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2.0 환경에서 동적상호작용 중심의 시각적 공간자료분석

        안재성,이양원,박미라,박기호 국토지리학회 2006 국토지리학회지 Vol.40 No.4

        기존의 웹기반 공간자료분석은 웹이라는 컴퓨팅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데스크톱 컴퓨팅에 비해 동적상호작용 능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으나, 최근 플랫폼으로서의 웹(the Web as platform)이라 불리는 웹 2.0 환경이 구현되면서 동적상호작용이 향상된 웹서비스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이 연구에서는 웹 2.0 환경에서 비동기방식의 자바스크립트 및 XML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Ajax) 기법의 경량화된 요청/응답 구조를 이용하여 동적상호작용 중심의 시각적 공간자료분석을 수행하는 지리정보시스템 모델을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리정보시스템 모델에서는 서버 측 XML 웹서비스(XML Web Services)가 공간연관성 분석기능을 담당하고, 클라이언트 측 Ajax 애플리케이션이 작업영역의 사용자정의와 관심영역의 유기적 강조 등 향상된 동적상호작용을 통한 지리적시각화를 수행한다.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이용한 프로토타입 애플리케이션에서 제안된 지리정보시스템 모델의 유용성이 검증되었으며, 이 연구를 통해 데스크톱 환경에서 수행되는 대부분의 공간자료 및 시공간자료 분석기능이 웹 2.0 환경으로 확장되어 향상된 동적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The existing Web-based spatial data analyses cannot provide sufficient user-interactiveness when compared with desktop computing, due to the limited resources of Web environment. However, the emerging Web 2.0 (a.k.a. the Web as platform)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more interactive Web services. This paper presents a Web 2.0-based GIS model allowing for user-interactive visual analysis of spatial data, by using a light request/response structure of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Our Web 2.0-based GIS model includes an XML Web Service for spatial association analysis on server-side and an Ajax application for user-interactive geovisualization using a user-defined workspace and an integrated focusing/brushing/linking method on client-side. The applicability of our Web 2.0-based GIS model is confirmed by an experimental case study of apartment sale prices in Seoul. It is anticipated that most functionality of spatial and spatiotemporal data analysis on desktop computing can be ported on the Web,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 대규모 웹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상주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이재동,Lee, Jae-D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4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6 No.1

        웹을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지리정보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웹 지리정보시스템도 많은 다른 인터넷 정보시스템들과 같이 클러스터 기반 아키텍쳐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즉, 사용자의 수에 상관없이 양질의 지리정보 서비스를 지속적이며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용대비 효율, 가용성과 확장성이 높은 클러스터 기반의 웹 지리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높은 클러스터 기반의 웹 지리정보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 상주 공간 데이터베이스들을 클러스터의 각 노드로 구성하고 전체 데이터 영역 중 일부만을 복제 처리함으로써, 각 노드가 공간 질의에 대해 공간적 근접성을 이용한 캐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단순 영역 질의외에 연산 비용이 큰 공간 조인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된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데이터 양이 많고, 클러스터의 노드 수가 증가할수록 각각 약 23%, 30%의 향상된 성능을 갖음을 보인다.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e WWW such as a location-based service and so on. Web GIS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have also come to be a cluster-based architecture like most other information systems. That is, in order to guarntee high quality of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without regard to the rapid growth of the number of users, web GISs need cluster-based architecture that will be cost-effective and have high availability and scalability. This paper proposes the design of the cluster-based web GIS with high availability and scalability. For this, each node within a cluster-based web GIS consists of main memory spatial databases which accomplish role of caching by using data declustering and the locality of spatial query. Not only simple region queries but also the proposed system processed spatial join queries effectively. Compare to the existing method. Parallel R-tree spatial join for a shared-Nothing architecture, the result of simulation experiments represents that the proposed spatial join method achieves improvement of performance respectively 23% and 30% as data quantity and nodes of cluster become large.

      •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공간정보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

        김민수,김미정,이은규,주인학,오병우,Kim, Min-Soo,Kim, Mi-Jeong,Lee, Eun-Kyu,Joo, In-Hak,Oh, Byoung-Woo 한국공간정보학회 2004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6 No.2

        본 논문은 웹 환경에서 다양한 유형의 공간정보 서버들 간의 상호운영성 및 확장성을 보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공간정보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와 관련된 웹 환경의 구축은 대부분 OGC에 의하여 연구되고 표준사양들이 발표되어 왔다. 이에 본 공간정보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OGC의 WMS, WFS, WCS, WRS 표준사양과 W3C의 웹 서비스 사양을 수용함으로써 상호운영성 및 확장성을 보장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본 프레임워크는 효율적인 공간정보 웹 서비스를 위하여 대용량 공간정보지원, GML 지원, 공간 서비스지원, 무선 네트워크 환경지원의 요구사항들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공간정보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공간정보 서버그룹, 공간정보 중개자, 웹 기반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었으며, 공간정보 서버그룹은 다양한 서비스를 위하여 GIS, SIIS, ITS, GNSS, Telematics 서버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은 공간정보 서버그룹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대용량 GML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메인 메모리 기반 GIS 서버(MMG 서버)를 제안하고 있으며, 끝으로 공간정보 서버의 프로토타입 구현과 성능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결과의 가용성을 검증하고 있다. This paper proposes a Web Service framework on both wired an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that can be interoperable and extensible among geo-spatial servers. Mostly, OGC has studied and announced international standards which are related to web services on various kinds of geo-spatial data. Therefore, the proposed framework satisfies interoperability and extensibility for geo-spatial servers by adapting WMS, WFS, WCS, and WRS standards of OGC and web services standards of W3C. This framework, also, satisfies requirements of huge volumed data service, GML service, geo-spatial function service, and wireless network service. This framework consists of geo-spatial servers group, geo-spatial broker, and web-based client. The geo-spatial servers group includes GIS, SIIS, ITS, GNSS, and Telematics serve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various kinds of geo-spatial services. Especially, this paper proposes main memory based GIS server(MMG server) that can efficiently serve huge volumed GML data o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Finally, experimental results about the MMG server and prototype implementations of the framework show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 KCI등재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는 방안 모색

        이종수 ( Chong Soo Lee ),이우균 ( Woo Kyun Lee ),전성우 ( Seong Woo Je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1

        최근 웹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있는 웹 2.0에 관한 주요 논의 요소를 도출하고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웹 2.0이란 서버-클라이언트 중심의 정적인 기존 웹 환경에 대비해 개방과 참여, 공유 등 사용자 중심의 웹 플랫폼을 제공하는 차세대 웹 환경을 뜻한다. 웹 2.0을 구현한 지리정보 서비스 사례들은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웹 2.0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술뿐만 아니라 정보와 서비스 및 사용자에 대한 접근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정보를 관리하는 관점이 소유나 독점이 아니라 공유와 개방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은 정보시스템을 포털화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웹 2.0 시대에서 포털서비스는 하나의 정보허브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에 사용자가 파일 탐색기와 같은 손쉬운 방법으로 원하는 정보와 기능을 모아서 개인 블로그 형태로 만들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도 있다. 우선 각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토지리정보 시스템들의 폐쇄성 극복과 표준화된 자료구축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외형적으로만 웹 2.0을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기존 시스템의 형태만 바꿔 정보를 나열하는 식의 획일화 된 서비스는 지양해야 한다. This paper review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Web 2.0 and discussed the possible applications related 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general, Web 2.0 refers to a next generation World Wide Web environment that let people participate and share information and data. The recent examples using Web 2.0 with geo-spatial information are convincing us apply Web 2.0 in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imply Web 2.0 in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echnological advancements related to providing the services but also shif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ovider(government agencies) and end-users. In other words, new platform should be provided to users so that users can easily create, share, and mash-up data, which was previously managed and owned only by government agencies. Successful integration Web 2.0 platform in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require some important points such that; 1) the consideration for the data should be changed from closed and agency owned data to opened and shared data. 2) data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o integrate al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3) real change need to be happened rather than different naming on the same system.

      • KCI우수등재

        지리정보 기반의 배너광고 시스템 개발

        권재혁(Jae Hyuk Kwon),김동수(Dongsoo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09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4 No.2

        최근 실세계의 지리정보를 웹에 표현하여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GPS 기능이 내장되어 개인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치의 보급이 점차 늘고 있다. 인터넷 비즈니스 기업은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에 근거한 보다 유용한 서비스를 인터넷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성공하고 있는 인터넷 기업은 대부분 Web 2.0 기술을 반영하고 있다. Web 2.0 기술은 사용자의 참여를 유발하고 있으며, 개방성과 공유를 강조한다. 특히 공개 API의 이용은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개 API를 활용하여 지리정보 기반의 배너광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지리정보를 활용한 지리정보 기반 배너광고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반영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여 제안한 비즈니스 모델의 운영 방식을 예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 발생요인을 설명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장점을 기술하였다. 지리정보가 많이 활용되는 여행, 부동산 등의 분야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한 배너광고 시스템이 실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ots of applications that represent and utilize geographic information on the Web have emerged on the Web. In addition, personal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GPS function, which can record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re being increasingly adopted by people. Such geographic information enables Internet business companies to provide users more useful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st successful Internet business companies have adopted and utilized Web 2.0 technologies, which promote users’ participation and emphasize openness and information sharing. Especially, using open API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can reduce the costs of a program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design and develop a banner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open APIs. We propose a business model using the advertisement system, and a prototype system has been illustrated in order to explain the proposed business model. Finally, we summarize the benefits of our system by describing factors generating values of the proposed business model. Hopefully, main idea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real industry sectors that use geographic information widely such as travel, real estate and so on.

      • KCI등재

        비구조적 공간정보를 지원하는 개념적 지오시맨틱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설계

        하수욱,남광우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9 No.4

        본 연구는 공간정보 분야에서 시맨틱 웹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최근 웹 서비스 기술의 발달과 함께 무선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보급을 통해 지리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시맨틱 웹 기술이 주요 검색 포털들에 적용됨으로써 일반인들은 온라인상에 공개된 다양한 정보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이질적인 데이터 저장 구조를 갖는 공간정보 데이터에 대한 연계 이외의 활용 가능한 서비스 유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웹 서비스 및 시맨틱 웹과 관련된 표준들을 바탕으로 시맨틱 공간정보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능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적용 가능한 유즈케이스들과 시맨틱 공간정보 서비스 아키텍처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시맨틱 공간정보 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rchitecture for geosemantic services. With the rapid progress of web service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and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 in recent years, a lot of application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are being developed. Moreover the search portals empowered by semantic web technologies are enabling general users to access on-line resources more easily. However, several studies in GIS domain have pointed out the practical limitation of existing service patterns, which are limited only to linking heterogenous spatial databases, insufficient for several important use cases. Hence we draw functional elements of geosemantic services from GIS and semantic web standards, and present the use cases and a new architecture for geosemantic services. This approach could set a foundation to implement geoemantic services.

      • KCI등재후보

        인문지리정보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온톨로지 연구

        홍일영,오충원 한국지도학회 2010 한국지도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는 인문지리정보 통합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온톨로지 지식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로서 인문지리정보의 통합적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온톨로지 모델링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지리정보들을 조직화하고, 재사용가능한 정보로서 데이터들간의 관계를 설정하였으며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시나리오에 기반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시범연구지역인 제주도를 사례로하여 다양한 지역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온톨로지 모델링을 통해 정의한 클래스에 맞추어 온톨로지 인스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를 위한 통합DB를 활용한 시맨틱 검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In this research, it is discussed how to develop ontology for the human-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Ontology modeling methodology is applied to develop the knowledge base, using the collected geographic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other data as a reusable dataset. Ontology is also developed for the semantic search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and the previously developed scenario. Cheju-Do is the case study region to apply ontology of the human-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Ontology modeling is applied and the classes and relationships among collated dataset are developed and ontology instance is created and the semantic search system is developed for case study region.

      • KCI등재

        토지행정 기반조성을 위한 웹 기반의 지적공간정보 갱신 모형설계

        이성화(Lee Seong Hwa),박기정(Park Ki Jung) 한국지적학회 2007 한국지적학회지 Vol.23 No.2

        ??기존의 GIS 환경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지적업무에 있어 일부 기능만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반드시 구입해야 했으며, 복잡한 데이터 처리와 영문위주의 구성으로 필요한 기능을 빠른 시간 내에 습득하기 어려웠고, 독점적 기술로 인한 타제품과의 호환이 어려워 상호운용성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웹 환경에서 GML과 연계하여 실시간 공간정보 갱신이 가능한 시스템을 통합 모델링 언어(UML)로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OGC에서는 미디에이터 개념의 통합 컴포넌트인 중첩 맵서버를 제시하였다. 또한 ICONIX 프로세스 기법을 이용하여 웹 매핑 환경을 설계하는 것을 제안하고 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두 가지 중요사항을 다루었다. 첫 번째는 웹 매핑과 서버의 분석으로서 토지정보시스템의 지속적 향상을 위한 국제적 표준 내용을 다루며, 두 번째는 지적 공간정보의 실시간 갱신을 위한 최신의 시스템 도입을 위한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리정보시스템(GIS) 환경에서 지적도뿐만 아니라 정사사진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제안된 접근을 위하여 시스템 개발을 위한 가장 강력한 객체지향 모델링 도구중 하나인 UML를 사용하였다. ??Nowadays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hich have been leading the world in developing IT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world first E-government law was passed in March 2001 and intelligent and networked city spaces named U-city have been built in the new development areas in Korea. ??Land administration system in Korea was independently computerized for the fast network services of diverse land information and it is supplying many industrial sectors to their purposes. ??However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has emerged as a client oriented service in the field of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This change gives an important message to the cadastral domain. The Web Mapping technology will be a potential area in the cadastre perspective. Because it enables to the clients to access a spatial database and a spatial data analysis without a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 This research mainly deals with as followings. Firstly, an international standard development for a sustainable improvement of the land information system has been dealt by conducting Web Mapping and server analysis. Secondly, a system design is proposed for the introduction of a cadastral information based on real time updating. ??In particularly the proposed system has been designed by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considering a GIS environment which provides ortho photo and cadastral map. In order to achieve the defined research problems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methodologies have been applied. In terms of theoretical methodology, a literature review on Web Mapping service. In terms of empirical methodology, interview and brainstorming method has been applied in order for collecting experts" opinion on land information system improvement direction.

      • KCI등재

        웹 자원을 이용한 지리정보 온톨로지 확장

        송원용(Wonyong Song),백두권(Doo-Kwon Baik),정동원(Dongwon Jeong)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10

        시맨틱 웹과 지리정보가 접목된 시맨틱 지리정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의 지리정보 시스템은 사용자의 비공간 정보 입력 및 검색이 특정 시스템에 종속적이라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는 또한 풍부한 서비스 제공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비 구조화된 웹 자원으로부터 지리정보 온톨로지(Geo-ontology)를 확장할 수 있는 구현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웹 온톨로지 인스턴스를 시스템에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풍부한 웹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대학교를 도메인으로 선정하여, 지리정보 온톨로지 구축 사례와 함께 인스턴스를 확장하는 프로토타입을 보인다. Much research on semantic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hat incorporating the Semantic Web and geographic information has been actively studied. However, the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have a system dependency problem that users can input and retrieve non-spatial information only in a specific system. It also causes difficulty in providing rich servic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implementation model for population of Geo-ontology from non-structured Web resources. The proposed model can populate instances for Web ontology independently of systems, and thus it enables a richer Web service development.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prototype that populates instances including a Geo-ontology building example for a University selected as an application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