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점령기의 ‘원폭’을 둘러싼 담론, 문학 그리고 정치성 -일본여성문학자의 ‘원폭문학’을 중심으로-

        오성숙 ( Oh Sungsook )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요코의 원폭문학이 갖는 증언성과 원폭문학논쟁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패전 직후 피폭자라는 당사자성에 의한 요코의 원폭문학은 작가의 눈과 인간의 눈으로 원폭의 참상을 본 체험이 특권화되면서 피폭자=기록자=증언자에 의한 문학으로 정립되어 갔다. 둘째, 검열에 의해 말할 수 없는 원폭 관련 담론은 원폭 피해와 공포감을 최소화하고 원폭투하의 정당성을 강조하면서 가해자 미국이 망각되고 있었다. 이와 맞물려 원폭문학은 가해자에서 피해자로 역전시키며 일본의 전쟁책임을 망각시키고 있었다. 셋째, 제1차 원폭문학논쟁에서 보면, 요코의 투쟁하는 원폭문학은 개인적인 체험, 기록, 상황적 문학으로 규정되면서 저열한 문학으로 폄하되고 있었다. 이는 원폭 관련 증언이 전유한 원폭문학에 대한 불쾌감, 그리고 패전의 기억을 상기시키는 피폭자에 대한 거부감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uld draw following results by focusing on the evidentiality of Yoko’s atomic bomb literature and issues around it. First, Yoko’s atomic bomb literature based on the identity of an atomic-bomb victim right after defeat in the war had been established as the literature by an atomic-bomb victim = a chronicler = a witness, as the experience of observing the disastrous scene of the atomic-bomb from the eyes of the author as a person was privileged. Second, U.S., the assailant, was obliterated, as the discourse regarding the atomic-bomb, which could not be communicated due to censorship, minimized the damage and fear derived from the atomic bomb and emphasized the validity of atomic bombing. In conjunction with this tendency, the atomic bomb literature caused the oblivion of Japanese responsibility for the war, by turning Japan from the assailant to the victim. Third, Yoko’s struggling atomic bomb literature was degraded as vulgar literature, as it was identified as an individual experience, a record and situational literature, in the first debate about atomic bomb literature. This might be caused by unpleasant sensation about the atomic bomb literature monopolized by the testimony to the atomic bomb as well as the aversion to atomic-bomb victims who reminded Japanese of defeat in the war.

      • KCI등재

        1945년 8월 원폭, 원폭문학의 기억과 망각 - 젠더, 정치, 소외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

        오성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본 논문은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 피폭 여성작가 하야시 교코의 원폭문학을 통해, 시대적인 원폭, 원폭문학의 담론이 어떠한 기억과 망각을 산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코는 원폭이 ‘평화’라는 기억으로 재기억되고, 피폭이 망각되고 피폭자가 무화되는 현재에 피폭의 원체험을 중시한 문학활동을 추구하였다. 교코의 작품 「축제의 장」과 「없는 듯한」이라는 원폭문학은 ‘축제의 장’이 전쟁과 원폭이라는 접점에서 죽음의 메타포이자, 전후의 ‘평화’로 포장되는 시점에서는 망각의 메타포로 기능하고 있음을 논했다. 60년대를 거치면서 70년대에는 원폭문학의 가해와 피해의 복합적 자각과 함께 전쟁책임이 대두되는 한편, 원폭문학사가 간행되면서 일본문학 안에서 피해자 문학으로 원폭문학이 부상하는 가운데, 교코의 원폭문학「축제의 장」이 군조신인상과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할 수 있었음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원폭문학이 피폭의 사실을 정확하게 그린다는 취지로 수기, 기록, 문학이라는 애매한 영역을 점하고 있음을 검토하고, 교코의 문학이 절망 가운데 원망, 분노의 분출을 넘어 ‘인간 존중’과 ‘희망’이라는 이상을 담고 있는 나가오카가 말하는 원폭문학다운 문학이라는 점을 규명해 보았다. This paper examined what memories and forgetfulness are produced by the historic discourses of atom bomb and atom bomb literature, through the atom bomb literature of Kyoko Hayahsi, an exposed female author in Nagasaki in August, 8, 1945. Kyoko pursued her own literature activities emphasizing original experience, where the atom bomb was re-memorized as ‘peace’, the exposure was forgotten and survivors became nothing. Her atom bomb literature represented by 「The Place of a Feast」 and 「As If No One Exists」 discussed that the ‘place of a feast’ functioned as a metaphor of death at an interface between the war and the atom bomb and as a metaphor of forgetfulness when it was glorified as the ‘peace’ after the war. By 1970, responsibility for the war was highlighted along with complex perceptions on offensing and victimization in the atom bomb literature, Kyoko won Sinzo Rookie of the Year Award and Akutakwa Prize for her 「The Place of a Feast」 while when the atom bomb literature emerged as victim literature, due to the publication of history of atom bomb literature. Finally, It made clear that Kyoko’s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enough to be call atom bomb literature’, the term coined by Hiroyoshi Nagaoka, which includes ideals such as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hope’, beyond resentment and anger in desperation.

      • KCI등재

        문화권력과 서벌턴 피폭자 문학: 전후 원폭, 원폭문학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오성숙 한일군사문화학회 2022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4 No.-

        This paper could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postwar A-bomb literature was dampened by censorship and degraded as sub-literature under the cultural power of literary circles monopolizing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based on debates around the censorship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e subsequent the A-bomb literature. In summary, first, the A-bomb literature lost its opportunity to be published or was published as authors’ editions, as was dampened by censorship and the myth of A-bomb called a grateful bomb. Second, the Japanese postwar literature supported by literary circles advocating for the universal literature exposed its traditionally literary staleness, in that it only focused on Hwajopungwol’s amusement and one’s memoirs specific to I-novel, while the contemporary European engagement literature emerged as the literature resistant to the crisis of the times. As the postwar literature secure the universality, the A-bomb literature was disparaged as the literature only with wretchedness and degenerated as the subaltern A-bomb victim literature isolated by the Hiroshima literary circles. Third, the A-bomb literature attempted to open a path to the future literature, by succeeding individual experiences as those of groups, via the 1st to the 3rd debates on A-bomb literature. Both Hiroshima and central literary circles, which depended on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did not recognized it as the formal literature, but only regarded it as a set of experiences. It, therefore, could not but become the subaltern A-bomb victim literature which failed to enter the literary world, an institutional area. Nevertheless, this study can indicate that it has challenged the universality of the Japanese literature and has potential to be resistance and engagement literature in the face of the atomic age in the 20th century. 본 논문은 점령기의 검열과 그 이후 원폭문학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전후 원폭문학이 검열에 의한 위축과 더불어 문학의 보편성을 전유한 문단의 문화권력 아래, 하위문학으로 배척되는 상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정리해 보면 첫째, 원폭문학은 검열과 감사한 폭탄이라는 원폭신화에 의해 위축되며 출판의 기회를 잃거나 자비 출판되고 있었다. 둘째, 당시 유럽의 앙가주망 문학이 시대의 위기에 저항하는 문학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일본의 전후문학은 보편적 문학을 옹호하는 문단을 등에 업고 화조풍월의 유희적, 사소설적 신변잡기에 머무는 전통적 문학의 진부성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후문학이 보편성을 획득하면서 원폭문학은 비참함이 전부인 문학으로 폄하되고 히로시마 문단에서 고립된 서벌턴 피폭자 문학으로 전락하고 있었다. 셋째, 1차에서 3차에 걸친 원폭문학 논쟁을 통해, 원폭문학은 체험의 공유가 개인에서 집단의 체험으로 계승되며 미래 문학으로서의 길을 열고자 하였다. 하지만 문학의 보편성에 기댄 히로시마 문단과 중앙문단은 원폭문학을 체험으로 간주할 뿐 문학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결국 원폭문학은 문단이라는 제도권 안에 진입하지 못하고 실패하는 서벌턴 피폭자 문학이 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폭문학은 일본문학의 보편성에 도전하고 있으며, 20세기 핵시대를 맞아 저항문학, 참여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원폭문학의 효시 하라 다미키(原民喜)의『여름 꽃(夏の花)』고찰

        이정희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7

        본 논문은 일본 원폭문학의 효시라 불리는 하라 다미키(原民喜)의 단편소설 『여름 꽃(夏の花)』을 고찰한 것이다. 무엇보다도『여름 꽃』은 작가의 원폭체험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작품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먼저, 일본에서 원폭문학이라는 장르가 언제 탄생했으며, 원폭문학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작품『여름 꽃』이 지니는 의미를 비롯하여, 작품 속 세계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을 위해 독서토론을 실시하였고 독서토론에 참가한 학생들과 자유롭게 토론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감상문을 함께 실었다. 이러한 작업은 필자가 원폭문학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연구 방향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원폭이 얼마나 무서운 존재이며 인간을 어떻게 피폐하게 만드는 가를 알리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This paper examines Hara Tamiki"s short story "Summer Flowers", which is called the Japanese Atomic Bibliography. Above all, “Summer Flowers” is highly regarded as a work containing the artist"s experience of the atom bomb. First, I looked at when the genre of atomic bomb literature was start in Japan and how the atomic bomb research was conducted. I examined the work world including the meaning of the work "summer flower". Finally, we held a reading discussion for this paper and presented the students" appreciation with free discussion wit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book discussion. This work not only helped writer to study atomic bomb literature, but also helped to determine the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한국의 원폭문학 고찰 - 『흉터의 꽃』을 중심으로 -

        이정희(Lee, Jung-hee) 국제언어문학회 2020 國際言語文學 Vol.- No.46

        1945년 8월 일본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원폭이 투하되어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무조건 항복을 결정했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원폭 투하로 인해 인류의 상상을 초월한 피해를 가져왔다. 수많은 사람들이 원폭병으로 죽어갔다. 일본에서는 작가들이 자신의 경험과 타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소설이나 시(詩)를 통해 원폭 이야기를 남겼다. 이렇게 해서 일본에서 처음으로 원폭문학이라는 장르가 탄생하였다. 이에 비해 원폭피해자가 일본 다음으로 많은 한국에서는 원폭을 다룬 문학 작품은 없었다. 그런데, 2017년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소설 형식으로 원폭피해를 다룬 작품 『흉터의 꽃』이 발표되었다. 한국 최초의 원폭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원폭문학이라고 하는 장르를 개척했다고 볼 수 있는 작가 김옥숙의 『흉터의 꽃』을 고찰한 것이다. 『흉터의 꽃』은 한국인 원폭피해자 가족의 3대에 걸친 이야기이다. 작품에 나타난 원폭피해 상황, 원폭피해자 가족들의 삶을 조명해 보면서 원폭이 얼마나 무서운 존재이며, 인간을 어떻게 피폐하게 만드는 가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더 이상 이 지구상에 원폭으로 인한 피해가 없기를 바라는 것이 본 논문이 지향하는 목표이다. In August 1945, the atomic bomb dropped in Hiroshima, and Nagasaki, resulting in Japan"s unconditional surrender World War II. Mankind"s first atomic bomb caused untold casualties and countless people died of even after the blasts due to acute radiation exposure. Later, authors began making presentations by using the materials and materials that they experienced in their experiences and artifacts they uncovered in the rubble. These efforts led to the creation of "Atomic Bomb Literatulre" or simply "Atomic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although Korea has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atomic bomb victims after Japan, there were no literary works dealing with atomic bomb. By the way, in 2017 in Korea, "Flower of Scar", a novel that deals with atomic bomb damage, was published in earnest. It is Korea"s first A-bomb novel. This paper analyzes the novel by the author Kim Ok Sook. I want to show how scary the atomic bomb is and how atomic bombs make humans exhausted by looking at the atomic bomb damage and the lives of the victims in the novel.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ope that there is no more atomic such bomb damage on this planet. Would like to tell you how destructive the atomic bomb is for humans. I want to let you know how atomic bombs make humans exhausyed by looking at the atomic bomb damage and the lives of the victims"s victims in het work.

      • KCI등재

        일본 현대문학에 있어서의 패전 (2) - 원폭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4

        <P>&nbsp;&nbsp;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무조건항복을 선언하고 종전을 맞이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이었다. 원자폭탄은 종전을 맞게하였을 뿐아니라 일본인의 정신세계에도 큰 충격을 안겨다주었다.</P><P>&nbsp;&nbsp;전쟁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자 일본의 일반 대중, 특히 지식인들은 전쟁을 일으키고 국민을 전쟁으로 내모는 군부와 정부에 대해서 반감과 분노를 느끼고 있었다.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지고, 당초 군부의 보도제한으로 신형무기라고만 알려졌으나, 원자폭탄임과 그에 의한 참상이 서서히 알려지게 되었다.</P><P>&nbsp;&nbsp;원폭체험자들은 수기 및 일기형식으로 많은 글을 남기고, 작가들은 그때의 기록을 소설로 발표하게 된다. 초기에 등장한 작품이 오타 요코의 「시체의 거리」와 하라 타미키의 「여름 꽃」이다. 히로시마에서 직접 체험한 작가들의 글은 히로시마의 참상을 수기에 가까운 소설로 발표하는데, 이 안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것은 ‘피해’의 고발이며 인간성, 존엄성의 철저한 ‘붕괴’이다. 이들의 기록은 원폭방지와 휴머니즘에 호소하는 생생한 기록이지만, 전쟁 가해자에 대한 판단은 보류되어 있다. 또한, 원폭에서 20년이 지난 시점의 이부세 마스지의 소설 「검은비」는 원폭후유증의 가진 사람들이 결혼 및 일상생활에서 지장을 받아 원폭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고, 향후에도 희망을 가져보기는 하지만 그 희망은 절망을 동시에 수반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P><P>&nbsp;&nbsp;원폭문학이라는 장르는 원자폭탄 투하라는 체험을 한 일본의 특수한 문학장르이다. 그 내용은 주로 원폭에 의한 참상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원폭문학으로 인하여 일본인들의 전쟁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전쟁 자체에 대한 거부나 전쟁을 일으킨 원인이나 군부에 대한 비판보다는 원폭투하 때문에 해를 입었다는 피해자의식이 강하게 부각된 것이다. 이로써, 태평양전쟁의 가해자였던 일본의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는 전쟁피해자로서의 의식이 뿌리박히게 되고, 원폭금지의 주장이 곧 ‘평화’라는 논리가 성립되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P>

      • KCI등재

        원폭문학에 나타난 원폭피해자의 삶과 환경 - 이성교의 「廣島(히로시마) 戀歌」를 대상으로 -

        최도식 ( Choi Dosik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본 논문은 이성교의 「광도(히로시마) 연가」 연작을 통해 원폭문학에 내재된 원폭 피해자의 삶과 환경을 고찰했다. 패전 후 일본은 원폭을 소재로 한 다수의 작품들이 생산되면서 원폭문학을 하나의 장르로 형성한다. 반면,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원폭희생자를 낸 원폭 피해국이지만 원폭과 관련된 작품이 드물며 논의도 희소한 실정이다. 원폭문학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인해 발생한 희생자와 생존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소재로 한 문학이다. 그러므로 원폭문학은 희생과 피해의 문학이며, 살아남은 생존자의 삶을 다룬 생존의 문학이다. 이에 본고는 이성교의 「광도(히로시마) 연가」 연작을 애도, 공포, 연민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첫째, 「광도 연가」는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로 인하여 희생된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는 애도의 시이다. 시인은 원폭 투하의 역사적 현장을 애도의 공간으로 형상화한다. 히로시마의 한인 원폭피해자들은 일본정부와 일본인들로부터 차별을 받으며 살아왔다. 시인은 일본이 평화기념공원을 조성하여 평화 올림픽, 평화 기념식 등을 거행하지만 그것은 일본의 평화요 일본인만을 위한 평화로 인식했다. 따라서 우리 동포는 여전히 진정한 평화를 기다리고 있다. 진정한 세계 평화를 바라며 시인은 죽어간 원폭희생자의 넋을 애도한다. 둘째, 이성교 시인은 원자폭탄이라는 반인간적인 무기가 공포의 대상이며, 그 공포로 인해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는 원폭 피해자의 삶을 형상화한다. 시인은 공포의 트라우마를 “아픈 나무”로 비유한다. 시인은 화염과 폭풍으로 도시가 파괴되고, 이후 불타는 도시에 검은 비가 내리듯 방사능재가 도시를 뒤덮는 핵 공포를 형상화한다. 핵 공포에 대한 이미지는 돈호법, 청각적 이미지 등으로 형상화된다. 시인은 원폭의 공포를 주로 ‘검은 비’, ‘불비’로 상징화한다. 시인은 원폭의 공포와 그 기억의 상흔을 고스란히 감내한 우리 동포들의 서럽고도 슬픈 마음의 상처, 그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할 진정한 평화의 구원자를 기대한다. 셋째, 한일 원폭피해자는 방사능 피폭이라는 동일한 경험과 그 경험에 따른 신체적 손상, 감각에 각인된 극심한 고통을 공유한다. 하지만 히로시마에 거주하는 한인 원폭피해자는 그 이중고를 넘어 일본인들로부터 받는 차별과 냉대라는 삼중고를 견뎌야만 했다. 이성교의 「광도 연가」는 육체적 고통, 정신적 상처, 일본인들로부터의 차별과 냉대라는 삼중고를 견디며 살아온 우리 동포들의 삶을 연민으로 노래한다. 그리고 그들의 삶을 연민의 감정으로 연대한다. 더욱이 그들의 서러운 삶, 초조하고 불안한 삶이 끝나지 않고 계속 지속되는 삶이라는 사실에 시인은 그들의 삶에 맺힌 것들이 한 순간이나마 풀어지기를 소망한다. 우리는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소가 없는 세상을 만들어 가야 한다. 핵무기, 원자력 발전소에 의한 방사능 피폭은 우리의 삶을 처참하게 짓밟는다. 바로 「광도 연가」는 원폭피해자의 비참한 삶을 통해 우리에게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소가 없는 세상을 주문하는 환경 경계의 기록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 life and environment of Atomic-bomb victims in Atomic-Bomb Literature of through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eries. After the defeat, Japan produced a number of works based on the atomic bomb, forming a genre of atomic bomb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Korea is the world's second victim of A-bomb, but the literature work related to A-bomb is scarce and the discussion hard find. Atomic Literature is a literature about the lives of victims and survivors of atomic bombs dropped on Hiroshima and Nagasaki. Thus, atomic bomb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sacrifice and damage, and the literature of survival.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d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eries in terms of mourning, fear, and compassion. First, “Hiroshima Elegy” is a poem of mourning for the souls of victims victimized by the Hiroshima atomic bomb. The poet portrays the historical scene of the atomic bombing as a space of mourning. In addition, Korean A-bomb victims of Hiroshima have lived in discrimination. The poet recognized that Japan established a Peace Memorial Park, held a Peace Olympics, a Peace Memorial, etc., but it was Japan's peace and peace only for the Japanese. Thus our Koreans are waiting for true peace. In hope of true world peace, the poet mourns the souls of the dead. Second, Lee Sung-gyo poets are feared by the anti-human weapon called the atomic bomb, and the fear embodies the life of the bomb victims who live with trauma. The poet likens the trauma of terror to a “sick tree”. And the poet embodies the nuclear fear of radioactive material covering the city, as if the city was destroyed by a fire and a storm, and then a black rain rains on the burning city. The image of nuclear horror is shaped by money protection law, auditory image, etc. And the poet portrayed the horror of the atomic bomb mainly as black rain or bull rain. The poet expects the sorrowful and sad wounds of our brethren who have endured the scars of that memory, the prophets of true peace that will touch their traumas. Third, the Korean and Japanese A-bomb victims share the same experience of radiation exposure, their physical damage, and the severe pains that are imprinted in their senses. However, the Korean bomb victim who lived in Hiroshima had to go beyond the double high and endure the triple highs of discrimination and coldness received by the Japanese. Lee Sung-gyo's “Hiroshima Elegy” sings with compassion the lives of our Koreans who have endured the triple pain of physical pain, mental wounds, discrimination and coldness. And they unite their lives with feelings of compassion. Moreover, the fact that their sorrowful life, anxiety and misgiving are endless and enduring, the poet hopes that the things in their lives will be released for a moment. We must create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and nuclear power plants. It is a record of a borderless environment that asks us to create such a world.

      • KCI등재

        일본 현대문학에 있어서의 패전 (2)

        정향재(Chung, Hyangj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4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무조건항복을 선언하고 종전을 맞이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이었다. 원자폭탄은 종전을 맞게하였을 뿐아니라 일본인의 정신세계에도 큰 충격을 안겨다주었다. 전쟁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자 일본의 일반 대중, 특히 지식인들은 전쟁을 일으키고 국민을 전쟁으로 내모는 군부와 정부에 대해서 반감과 분노를 느끼고 있었다.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지고, 당초 군부의 보도제한으로 신형무기라고만 알려졌으나, 원자폭탄임과 그에 의한 참상이 서서히 알려지게 되었다. 원폭체험자들은 수기 및 일기형식으로 많은 글을 남기고, 작가들은 그때의 기록을 소설로 발표하게 된다. 초기에 등장한 작품이 오타 요코의 「시체의 거리」와 하라 타미키의 「여름 꽃」이다. 히로시마에서 직접 체험한 작가들의 글은 히로시마의 참상을 수기에 가까운 소설로 발표하는데, 이 안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것은 ‘피해’의 고발이며 인간성, 존엄성의 철저한 ‘붕괴’이다. 이들의 기록은 원폭방지와 휴머니즘에 호소하는 생생한 기록이지만, 전쟁 가해자에 대한 판단은 보류되어 있다. 또한, 원폭에서 20년이 지난 시점의 이부세 마스지의 소설 「검은 비」는 원폭후유증의 가진 사람들이 결혼 및 일상생활에서 지장을 받아 원폭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고, 향후에도 희망을 가져보기는 하지만 그 희망은 절망을 동시에 수반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원폭문학이라는 장르는 원자폭탄 투하라는 체험을 한 일본의 특수한 문학장르이다. 그 내용은 주로 원폭에 의한 참상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원폭문학으로 인하여 일본인들의 전쟁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전쟁 자체에 대한 거부나 전쟁을 일으킨 원인이나 군부에 대한 비판보다는 원폭투하 때문에 해를 입었다는 피해자의식이 강하게 부각된 것이다. 이로써, 태평양전쟁의 가해자였던 일본의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는 전쟁피해자로서의 의식이 뿌리박히게 되고, 원폭금지의 주장이 곧 ‘평화’라는 논리가 성립되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t was the atomic bomb dropped at Hiroshima and Nagasaki that forced Japan to admit its defeat and end the World War Ⅱ. The nuclear attack not only ended the World War Ⅱ but also left a severe shock and scars in the minds of Japanese people. As the war persisted, the Japanese public, the intellects in particular, felt the resistance and anger toward the military and the government that waged the war and left its people in the pain of war. Everyone was eager to see the war end. When Hiroshima was hit by a nuclear bomb on August 6, 1945, it was just reported that a new type of weapon was used in that attack, due to the military’s embargo on the news, but it was gradually known to the public that the country was hit by a nuclear bomb and suffered serious consequences. Those who have seen and experienced the devastation in the aftermath of the nuclear attacks left records of their experience in the forms of diary and journals, and Japanese writers built on the records to write novels. The novels released in the initial stages included ‘Street of Dead Bodies’ by Ota Yoko and ‘Summer Flowers’ by Hara Tamiki. Writers who had the first-hand experience of nuclear attacks in Hiroshima described the devastating experience in their novels based on their own personal record. These novels focused on damages done by these attacks and the collapse of human nature and human dignity. ‘Black Rain’ by Ibuse Masuzi, which describes what happens 20 years later after the nuclear attack, shows how the attack inflicted upon the people in their daily lives and marriage. The literature of nuclear attack is unique literature genre that exists only in Japan as it is the only country that has such unique experience. This genre of literature generally describes the devastation in the aftermath of the attack. However, the nuclear literature also changedJapan’s attitude toward the war. In other words, it focused more on their sense of victimization as their nation was hit by America’s nuclear attacks, instead of opposing a war or blaming the Japanese military that waged the war in the first place. As a result, the general public of Japan began to see themselves as a victim of the war, and Japan argued for a ban on nuclear attack in the name of peace.

      • KCI등재

        일본 원폭문학에 나타난 조선인 표상 연구 -ほるぷ出版『日本の原爆文学 (全15巻)을 중심으로

        김경인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3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works included in the atomic bomb literature collection Japaneses Atomic bomb literature published by <Horupu publisher> in 1983, which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exposed Koreans and Koreans foreced into Japan within Japanese colonial era, and to analyze their representation patterns. For these, firstly I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e works related to the exposed Koreans, and secondly divided expressions about ‘Korean(Joseon people)’ and ‘the exposed Koreans’ used in those works into <direct> and <symbolic> expressions. Then, I analyzed the meaning of Japanese atomic bomb literature related to the exposed Koreans through these. As a result, the meaning of <direct and concrete representation> immediately indicates the exposure of Koreans, and the meaning of <symbolic representation> includes expressions that imply longing and resentment(Han) for their hometown, Korea and represents Koreans who could’t adjust into Japanese society. In addition, these expression shows that Japanese government and their society discriminate against Koreans who exposed by atomic bomb at not only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atomic bomb health-card, but also the exhibition data of the Atomic Bomb Museum in Japan. 본고는 1983년 일본의 ほるぷ出版에서 출간한 원폭문학집 日本の原爆文学 (全15巻)에 수록된 작품들 중 조선인 및 조선인원폭피해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들을 조사하고, 그들의 표상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인 및 조선인원폭피해 관련의 작품들에 어떤 것이 있고 내용은 어떤지를 정리하고, 거기에 사용되고 있는 표현들을 각각 <조선인>과 <조선인원폭피해>에 관한 직접적 표현과 상징적 표현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서 조선인원폭피해 관련 일본의 원폭문학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접적・구체적 표상>이 갖는 의미는 ①재일조선인의 피폭사실을 직접적으로 특정하고 있고, ②재일조선인의 당시 일본에서의 입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징적 표상>이 갖는 의미로는 ①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한을 함축하는 표현과 조선인 특유의 일본어에서, ‘조선인의 한과 일본사회에 융화하지 못하는 차별성’을, ②‘화상흉터’나 ‘조선인 징용공’ ‘경상남도(합천)=한국의 히로시마’ 등에서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의 조선인희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③일본 내의 피폭자원호와 원폭수첩 취득 과정, 심지어는 원폭자료관 전시자료에서 엿볼 수 있는 일본정부 및 사회의 조선인원폭피해자에 대한 차별과 수난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오염, 감염, 혐오 - 원폭소설로 보는 혐오 정동의 증식과 디스토피아문학

        李志炯 ( Jee-hyung Lee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翰林日本學 Vol.- No.39

        본 논문은 일본 원폭소설 작가 이노우에 미쓰하루(井上光晴) 작품 속 혐오 양상에 주목해 혐오가 타자 간, 이질적 소수자 간, 이질적 공동체 간에 이식, 증식되는 양상을 혐오의 오염과 감염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원폭소설의 디스토피아문학 규정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손의 집』(1960), 『지상의 무리들』(1963) 등 이노우에의 원폭소설은 혐오의 발생과 증식이 사회적 차별로 파급되는 과정과 구조를 여실히 보여준다. 피폭자의 ‘오염된’ 신체에 대한 ‘감염’의 공포, 유전을 통해 마이너 신체성이 자손에게 전파되는 것을 꺼리는 진화론적 본능이 맞물려 증폭된 혐오의 정동은 ‘결혼차별’ 등 피폭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을 야기한다. 혐오는 ‘피’를 매개로 특히 여성에게서 현재화된다. 출혈이 멈추지 않는 피폭 여성의 ‘유혈병’증상은 피, 분비물 등에 대한 역겨움에서 비롯된 혐오의 정동을 가속화해, 주체도 객체도 될 수 없는 존재 즉 비체(卑/非體, abject)로서의 여성 존재를 가시화한다. 마이너리티 공동체의 차이를 불문하고 혐오의 실상은 여성에게 더욱 가혹하다. 원폭과 원폭문학은 혐오와 차별이 소수의 예외적 존재들의 문제가 아니라 환경, 재난 등 외부적, 우연적 요인에 의해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보편적 문제임을 각인시켰다. ‘원폭과 그 이후’는 인간이 지향한 질서와 합리성이 교란, 전복됨으로써 인간의 자율성과 삶의 다양성이 부정되고 예측불가능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디스토피아의 특성과 부합한다. 이노우에의 원폭소설을 통해 확인되는 것은 원폭문학, 공해병문학, 포스트3.11문학 등을 디스토피아문학과 마이너리티문학의 횡단적, 융합적 관점에서 논해야 할 필연성이다. 피폭자, 피차별부락민, 조선인, 가쿠레기리스탄 등 마이너리티 공동체 간의 격심한 혐오 양상은 마이너리티 간 공감과 연대의 지난함을 확인케 한다. 그런 의미에서, ‘혐오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인간과 비인간, 인권과 탈인간중심주의가 양립 가능하게끔 사유하는 대전환의 인식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y of defining dystopian literature in the atomic bomb novel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sgust patterns in the work of Mitsuharu Inoue, a Japanese atomic bomb novel writer. In particular, the pattern of transplantation and proliferation of disgust between others, heterogeneous minorities, and heterogeneous communities was analyzed in terms of contamination and infection of disgust. Inoue's atomic bomb novels, such as House of Hands (1960) and Crowds on Earth (1963), clearly show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the occurrence and proliferation of disgust spreading to social discrimination. The intense hate between minority communities, such as atomic bomb victims, discriminated villagers, Koreans, and Kakure Kirishitan, confirms the difficulties of empathy and solidarity between minorities. And, hate is especially noticeable for women through ‘blood’. The atomic bomb and atomic bomb literature imprinted that hate and discrimination are not problems of a few exceptional beings, but universal problems that can be encountered by external and accident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 and disaster. ‘The atomic bomb and subsequent' ar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ystopia, which is characterized by unpredictability and denial of human autonomy and diversity of life by disrupting and overturning the order and rationality pursued by humans. What is confirmed through Inoue's atomic bomb novel is the inevitability to discuss atomic bomb literature, pollution disease literature, and post3.11 literature from a cross-sectional and convergent perspective of dystopian literature and minority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