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hakespeare Adapted

        R. J. Cardullo(로버트 카둘로)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4

        본 논문은 윌리엄 셰익스피어 각색 영화라는 하위 장르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로 그동안 원작과 영화화된 작품의 단순한 비교를 통한 것이 아니라 셰익스피어 각색 영화에 대한 장르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셰익스피어 각색 영화중에서 가장 잘 만들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케네스 브래너의 영화인 <헨리 5세 Henry V> (1989)를 통해서 셰익스피어 각색 영화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케네스 브래너의 이 작품을 포함해서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만들어진 셰익스피어 각색 영화 4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셰익스피어 연극을 영화화하는 전체 과정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여기서 연극과 영화는 셰익스피어라는 작가를 통해 연결되고 연극과 영화에서 어떻게 그의 이미지가 남아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 이러한 각색 과정에 대한 연구로 개별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영화는 케네스 브래너의 <헨리 5세>와 <사랑의 헛수고 Love"s Labour"s Lost>(2000), 마이클 알메레이다(Michael Almereyda)의 <햄릿 Hamlet>(2000), 줄리 테이모(Julie Taymor)의 <타이투스 안드로니카스 Titus Andronicus>(1999), 마이클 래드포드(Michael Radford)의 <베니스의 상인 The Merchant of Venice>(2004), 그리고 마이클 호프만(Michael Hoffman)의 <한 여름 밤의 꿈 A Midsummer Night"s Dream>(1999)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들 개별 작품이 셰익스피어 각색 영화라는 하위 장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원작과 영화적 장면을 통해 유사성과 차이점을 제시하면서 장르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This review/essay reconsiders the question of Shakespeare-on-film by beginning with a paradigm of this subgenre: Kenneth Branagh"s Henry V (1989), one of the finest of the many Shakespearean adaptations made over the last twenty-five to thirty years. Then the author revisits five other, lesser Shakespeare films, including another one by Branagh, made between the years 1999 and 2004, and draws some necessary conclusions from these works about the whole process—and wisdom—of adapting the Bard"s plays to the screen. The films in question are Branagh"s Love"s Labour"s Lost (2000); Michael Almereyda"s Hamlet (2000); Julie Taymor"s Titus (1999); Michael Radford"s The Merchant of Venice (2004); and Michael Hoffman"s A Midsummer Night"s Dream (1999). Appended to “Shakespeare Adapted” is a useful English-language bibliography of Shakespeare-on-film.

      • KCI등재

        『코리올레이너스』로 성찰하는 법률가의 소명

        하재홍(Ha, Jaihong),박미경(Park, Mikyu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4 No.3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을 통해 법학교육에 큰 전기가 마련된 후로 매년 많은 법률가들이 사회로 진출하고 있다. 그러나 법학교육의 현장에서는 기초법학 교육의 위기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전문직으로서 새출발하는 법률가들이 사회에서 직업적 소명을 다함으로써 사회발전과 변화에 큰 힘이 되어야 함은 마땅한 일이다. 하지만 법률시장을 둘러싼 여러 변화 양상들이 법률가들의 건전한 소명의식 형성을 위협하는 현상도 더러 볼 수 있다. 예비법률가들은 법학전문대학원을 마치기까지 긴 교육과정을 통해 법률가로서 합당한 인격과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주도적으로 준비해야 하며, 여기에 법학교육을 맡은 기관과 교수들도 큰 책임을 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법심(法心)’의 함양에 관한 한 누구도 자신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 아닌가 염려된다. 본 연구는 셰익스피어의 『코리올레이너스』를 통해 법률가의 소명이 무엇이며 어떻게 마련될 수 있는지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미국의 정치철학자 앨런 블룸(Allan Bloom)은 미국의 대학생들이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통해 정치에 관해 깊이 이해하게 되기를 희망했는데, 그 이유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에는 통치의 문제가 잘 묘사되어 있어 내면의 가치와 태도를 형성하기를 원하는 젊은 영혼들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 했다. 그는 통치의 문제를 다루는 비법을 알고 실천한 시저를 높이 평가한 반면, 코리올레이너스는 실패한 정치가로 비난했다. 본 연구에서는 코리올레이너스의 성공과 몰락에 관해 블룸이 내린 평가를 재검토했다. 흔히 법률가로서의 성공을 세속적 성공, 특히 정치적 성공과 동일시하는 경우를 더러 보게 된다. 블룸은 고대 로마 시대나 셰익스피어 시대나 현재나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정치의 우선성(우월성)이라 지적했다. 우리 사회에서 정치적 성공도 추구하려는 법률가가 있다면 블룸의 견해를 공유할 것이라 여겨지므로 이에 관해 재검토했다. 자유주의는 자유를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관념이 아니다. 자유주의는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영역들이 있으며, 상호간에 독자적이고 자율적으로 기능함으로써 사회가 발전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법을 지배와 통치를 위한 수단으로 믿고 법의 영역을 다른 사회 영역들에 우선시했던 통치자들도 보았다. 법률가들이 과거의 경험에서 배운 것은 법이 시민의 자유를 보장하는 수단이지 통치의 수단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회를 지배하는 수단으로 법을 이용하려는 통치자에게 이용당하지 않으려는 자유주의적 법률가라면 법이 다른 사회 영역에 우선하지 않는 것처럼 정치가 모든 사회 영역에 우선하거나 우월하다는 믿음을 공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믿음과 태도를 가진 법률가는 사회 각 영역을 존중하는 겸손함을 겸비한다. 사회에 일생을 통해 헌신하고자 하는 법률가의 소명은 이런 겸손으로부터 준비될 수 있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school system in 2008 in Korea, legal education has made a contribution to training new lawyers and public-service jobs. However, the huge number of young lawyers graduating from law schools has failed to stop concerns regarding the crisis of foundational education that they are required to learn so as to fulfill their professional calling of serving the public interest. Recently, it is noticeable that the legal industry may threaten the vocation of a lawyer. Thus, law schools should urge would-be lawyers to shape a good personality and attitude through a long curriculum that helps complete legal education. Moreover, both legal institutes and professors should take great responsibility of tackling current problems and developing innovative curriculum. This article aims to reflect on the vocation of a lawyer and how to shape it by reading William Shakespeare’s Coriolanus. Allan Bloom, one of the most famous political philosophers, once believed that Shakespeare’s works inspire American college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politics because his plays represent tyrants and good rulers. According to Bloom, furthermore, Shakespeare’s plays serve to nurture virtues and the legal mind for students. While Bloom praises Caesar for knowing and practicing ways of dealing with ordinary people, he accuses Coriolanus as a failed politician. In this precise context, we propose re-examining Bloom’s assessment of the extent of success and downfall that Coriolanus demonstrates not only as a warrior hero but also as a politician. It is often the case that success as a lawyer is equivalent to worldly success, in particular, political success. Bloom points out that the priority of politics is the essence in every society including ancient Rome, Shakespeare’s, and our own. It is highly likely that a lawyer who seeks political success shares Bloom’s view. In order to prevent the lawyer’s calling from degenerating, we suggest training young lawyers with the ideas of liberalism through Shakespeare’s plays. Liberalism is not an idea of blindly pursuing freedom but a belief that society develops only insofar as sectors that make up society function independently and autonomously. We have seen rulers who utilized law as a means of domination and consequently prioritized the realm of law to other areas. What lawyers have learned from past experiences is that law is a means of ensuring civil liberties, not a means of domination. Libertarian lawyers who do not want to be directed by political rulers do not agree that politics takes precedence or superiority over other areas, just as laws do not take precedence over other areas. Lawyers with these beliefs are necessarily humble and show respect to all the other areas of society. It is from this modesty that a lawyer’s commitment to devoting his or her life to society can be prepared.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 낭만희극과 웃음의 사회적 기능

        강석주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8 셰익스피어 비평 Vol.54 No.2

        In Shakespeare’s romantic comedies, laughter is not a means of mocking or giving instruction, but a means of giving pleasure and joy. The dramatic worlds of A Midsummer Night’s Dream and The Twelfth Night involve the crisis of suffering and pain. But laughter makes them forgettable, and plays the role of increasing the pleasure and joy celebrating the love and marriages of lovers. This laughter does not come from pleasure but coexist with pleasure. Shakespeare uses the festive elements, which are often regarded as the means of resolving the discontents and pain in society, in order to extend the function of laughter in his romantic comedies. Sometimes laughter in Shakespeare’s romantic comedies stands on the border of suffering and happiness, it is taken as a means to feel the freedom from social restraint. However, Shakespeare’s laughter is different from Bakhtin’s carnival laughter. Shakespeare’s romantic laughter does not have the power to change the society, because it is unrealistic. It is based on fantasy, not on reality. Laughter caused by magic or illusion has the essential limit. Many characters of Shakespeare’s romantic comedies are the victims of illusion. When we laugh at the characters who pursue what they cannot get, we also can be the objects of laughter.

      • KCI등재
      • KCI등재

        “Number there in love was slain”: A Reading of “The Phoenix and Turtle”

        임성균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4 셰익스피어 비평 Vol.50 No.1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불사조와 산비둘기」는 종종 영시 중에서 가장 난해한 작품 중 하나로 불린다. 따라서 많은 비평가들은 이 작품에 대해서 서로 다른 해석과 주장을 펼쳐왔다. 약강사음보라는 독특한 운율체계를 가지고 있는 이 작품은 사랑 때문에 함께 죽었기에 고귀한 사랑으로 영원히 이름을 남긴 이름 모를 연인들의 장례식을 다루고 있다. 작품에서 불사조는 사랑을 상징하며 산비둘기는 정절을 대변한다. 하지만 수많은 추측과 제안에도 불구하고 이 두 연인이 과연 누구인지는 여전히 신비에 싸여있다. 심지어 작품의 첫 번째 부분에 등장하는 새들의 정체에 관해서도 모두가 동의하는 해답은 아직도 나오지 않고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불사조는 전통적인 인식과는 달리 여성이며 부활에 대한 명확한 약속이 유보된 채 죽고, 남성인 산비둘기는 그녀를 태우는 불꽃 안에서 함께 죽을 정도로 그녀를 흠모하고 있다. 두 연인은 죽음을 통해서 하나가 된다. 그들은 분명히 구분되는 두 개체임에도 본질적으로 하나라는 것이다. 그동안 신비하고 역설적인 구절—“하나의 본질에 두 이름이 있어”—에 대한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포함한) 많은 철학적, 신학적 해석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동양철학, 특히 도교 사상을 통하여 작품의 핵심에 접근하는 것이 오히려 타당해 보인다. 본 논문은 작품이 드러내는 문제점들이 무엇인가 확인하고 비평가들이 어떻게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었는지 살펴보면서 그 중 일부에 대해서 필자의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작품의 의미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 KCI등재

        “Number there in love was slain”

        Sung-kyun Yim(임성균)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4 셰익스피어 비평 Vol.50 No.1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불사조와 산비둘기」는 종종 영시 중에서 가장 난해한 작품 중 하나로 불린다. 따라서 많은 비평가들은 이 작품에 대해서 서로 다른 해석과 주장을 펼쳐왔다. 약강사음보라는 독특한 운율체계를 가지고 있는 이 작품은 사랑 때문에 함께 죽었기에 고귀한 사랑으로 영원히 이름을 남긴 이름 모를 연인들의 장례식을 다루고 있다. 작품에서 불사조는 사랑을 상징하며 산비둘기는 정절을 대변한다. 하지만 수많은 추측과 제안에도 불구하고 이 두 연인이 과연 누구인지는 여전히 신비에 싸여있다. 심지어 작품의 첫 번째 부분에 등장하는 새들의 정체에 관해서도 모두가 동의하는 해답은 아직도 나오지 않고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불사조는 전통적인 인식과는 달리 여성이며 부활에 대한 명확한 약속이 유보된 채 죽고, 남성인 산비둘기는 그녀를 태우는 불꽃 안에서 함께 죽을 정도로 그녀를 흠모하고 있다. 두 연인은 죽음을 통해서 하나가 된다. 그들은 분명히 구분되는 두 개체임에도 본질적으로 하나라는 것이다. 그동안 신비하고 역설적인 구절-“하나의 본질에 두 이름이 있어” -에 대한 (기독교의 삼위일체를 포함한) 많은 철학적, 신학적 해석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동양철학, 특히 도교 사상을 통하여 작품의 핵심에 접근하는 것이 오히려 타당해 보인다. 본 논문은 작품 드러내는 문제점들이 무엇인가 확인하고 비평가들이 어떻게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었는지 살펴보면서 그 중 일부에 대해서 필자의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작품의 의미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 KCI등재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줄리엣>의 미디어와 소비문화

        이혜경 한국중세근세영문학회 2014 고전·르네상스 영문학 Vol.23 No.2

        Baz Luhrmann’s radical film William Shakespeare’s Romeo+Juliet (1996) offers a stunning contemporary vision of Shakespearean play text. Luhrmann uses a variety of media forms and images from consumer culture to create very popular filmic productions, addressed to an up-to-date modern mass audience. William Shakespeare’s Romeo+Juliet seems like a good example of post-modern pastiche, which puts together a plethora of allusions, copies, and intertextuality (the western movie, the gangster movie, the kung-fu pic, the urban thriller, crime-thriller, the action comedy, MTV, etc). He borrows the characteristics of many genres and styles and re-works these elements through his signature “Bazmark” style to make postmodern pastiche,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high and low art is collapsed and everything has equal value. In Luhrmann’s film, Shakespeare’s language becomes the source of advertising copy and a brand name. And the film, where sacred and profane exist in a dynamic balance, is so saturated with religious symbolism, that is intimately mingled with consumer culture. The mockery of a religion plays a clashing role in Luhrmann’s mise-en-scène, for the giant statues of Christ, Mary, and various saints compose a powerless group of silent onlookers to the violence in Verona, and for the film portrays religion as a media icon or a brand name or a just another commodity in post-modern consumer culture. To mix popular culture with elements of high culture, Luhrmann opens his film with a television news report that functions as the classical chorus, followed by the hasty progression of newspaper headlines concerning the “new mutiny” and “ancient grudge” between Capulets and Montagues. But Jean Baudrillard claimed that everything today is composed of simulacra of previously existing things. According to Baudrillard’s theory, the news on television is the hyperreal, though it seems to refer to something real; the news is a simulation designed to hold the attention of the viewer. In the circular frame where everything begins and ends with television news, the whole tragedy of Romeo and Juliet is presented as an event within the TV news. Luhrmann’s film can be read as a canonical example of iconoclasm, for it challenges to the Shakespearean canon and timeless, eternal values he represents. Though Luhrmann may try to make Shakespeare relevant to today’s society from a new contemporary innovative viewpoint, the practice of this film consequently seems to cast a doubt on Shakespearean icon of literary value and to destabilize the previously unshakeable stability of his authority. Luhrmann’s flamboyant cinematographic style, “Bazmark,” has positioned him as an innovative, creative auteur competing with High Culture Shakespeare within the domain of contemporary cultural milieu. Baz Luhrmann’s radical film William Shakespeare’s Romeo+Juliet (1996) offers a stunning contemporary vision of Shakespearean play text. Luhrmann uses a variety of media forms and images from consumer culture to create very popular filmic productions, addressed t o an up-to-date modern mass audience.William Shakespeare’s Romeo+Juliet seems like a good example of post-modern pastiche, which puts together a plethora of allusions, copies, and intertextuality (the western movie, the gangster movie, the kung-fu pic, the urban thriller, crime-thriller, the action comedy, MTV, etc). He borrows the characteristics of many genres and styles and re-works these elements through his signature “Bazmark” style to make postmodern pastiche,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high and low art is collapsed and everything has equal value. In Luhrmann’s film, Shakespeare’s language becomes the source of advertising copy and a brand name. And the film, where sacred and profane exist in a dynamic balance, is so saturated with religious symbolism, that is intimately mingled with consumer culture. The mockery of a religion plays a clashing role in Luhrmann’s mise-en-scène, for the giant statues of Christ, Mary, and various saints compose a powerless group of silent onlookers to the violence in Verona, and for the film portrays religion as a media icon or a brand name or a just another commodity in post-modern consumer culture. To mix popular culture with elements of high culture, Luhrmann opens his film with a television news report that functions as the classical chorus, followed by the hasty progression of newspaper headlines concerning the “new mutiny” and “ancient grudge” between Capulets and Montagues. But Jean Baudrillard claimed that everything today is composed of simulacra of previously existing things. According to Baudrillard’s theory, the news on television is the hyperreal, though it seems to refer to something real; the news is a simulation designed to hold the attention of the viewer. In the circular frame where everything begins and ends with television news, the whole tragedy of Romeo and Juliet is presented as an event within the TV news. Luhrmann’s film can be read as a canonical example of iconoclasm, for it challenges to the Shakespearean canon and timeless, eternal values he represents. Though Luhrmann may try to make Shakespeare relevant to today’s society from a new contemporary innovative viewpoint, the practice of this film consequently seems to cast a doubt on Shakespearean icon of literary value and to destabilize the previously unshakeable stability of his authority. Luhrmann’s flamboyant cinematographic style, “Bazmark,” has positioned him as an innovative, creative auteur competing with High Culture Shakespeare within the domain of contemporary cultural milieu.

      • KCI등재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성품 연구 —전기적 사실을 중심으로

        강평순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연구 Vol.57 No.4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biographical facts of Shakespeare to understand his personality.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documents about Shakespeare, but they may be insufficient for this research because there rarely remain the formal materials about him. However, we can get them from four sources of information: his works, the comments, tradition and gossip, and documentary records. Through those materials, we can guess that Shakespeare was a kind, gentle, and sociable man. Though Robert Greene attacked Shakespeare indirectly in his article, none of his contemporaries except Greene spoke ill of him. He behaved himself and had a touch of humanity in his words and behavior. The contemporaries who knew him complimented him using the word “gentle.” Apart from his kind nature, he had a rational and practical attitude. While he worked as a dramatist in London, he did not live a dissipated life. On the contrary, he managed his property and increased it successfully. As a result, he became the owner of a mansion, The New Place, and a rich man possessing the large farmland at Stratford-upon-Avon. On this ground, Shakespeare seems to have been a kind, ‘gentle,’ and sociable person, and besides a man of complex personality with a rational and practical attitude.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영화 <란>과 『리어왕』에 나타난 비극성 고찰

        강준수 한국일본근대학회 2024 일본근대학연구 Vol.- No.83

        본 연구의 목적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어왕 을 원작으로 하는 일본 영화 <란>을 통해서 고귀한 인물이 지닌 비극성이 재현되는 방식이 지닌 유사성과 차이점을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은 일본 영화 <란>을 프랑스와 합작하여 1985년 개봉하였다. 구로사와 감독은 리어왕 을 토대로 한 영화 <란>의 각색이 원작의 재현보다는 새롭게 창조된 모습을 보여준다. 구로사와 감독의 이러한 시도는 영화 <란>에서 보여지는 시대변화, 스토리의 일부 변형, 그리고 영화라고 하는 장르적 차이로 표현할 수 있는 영상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리어왕이 경험하는 비극의 핵심 요인은 그가 지닌 성격적 결함에서 기인한다. 리어왕은 오랜 시간 동안의 권력을 통해서 상대방에 대한 이해보다는 오만, 주관성, 그리고 쉽게 현혹되는 어리석음을 갖추고 있다. 또한 리어왕의 비극은 두 명의 딸들이 지닌 물질적 탐욕과 함께 전개된다. 그러나 리어왕이 지닌 비극적 요인 중 딸들과의 갈등과 배신은 보편적인 성격의 것이란 점에서 관객들의 몰입력을 약화시킨다. 그리고 리어왕의 비극성은 개인의 결함과 혈육의 배신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비극적 타당성 효과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영화 <란>의 비극적 주인공인 히데토라도 역시 개인적 오만, 권위, 어리석음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것 외에도 히데토라는 권력을 획득하기 위해서 주변 영지의 침략과 정복된 사람들의 살해를 통한 잔인한 면모로 인해서 분노, 적개심, 그리고 복수심의 대상이 된다. 이것은 리어왕보다 상대적으로 히데토라가 상대적으로 비극적 결말의 우위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구로사와 감독은 주인공이 맞이하는 비극성의 원인을 다양하고 복잡하게 연계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구로사와 감독의 시도는 비극적 타당성에 대한 관객들의 몰입을 확장시키고 있다. 다시 말해서, 구로사와 감독의 연출은 관객에게 비극성에 대한 이해와 설득력을 충분히 확보해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way the tragedy of a noble character is represented through the Japanese movie <Ran>, which is based on William Shakespeare’s play King Lear. Director Akira Kurosawa collaborated with France on the Japanese movie <Ran>, which was released in 1985. Director Kurosawa’s adaptation of the film <Ran> based on King Lear shows a new creation rather than a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Director Kurosawa’s attempt can be said to be a visual technique that can express the changes in the times, some transformations of the story, and differences in the genre of movies shown in the movie <Ran>. The key factor in the tragedy that King Lear experiences stems from his character flaws. King Lear, through his long time in power, is characterized by arrogance, subjectivity, and foolishness rather than understanding of others. Additionally, the tragedy of King Lear unfolds along with the material greed of his two daughters. However, among the tragic elements of King Lear, the conflict and betrayal with his daughters are universal in nature, which weakens the audience’s immersion. And the tragic validity effect of King Lear can be said to be weak in that it is limited to individual flaws and betrayal of flesh and blood. On the other hand, Hidetora, the tragic protagonist of the movie <Ran>, also has personal arrogance, authority, and foolishness. However, in addition to this, Hidetora becomes the target of anger, hostility, and revenge due to his cruelty through invading surrounding territories and murdering conquered people in order to gain power. This means that Hidetora has a relatively superior tragic ending over King Lear. Director Kurosawa links the causes of the tragedy that the main character faces in a variety of complex ways. And director Kurosawa’s attempt is expanding the audience’s immersion in the tragic validity. In other words, director Kurosawa’s direction serves as a basis for ensuring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persuasion of the tragedy for the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