인에 따라 카페인에 대한 대사율이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대사율을 조사하여 카페인 섭취 권장량을 설정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테이퍼(Taper) 기간 에너지 섭취량에 따른 남자 대학 조정선수들의 유ㆍ무산소성 기록변화가 조정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황우석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테이퍼 기간 동안 에너지 섭취량에 따른 남자 대학 조정선수들의 유산소, 무산소성 능력변화가 조정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남자 대학 조정선수 16명을 대상으로 실험 목적에 맞게 체중 에 평균을 맞춰 약 5,000 kcal를 섭취하는 A 집단과 약 4,000 kcal를 섭취하는 B 집단으로 8명씩 배정하여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선수들의 유산소, 무산소성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로윙 에르고미터 6,000 m와 500 m 기록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로윙 에르고미터 2,000 m 기록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후 테이퍼 기간(7일)과 측정일(3일)을 포함한 총 10일 동안 일일 에너지 섭취량을 조절한 후 사전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테이퍼 기간 동안 약 4,000 kcal 섭취한 B 집단의 로윙 에르고미터 500 m 기록이 유의하게 단축하여 무산소성 능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무산소성 능력의 향상은 로윙 에르고미터 2,000 m 중 라스트 구간(1500 m∼2,000 m)에 반영되어 B 집단의 섭취 전․후 기록이 2.72초 단축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종합해 볼 때, 테이퍼 기간 동안 약 4,000 kcal 에너지를 섭취한 선수들의 무산소성 대사능력이 개선되어 경기력 향상에 효율적으로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erobic and anaerobic ability changes of male university rowers following energy intake during the taper period on rowing performance. For the study, 16 male university rowers were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ith 8 in each group with averages set on weight, thus forming the A group consuming approximately 5,000 kcal and the B group consuming approximately 4,000 kcal. To measure the aerobic and anaerobic abilities of the athletes, observations were made of records for the 6,000 mand 500 m rowing ergometer and corresponding changes in records for the 2,000 m rowing ergometer were examined. Afterwards, energy consumption was adjusted for 10 days including the taper period (7 days) and measurement days (3 days) and post-measurements were made with methods identical to those of pre-measurement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500 m rowing ergometer records of the B group consuming approximately 4,000 kcal over the taper period significantly decreased, confirming an enhancement in anaerobic abilities. Such anaerobic ability enhancement was reflected on the last section (1500 m∼2,000 m) of the 2,000 m rowing ergometer, drawing results in which the records of the B group before and after consumption decreased by 2.72 seconds. In sum, the anaerobic metabolic capacity of athletes consuming approximately 4,000 kcal of energy during the taper period was enhanced, acting effectively on performance enhancement.

      • KCI등재후보

        점증적 최대운동부하와 5부간 독주 검사간의 대학교 장거리 사이클 선수의 유산소성 능력 비교

        이용우(Young Woo Lee),이상현(Sang Hyoun L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장거리 사이클 선수의 유산소성 능력을 필드에서 측정 가능한 측정방법을 개발하고자 실험실의 전형적인 점증적 최대운동부하 방법과 5분간 독주 검사방법을 비교하였다. 8명의 지구성 훈련이 된 사이클 선수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점증적 최대운동부하방법은 초기에 운동부하 150watts로 시작하여 1분마다 25watts씩 증가시키면서 80rpm을 유지하면서 탈진할 때가지 실시하였으며, 5분간 독주 검사는 선수들이 사용하는 자전거를 이용하여 선택한 속도로 5분간 지속적인 독주를 실시하였다. 두 가지 검사 방법의 비교결과 절대적 및 상대적 최대산소섭취량은 5분간 독주 검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두 가지 검사 방법 간에 절대적(r=0.87, p<0.01) 및 상대적(r=0.76, p<0.01) 최대산소섭취량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선수 자신들의 자전거를 이용한 필드에서 유산소성 능력 평가를 위해서 5분간 독주 검사 방법 또한 유용하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erobic capacity of endurance cyclist between the incremental maximal exercise(IME) and individual pursuit for constant duration(5min)(5M). Eight elite male endurance-trained cyclists with at least 5 years of competitive rid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analyze aerobic capacity between tests, subjects was performed the incremental maximal exercise test which start 150W of 80rpm following increment of 25W·min-1 until all-out using cycle ergometry and the individual pursuit for constant duration(5min) by self-cadence using cyclists` private racing bike. Relate and absolute VO2ma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5M compare with IME(p<0.05). And, there w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for absolute(r=0.87, p<0.01) and relative VO2max(r=0.76, p<0.01) between IME and 5M test.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5M test may be used to evaluate endurance cyclists` aerobic capacity using private racing bi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