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전해체 법제에 관한 시론적 고찰 ― 원전해체산업 기반 조성의 관점에서 ―

        윤혜선 ( Hye-sun Yoo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7 No.4

        최근 고리 1호기에 이어, 월성 1호기 조기폐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면서, 원전의 영구정지와 해체 이슈가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전해체에 대한 법제 연구와 정비도 추진되고 있다. 원전해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해체비용의 적립 및 관리제도는 2008년 「방사성폐기물 관리법」을 제정하여 마련하였고, 해체 안전규제의 틀은 2015년 「원자력안전법」을 개정하여 확립하였다. 2019년 4월 발표된 정부의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에도 제도기반 구축 사항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과는 원전해체를 위한 최소한의 법적 틀을 갖춘 것에 불과하다. 생소 할 뿐만 아니라, 많은 위험과 다양한 변수를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진 원전해체를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내실 있는 법제도적 준비가 필요하다. 더욱이 원전해체는 원전의 건설 및 운영과 다른 성질의 산업분야이고, 시기적으로 우리는 고리 1호기의 해체를 바로 목전에 두고 있으며, 무엇보다 우리나라와 원자력 분야에 있어서 경쟁력을 다투는 주요국에서 상업용 원전해체의 경험을 토대로 기술적, 산업적, 법제도적 자원을 축적해왔다는 현실을 고려하면 그 발걸음을 재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원전해체가 임박한 현실에서 그 수행 주체가 되어야 할 원전해체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요청되는 법제도를 정책적 관점에서 논하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원전해체의 개념과 체계를 개관하고, 원자력법체계 안에서 원전해체산업의 기반과 적절한 규제 환경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효성 있게 조성해 나가기 위해 가져야 할 관점(이를 ‘원전해체 관련 법제도 개발 지침’이라 한다)을 논하였다 (II). 다음으로 원전해체 관련 법제도 개발 지침에 따라 원전해체산업 기반 조성에 필요한 법제도 정비사항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법제도 정비사항은 진흥, 안전규제, 행정절차, 기타규제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검토를 수행하였다(III).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제시한 법제도 정비방안을 현행 원자력법체계에 부합하게 반영하는 방안을 살핀 후, 원전해체산업 진흥 수단의 도입을 위해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결론으로 글을 마무리하였다(IV). Following the recent shutdown decisions of Gori 1 reactor, the Korea’a first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 and Wolseong 1 reactor,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shutdown of nuclear power plants and their decommissioning. However, despite our rich history of nuclear power generation, the size of the nuclear industry and its international status, policy and strategic developments and legal studies on this latter stage of nuclear lifecycle have recently sprung up. The impetus was provided by the National Energy Commission’s recommendation to permanently shutdown the Gori 1 nuclear power plant, rendered on June 12, 2015. Only then, the Nuclear Safety Act was amended to introduce a basic regulatory framework overseeing the safety of nuclear decommissioning. Fortunately, the strategy for creating a decommissioning fund,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nuclear decommissioning, had been legislated in Article 17 under the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ct earlier in 2008. Although a basic legal framework for nuclear decommissioning has been set out, this is not yet sufficient.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before securing regulatory competence, technical capabilities and expertise to stably and safely carry out the decommissioning task This is especially so since the work is notoriously known to accompany unforeseeable risks and contingencies. Moreover, the size and competition in the international nuclear decommissioning market are ever growing without our presence as a competitive player, despite the fact that the time to start decommissioning of Gori 1 reactor approaches quickly at home. Thus, this article discusses and explores, with a clear aim to facilitate fostering a nuclear decommissioning industry in Korea, legal measures necessary to secure stability and safety of nuclear decommissioning, and addresses ways to introduce such measures to the established nuclear law regime. Specifically this article is organized into three main chapters: First, it generally overviews the concept and process of nuclear decommissioning, and proposes some guidance principle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legal system and/or measures for nuclear decommissioning. These principles will assist to see a complete picture that is created by interactions of the related legal systems so as to effectively, efficiently, and relative rapidly facilitate creation and promotion of a nuclear decommissioning industry in Korea, a new player in the international nuclear decommissioning market. (II). Next, legal measures that are necessary to forster a nuclear decommissioning industry are explored. These measure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promotion, nuclear safety regulation,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other regulations (III). Finally, it examines various ways to introduce these measures to the current Korean nuclear law system, and concludes with some recommendations for better improvements of the nuclear decommissioning law (IV).

      • KCI등재

        한국형 원전해체 추진체계 구축방향에 관한 해외사례 비교 연구

        김형국,김영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a number of important principles to consider in developing a national nuclear decommissioning system in South Korea, through analyzing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which have already been developing their own decommissioning systems. Decommissioning a nuclear facility is a challenging project from not only a technical but also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government’s role in setting up legal guidelines for such a project is crucial in creating a clean and safe facility which will maximize the safety of the general society as well as the facility’s workforce. A number of countries have already developed their unique nuclear decommissioning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ir national policy on nuclear power, as well as the capacities and limitations of their industrial environment. The five countries that have done so can be categorized in three ways: state-oriented, market-oriented, and mixed system. France and the U.K. have a system which brings the government directly into the project, using public resources, while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limit the government’s role to managing nuclear power plants’ owners’ activities in cleaning up already used nuclear facilities. The Japanese system allows the NPP owner to share the burden with public agencies in certain stage, such as that of waste management. Based on implications of case analysis, the paper suggests structural, financial, and social principles for establishing South Korea's national system for decommissioning nuclear facilities. 원전해체란 운영이 정지된 원전시설의 철거와 사후복원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장기간동안 고비용이 소요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한국은 2030년까지 12기의 원전이 해체대상이 되는만큼 해체사업에 대한 준비는 시급한 과제다. 하지만 원자력발전 분야의 주요 선진국과 달리, 한국의 원전해체 추진체계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의 원전해체 추진에 있어 제도적 차원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원전해체 분야의 주요 선진국인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 일본의 추진체계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형 원전해체 추진체계의 구축방향을 제시한다. 한국형 원전해체 추진체계는 구조적인 차원에서 행위자간 역할정립을 통해 책임을 분담할수 있는 추진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특히, 해체폐기물처리의 주체를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제적 차원에서 현실적인 기금조성과 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한수원의 독자적 해체기금 확보 외 추가적인 기금출처로서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의 해체사업 운용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차원에 있어 신뢰구축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해체사업 결과를 공개하여 투명성을 확보하는 한편, 주요 결정과정에서 공청회 등을 활용하여 사회참여 절차를 제도적으로 확립해야 한다.

      • KCI등재

        독일의 탈원전 및 원전해체 관련 입법의 법적 쟁점

        ( Ulrich Wollenteit ),박현정 ( Hyun Jung Park ),윤혜선 ( Hye-sun Yoo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0 No.1

        1960~70년대 원자력 발전(發電)이 도입된 이후 원전산업은 전세계적으로 롤러코스터와 같은 흥망성쇠의 역사를 반복하고 있다. 굴곡진 원전정책의 빠른 변화 속에도 여전히 탈원전 정책을 둘러싼 치열한 법적 논의들과 유효한 결정들이 다양한 함의를 제시하며 고유한 속도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관한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독일에서 찾을 수 있다. 본고는 변화무쌍한 원전정책의 기후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탈원전 정책의 법제화에 따른 법적 논쟁을 고찰하고, 탈원전 여부와 관계없이 새로운 현안으로 부상한, 원전해체 제도에 내재된 법적 이슈를 독일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먼저 독일 탈원전 정책의 발전 과정을 검토하였다. 이 치열한 과정의 맥락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역사적 관점과 정치적 관점에서 탈원전 논의의 전개 과정을 살피고, 탈원전 입법의 발전 과정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여파로 제정된 2011년 탈원전 법률(제13차 개정 원자력법)에 대하여 재산권 보호를 주장하며 제기한 원전사업자들의 불복사건에 대한 연방헌법재판소 결정과 그 연장선에서 문제가 되었던 제16차 개정 원자력법에 대한 연방헌법재판소 결정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원전의 단계적 폐지가 결정된 이후, 독일의 국가 원자력 정책의 우선순위 중 하나가 된 원전해체에 관한 독일의 법제도 형성 과정과 주요 내용을 검토하고, 원자력법의 원전해체허가 근거 규정을 둘러싸고 발생한 법적 문제에 대한 연방행정법원의 판단을 검토하였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nuclear energy in the 1960s and 1970s, the nuclear industry around the world has achieved a history of ups and downs like a roller coaster. Despite the rapid change of the curved nuclear energy policy, heated legal debates and litigations surrounding the nuclear phase-out policy are still developing at a unique pace, offering various implication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can be found in Germany.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debates over the legislation of the nuclear phase-out policy under the ever-changing climate of nuclear policies, and examines the legal issues inherent in the nuclear dismantling and decommissioning system, which has emerged as a new issue regardless of a political landscape of the nuclear energy policy. Specifically,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development process of Germany's nuclear energy policy.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xt of this process, both the historical and the political developments are observed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the evolution of the German nuclear law. Next,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s judgment on the complaint of nuclear operators against the 2011 Nuclear Phase-out Act (the 13th amendment of the Atomic Energy Act) enacted in the aftermath of the March 11, 2011 Fukushima nuclear accident is analyzed. Lastly, the German legal framework on the dismantling and decommissioning licensing scheme, which has become one of the priorities of the recent German national nuclear policy, is reviewed along with analyses of the Federal Administrative Court's judgment on its interpretation.

      • KCI등재

        원전 해체기술 획득에서의 지능정보기술의 역할과 연계방안 : 기술수요분석을 중심으로

        진상기,방민석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1 GRI 연구논총 Vol.23 No.4

        The issue of safe dismantling of nuclear power plants,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major energy source for the Korean economy, has been actively raised as a policy issue since entering the Moon Jae In government.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safe dismantling of nuclear power plants. To this end, a technology demand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expert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he nuclear dismantling industry, and elements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could be derived from the derived technology demands. It can be seen that the derived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s being combined with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s a way to secure the safety and reduce risks of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secure public trust, and upgrade existing technolog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openness and transparency can be secur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policy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building trust with the public.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에 들어서 활발히 정책이슈로 제기되는 원전해체에 필요한 기술수요를 분석하고 이와 연계할수 있는 지능정보기술의 역할에 대해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안전한 원전해체를 위해 요구되는 기술 중에 지능정보기술의 요소들이 무엇이 있고, 상호 간의 기술 연계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해체산업 관련 전문가들과 기관을 대상으로 기술수요분석을 하였고, 도출된 기술수요 중 지능정보기술 요소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능정보기술은 원전해체의 안전성 확보와 위험성 감소, 대국민 신뢰성 확보, 현존 기술의고도화 등을 위한 유용한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안전한 원전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R&D 정책과 원전 관련 산업육성 전략수립에 있어서원전해체기술과 지능정보기술의 기술적 융합을 사전에 고려하여 추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원전해체과정에 지능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계획수립 단계에서부터 정책과정의 효과적인 관리와 대국민 신뢰형성을 위한 개방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원전정책의 사회적 거래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점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벨기에의 탈원전 정책 전개 과정과 시사점

        ( Erik J. W. Laes ),( Ludo Veuchelen ),박현정 ( Hyun Jung Park ),윤혜선 ( Hye-sun Yoon ) 한국환경법학회 2021 環境法 硏究 Vol.43 No.2

        탈원전에 따른 예민한 정책적 쟁점들을 법제화하여 정책 추진의 기반을 마련하고 관련 소송을 거치면서 법률의 내용을 다듬어 나가고 있는 독일이나 벨기에와 달리, 국내 탈원전 정책은 2017년 이후 현재까지도 계획과 정책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탈원전 정책을 진정 실현하고자 한다면 정책 실현 방식과 과정에 대한 법적 연구, 특히 입법 과정과 소송 절차까지 아우른 통합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벨기에의 탈원전 정책 추진 사례를 검토하였다. 벨기에의 탈원전 정책은 2003년 「상업용 전력생산 중단을 위한 점진적 탈원전에 관한 법률」(2003년 탈원전법)과 「원전해체와 사용후핵연료 관리를 준비금에 관한 법률」(2003년 탈원전준비금적립법)로 법제화되었다. 2003년 탈원전법은 이후 2013년 및 2015년 두 차례 개정되었는데, 2015년 개정법(2015년 탈원전법)을 통해 원자로 2기의 가동연한을 연장하는 과정에서 벨기에 헌법재판소와 유럽 재판소의 판결을 통해 그 절차적 위헌ㆍ위법성이 확인되었다. 원자로의 가동연장은 원자로의 최초 건설과 마찬가지로 “부지의 물리적 측면에 변경을 가져오는 공사 또는 개입”으로서 유럽연합 환경영향평가지침의 적용대상이 되는 사업에 해당하며 환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위험을 내재하는 것이므로 위 지침에 따라 환경영향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함에도 환경영향평가를 거치지 않고 법률을 개정하였다는 것이다. 벨기에의 사례는 탈원전 법률의 제정이 탈원전 추진의 필요조건이지만, 그 법률의 지속적 집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환경과 기반의 조성 또한 필요함을 보여준다. 법률의 집행이나 개정 과정에서 직접적인 민주적ㆍ사회적 허가가 필요하고, 환경영향평가가 그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실무적 측면에서, 벨기에 사례는 다음 세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탈원전 정책 추진의 성패는 궁극적으로 원전해체 비용과 사용후핵연료 등 방사성폐기물의 처리ㆍ관리 비용 조달에 달려 있다. 벨기에는 탈원전 정책 추진 초기부터 이를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준비금을 적립ㆍ운용ㆍ관리하고 있다. 둘째, 벨기에는 가동연한이 만료되는 시점에 원전을 정지하는 접근을 취하여 원전사업자 배상ㆍ보상의 문제에서 벗어났으며, 정부와 원전사업자 간의 계약을 통해 수명연장으로 이익을 얻게 된 사업자의 부담금 지급의무와 의무불이행 시의 손해배상 기준 등을 정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법령이 아닌 계약의 방식으로 가동연장 또는 중단에 따른 구체적 문제를 정한 벨기에의 사례를 대안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벨기에 연방정부는 에너지 가격과 전력공급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공적 메커니즘을 운영함으로써 탈원전법 집행방식의 변화나 탈원전 정책의 수정에 대한 객관성과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공적 메커니즘은 탈원전 정책 추진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과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While Germany and Belgium are implementing their nuclear phase-out policy first by enacting the laws laying its foundation and containing the rules for sensitive political issues, and further by refining the contents of the laws that have been challenged by lawsuits, the domestic policy has remained at the level of planning and policy since 2017. If the current government is genuinely committed to the nuclear phase-out policy, it is imperative to explore effective methods and procedures from a legal perspective, especially from an integrated one that encompasses the legislative process and any potential litigation challenges. In this regards, this paper has case studied the Belgian approach towards the nuclear phase-out policy and how the Belgian government actually implements it. The Belgian nuclear phase-out policy was legislated into the Law of 31 January 2003 on the gradual phasing out of nuclear energy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electricity(hereinafter the 2003 Nuclear Phase-Out Law), and the Law of 11 April 2003, regulating the provisions for the decommissioning of Belgium’s nuclear power plants(hereinafter NPPs) and for the management of spent fuel from these NPP(the 2003 Provisions Law). The 2003 Nuclear Phase-Out Law was subsequently amended twice in 2013 and 2015. However, the 2015 Nuclear Phase-Out Law was annulled by the ruling of the Belgian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due to its procedural unconstitutionality and illegality in extending the life of the two oldest reactors in the country. Both Courts saw that as with the initial construction of a reactor, the extension of the two reactors with accompanying upgrades are the “construction or intervention that results in changes in the physical aspects of the site” containing risks of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and thus constitutes a project that is subject to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nder the EU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irective. The Belgian case study shows that a legislative ground for the nuclear phase-out policy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its implementation, but it also needs to create an foundation and environment to make it substantiable over time. A direct democratic and social permission is required in the course of the implementation or revision of such law,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an be the means. In addition, the Belgian case provides three implications: First,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nuclear phase-out policy ultimately depends on making sufficient provisions for the costs of nuclear decommissioning and disposal and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s such as spent nuclear fuel. Belgium has established a law just for that(the 2003 Provisions Law) since the beginning of implementing the policy, and has systematically accumulated, operated, and managed the funds. Second, Belgium took the approach of shutting down a nuclear power plant at the expiration of its operation period, thus escaping from the problem of compensation for damages and/or loss for the NPP operators. Instead the NPP operators need to pay a share of the profits gained by the life extension of the NPPs to the government. In that matter, the Belgian Legislature allowed to make an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NPP operators rather than to set rules in the statute or its statutory instrument. Third, the Belgian government sought to secure objectivity and justification for any changes in the implementing methods of or modifications on the Nuclear Phase-out Law by continuously operating public mechanisms to monitor energy prices and power supply stability. Such public mechanisms can contribute to enhancing social acceptability and confid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nuclear phase-out policy.

      • 원전해체시설 구조적 안전진단 선행 기술 및 연구 조사

        이상무 ( Lee Sang-moo ),최지수 ( Choi Ji-su ),최광복 ( Choi Gwang-bo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1

        전세계에서 운영 중인 원전은 약 450기이며, 이중 상당수가 수명이 다하였다. 이에 따라 원전 해체 시장의 규모가 2050년 약 500조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가 수명이 다해 영구정지 상태이며, 고리1호기의 해체비용이 약 8,129억원 정도로 추산되는 등 원전해체 산업은 오랜 시간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고도의 기술산업이다. 따라서 원전해체와 관련된 초기 시장 진출을 모색하기 위해서 전반적인 기술과 연구 중에서 우선적으로 원전해체 구조적 안전진단과 관련된 분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 KCI등재

        Suggestion of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

        ByeongIk Park,JuYoul Kim,Chang-Lak Kim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9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7 No.1

        원전 해체를 준비함에 있어 정성적 또는 정량적 위험도 평가는 필수요소이다. 해체 공정간 발생하는 방사선학적 및 비방사선학적 위험요소는 해체 작업자 및 대중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사전에 평가되어야 한다. 현재 해체 경험이 많은 미국의 기 존 사업자들 및 NRC의 경우 위험의 중대성만 평가하는 결정론적 위험도 평가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IAEA는 위험도 매트릭스를 활용한 위험도평가를 결정론적 위험도 평가의 대체안으로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평가에 앞서 해체 공정 별 해체 활동을 Risk Breakdown Structure에 맞추어 정리하였고, 미국 20여개 해체 원전에서 해체 공정별 위험도 평가 시행 중 선정한 해체 활동간 잠재적 사고를 해체 활동에 맞게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복합 리스크 매트릭 스를 개발 및 활용하여 해체 공정간 방사선학적 및 비방사선학적 위험요소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정량적으로 수치화 하였다.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should be prepar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isk assessment. Radiological and nonradiological hazards arising during decommissioning activities must be assessed to ensure the safety of decommissioning workers and the public. Decommissioning experiences by U.S. operators have mainly focused on deterministic risk assessment, which is standardized by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 and focuses only on the consequences of risk. However,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has suggested an alternative to the deterministic approach, called the risk matrix technique. The risk matrix technique considers both the consequence and likelihood of risk. In this study, decommissioning stages, processes, and activities are organized under a work breakdown structure. Potential accidents in the decommissioning process of NPPs are analyzed using the composite risk matrix to assess both radiological and non-radiological hazards. The levels of risk for all potential accidents considered by U.S. NPP operators who have performed decommissioning were estimated based on their consequences and likelihood of events.

      • KCI등재

        미국의 원전 해체관련 부지특성 및 최종상태 조사를 위한 방사성 오염 핵종 결정 방법에 대한 분석

        조붕비,전여령,김용민,이종세,안석영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6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4 No.3

        노후 원전 해체의 경우 부지 특성 및 최종 상태 조사 보고서에 해당 부지내 잔존가능성이 있는 방사성 핵종 정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미국 NRC의 경우 이에 해당하는 해체기술관련문서(DTBD)를 부지 특성 조사시에 부지이력조사(HSA) 와 같이 사업자 측이 제출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해체기술관련문서는 방사선학적 부지 조사와 해체완료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으로써 부지 규제 해제와 재이용에 관해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 논문은 부지 별 잠재적 핵종에 대해미국 원전의 해체 사례중 부지 특성 및 최종 상태조사 과정에서 결정하는 방법론을 분석하고 2017년 고리 1호기의 영구 운전정지 후 이루어질 해체 과정에 필수적인 규제 지침과 기술적 근거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For the decommissioning of a nuclear power plant, a site characterization and final status survey require a site-specific suite of radionuclides that could potentially still be present in the site during or after the decontamination processes. The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U.S. NRC) requires a Decommissioning Technical Base Document (DTBD) along with a Site Characterization and Historical Site Assessment (HSA) from the utility for decommissioning to proceed. Both the DTBD and HSA are preliminary components of the Radiological Site Survey investigation process and should be included in the final License Termination Plan (LTP) for site release and reuse consideration from the U.S. NRC and the utility company. This study reviews the United States Nuclear Power Plants (U.S. NPPs) decommissioning cases and is especially focused on the methodologies used for determining a site-specific suite of radionuclides before and during the site characterization and final status surveys. In 2017, Kori-1 will be ready for decommissioning and related preparations are ongoing, this review will help Korea to prepare regulatory guidelines and give technical background for the safe and successful decommissioning of NPPs.

      • 콘크리트의 제염기술 동향

        장인선,박규원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현재 중국을 제외한 전세계에서 가동중인 원전중 50% 이상이 운전을 시작한지 30년 이상으로, 앞으로 해체가 진행될 원전이 대부분이다. 우리나라 역시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수명연장이 없을 경우 10년 이내에 총 5기의 원전이 폐로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해체를 진행해야 한다. 가장 먼저 해체가 진행될 고리 1호기에서 나오는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양은 200L 드럼으로 14,500개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위한 처분 비용은 한수원이 제시한 원전 1기 해체 비용인 6,347억원의 40%에 해당된다. 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선 방사화된 콘크리트나 금속부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제염기술이 필요하다. 연구용 원자로인 트리가마크-II 및 III와 우라늄변환시설을 해체한 경험이 있지만 소규모 저방사능 시설에만 국한되어 있을 뿐, 원전처럼 방사성물질 농도가 높은 대규모 시설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다. 따라서 고리 1호기 해체 시 적용할 제염기술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외에서 개발 및 실증된 제염기술에 대해 알아보았다.

      • KCI등재

        Preparation of Radiologic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 in Korea

        Sang-Ho Lee,Hyung-Woo Seo,Chang-Lak Kim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8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6 No.1

        국내 최초의 상업원전인 고리1호기가 2017년 6월에 영구 정지되었다. 고리1호기 해체를 시작으로 한국은 원전 해체시장에 본격적으로 발을 내딛는다. 원자력발전소 해체를 위해서는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으며, 방사선환경영향평가 또한 그 중 하나이다. 방사선환경영향평가의 목적은 주변주민의 건강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해체 전 및 해체 중에 해당 시설에서 방 출되는 방사성물질로부터 주변주민이 받는 피폭방사선량이 규제 제한치를 초과하지 않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는 해체시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세부지침이 미비한 상황으로, 다수의 원전 해체 경험을 보유한 미국의 해체시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해체시 방사선환경영향평가 방안을 개발하였다. Kori unit 1, the oldest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 in South Korea, was permanently shut down in June 2017. There are a lot of things to consider in decommissioning nuclear power plants, and one of them is the radiologic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erformed to promote the health and safety of residents around the nuclear power plant, radiologic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ims to confirm that off-site radiological dose from radioactive material released from the facility does not exceed the regulatory criteria. There are three main par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edecommissioning environmental monitoring, environmental monitoring during decommissioning, and impact on nearby residents. At present, although the Korea Nuclear Safety Act stipulates that radiologic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sulting from decommissioning should be carried out, the details have not been specified. Therefor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guidelines for evaluation of radiological environmental impacts of nuclear power plants overseas, and presents a draft on the assessment of radiological dose resulting from decommissioning according to the Korean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