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태스크 중심의 임상 프로토콜 개발 방법론

        황경순(Kyoung-Soon Hwang),김원재(Wun-Jea Kim),이찬희(Chan Hee Lee),이건명(Keon-Myung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0 No.1

        유비쿼터스 서비스 인프라의 확충에 따라 헬스케어 분야가 중요한 서비스 영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는 서비스의 실현에 있어서 의료종사자뿐만 아니라 환자 및 환자보호자의 역할이 요구되고, 또한 정보 인프라에서의 지원도 필수적이다. 의료서비스의 정형화 및 품질보증을 위해서 의료분야에서는 임상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이를 임상에 적용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의료 서비스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임상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에는 의료종사자 뿐만아니라 환자 및 환자보호자, 정보 시스템이 각자의 고유 역할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에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임상프로토콜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임상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안된 방법은 헬스케어 참여자별 태스크들을 명확히 식별하도록 하면서, 태스크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도록 하여 가시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개발된 방법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과민성방광 환자관리를 위한 임상 프로토콜을 개발하는데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확인했다. With the advances in ubiquitous service infrastructure, healthcare services have drawn attention as one of promising application domains. In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s, patients or care-givers as well as medical personnel are asked to play their roles an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ystem is supposed to have active roles. In medicine, clinical protocols have been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in order to reduce treatment variances and assure the service quality. In the same token, clinical protocols on ubiquitous service practices are need to be developed which takes into account both the clinical details and the ubiquitous service functionality. This paper introduces a clinical protocol modeling methodology which pays attention to participants and their tasks including contextual in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a real application domain, OAB(overactive bladder) syndrome patient care to see how it builds a clinical protocol.

      • KCI등재

        건강정보 교환 표준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

        이인근(In Keun Lee),김화선(Hwa Sun Kim),조훈(Hune Cho)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2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2 No.3

        의료 환경의 변화로 인해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u-헬스케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개인건강기기, 무선통신을 통해 개인건강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기, 그리고 정보수집기로부터 전송되는 개인건강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건강정보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이 결합된 복합적인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기 및 시스템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국제적으로 IEEE 11073이나 HL7과 같은 건강정보 교환 표준들이 발표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표준을 적용한 u-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발하여 실제 환경에 적용한 연구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강정보 교환을 위한 국제 표준에 기반하여 혈당, 혈압, 체성분과 같은 건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u-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경북대학교병원 내분비계 질환자 대상의 임상시험을 통해 개발한 시스템의 안정성을 검증하고, 운영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찾는다. As changed the clinical environment, the interest on u-Healthcare service and systems has been increased. The ubiquitous healthcare(u-Healthcare) systems are constructed at the integrated environment that consists of various devices and systems basically such as personal health devices(PHDs) measuring body signals, information aggregators gather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PHDs through wireless technology, and health information systems storing and managing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aggregators.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EEE 11073 and HL7 have been specified for the interoperability of PHDs and health information systems, but the research on u-Healthcare systems that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real clinical environment by adopting the standards was rarely conducted. Therefore, we developed an u-Healthcare system which can manag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such as blood glucose, blood pressure, and body composition, based on health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s. Moreover, we verified the stability of the developed system through clinical trial in patients with endocrine disease at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listed problems occurred during clinical trial and found their solutions.

      • KCI등재

        자전거 헬스케어 앱 GUI 요소별 사용성 분석

        최보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0 No.-

        현대인들은 각종 동호회 및 취미생활을 즐기거나 스포츠 활동의 참여를 통하여 건강한 삶을 누리기를 원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발달로 인해 유비쿼터스(Ubiquitous)환경이 보편화 되면서 운동 관리 및 건강 사후 관리 서비스가 가능한 다양한 헬스케어 앱도 출시되고 있다. 이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뿐 만 아니라 공유 기능을 통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만들고 더 나아가 인간중심의 U-헬스케어 패러다임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여가 스포츠 중에서도 4대강을 중심으로 자전거 도로 건설이 진행되면서 자전거 이용자는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 이로 인해 자전거 이용자는 수많은 정보를 빨리 얻길 원하고 있으며, 나에게 맞는 운동 강도조절 등의 적극적인 데이터를 얻기를 원한다. 하지만 국내에서 제작된 헬스케어 자전 거앱은 오픈라이더 외에 전문적으로 자신의 운동강도를 체크하고 자전거에 필요한 여러 데이터를 얻는데 한계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자전거 헬스케어 앱의 GUI에 따른 사용성을 분석하고 국내 자전거 서비스 앱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전거 헬스케어 앱 중 구글 스토어에서 인기가 높은 5가지 앱을 통해 이를 분석하였고 GUI에서도 구분적 특성, 위계적 특성, 보조적 특성으로 나누어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위계적 요소가 사용성에 가장 많은 영향 주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구분적 요소 마지막으로는 보조적 특성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헬스케어 자전거 앱은 이미지나 일러스트레이션들의 다양한 콘텐츠나 버튼등의 구분적, 보조적 특성보다는 색상이나 명도, 채도 차의 위계적 특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여 자전거 헬스케어앱을 제작해야 할 것이다. Modern people want to enjoy a healthy life by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or enjoying a variety of club activities and hobbies. In addition, as a ubiquitous environment becomes more comm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s, diverse healthcare apps capable of exercise management and health follow-up management service are being released. This enables personalized services as well as a variety of communication via sharing functions. Furthermore, it is changing the human-centered U-healthcare paradigm. Among leisure sports, the number of cyclists is increasing year-by-year as the bicycle paths are built around the 4 major rivers. As such, cyclists want to obtain large amounts of data quickly and proactive data such as exercise intensity adjustment that suits oneself. However, in the case of cycling healthcare apps made in Korea, other than the Open Rider, numerous restrictions exist in obtaining diverse data necessary for checking one’s exercise intensity professionally and for bicycles. Thus, this research analyzes the usability according to GUI of domestic and foreign healthcare apps and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domestic cycling service app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using 5 popular cycling healthcare apps on Google Store among cycling healthcare apps and evaluated the usability by categorizing the categorical features, hierarchical features, and auxiliary features of GUI. As a result, the hierarchical factors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usability, followed by categorical features, and, lastly, auxiliary features had influence. Accordingly, a healthcare cycling app should be produced by considering hierarchical features of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differences than categorical features and auxiliary features of diverse contents and buttons of images or illustra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융합형 u-헬스케어 서비스에서 헬스 정보 교환을 위한 키 트리 기반 관리 체계 설계

        김동현,김석수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6

        u-헬스케어에서는 무선 센서와 에드혹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정보, 응급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있으며 상호 운용이 가능한 전자 헬스 정보의 기록 및 전송을 위하여 동적인 액세스 제어를 수행하고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u-헬스케어의 경우 상호 운용 가능한 전자 건강 기록과 민감한 환자 의료 정보 전송은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키 관리 체계를 사용하고 있으나 동적인 액세스 제어에서는 그룹 키 관리가 어려우며 그룹에서 접근 맴버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경우에 매번 그룹 키를 변경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의 동적 액세스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헬스 정보 교환을 위한 융합형 키 관리 체계방식을 제안한다. The threats to privacy and security have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as ubiquitous healthcare applications over the Internet become more prevalent, mobile and universal. In particular, we address the communication security issues of access sharing of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in the ubiquitous healthcare environment. The proposed scheme resolves the sender and data authentication problem in information systems and group communications. We propose a novel key management scheme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cryptographic keys to constituent users to provide form of data encryption method for certain types of data concerning resource constraints for secure communications in the ubiquitous healthcare domains.

      • KCI등재
      • KCI등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이동에이전트 기반 균형화 클러스터링

        마테오로미오 ( Romeo Mark A. Mateo ),이재완 ( Jaewan Lee ),이말례 ( Malrey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1 No.3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에서 지능형 의사결정지원 및 빠른 진단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자동진단은 일반적으로 에이전트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에이전트기술을 사용하여 저 부하 노드에 효율적으로 프로세스를 이주시켜 부하를 분산시키도록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실시간 자동진단시스템을 지원하는 이동에이전트 중심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기술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며, 효율적인 자원활용을 고려하여, 노드들 내에 있는 프로세스의 부하분산을 위한 균형화된 클러스터링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시스템의 부하분산이 최소화될 때까지 과부하된 노드를 선택하여 프로세스를 가까운 노드에 이주시킨다. 제안한 균형화 클러스터링은, 가까운 노드에 이주시킴으로써 메시지오버헤드를 감안할 때, 효율적으로 프로세스를 모든 노드에 분산시킨다. In the ubiquitous healthcare, automated diagnosis is commonly achieved by an agent system to provide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and fast diagnosis result. Mobile agent technology is used for efficient load distribution by migrating processes to a less loaded node which is considered in our design of a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for ubiquitous healthcare technologies which mainly focuses on mobile agents that serve the on-demand processes of an automated diagnosis support system. Considering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s, a balanced clustering for the load distribution of processes within nodes is proposed. The proposed algorithm selects overloaded nodes to migrate processes to near nodes until the load variance of the system is minimized. Our proposed balanced clustering efficiently distributes processes to all nodes considering message overheads by performing the migration to the near nodes.

      • KCI등재

        언택트 시대 항노화헬스케어를 위한 원격의료시스템 도입 방안 연구

        이보애,윤석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2 스포츠와 법 Vol.25 No.1

        The average life span of humans has increased, leading to a super-aged society in Korea. At the same time, climate change has accelerated the deterio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s and an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among the elderly. The government has responded with policies reflecting the anti-aging trend that prioritizes the quality of life over simply extending the life span. Unfortunately,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some people to isolate themselves for extended periods, with a corresponding rise in the ne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depression and anxiety. In particular, medically disadvantaged people and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without dependent families have suffered disproportionally with feelings of helplessness exacerbated by decreased physical activities and increased stress, including concerns about infection. Therefore, we need an amendment to the Medical Service Act that would permit an exception for remote medical service needs for aged patients with low medical risk who are eligible for anti-aging health care and meet the qualification for returning patients. This amendment permitting remote medical services would represent a preemptive response to the social demand for anti-aging healthcare. 인간의 평균수명의 연장은 우리나라를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하였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생활환경의 악화는 고령의 만성질환 환자의 증가를 더욱 가속화 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한 정부 정책이 더해지면서 단순히 삶의 연장이 아니라 삶의 질을 중시하는 항노화(Anti-aging)의 발전이 거듭되고 있지만 항노화헬스케어에 대한 개념은 아직까지 통일되어 있지 않다. 최근 코로나19 감염증의 확산에 따라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장기화 되면서 우울과 불안 등으로 정신적인 심리상담이 증가하며 특히 부양가족이 없는 고령의 만성질환자 및 의료소외계층의 사람들은 육체적인 활동 감소로 인해 무력감 및 감염 우려와 같은 다양한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폐기된 의료법 개정안을 참고하더라도 항노화헬스케어의 대상자인 노인층에게 의학적 위험이 낮고 재진환자로서의 요건을 갖추게 되면 원격의료의 예외적 허용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환경적 변화로서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한 노령화의 급격한 도래의 시점에서 항노화헬스케어 라는 사회적 요청에 대한 선제적 대응의 측면에서 원격의료의 허용은 불가피한 상황이라 보여 진다.

      • KCI등재

        손실 값을 갖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환경에서 신경망을 이용한 에이전트 기반 증상 패턴 분류

        마이클안젤로살보 ( Michael Angelo G. Salvo ),이재완 ( Jaewan Lee ),이말례 ( Malrey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1 No.2

        무선선서네트워크의 주요 응용분야 중 하나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이다. 하지만 무선센서네트워크가 가지고 있는 과제중의 하나는 데이터 중에 나타나는 높은 손실 율이다. 바이오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는 기지국에 도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값은 손실 값(missing value)이 된다. 본 논문은 기지국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손실 값을 처리한 후, 증상 패턴에 따라 건강상태를 분류하여, 비상시에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헬스케어 모니터 에이전트(HMA)를 제안한다. 이 에이전트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환경에 적용되며, 건강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증상패턴으로 바이오 센서 및 환자의 가족력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손실 값이 나타나면 HMA는 분류하기 전에 증상패턴의 손실 값을 채우기 위한 예측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HMA를 사용한 예측알고리즘이 다른 방법들에 비해 더 정확하게 증상패턴을 분류함을 보여 주었다. The ubiquitous healthcare environment is one of the systems that benefit from wireless sensor network. But one of the challenges with wireless sensor network is its high loss rates when transmitting data. Data from the biosensors may not reach the base stations which can result in missing values. This paper proposes the Health Monitor Agent (HMA) to gather data from the base stations, predict missing values, classify symptom patterns into medical conditions, and take appropriate action in case of emergency. This agent is applied in the Ubiquitous Healthcare Environment and uses data from the biosensors and from the patient`s medical history as symptom patterns to recognize medical conditions. In the event of missing data, the HMA uses a predictive algorithm to fill missing values in the symptom patterns before classifica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edictive algorithm using the HMA makes classification of the symptom patterns more accurate than other methods.

      • KCI등재

        RFID를 이용한 헬스케어 자가진단 지능형시스템 구현

        손희배(Hui-Bae Son),김민수(Min-Soo Kim),이영철(Young-Chul Rh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RFID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한 후 사용자의 생체신호(혈압, 혈당, 체지방)를 측정하여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지능형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헬스케어 자가진단 지능형 시스템은 RFID리더기, 생체신호측정기(혈압계, 혈당계, 체지방측정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역할을 하는 컴퓨터, 자가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프린터로 구성된 키오스크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보유한 사용자 정보 및 측정된 정보 데이터를 비교분석한 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자가진단할 수 있다. 구현된 시스템은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간단히 자가진단을 할 수 있으며, 회사나 학교 등에서 응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self-diagnosis that can achieve self-diagnosis by measured bio-signal(blood pressure, blood sugar, body fat monitor) after the recognize a user to access using RFID. The implemented healthcare self-diagnosis intelligent system is consist of kiosk structure that is RFID reader,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hemadynamometer, glucometer, body fat monitor), computer for a part of database server and printer for print the result of self-diagnosis. It can achieve self-diagnosis of a user after compare and analyze the measured data and information of a user from database. The implemented system can make simple self-diagnosis even if not take a physical examination at hospital and apply to company, school,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