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 위만조선 관련 기록의 서술 의도

        김남중(Kim Nam-jung)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39

        이 글은『삼국유사』에서 위만조선을 중시한 이유를 살펴보았다.『삼국유사』위만조선 조는 위만조선을 돋보이게 하는 방식으로『한서』를 축약하였다. 또한 일연은 준왕이 기자의 후손이라는 것과 기자의 고조선 사회 교화 내용을 다루지 않는 방식으로 위만조선을 우호적으로 서술하였다. 일연이 위만조선에 주목한 것은 위만조선이 단군왕검이 세운 고조선을 계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라, 고구려, 부여 등 고려를 이룬 여러 구성원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 나라라고 인식하였기 때문이었다. 위만조선은 고조선과 마찬가지로 평양에 도읍하였으며 단군왕검의 이름을 도읍명으로 사용한 국가로, 『삼국유사』에 단군왕검은 고조선의 창립주, 위만은 고조선의 강역을 크게 넓힌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또한 일연이 위만을 연에 복속되었던 고조선계로 보았다는 것과 우리 동방과 관련 있음을 드러내고 싶어 했음을 살필 수 있다. 일연은 연이라는 공통점을 통해 신라가 혈연적으로 고조선계임을 말하고 싶어 했다. 그러면서 낙랑과 대방 주민의 신라 투항 기사에서 고조선 주민의 신라 이주를 제시하였다. 일연은 신라와 위만조선의 관계를 통해 신라는 중국계가 아닌 단군왕검이 세운 고조선을 계승한 국가임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삼국유사』에는 부여 · 고구려 모두 요동 일대에서 성립된 것으로 서술하였다. 요동은 전국시대에 연의 일부였다는 점에서 일연이 부여 · 고구려도 위만조선 · 신라와 동일한 지역에서 나왔다고 인식하였음을 볼 수 있다.『삼국유사』에서 위만조선은 고구려와 신라가 모두 고조선에서 나왔음을 설명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일연은 위만조선을 통하여 단군왕검이 고려 구성원 전체의 시조임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이에 기자의 비중을 낮추고 위만조선에 주목하였다. This article looked at why wiman joseon was valued in samgukyusa. In wiman joseon section of samgukyusa, the contents of hanseo are abbreviated in a way that highlights wiman joseon. In addition, ilyeon described wiman joseon in a friendly way that did not address the fact that king jun was a descendant of jizi and that jizi had enlightened old joseon society. The reason why ilyeon paid attention to wiman joseon was not only because wiman joseon succeeded the old joseon founded by dangunwanggeom, but also because it was a country closely related to various members of golyeo such as silla, gogulyeo, and buyeo. Wiman joseon, like the old joseon, is a country that has been capitalized in pyungyang and used the name dangunwanggeom as the city name, within samgukyusa, dangunwanggeom is the founder of joseon, and wiman is described as a person who greatly expanded the territory of joseon.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ilyeon regarded wiman as a person of old joseon who was enshrined in the yan dynasty and he wanted to reveal that wiman was a figure related to our east. Ilyeon wanted to say that through the common ground of yan, silla was a descendant of joseon in blood. An article in which residents of nakrang and daebang surrendered to silla suggested that the residents of joseon had moved to silla.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wiman joseon, ilyeon wanted to suggest that silla was the successor to the old joseon founded by dangunwanggeom, not china. samgukyusa described both buyeo and gogulyeo as having been established in the liaodong area. It can be seen that ilyeon recognized that buyeo and gogulyeo also came from the same area as wiman joseon and silla, given that the liaodong area was part of yan at the zhanguo-shidai period. In samgukyusa, wiman joseon is acting as a link to explain that gogulyeo and silla are both from the old joseon. Through wiman joseon, ilyon wanted to present that dangunwanggeom was the founder of all members of golyeo, thereby lowering the weight of jizi and noting to wiman joseon.

      • KCI등재

        위만조선(衛滿朝鮮)과 흉노(匈奴)의 `예구(穢?)` 교역(交易)

        최슬기 ( Choi Seul-ki )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2

        『漢書』 韋賢傳에는 漢이 衛滿朝鮮과 전쟁을 벌인 사실에 대해“東으로 朝鮮을 쳐서, 玄?·樂浪(郡)을 세워匈奴의 왼쪽팔을 잘랐다.”고하였다. 이 때문에 일찍부터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상정되어 왔다. 그런데 이와 관련된 직접적인 자료가 제한적이었던 까닭에 그 구체적인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진전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기원전2세기는 衛滿朝鮮과 漢, 그리고 匈奴가 각자 세력을 확장시키며 상호교섭·충돌한 시기였다. 건국 이래 匈奴에 대하여 수세적 입장을 취한 漢은 武帝代에 정책을 전환하여 匈奴와 대규모 전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漢이 衛滿朝鮮을 `匈奴의 왼쪽 팔`로 인식했는데 이는 匈奴를 경제적으로 지원했던 西域諸國을 `匈奴의 오른쪽 팔`이라고 본 것에 대응된다. 이를 통해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西域이 匈奴와 가졌던 경제적 관계에 준하는 영향력을 지닌것으로 漢人에게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衛滿朝鮮과 匈奴의 구체적 관계를 유추할 수 있는 자료로 기원전 2세기경에 저술된 『淮南子』의 `匈奴出穢?`라는 기록이 있다. 이 穢는 前漢代사실을 전하는 『史記』, 『鹽鐵論』, 『漢書』, 『後漢書』 의 기록을 통해 검토한 결과 穢(穢?)朝鮮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穢(穢?)는 朝鮮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漢武帝시기에 衛滿朝鮮을 濊州로 표현한것을 통해 기원전 2세기경 濊가 衛滿朝鮮의 異稱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원전 2세기 무렵 漢人에게 穢(濊)로 인식된 衛滿朝鮮이 匈奴와 가죽(?)을 교역했을 것이며, 이러한사실이 `匈奴出穢?`라는 기록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穢?의 실체는 `發朝鮮의 文皮`(『管子』)와 `文豹`(『三國志』 東夷傳濊條)의 사례를 고려할 때 표범 가죽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穢?는 匈奴에게 있어 교환가치나 희소가치가 높은 貴重品·奢侈品 혹은 威勢品(prestige goods)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그러므로 衛滿朝鮮과 匈奴의 가죽교역은 威勢品交易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교역은 衛滿朝鮮과 匈奴의 세력권역이 겹쳤던 遼東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당시 遼東지역은 匈奴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다. 또한 衛滿이 朝鮮으로 망명한 뒤 세력을 키우기 시작한 곳도 遼東이었다. 이곳에는 당시 漢의 遼東郡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武帝 이전까지는 실질적인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에 衛滿朝鮮과 匈奴가 遼東을 경유하여 穢?를 교역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특히 遼東을 세력기반으로 둔 匈奴의 左賢王 세력과 교역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漢書』 韋賢傳의 기록은 衛滿朝鮮과 匈奴가 가죽을 교역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군사·정치적 우호관계를 맺었던 사실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고에서 검토한 것처럼 威勢品交易을 상정한다면 양자의 정치적 관계는 더욱 밀접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계가 衛滿朝鮮이 `匈奴의 왼쪽 팔`이었다고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According to Weixianchuan(韋賢傳) in Hanshu(漢書), the Han(漢) dynasty “cut the Xiongnu(匈奴)`s left arm by conquering Choson to the east and establishing the Xuantu(玄?), Lelang(樂浪), and other(commanderies).” This statement allowed the scholars to suggest that there wa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on(衛滿朝鮮) and the Xiongnu. Still, as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contextual historical records, the discussion could not progress to the point of defining their relationship in literal terms. Thus, this paper will reveal how Weimanchoson and Xiongnu literally developed their relationship. The second century B.C. was a period when Weimanchoson, the Han dynasty, and Xiongnu had expanded their territories and influence, and inevitably collided into each other. Directly after its foundation, the Han dynasty had maintained their defensive position, but changed their policy and started a large scale war against the Xiongnu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u(武帝). In this process, the dynasty considered Weimanchoson as the Xiongnu`s left arm, and the perspective that the Han dynasty viewed Weimanchoson as `the Xiongnu`s left arm` could be compared with the situation that the states in the west from China(西域) were called as `the Xiongnu`s right arm.` This terms indicates that the Han people real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on and the Xiongnu was as strong as having an economic relationship. To suggest the literal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on and the Xiongnu, the records in Huainanzi(淮南子), compiled in the second century B.C., is worth to pay attention; the statement in this book, “Xiongnuchuhuiqiu(匈奴出穢?; `huiqiu` comes from the Xiongnu)” is especially important. Here, the term “hui(穢; `Ye` in Korean)” could be analyzed with the same term in other historical texts in the Former Han(前漢) period. These “Hui” or “Huihao(穢?; `Yemaek` in Korean)” were closely related to Choson, and even interpreted as the same body politic as Choson in dependence of the texts. Meanwhile, considering the record in the reign of Emperor Wu that Weimanchoson was illustrated as “Huizhou(濊州; Yechu in Korean; Ye(Hui)`s province)”, it is confirmed that Ye(Hui) was another name for Weimanchoson in the second century B.C.. Thus, it is possible that Weimanchoson, known to the Han people as Hui(穢or濊), traded “qiu(?; an animal skin),” a phenomenon that reflected in the statement “Xiongnuchuhuiqiu(Ye`s animal skins comes from the Xiongnu).” Based on this hypothesis, this paper analyzed the statement from Huainanzi in the perspective of intermediate trade. In consideration of the examples such as “Palchoson(發朝鮮)`s Wenpi[文皮; a term comes from Guanzhi(管子)],” or “Wenbao[文豹; a term comes from a note on Hui(Ye), Dongyichuan”, in Sanguozhi(三國志)] “Huiqiu,” or “Hui(Ye)`s animal skin” is possibly a leopard skin. Hence, “Huiqiu” could be considered as a valuable or luxury, or prestige goods to show the political leaders` authority high in scarcity value. In other words, the trade of animal skins between Weimanchoson and the Xiongnu had a characteristic of the trade of these `prestige goods`, rather than an intermediate trade. The main stage for this trade could be the Liaodong region, a place that Weimanchoson and the Xiongnu`s spheres of influence were overlapped. At that time, the region was an area that had a large damage from the Xiongnu`s invasion, and Weiman(衛滿) started to develop his power after he defected to Choson. Although the Liaodong commandery(遼東郡) was established, it did not have enough influence over the region until the reign of Emperor Wu, which allowed Weimanchoson and the Xiongnu to have a trade of “Huiqiu” through the Liaodong Peninsula. In particular, it seems to have been trading with the 左賢王forces of Liaodong who had Liaodong as a base of power. Conclusively, the record in Weixianchuan in Hanshu was an illustration to demonstrate the Weimanchoson and the Xiongnu`s amicable political and militaris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trade of the animal skins. If the hypothesis in this paper that these two powers had a trade of `prestige goods` is not disapproved,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m would be even more closely connected. The statement that Weimanchoson was the Xiongnu`s left arm, arguably, refers to this relationship.

      • KCI등재

        기원전 2세기대 서북한 고고 자료와 위만조선

        오영찬(Youngchan Oh)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6

        본고는 위만조선의 재인식과 위만조선 고고학의 성립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위만조선 고고자료의 공백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위만조선은 조선 후기 正統論的 역사 체계 하에서는 왕위를 찬탈한 僭國이자 簒賊의 존재였다. 하지만 개화기에 들어 근대 국민국가와 연계된 민족이라는 실체가 서서히 자각되면서 위만조선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林泰輔의 『朝鮮史』에서 비롯된 식민사학의 세례 이후, 1907년 白鳥庫吉은 위만조선을 식민지로 파악하였는데, 당시 무차별적으로 도입된 ‘식민지’ 개념은 이후 식민사학의 근간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 위만조선 고고학은 그 자체 내지 고조선 문화의 견지에서 성립된 것이 아니라, 낙랑군 사회의 토대이자 출발점으로 이해된 것이었다. 당시 非漢式 문화인 세형동검문화를 漢系 문화로 해석하면서 위만조선의 고고학 문화로 오인하였는데, 이러한 인식은 이원적 종족구조론의 주된 근거가 되었다. 이원적 종족지배 구조를 갖춘 위만조선에 부합하는 고고학적 실체를 찾으려는 시도가 자칫 위만조선의 고고학적 공백에 일조를 하는 측면이 있었다. 이보다는 위만조선의 전반적인 고고학적 양상을 복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대동강 이북과 이남 지역에 걸쳐 위만조선 유적이 분포하였다는 점, 화분형토기를 통해 위만조선과 낙랑군 간 토기문화의 연속성이 존재한다는 점, 금동개궁모가 위만조선 시기에 이미 위신재로 수입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gap phenomenon observed in the archaeological data and chronological system in Wiman Joseon by reviewing the re-examination on Wiman Josoen in late Joseon dynasty and early 20<SUP>th</SUP> century and a archaeological research on Wiman Joseon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iman Joseon was considered according to the legitimism-based historical view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many traditional scholars regarded Wiman Joseon as the dynasty usurping the throne. But in late 19<SUP>th</SUP> century and early 20<SUP>th</SUP> century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n Wiman Joseon was gradually changed being accepted the concept of the modern nation by some intellectuals. In the first half of 20<SUP>th</SUP> century, Japanese scholars interpreted Wiman Josen as the Han China’s colony, proved by archaeological data. They misunderstood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s the Han Chinese culture and connected it to Wiman Joseon. Such opinion was evidenced by dualistic ethnic governance structure in Wiman Joseon and Lelang commandery. It may be involved in the archeological gap in Wiman Joseon to find the archaeological entity that meets the dualistic ethnic governance structure.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overall archaeological aspects of Wiman Joseon need to be reconstructed and som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위만조선의 멸망 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왕검성의 소멸과 조선현의 中心地化와 관련하여 -

        김남중(Kim, Nam-jung)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6 No.-

        이 글은 한이 위만조선을 침공한 이유, 위만조선이 멸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등을 검토한 것이다. 위만조선은 한에 의해 멸망했는데, 한은 건국 초인 文帝 시기부터 이미 이 지역을 失地로 보고 복속하고자 하는 의지를 지니고 있었다. 지리적 이점과 위만조선의 철저한 전쟁 대비로 왕검성 항전은 수개월간 지속되었다. 그러나 우월한 전력을 지닌 적이 이길 때까지 공격하는 것을 막아내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한 무제가 무리한 공격보다는 투항을 이끌어내고자 하면서 위만조선 대신들의 항복이 이어졌고 결국 위만조선은 멸망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끈질긴 항쟁의 대가로 왕검성은 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되면서 기능을 상실하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에 한의 고조선 지역 통치 거점은 위만조선의 도읍이었던 왕검성이 아닌 낙랑군 조선현이 되었다. 조선군이 아닌 조선현이 설치되었다는 점, 응소의 주, 『사기』, 『한서』의 조선전과 『한서』 지리지의 차이, 『위략』, 『삼국지』 등에서 왕검성 기사 부재, 왕검성과 패수의 관계, 기원전 2세기대 평양 일대의 고고학적 낙후성 등을 통해 왕검성은 조선현이 설치된 평양 일대로 볼 수 없다. 흉노, 진번, 임둔, 원 고조선 세력(낙랑 조선) 등 주변 세력이 도움을 주지 않았던 점도 위만조선이 멸망하는 원인이었다. 원 고조선 세력은 산동 낭야 출신인 왕중의 후손과 결합하였는데, 왕중은 『상서』, 『역』에 밝았던 인물이었다. 이들의 활동으로 원 고조선 세력이 기자 동래설을 증명하였고, 한은 위만조선이 아닌 원 고조선 세력을 고조선의 정통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왕중 후손은 중원의 농법, 위세품 등을 통해 토착 세력과 관계를 형성하였고, 원 고조선 세력은 왕중 후손의 권유를 받아들여 한에 투항하는 쪽을 선택한 것이다. 이들의 투항으로 왕검성은 더욱 고립에 빠졌고 결국 위만조선은 멸망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why han invaded wiman joseon and why wiman joseon fell. Wiman joseon was destroyed by han, and han had a willingness to subjugate the area as a lost land from the time of emperor wen, the early days of its founding. With geographical advantages and thorough preparation for the war in wiman joseon, the battle of wanggeom-castle lasted for months.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preventing an enemy with superior power from attacking until they won. Moreover, as emperor wu of han tried to lead to surrender rather than unreasonable attacks, the wiman joseons ministers continued to surrender, and eventually wiman joseon was destroyed. In return for these persistent protests, wanggeom-castle lost its function and disappeared from peoples memories as residents moved to other places. Accordingly, the governing base for the ancient-joseon region of han became chaoxian-xian, lelang-jun, not wanggeom-castle, the capital of wiman joseon. Wanggeomcastle cannot be seen as pyongyang, where chaoxian-xian was installed, through the fact that chaoxian-xian, not chaoxian-gun, was established, yingshaos comment, the difference between chaoxian-zhuan of shiji & hanshu and hanshus dili-zhi, the absence of records of wanggeom-castle in weilüe & sanguozh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nggeom-castle and the pae-river, the archaeological backwardness of pyongyang in the 2nd century BC, etc. The fact that surrounding forces such as xiongnu, jinbeon, imdun and proto ancient joseon force(lelang joseon) did not help was also the cause of wiman joseons collapse. The proto ancient joseon forces were combined with the descendants of wangzhong, a native of langya, shandong province, who was bright in shangshu and yijing. Through their activities, proto ancient joseon forces proved the theory that jizi came to the east and han recognized proto ancient joseon forces, not wiman joseon, as the authenticity of ancient joseon. Wangzhongs descendents formed relationships with the native force through the agricultural technology and costly article of china, and ancient joseon forces chose to surrender to han, not to helf wiman joseon, at the recommendation of wangzhongs descendants. Their surrender made wanggeom-castle more isolated and eventually destroyed wiman joseon.

      • KCI등재

        衛滿朝鮮과 匈奴의 ‘穢裘’ 交易

        최슬기(Choi Seul Ki)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2

        According to Weixianchuan(韋賢傳) in Hanshu(漢書), the Han(漢) dynasty “cut the Xiongnu(匈奴)’s left arm by conquering Chosŏn to the east and establishing the Xuantu(玄菟), Lelang(樂浪), and other(commanderies).” This statement allowed the scholars to suggest that there wa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ŏn(衛滿朝鮮) and the Xiongnu. Still, as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contextual historical records, the discussion could not progress to the point of defining their relationship in literal terms. Thus, this paper will reveal how Weimanchosŏn and Xiongnu literally developed their relationship. The second century B.C. was a period when Weimanchosŏn, the Han dynasty, and Xiongnu had expanded their territories and influence, and inevitably collided into each other. Directly after its foundation, the Han dynasty had maintained their defensive position, but changed their policy and started a large scale war against the Xiongnu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u(武帝). In this process, the dynasty considered Weimanchosŏn as the Xiongnu’s left arm, and the perspective that the Han dynasty viewed Weimanchosŏn as ‘the Xiongnu’s left arm’ could be compared with the situation that the states in the west from China(西域) were called as ‘the Xiongnu’s right arm.’ This terms indicates that the Han people real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was as strong as having an economic relationship. To suggest the literal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the records in Huainanzi(淮南子), compiled in the second century B.C., is worth to pay attention; the statement in this book, “Xiongnuchuhuiqiu(匈奴出穢裘; ‘huiqiu’ comes from the Xiongnu)” is especially important. Here, the term “hui(穢; ‘Ye’ in Korean)” could be analyzed with the same term in other historical texts in the Former Han(前漢) period. These “Hui” or “Huihao(穢貉; ‘Yemaek’ in Korean)” were closely related to Chosŏn, and even interpreted as the same body politic as Chosŏn in dependence of the texts. Meanwhile, considering the record in the reign of Emperor Wu that Weimanchosŏn was illustrated as “Huizhou(濊州; Yechu in Korean; Ye(Hui)’s province)”, it is confirmed that Ye(Hui) was another name for Weimanchosŏn in the second century B.C.. Thus, it is possible that Weimanchosŏn, known to the Han people as Hui(穢or 濊), traded “qiu(裘; an animal skin),” a phenomenon that reflected in the statement “Xiongnuchuhuiqiu(Ye’s animal skins comes from the Xiongnu).” Based on this hypothesis, this paper analyzed the statement from Huainanzi in the perspective of intermediate trade. In consideration of the examples such as “Palchosŏn(發朝鮮)’s Wenpi[文皮; a term comes from Guanzhi(管子)],” or “Wenbao[文豹; a term comes from a note on Hui(Ye), Dongyichuan”, in Sanguozhi(三國志)] “Huiqiu,” or “Hui(Ye)’s animal skin” is possibly a leopard skin. Hence, “Huiqiu” could be considered as a valuable or luxury, or prestige goods to show the political leaders’ authority high in scarcity value. In other words, the trade of animal skins between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had a characteristic of the trade of these ‘prestige goods’, rather than an intermediate trade. The main stage for this trade could be the Liaodong region, a place that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s spheres of influence were overlapped. At that time, the region was an area that had a large damage from the Xiongnu’s invasion, and Weiman(衛滿) started to develop his power after he defected to Chosŏn. Although the Liaodong commandery(遼東 郡) was established, it did not have enough influence over the region until the reign of Emperor Wu, which allowed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to have a trade of “Huiqiu” through the Liaodong Peninsula. In particular, it seems to have been trading with the 左賢王forces of Liaodong who had 『漢書』韋賢傳에는漢이 衛滿朝鮮과전쟁을벌인사실에대해“東으로 朝鮮을쳐서, 玄菟·樂浪(郡)을 세워匈奴의 왼쪽팔을 잘랐다.”고하였다. 이때문에 일찍부터衛滿朝鮮과匈奴의 관계가 상정되어 왔다. 그런데 이와 관련된 직접적인 자료가 제한적이었던 까닭에 그 구체적인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진전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기원전2세기는 衛滿朝鮮과 漢, 그리고 匈奴가 각자세력을확장시키며 상호교섭·충돌한 시기였다. 건국이래匈奴에대하여 수세적 입장을 취한漢은武帝代에정책을전환하여匈奴와 대규모 전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漢이 衛滿朝鮮을 ‘匈奴의 왼쪽 팔’로 인식했는데 이는匈奴를 경제적으로 지원했던 西域諸國을 ‘匈奴의 오른쪽 팔’이라고 본 것에 대응된다. 이를통해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西域이 匈奴와 가졌던 경제적 관계에 준하는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漢人에게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衛滿朝鮮과匈奴의구체적관계를유추할수있는자료로기원전2세기경에저술된 『淮南子』의 ‘匈奴出穢裘’라는 기록이 있다. 이 穢는 前漢代 사실을 전하는 『史記』 , 『鹽鐵論』 , 『漢書』 , 『後漢書』 의 기록을 통해 검토한 결과 穢(穢貉)朝鮮과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穢(穢貉)는朝鮮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漢武帝시기에 衛滿朝鮮을 濊州로 표현한 것을 통해 기원전 2세기경 濊가 衛滿朝鮮의 異稱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원전 2세기 무렵 漢人에게 穢(濊)로 인식된 衛滿朝鮮이 匈奴와 가죽(裘)을 교역했을 것이며, 이러한사실이 ‘匈奴出穢裘’라는 기록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穢裘의 실체는 ‘發朝鮮의 文皮’( 『管子』 )와 ‘文豹’(『三國志』 東夷傳濊條)의사례를 고려 할 때 표범 가죽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穢裘는 匈奴에게 있어 교환가치나 희소가치가높은貴重品·奢侈品혹은 威勢品(prestige goods)으로여겨졌을것이다. 그러므로 衛滿朝鮮과 匈奴의 가죽교역은 威勢品交易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교역은 衛滿朝鮮과 匈奴의 세력권역이 겹쳤던 遼東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당시 遼東지역은 匈奴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다. 또한 衛滿이 朝鮮으로 망명한 뒤 세력을 키우기 시작한 곳도 遼東이었다. 이곳에는 당시 漢의 遼東郡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武帝이전까지는 실질적인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 했다. 이에 衛滿朝鮮과 匈奴가 遼東을 경유하여 穢裘를 교역 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특히 遼東을 세력기반으로 둔 匈奴의左賢王세력과 교역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漢書』 韋賢傳의기록은 衛滿朝鮮과匈奴가가죽을교역하면서이를기반으로 군사·정치적 우호관계를 맺었던 사실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고에서 검토한 것처럼 威勢品交易을 상정한다면 양자의 정치적 관계는 더욱 밀접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계가 衛滿朝鮮이 ‘匈奴의 왼쪽 팔’이었다고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樂浪郡 戶口簿」에서 나타난 樂浪郡의 구조와 衛滿朝鮮의 藩屛

        이종록 고조선단군학회 2022 고조선단군학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how Lelang Commandery(樂浪郡) reorganized the indigenous society after the fall of Wiman Chosŏn in 108 B.C.. Also, the paper analyzed how this process was reflected on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Commandery(樂浪郡戶口簿).” As is well known, one of the long-standing issues about Lelang Commandery is its relationship with Wiman Chosŏn. It wa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commandery reflected the social structure of the conquered areas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Wiman Chosŏn’s territory into a commandery. Although it is only a partial approach,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Wiman Chosŏn’s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from the household register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s understanding. As a result, it is supposed that the four commanderies’ date of establishment from the “Biography of Chosŏn(朝鮮列傳)” in Shiji(史記) was only a statement to indicate the causality between the fall of Chosŏn and establishment of the commanderies. In reality, the establishment took much longer period after the fall of the kingdom in 108, as the process required dismantling the ruling class and reorganizing the originally decentralized state. Also, the first and third district in the register was a vestige of Wiman Chosŏn’s regional divisions, which later consist of “proto-Lelang Commandery.” The third district was an area that included the fiefs of the feudal lords. Since this area was in the different political and social layer from the major area of the Old Chosŏn, this difference was reflected on the register after Lelang Commandery was established. 본 논문에서는 漢이 기원전 108년 衛滿朝鮮의 멸망 이후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지 사회를 樂浪郡으로 재편하였으며, 이것이 「樂浪郡 戶口簿」와 같은 자료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낙랑군에 관한 중요한 쟁점 중 하나는 衛滿朝鮮과의 관계 문제로서, 이는 위만조선의 중심지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사항과 연관되어 있었다. 나아가 낙랑군이 위만조선의 故地를 군으로 재편하는 과정에서 정복지에 대한 사회 구조를 반영하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오랜 믿음이었던 만큼, 「낙랑군 호구부」를 통해 추적할 수 있는 위만조선의 양상에 대해 부분적으로나마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史記』 조선열전에서 전하는 4군 설치시기는 위만조선의 멸망과 4군 설치의 인과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서술로, 실제로는 4군이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의 멸망 이후 현지 사회에 대한 장기간의 재편을 거친 이후에 구축되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는 위만조선이 본래부터 지니고 있었던 분권적 구조와 더불어 그 전후의 지배자집단에 대한 해체 및 재편에 따른 결과로 본 것이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본 것처럼 「낙랑군 호구부」의 구역 분류는 위만조선 시기부터 존재하였던 지역 구분의 흔적이며, 이들 중 1구역과 3구역이 과거 위만조선의 중심지와 함께 ‘原樂浪郡’을 이룬 지역으로 추정하였다. 이 중 3구역은 고조선 내에서 ‘藩屛’으로서 존재한 반독립적인 제후들이 위치하였던 지역이었다. 곧 그 기반이 된 위만조선 내부의 정치ㆍ사회적 차이가 낙랑군의 편제 과정에 반영되었으며, 이것이 호구부 속현 목록의 1구역과 3구역의 구분으로 나타났다고 해석하였다.

      • KCI등재

        衛滿朝鮮의 성장과 주변 국가와의 관계

        송호정(Song, Ho-jung)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6 No.-

        기원전 2세기 초 燕王 盧綰 밑에 있던 衛滿은 독자적으로 세력을 이끌고 漢의 동쪽 경계 遼東故塞를 나와 浿水를 건너 秦故空地 上下障 지역에 거주하다가 대동강 유역에 위치한 王儉城의 準王을 밀어내고 왕위에 올랐다. 그리고 위만이 처음 자리 잡은 고조선 중심지(왕검성 지역)는 일제 시기에 조사된 秥蟬縣神祠碑와 최근 소개된 樂浪 初元 4년명 木簡에 따르면 평양 대동강 유역이 분명하다. 위만은 처음 자기를 따라온 流移民들을 따로 중국적 질서에 편입시키거나 토착민과 구분하는 정책을 취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漢代 중국 남부지역에 세워진 남비엣의 역사와 유사하다. 漢의 주변국인 남비엣[南越]과 위만조선의 경우 비록 왕조의 출발은 中國系 官人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流移民과 土着民 사이에 구분되는 활동이나 종족적 차이를 보이지 않고 하나의 국가와 민족으로서 漢에 대항하면서 발전해 나갔다. 점차 위만은 중국으로부터 兵威財物을 취득함으로써 그 이웃의 小國을 침략하고, 마침내 眞番·臨屯·沃沮 등 주변 小國들을 복속시켜 사방 수천 리의 영역 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다. 기원전 2세기 당시 정권을 잡은 衛滿은 주변 종족들이 중국의 국경을 침범하지 못하게 하고, 또 중국과 교통하는 것을 막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漢나라와 外臣 關係, 즉 君臣 關係를 맺었다. 나아가 한강 이남의 중서부 지역에 위치한 辰國 연맹체가 위만조선의 중개를 거치지 않고 漢과 직접 교섭을 시도하자 위만조선은 이를 방해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위만조선과 한 사이에 무력 충돌이 일어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In the early 2nd century B.C., Wiman, the subordinate of The King Nogwan of the Yeon Dynasty, independently led the forces and left the Wall-fortress in the Liaodong area to drive out King Jun, who lived in Wanggeomseong Fortress, located in the Daedong River basin, and ascended the throne. Wiman inherited the ruling system of Gojoseon society as it was, and the name of the country was still called Joseon(朝鮮), and it strengthened its national power by accepting excellent culture from China. And Wiman did not let Hans immigrants who followed him live separately or distinguish them from the indigenous Gojoseon people. Wiman was appointed as a servant of the empire(外臣) after establishing military relations with the Han Dynasty on the condition that it would prevent neighboring tribes from invading Chinas borders and not traveling to and from China. However, over time, Wiman developed his strength based on iron weapons and agricultural equipment received from China and did not keep his duties as a servant of the empire. In addition, when the power was developed by connecting with the Hun, the Han King Muje invaded and destroyed Wimanjoseon to break off the forces connected to the Hun, and established a county(郡) in the land. The fact that Han destroyed Gojoseon and established a county and district in 108 B.C. basically shows that he tried to turn the countries outside of Hans laws into a county and district and dominate them directly. Han established a county and prefecture in the Gojoseon area to unite and rule the barbarian forces in northeastern China more strongly than the role of a servant of the empire(外臣) previously assigned to Wiman Joseon.

      • KCI등재

        위만조선의 대외관계에 대한 검토 -朝·漢 전쟁 이전을 중심으로-

        조원진(Cho Wonjin)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9

        본고는 위만조선이 漢과 전쟁하기 이전까지 위만조선의 대외관계를 살펴보았다. 위만은 오랫동안 요동일대에서 세력을 키워온 조선계 인물로 보인다. 위만은 정권을 차지하고 국호도 그대로 ‘조선’이라 하였고 도읍 이름도 고조선의 건국시조 이름에서 유래한 ‘왕검성’이라고 했다. 따라서 위만조선은 고조선을 계승한 국가였다고 할 수 있다. 위만조선은 요동지역의 토착세력과 이주한 중원계 유이민 세력이 규합하여 나라를 세운 만큼 다양한 문화를 포함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위만조선은 서쪽영토인 요동지역을 통해 漢 주민들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였다. 요동지역에서 발견되는 이른시기 漢墓는 이러한 중원계 주민들이 이주 하여 남긴 것으로 이해된다. 위만조선의 대외관계에 있어 특히 중요한 것은 漢과의 관계였다. 양국의 관계는 흉노를 둘러싼 동북아시아의 국제정세 변화와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위만조선은 성립초기 요동태수를 통해 漢과 외신 맹약을 맺게 된다. 당시 漢은 위만조선을 통해 흉노를 견제하고자 이 맹약에 공을 들였다. 위만조선은 맹약을 맺은 후 사방 수천리의 대국으로 성장하자 곧 독자적인 세력권을 형성하고 漢과 대립하며 흉노와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한무제 시기 漢은 흉노를 비롯한 주변국들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특히 기원전 127년 위만조선 우거왕에게 반기를 든 薉君南閭가 투항하려 하자 漢은 그 지역에 창해군을 설치하려 한다. 창해군은 위만조 선과 흉노가 연결되고 漢 주민을 끌어들일 수 있는 요남지역을 포함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漢이 흉노와의 대규모 전투가 마무리되면서 양국은 전면전으로 치닫게 된다. 양국이 결국 전쟁을 하게 된 것은 근본적으로 위만조선이 요동지역과 서북한지역이라는 전략적 지역에 위치한 지리적인 상황과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세력권을 구축하고 지키려 했던 당당한 고대국가 였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foreign relations of Wiman Chosun prior to its war with Han. Considering that Wiman(衛滿) had worn Chosun attire during its exile to Chosun, Wiman seem to be of Chosun heritage who had stayed at Old Chosun’s land lost due to Yan’s invasion in the past and had gone to Old Chosun to take asylum in this period. Wiman, despite seizing the regime, retained the country’s name, Chosun. The capital’s name was also called Wanggeom Castle(王儉城), originating from the name of Old Chosun’s founder. Wiman Chosun, therefore, can be seen as a nation which succeeded Old Chosun (WanggeomChosun(王儉朝鮮)). As Wiman Chosun was a nation established by the rally of the Liaodong region’s indigenous power and Chinese immigrant forces, it is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verse cultures. Wiman Chosun sustainedly attracted the residents of Han through their western territory, the Liaodong region. The tombs of the early Han discovered in the Liaodong region can be viewed as left behind by these Chinese residents. Of particular importance in terms of Wiman Chosun’s foreign relations was its relations with Han(漢). In its initial establishment, Wiman Chosun concludes an agreement with Han through the Liaodong viceroy(遼東太守). Han, at the time, made painstaking efforts for this agreement to curb Xiongnu(匈奴) through Wiman Chosun. As Wiman Chosun developed into a nation of great scale after making an agreement with Han, it soon deviated from Han’s diplomatic influence. Wiman Chosun formed an independent scope of power and confronted Han, while maintaining friendly relations with Xiongnu. In the Han Wudi period, Han started to intervene actively in the issues of its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Xiongnu. In particular, when the ruler of Ye, Namyeo, who revolted against King Ugeo of Wiman Chosun in 128 BC, attempted to surrender to Han, Han installed the Chang-hai Commandery in the region. The location of Chang-hai Commandery would have been in the Liaonan region, where the exchange between Wiman Chosun and Xiongnu took place and Wiman Chosun attracted the people of Han. However, Han eventually abolishes the Chang-hai Commandery(滄海郡) after three years. Henceforth, Han’s large-scale combat with Xiongnu ends, heading toward a full-scale war between the two nations. This war, fundamentally, was a result of Wiman Chosun’s geographical situation-the strategic location of the Liaodong and northwestern Korean regions-and owes to the fact that Wiman Chosun was a dignified ancient nation which tried to build and guard its own sphere of influence.

      • KCI등재

        위만조선 시기 조선 유민의 남하

        전진국(Jeon, Jin-kook)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5 No.-

        위만조선의 성립기와 멸망기 많은 주민이 한반도 중남부 지역으로 옮겨가는 정황이 확인된다. 위만에게 패한 준왕이 남쪽으로 내려갔다는 식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에 다양하게 전한다. 그러나 각기 내용이 다르고 그 다름에 대해 어느 것 하나를 정설로 신뢰하기 어렵다. 그러나 공통적인 맥락은 위만조선이 들어서는 시기 세력 대결에 밀린 집단이 한반도 중남부 지역으로 옮겨갔다는 것으로, 그 요지만큼은 사실의 정황으로 볼 수 있다. 역계경 전승과 진한의 형성에 관한 전승은 위만조선 멸망기 그 주민이 진국과 진한으로 옮겨 간 내용이다. 중국 사료에서 ‘辰國’은 위만조선 시기 그보다 더 동쪽에 있는 미지의 세계를 일컫는 명칭이다. 그리고 낙랑군이 들어선 뒤에는 그 지역을 ‘韓’ · ‘三韓’으로 일컬었다. 진한을 형성한 주민에 대해 秦의 망인과 燕 · 齊 유민이 많다고 강조되어 있지만, 실상은 위만조선 멸망기 그 주민 즉, 『삼국사기』의 ‘조선 유민’이다. 위만조선 시기 한반도 중남부 지역과의 교류 및 주민의 이주는 물질문화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덧띠무늬토기, 세형동검 단계의 각종 청동기 유물, 초기철기 유물, 그리고 널무덤 양식 등을 위만조선 시기 그 계통의 물질문화라 할 수 있다. 그러한 물질문화는 호남과 영남 지역은 물론이고, 한반도 중부 지역에서도 확인된다. 한반도 중부 지역의 물질문화를 살펴봄으로써 조선 유민의 남하가 한반도 중부 지역 즉 ‘진국’을 거쳐 진한으로 이어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During the establishment and destruction of the Wiman Joseon Dynasty (衛滿朝鮮), which was a very chaotic period, many residents moved to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ory of King Jun(準王) going south after losing to Wiman(衛滿) is recorded in various documents. The details are different and it is difficult to trust only one story, but the common point is that the group that lost the power struggle with Wiman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Wiman Joseon Dynasty moved to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is seems to be true. During the fall of the Wiman Dynasty, there was a record that the inhabitants moved to Jinguk(辰國) and The Jinhan(辰韓), and it was also said that the refugees formed Jinhan. In Chinese historical sources, Jinguk was the name of an unknown world farther east than Wiman Joseon at that time. And after the Lelang Commandery(樂浪郡) was established, the area began to be referred to as Han(韓) and Samhan(三韓). Although it was emphasized in Chinese records that there were many refugees from Jin(秦) and Yan(燕)·Qi(齊) for the residents who formed Jinhan, in reality, the people who formed Jinhan were the refugees who came down to the south during the collapse of Wiman Joseon, and are recorded as Joseon refugees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There are various relics that show the exchanges between Wiman Joseon and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igration of the residents of Wiman Joseon. By examining the material culture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Joseon refugees moved to Jinhan, the southern region through Jinguk,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衛滿朝鮮 시기 濊族 사회의 동향과 滄海郡路 -‘滄海郡 在沃沮說’에 대한 최근 비판의 반론을 겸하여-

        이승호(Lee, Seung-ho)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5 No.-

        본 논문은 기원전 128년에 전개된 薉君 南閭 집단의 “畔右渠” 움직임과 漢의 滄海郡 설치 기도를 주목하고, 이를 실마리 삼아 기원전 2세기 무렵 위만조선 주변 濊族 사회의 동향을 검토한 것이다. 衛滿朝鮮 성립 이전 고조선 동쪽 嶺西와 嶺東 지역에 걸쳐 넓게 퍼져 있던 예족 사회는 臨屯과 그 동북쪽의 沃沮(夫租)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기원전 2세기 초에 위만조선이 성립하자 임둔과 옥저 사회는 곧 위만조선에 복속되고 만다. 이후 2세기 후반 右渠 시대에 이르러 위만조선은 주변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더욱 강화해 나갔는데, 이것은 결국 예군 남려를 중심으로 한 예족 사회의 저항을 불러왔다. 예군 남려를 중심으로 결집하기 시작한 예족 사회는 임둔과 옥저, 그리고 압록강 중류 유역의 句麗 집단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기원전 128년 이들은 위만조선의 지배로부터 이탈하여 요동군과 접촉하였다. 이에 漢은 이들을 대상으로 창해군 설치를 기획하였다. 예군 남려 집단을 대상으로 설치된 창해군의 중심지는 함경남도 동해안 지역, 즉 옥저(부조)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이해된다. 기원전 1세기 전반기의 자료인 「夫租薉君」 銀印의 존재는 당시 옥저 사회 ‘薉君’의 존재를 보여주는 실물 자료라 할 수 있다. 예군 남려의 정치적 거점이었던 옥저 지역은 위만조선의 영향력에서 일정정도 벗어나 자체적인 세력 규합을 꾀함에 있어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다만, 옥저 사회가 위만조선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립하기 위해서는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가 모색되어야만 했는데, 창해군의 설치 과정은 바로 이러한 새로운 교통로의 개척 과정에 다름 아니었다. 곧 창해군 설치는 압록강 유역으로부터 함흥으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개척해 나가며 진행되었다. 그러나 교통로 상에 겹겹이 펼쳐져 있는 산악 지형을 극복하지 못하고 漢의 창해군은 3년 만에 폐지되고 말았다.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process of collective resistance of the Ye(濊族) society against Wiman Joseon(衛滿朝鮮) and establishment of Changhae Commandery(滄海郡) of Han(漢) Dynasty in 128 BC, and through this endeavor, it has reviewed the trend of the Ye society around Wiman Joseon approximately 2nd century BC. Prior to the founding of Wiman Joseon, the Ye society that was broadly spread out in Youngseo(嶺西) and Youngdong(嶺東) region of the eastern Gojoseon was developed around Imdun(臨屯) and its northeastern part in the Okjeo(沃沮) region. However, with Wiman Joseon established in early 2nd century BC, the Imdun and Okjeo societies was subjected to Wiman Joseon. Thereafter, in the era of King Ugeo(右渠) at a later time of the 2nd century, Wiman Joseon strengthened its control over the surrounding Ye society even more and this ultimately brought in the resistance of Yegunnamnye(薉君南閭)-led Ye society. The Ye society that was united with Yegunnamnye leading the way was formed with Imdun and Okjeo as well as the Guryeo(句麗) group in the mid-basic of Amrok River(鴨綠江), and they broke away from the ruling of Wiman Joseon to contact with Liaodong Commandery(遼東郡). Therefore, Han Dynasty had a plan to establish Changhae Commandery with these groups. It is understood that the central site of Changhae Commandery that was established with the subject of Yegunnamnye group was the east coastal region of Hangyeongnam-do(咸鏡南道), namely, the Okjeo region. The presence of the silver seal in 「Bujoyegun(夫租薉君)」 that is data in the first half of the 1st century BC is the practical data to display the presence of ‘Yegun(薉君)’ in the Okjeo society at the time. The Okjeo area was the political base of Yegunnamnye was well-equipped to join the independent forces after breaking away from the influence of Wiman Joseon. For the Okjeo society to stand independently by staying away from Wiman Joseon’s control, it had to search for a new route to communicate with outsid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Changhae Commandery was the process of pioneering the new transport route for such purport.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of Changhae Commandery was processed by pioneering the transport route to lead from the Aprok-gang basin to Hamheung. However, it could not overcome many layers of mountainous terrains over the transport route and the establishment of Changhae Commandery for the Han Dynasty came to a screeching stop after 3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