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서구중심적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강정인(KANG Jung In,姜正仁)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6 신아세아 Vol.23 No.2

        이 논문은 월러스틴이 제기한 '반유럽중심적 유럽중심주의'라는 개념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이론적 공과를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우드의 유럽중심적 반유럽중심주의 역시부차적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월러스틴의 반유럽중심적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이 중요한 통찰을 담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한편, 하나의 중요한 그러나 편협한 관점에 매달리기 때문에 월러스틴은 자신이 비판하는 이론들에 담겨 있는 반(탈)서구중심적 이론적 기여를 무시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편협한 관점이란 자본주의 혹은 근대성에 관해 그 불가피성, 바람직함 및 진보성을 수용하는 가정에 기초한 이론들을 모두 바로 그 이유로 반유럽중심적 유럽중심주의로 규정하여 기각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어서 이 논문은 자본주의와 근대성의 '진보성'을 전반적으로 부정하는 월러스틴의 현실주의적 입장이 반(탈)서구중심주의를 지향하는 학문적 이론이나 정치적 운동을 쉽게 반유럽중심적 유럽중심주의로 매도함으로써 이론과 현실에서 어떤 모순을 빚어낼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서구중심주의가 다층적이고 중층적인 층위로 구성된 복합적 구조물이기 때문에 서구중심주의를 타개ㆍ극복하려는 노력이 불가피하게 모순을 수반하는 과정이며, 따라서 이른바 반유럽중심적 유럽중심주의에 대해 이론적 인내심과 관용을 베풀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이 글을 마무리한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anti-Eurocentric Eurocentrism formulated by Immanuel Wallerstein and assesses its theoretical merits and demerits. The paper shows that Wallerstein's critique of anti-Eurocentric Eurocentrism contains significant insights but it also fails to recognize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of the anti-Eurocentric work of many scholars he criticizes. He condemns as anti-Eurocentric all theories that assume that capitalism or modernity is historically inevitable, desirable and/or progressive.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his realist position, which negates the progressiveness of capitalism and modernity, is likely to produce uncomfortable contradi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by decrying 'anti-Eurocentric' academic theories and political movements as anti-Eurocentric Eurocentrism even though they appeal to apparently universal Western ideas and ideals. Finally, considering that Eurocentrism is an overlapping multi-layered construct of an all-embracing epochal Weltanschauung -- which means that efforts to overcome or cope with it are susceptible to contradictions -- it argues that phenomena accompanied by anti-Eurocentric Eurocentrism should be given theoretical patience and practical tolerance.

      • KCI등재

        유럽중심주의 비판: 동서문화의 동등한 만남을 위하여

        조해정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2 No.3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s of Eurocentrism through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philosophy for the equality of the East and West cultures. If the centrism is the result of a violent and one-way relationship between Europe and non-Europe/East, the discourse should focus on Eurocentrism, and criticism of Eurocentrism should be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equality of the East and West cultures. First, I will examine the concept for civilization, culture, and interculturality. And then I will discuss the criticism of centrism of Franz Martin Wimmer. I will clarify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ty through the various concepts of culture and civilization. Europeans distinguished European civilization from the oriental barbarism based on the concept of civilization which has been used as a tool to justify Europeans’ colonial conquests. Franz Martin Wimmer‘s criticism of Eurocentrism contains four centrism: the expansionary centrism, integrated centrism, pluralistic or separate centrism, and tentative centrism. Among these, the expansionary and integrated centrism are the two typical types of Eurocentrism in the modern colonial era. Multilateral or separate centrism came from the relativism of postmodernism which was concurrent with decolonization movements of the Non-European/East historically. Wimmer’s three types of criticism, (criticism on the expansionary, integrated, and pluralistic/separate centrism) are the key criticism of Eurocentrism, and they lead to the 'equality' of cultures and offer conditions for bilateral dialogue. Of the four types, the criticism of the tentative centrism is about the critique of the subject itself. The criticism of the tentative centrism is meaningful because it deals with the subject’s openness which enables inter-cultural relationships. The subject can accept the other’s culture and can give up or change his/her own only through the subject’s openness. The criticism of the tentative centrism reveals the characteristic of Wimmer’s criticism effectively. Thus we can reflect on the two conditions, 'equality' and subject’s openness, which lead to the equality of different cultures. 이 글은 문화들의 동등한 만남의 필수적인 조건으로서 유럽중심주의 비판의 문제를 상호문화철학(Interkulturelle-Philosophie)의 관점에서 다룬다. 중심주의 문제가 서세동점의 근대 이후 서구의 비유럽/동양에 대한 폭력적이고 일방향적인 만남의 결과라고 한다면, 중심주의 비판의 핵심은 유럽중심주의에 있게 되고, 그런 한에서 유럽중심주의 비판은 동서문화의 동등한 만남의 조건으로서 선취되어야 할 과제가 되기 때문이다. 논의는 중심주의 비판을 다루기 이전에 문명과 문화 개념, 그리고 상호문화성에 대해서 살펴 본 다음, 빔머(Franz Martin Wimmer)의 중심주의 비판과 그 의미에 대한 논의의 순서로 전개될 것이다. 문명과 문화 개념을 통해서, 상호문화철학의 문화 개념을 분명히 하고, 유럽중심주의는 문명의 개념을 기준으로 해서 유럽과 비유럽/동양을 문명과 야만의 도식으로 가르고, 유럽의 식민지 정복을 정당화한 결과의 측면이라는 점을 확인할 것이다. 빔머의 중심주의 비판은 팽창중심주의(Expansiven Zentrismus), 통합중심주의(Integrative Zentrismus), 다원적 중심주의(Multiplen Zentrismus) 혹은 분리중심주의(Separativen Zentrismus), 잠정적 중심주의(Tentativer Zentrismus)의 네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팽창중심주의와 통합중심주의의 두 유형은 근대의 식민지 팽창주의 시대의 전형적인 유럽중심주의적 유형, 다원적/분리 중심주의는 비유럽/동양의 탈식민화의 민족주의 운동의 발생과 맥을 같이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상대주의적 유형이다. 이들 세 유형에 대한 비판은 ‘동등성’이라는 대화의 객관적인 조건을 마련하도록 하는 반면, 마지만 잠정적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은 주체 자신에 대한 비판으로서, 주체의 개방성을 가능하게 한다. 문화들의 만남에서 개방성의 주체만이 타자를 수용하거나 자신의 것을 포기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때문에 잠정적 중심주의 비판은 상호문화성의 조건으로서 빔머의 중심주의 비판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그의 중심주의 비판은 동등성과 개방성이라는 문화들의 만남의 두 가지 조건에 대한 성찰로 이끈다.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의 유럽 중심적 역사관의 극복

        임상우 (Lim Sang-Woo)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4 No.-

        본고는 동아시아의 지성계에 아직도 식민성(coloniality)이 문제되고 있다는 일반적 관찰과 관련된 글이다. 특히 동아시아(일본, 중국, 한국)에 서구의 근대역사학이 도입 된지 한 세기 이상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탈식민주의시대 라고 불리는 이 시대에 있어서도, 아직도 이 지역에서의 역사학과 그에 따른 ‘세계사’의 관념은 한마디로 유럽 중심적(eurocentric) 역사관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럽 중심적 역사관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그러한 역사관이 동아시아의 역사학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두 기본 개념이 ‘근대화 (modernization)’와 ‘단선적 진보사관’이라는 것을 밝힌다. 이어서 유럽 중심적 역사관의 핵심적 내용은 근대화 패러다임이며, 이는 세계 역사를 일관된 이야기로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었다는 점을 살핀다. 다음으로 서구로부터 수입된 유럽 중심적 역사관은 제국주의적 팽창을 주도한 유럽의 국가들이 강요했다기보다는, 동아시아 3국이 모두 자발적으로 이를 수용하고 나아가서는 이를 내면화하였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유럽 중심적 역사관에 대한 비판은 먼저 서구의 지성들 사이에서 제기되었으며, 특히 20세기 말에 들어와 대두하기 시작한 여러 종류의 ‘포스트담론(post-structualism, post-colonialism, post-modernism)’과 깊은 관련을 맺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유럽중심주의를 극복한 또 하나의 보편적 세계사를 제시하기에는 아직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과, 대안적 세계사를 위한 전제조건은 다양한 문화적 콘텍스트에서의 역사서술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라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서구의 자기중심적 역사관이 극복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에서 유럽 중심 역사관의 수용과 변용에 대한 지난 100년간의 근대 역사학의 발전에 대한 사학사적 검토와 철저한 비판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라 제언한다. This account is related to the general observation that the colonial remnants are still lingering in the intellectual discourses in the East Asia. It should be noted that it has been more than a century since the modern historical science of the West was introduced in the East Asian countries(Japan, China and Korea). This account is to review a problematic situation that, in this time of post-colonial era, historical studies as well as the conception of ‘world history’ are still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so-called ‘eurocentric’ view of historical development. First, it takes a glance at the formation of the eurocentric conception of history in the West, and indicates that the two debatable conceptions, ‘modernization,’ and ‘unilateral progress in history,’ are most problematic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Western historical science in the East Asia. The core of the eurocentric view of history is ‘the modernization paradigm’ which enables to construct ‘the world history’ as a coherent narrative. Second, it emphasizes that the eurocentrism has been ‘internalized’ by the East Asian historians in the process of its reception, voluntarily rather than being forced in the course of the imperialistic intrusions by the West into the East.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the criticisms against the eurocentrism was raised first, not by the colonial intellectuals but by those within the West. Those criticis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various kinds of ‘post-discourses,’ namely, post-structualism, post-colonialism, post-modernism and so on. Last, it indicates that a new ‘universal history’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eurocentric world history is still difficult to write for many reasons. The pre-requisite for an alternative world history is the comparative studies of historiography in the diverse cultural contexts. In conclusion, in order to make possible to overcome the selfconcentrated conception of eurocentric view of history, a thorough examination and criticisms are needed over the recep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eurocentrism by the East Asian historical science during the last 100 years and more.

      • KCI등재

        강정인의 서구중심주의 비판과 그 정치사상적 특징 : 아민(S. Amin)의 유럽중심주의 비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일성 한국정치사상학회 2022 정치사상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Kang Jung-in’s political ideas that criticized eurocentrism with that of Amin’s and present Kang’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First, when it comes to taking issue with eurocentrism, the latter scholar pays attention to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while the former to cultural and academic aspects. Second, the latter interprets the development of eurocentrism in terms of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while the former in terms of ideological history. Third, with regard to the evils of eurocentrism, the latter pays attention to the inherent evils of eurocentrism (i.e. polarization), while the former to its external evils (i.e. intellectual colonization). Fourth, because of these differences, the latter argues for the so-called “déconnexion” with European capitalism, while the former proposes the “four discourse strategies” as alternatives. Finally, the latter considers a “teleological” alternative to overcome eurocentrism, the former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이 글은 서구중심주의를 비판한 강정인의 정치사상을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한 아민의 정치사상과 비교하여 그 특징을 일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한다. 먼저, 두 학자는 서구중심주의를 문제 삼는 데 있어서 정치·경제적인 측면에 주목하느냐, 아니면 문화·학문적인 측면에 주목하느냐의 차이를 드러낸다. 둘째, 두 학자는 서구중심주의의 전개과정을 정치·경제사적인 측면에서 해석하느냐, 아니면 사상사적인 측면에서 해석하느냐의 차이도 보여준다. 셋째, 서구중심주의의 폐해를 인식하는 측면에서도 두 학자는 서구중심주의의 내재적 폐해―양극화―에 주목할 것인가, 아니면 외재적 폐해―학문의 식민성―에 주목할 것인가의 차이를 드러낸다. 넷째, 이러한 시각 차이를 바탕으로 아민이 서구중심주의의 내재적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유럽 자본주의와 이른바 ‘절연’을 주장한다면, 강정인은 서구중심주의의 외재적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소위 ‘네 가지 담론 전략’을 제안한다. 이러한 시각 차이를 바탕으로 아민의 정치사상이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목적론’적 대안을 고민한다면, 강정인의 그것은 ‘방법론’적 대안을 고민한다는 점에서 확연한 차이를 드러낸다.

      • KCI등재

        마르크스주의 사회과학에서의 오리엔탈리즘 - 1980년대 사회구성체논쟁 중심으로 -

        금인숙 ( In Sook Ku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담론 201 Vol.9 No.3

        본 논문은 한국마르크스주의 사회과학의 재정립을 위한 기초작업의 일환으로서 1980년대 사회구성체논쟁의 인식구조로 작용하고 있는 유럽중심주의의 오리엔탈리즘 양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사회전체를 논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넣었던 사회구성체논쟁으로부터 주창되어 나온 한국사회의 성격론과 변혁론 가운데 사회운동권과 사회과학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동시에 지적 헤게모니를 장악한 4개의 이론에 대한 텍스트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국가독점자본주의론의 인식틀과 개념틀은 서유럽의 자본주의 사회성격과 변모과정을 과학법칙과 보편사로 일반화한 반면에 한국사회에 이중의 타자성을 부여하는 오리엔탈리즘의 전형이었다. 주변부자본주의론의 인식구조는 유럽중심주의 시각의 교정과 비서구사회의 독자성의 인정으로 오리엔탈리즘이 어느 정도는 해체된 양태를 보인다. 그러나 이는 완전한 해소가 아닌 변형으로 비서구사회에 대한 열등성 부여의 존재규정 개념이 주변부로 체계화된 수정주의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식민지반봉건사회론에서도 인식주체의 관점이 서유럽에서 비서유럽으로 수정되었고, 한국사회의 독특한 생산양식과 모순구조에 대한 일반화가 혁신적으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5단계 사회발전설을 과학법칙으로 간주하는 인식틀과 개념틀이 그대로 남아있는 관계로 수정주의 오리엔탈리즘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은, 한국사회의 신식민성과 종속성을 이론화하려고 노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독점자본주의와 유사한 양태의 오리엔탈리즘의 인식구조에 머물러 있었다. 서유럽의 일부 사회에서만 국한되어 나타난 극히 특수한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변천과정을 합법칙성의 보편사로 간주하고, 그곳에서만 유일하게 핵심모순으로 작용한 노자간의 계급모순을 기본모순으로 이론화한 패권주의 오리엔탈리즘에 고착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통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한 변혁론에서는 북한사회와 남한노동자마저 타자화하는 자유주의와 엘리트주의 오리엔탈리즘의 양태까지 드러내고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사회의 모순구조의 독특성과 함께 보편성이 담보된 마르크스주의 사회과학의 정립을 위해서는, 좌파지식인의 세계해석에 내재되어 있는 뿌리깊은 오리엔탈리즘의 해체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s a precondition for reconstructing the Korean Marxist social science,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a variety of forms and contents of orientalism, which function as a cognitive frame in the disputes among Marxist social scientists on the social formation of South Korea in the 1980s. It did a contextual and textual analysis about four social formation theories, all of which gained intellectual hegemony from both th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and the social scientific community. Its analytical outcome reveals that state monopoly capitalism theory was shaped by a conventional form of orientalism, in which capitalism of western Europe was generalized as a scientific law and its development processes were universalized as world history, thus othering South Korea double. The cognitive structure of periphery capitalism theories have a form of revisionist orientalism in which Eurocentric viewpoints were revised and the ontological uniqueness of non-Western societies recognized, but the concept of inferiority to non-Western countries was systematized into periphery. In the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 social formation the orientalist framework of cognition was considerably deconstructed as well, because the angle of Eurocentrism disappeared and an innovative try, such as generalizing Korean peculiarities, appeared instead. But it was not totally free from orientalism by regarding Marx`s five-stage hypothesis of social development to be universal and scientific. Neo-colonial state monopoly capitalism theories show a form of orientalism as that of state monopoly capitalism theories. They remained expansionist orientalism considering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and its changing courses, restricted to some Western societies, as the universality of world history and the rationality of scientific laws, and theorizing class contradictions between labor and capital into the fundamental. In addition, they disclose even some elements of liberalist and elitist orientalism by othering the working class people of South Korea as well as North Korean society. Therefore, it is a prerequisite to deconstruct the orientalism that is deeply rooted in the world interpretation of left-wing social scientists, in order to reconstruct Korean Marxism based upon the socially weak people`s lived experiences under the contradiction structure particular to Korea and applied to other societies.

      • KCI등재

        유럽을 위한 유럽에 의한 유럽의 역사 독일의 역사교과서 5종을 통해 본 유럽사 패러다임

        박혜정(Hye Jeong Park) 한국독일사학회 2018 독일연구 Vol.- No.38

        마스트리히트 조약과 아울러 회원국의 중요한 권한들이 유럽연합으로 이전되기 시작하면서 동질적인 유럽적 정체성 함양에 대한 교육적 압박도 함께 커져왔다. 본고는 독일 역사교육에 사용되는 5종의 김나지움용 교과서를 활용하여, 그간 역사교육 교수계획안과 교과서에서 지배적인 서사 틀로 자리 잡은 유럽사 패러다임을 분석했다. 분석 범주로는 기독교 서구적 유럽, 서유럽중심주의, 비유럽적 연계성을 선택했다. 분석 결과, 본고는 거의 모든 분석 대상 교과서에서 통일적인 유럽의 상이 여전히 지배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기독교 서구로서의 문화적 통일성 대신에 동서 간극을 유럽사 발전의 주된 설명 요인으로 삼은 바덴 뷔르템베르크의 부교재 Europa만이 예외였다. 나머지 교과서들과 달리 Europa와 Anno는 동유럽과 동독의 역사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였지만, 서유럽의 발전에 우위를 부여하는 시각으로부터 자유롭지는 못했다. 마지막으로 모든 교과서가 세계사적 시각을 결여하고 있었는데, 이로 인해 이들 교과서는 변화된 세계사적 맥락 속에서 유럽의 보편적 주장을 상대화해 볼 수 있는 아무런 기회도 학생들에게 제공해주지 못함으로써 세계정치적 갈등과 패권에 관해 극히 제한적인 논의를 전개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구화의 물결이 거세지는 작금의 세계는 그 어느 때보다도 더 개방적이고 분화적인 유럽사 패러다임을 요청하고 있다. Since the Treaty of Masstricht along with the increasing delegation of the member states’ power to the EU, the political pressure of the EU for building a homogeneous European identity has been growing. Using five different kinds of history textbooks for German Gymnasium, this paper analyzes the European history paradigm which has risen, in meanwhile, as a dominant narrative framework in history education standards and textbooks. As the analytical category, I selected Europe as so called a Christian ‘Abendland,’ Western-Europe centrism, non-European connected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paper came to the conclusion that a unitary image of Europe is still dominant in almost all of the history textbooks examined. The supplementary textbook of Baden-Württemberg, Europa, which took the East-West discrepancy as the main explicator of European historical development, instead of the cultural unity as a Christian Abendland, is the only exception. Differently from the rest of the textbooks, Europa and Anno paid significant attention to the history of Eastern Germany and Eastern Europe, even if even these two textbooks were not free from assigning superiority to Western European development. Lastly, all the textbooks lack the world-historical perspective, which led to a limited discussion abou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conflicts and hegemony, because they failed to provide any opportunity to the students to relativize the European claim to universal credit in the changed world-historical context. However, the globalizing world requests a opener and more divergent European history paradigm more than ever.

      • KCI등재

        유럽적 보편주의 비판과 보편적 보편주의의 조건

        이효석(Lee, Hyo-Seo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코기토 Vol.- No.77

        이 글은 응구기의 특수와 보편에 대한 사상에 주목하고 보편의 다양성에 대한 그의 논의가 구연문학론과 기쿠유어로 창작한 후기 작품들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유럽중심주의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유럽이 유럽 자신의 체제와 가치를 절대적인 보편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이를 근거로 세계를 ‘유럽과 유럽 이외의 나머지’ 지역으로 나누고 후자를 유럽의 사회적 가치로 키질하였다는 점에 있다. 이는 저명한 역사학자 잭 구디나 사상가 이매뉴얼 월러스틴, 심지어 보수적 정치사상가 사무엘 헌팅턴조차 인정하는 역사적 사실이다. 이들은 유럽이 절대적인 윤리적 가치로 내세우는 문명, 인권, 민주주의 등이 특수한 보편인 ‘유럽적 보편주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이 가운데 월러스틴은 특수한 보편이 절대적 보편의 자기 모순적 주장으로 빠지지 않기 위해 특수한 보편주의를 넘어선 ‘보편적 보편주의’를 제안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보편들의 연대가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호미 바바는 개별 특수한 문화들에게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그 옆의 다른 무엇”을 향한 운동을 요구한다. 그가 수직적 운동이 아니라 수평적 운동과 공간을 상정한다는 점에서 가라타니 고진의 사유와도 연결된다. 가라타니 고진은 특수한 보편주의로 구성된 특정한 공동체를 벗어나는 길은 다른 규범과 가치를 가진 다른 공동체들 ‘사이’로 나가는 길 뿐이라고 주장한다. 프란츠 파농은 절대적 보편성을 가진 개인이나 공동체는 없다는 것을 주장하면서도 그들이 각자의 폐쇄적 공간으로 퇴각하려는 상대주의도 비판한다. 이와 비슷하게 응구기 와 시옹오 역시 ‘다양한 중심’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개별 문화에 절대적 중심의 권위를 부여하려는 시도를 경계한다. 그는 예술과 번역에 문화적 소통과 연대의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십자가의 악마』와 『마티가리』는 로컬적 예술양식이자 다른 문화를 향해 열린 정신을 구현하는 소설들이다. One of the problems which Eurocentrism has with its concept is that it assumes its own system and values to be reasonable and ‘universal.’ Ever since the Enlightenment, Western intervention in Asia, Africa, and South America has been justified by notions of civilization, development, and progress. The assumption has been that such ideas are universal, encrusted in natural law. As Immanuel Wallerstein argues, however, these concepts are not global but Eurocentric. For their genesis is only European and their function has been the smoke screen of European dominance around the world. Wallerstein’s criticism on European universalism and suggestion for universal universalism can be found such thinkers as Frantz Fanon, Homi Bhabha, and Kojin Karatani. They seem to share a common interest in a cultural movement toward a universal place known the Third Space where to overcome the binary distinction between the particular and the universal, and not to fall into cultural relativism. In this respect, Ngugi wa Thiong’o’s concepts of ‘decentralization’ or ‘a plurality of centers’ can be helpful. By reconstituting the local culture as ‘universal one,’ he believes, these plural centers will eventually be the basis of the universal universalism. For him the novel turns out to be one of the traditional African forms of orature, that is, oral literature. When the novel meets orality, it becomes a polyphonic space where various languages and voices, literary genres, cultural heritages hidden in the text could be exposed from inside. In this aesthetic strategy, he made Devil on the Cross and Matigari different from those of Achebe, Soyinka, and even his earlier English novels. These two Gikuyu novels are, in its form and content, both old and new, and particular and universal. He wants to authorize art and translation to function cultur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Devil on the Cross and Matigari are the cultural mode of novels where the particular culture can be open to others and the universal.

      • KCI등재

        근대 러시아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고찰

        김은실(Eun Sil Ki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2

        러시아의 문화수용은 국가차원에서 중심부 문화에 대한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수용과 모방으로 시작되었다. 문화적 동화가 어느 정도 이뤄지면 기존의 러시아 전통문화와 혼융적 결합과정을 거쳐 러시아적 속성을 갖는 새로운 문화가 창출되었다. 이후 러시아화 된 문화를 기반으로 중심문화와의 해체를 시도하였고, 문명의 새로운 중심세력으로 부상하는 러시아 방식의 문화변동이 진행되었다. 18세기 러시아가 유지하고 있던 비잔틴제국의 동방정교문화를 바탕으로 당대의 선진문화였던 유럽문화의 수용도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에서 급변하고 있던 유럽문화의 눈부신 변화에 충격을 받은 표트르대제가 러시아에 유럽중심주의 개혁을 실시함으로써 러시아는 새로운 문화와의 변동과정을 경험하였다. 이 같은 표트르대제의 유럽중심주의적 개혁은 러시아 사회에서 찬반양론의 논쟁을 일으켰고, 유럽문화의 수용방식에 관한 논쟁은 러시아 고유의 철학사조인 서구주의와 슬라브주의를 탄생시켰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표트르대제의 유럽중심주의적 개혁과 지식인들의 문화수용방식에 관한 논쟁과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지식인들의 주장과 담론 속에 내재되어 있던 러시아의 문화정체성과 러시아 특유의 문화수용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Russia"s acculturation began with aggressive, voluntary acceptance and imitation of the center culture at government level. Once cultural assimilation was achieved in some degree, new culture having Russian attributes wad created through the mixed-melting process with the existing Russian tradition culture. Since then, Russia has attempted to dismantle central culture and based on Russianized culture, and proceeded with cultural change in the Russian method aiming to emerge as a new central force of civilization. On the basis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culture of the Byzantine Empire which was maintained by Russia in the 18th century, Russia"s acceptance of European culture, which was the advanced culture at that time, was in progress in similar ways. Russia got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cultural chang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Eurocentric reform by Peter the Great who was shocked at the brilliant development of European culture that was rapidly changing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Peter the Great"s Eurocentric reform like this caused the controversy of pros and cons in Russian society, and this controversy gave birth to Westernism and Slavism which are philosophical trends unique to Russia.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ing to look into Russia"s cultural identity, and their characteristic acculturation type, which inhered in intellectuals" argument and discourse by analyzing Peter the Great"s Eurocentric reform, and intellectuals" assertion and argument on the method of acculturation.

      • KCI등재

        ‘유럽의 지방화’ 논제와 계몽주의적 보편주의 비판

        박치완(Tchi-Wan Park) 한국현상학회 202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4 No.-

        미국이 기술-경제-군사력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심지어는 유럽도 국제사회에서 주변부 국가로 밀려나고 있다. J. 데리다는 이를 ‘유령의 지배’라고 비판하면서 「희망의 유럽(A Europe of Hope)」에서, 유럽은 계몽주의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을 되살려 ‘반세계화 투쟁’에 나설 때라고 호소한다. 하지만 데리다의 이와 같은 계몽주의적 꿈이 과연 인류를 위한 꿈이라 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은 그가 유럽을 “다른 인간 문화들 중의 하나의 본보기라거나 다른 지역 문화들 중의 하나의 지역 문화가 아니라 최상의 모델이자 최고의 문화”라고 주장하고 있기에 드는 생각이다. 데리다의 이와 같은 ‘극장의 우상’은 ‘유럽중심주의’라는 비판을 모면하기 힘들 것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계몽주의적 유럽중심주의를, D. 차크라바르티의 『유럽을 지방화하기』를 중심으로 비판적인 논의를 해볼까 한다. 이 책에서 그는 서구유럽이 주도한 역사는 ‘보편적 역사’를 서술한 것이 아니라 서구유럽인만을 위한 ‘지방의 역사’, 즉 ‘특정 지역에 특화된 역사’의 서술일 뿐이라고 단정한다. 유럽은 보편주의의 산실이 아니라 특수주의의 온상이라는 것이다. 『유럽을 지방화하기』는 바로 이러한 유럽식 보편주의의 오남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보편주의의 재구성’에 도전한다. ‘재구성되어야 할 보편주의’는 로컬 지역들의 다양한 지식들, ‘위계없는 지식들’이 공존하는 새로운 세계를 꿈꾼다. 이런 까닭에 차크라바르티가 꿈꾸는 보편주의는 절대/상대, 중심/주변(지역)의 이분법적 논리 안에 유폐되지 않고 모든 지식이 하나의 생태학을 지향하게 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보편적인 것’은 어느 지역에나 존재한다. 모든 지역이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 서고, 스스로 근대화되는 것, 이것이 데리다의 유럽에 제한된 계몽과 구분되는 차크라바르티의 본래적 의미의 ‘계몽’이라 할 수 있다. As the United States took over the power of technology, economics, and military power, even Western Europe was pushed from the center to peripheral countries. J. Derrida, criticizing it as “domination of ghost”, in the 「A Europe of Hope」, makes an appeal that it is time to turn to “anti-globalization struggles” by reviving the legacy inherited from Enlightenment. But can we say that this kind of Enlightenment dream is the dream for mankind? The reason that this question is raised is because he is calling Western Europe as “not one example among the other human cultures or one local culture among the other local cultures but the best model and the best culture.” It would be hard for Derrida’s “Idol of the Theater” like this to escape critique of “Europeanism”. In this paper, we, centering on D. Chakrabartys Provincializing Europe, will discuss this Enlightenmental Europeanism critically, In this book, he argues the history led by Western Europe as being not a description of the “universal history” of humanity, but a description of “local history” only for Western Europeans, vis. “specialized history to a particular region”. Here is the paradox of universalism. Western Europe is not a breeding ground for universalism, but a hotbed for particularism. Provincializing Europe raises a question to this misuse of Western European universalism and challenges the reconstruction of universalism. Universalism which needs to be reconstructed dreams of a new world where various knowledges of locality and ‘non-hierarchical knowledges’ coexist. For this reason, Chakrabartys dream of universalism is not confined in the dichotomous logic of absolute / relative, central / peripheral (local), and all knowledge is directed towards an ecology. According to this criterion, ‘the universal’ exists in any region, viz. in any locality. That all locals stand by themselves and bloom by themselves, it is the Enlightenment which Chakrabarty intends originally, which results in distinctness from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limited to Western Europe.

      • KCI등재

        유럽중심주의의 귀환

        나종석(Na, jong-suk)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8 No.-

        이 끌은 유럽중심주의와 오리엔탈리즘을 상대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그래서 우선 유럽중심주의가 어떻게 여전하게 그 힘을 발휘하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이 때 헤겔, 헌팅턴 그리고 지젝의 유럽중심주의가 서술의 중심이 된다. 이 단락에서는 유럽중심주의가 좌파와 우파를 걸쳐 매우 폭넓게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1) 두 번째로 다루어지는 것은 좌파지식인의 대표적 인 물 중의 한 사람인 지젝의 유럽중심주의다- 여기에서그가 좌파적 유럽중심주의 를 옹호하기 위해 내세우는 핵심 주장을 설명하고 그런 입장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한다.(II) 마지막 부분에서는 지젝의 한계 를 좀 더 서술하면서 ‘유럽을 지방화’하는 방법이 어떻게 참다운보편주의로 이어칠 가능성을 지니는지 살펴본다. 달리 말하자면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하는 작업이 문화적 상대주의로 귀결되는 것 이 아니라 새로운보편주의의 추구로 이어 질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새로운 보편주의의 방법으로 문화적 해석과 번역이론의 중요성 이 언급된다 (ill) This thesis aims to decentralize Eurocentricism and Orientalism. The thesis begins by defining how Eurocentricism persists today based on Hegel, Huntington and Zizek’ eurocentric ideas. Secondly, the thesis will elaborate on why Zizek, a notable progressive thinker, publicly calls for the reappropriation of Eurocentricism. The author will further detail the core arguments of his leftist Eurocentricism and their problems. Thirdly, the author will identify the limitations of Zizek’s assertions and look into how 'provincializing Europe’ may contribute to search for a true universalism. In words, the author aims to show how criticizing Eurocentricism does not lead to cultural relativism, but rather that we should attempt to seek possibilities of a new univers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