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위 요골 골절과 동반된 척골 골절의 치료

        김재광(Jae Kwang Kim),김종오(Jong-Oh Kim),윤여헌(Yeo-Hon Y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2

        원위 요골 골절 중 약 5-6%에서 원위 척골 골절이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고령의 골다공증 환자에서 빈번하다. 원위 요골 골절의 고정 후 원위 척골 골절이 안정된다면 석고 고정만으로 치료도 가능하지만, 원위 척골 골절부에 부정 정렬이 있어나 불안정성이 있을 때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원위 척골 골절의 수술적 방법으로는 K-강선, 골수강 내 금속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과 척골두 절제술이나 Sauve-Kapandji 술식과 같은 구제술 등이 있다. 척골 경상돌기 골절은 약 50%의 원위 요골 골절에서 동반된다. 이 골절은 수술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약 50-70%에서는 유합되지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최근 원위 요골 골절 치료로 잠김 금속판을 사용한 문헌 보고들은 척골 경상돌기 골절의 존재나 그 크기가 손목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Approximately 5-6% of distal radius fractures have a concomitant distal ulnar fracture, this incidence is more frequent in osteoporotic elderly patients. When the distal ulnar fracture is stable after fixation of the distal radius fracture, the distal ulnar fracture can be managed with cast immobilization. However, when the distal ulnar fracture shows malalignment or instability, an operative method should be used. The operative method for distal ulnar fracture includes internal fixation using a K-wire, intramedullary nail, or plates and salvage procedures including ulnar head resection or Sauve-Kapandji procedure. Approximately 50% of distal radius fractures are combined with ulnar styloid process fracture. Although approximately 50-70% of ulnar styloid process fractures result in nonunion if they are not treated by an operative method, they tend to be asymptomatic. Recent studies of distal radius fracture treated using a volar locking plate have generally reported that neither the presence nor the size of concomitant ulnar styloid fracture has an effect on clinical outcome.

      • KCI등재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원위 요골 골절에서 제한적 배측절개를 이용한 치료

        오범석,최윤락,고일현,오원택,김남후,강호정 대한수부외과학회 2018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16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 involving sigmoid notch fracture, who were treated by limited dorsal approach retrospectively. Methods: Between June 2003 and December 2013, 743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Among them, 16 patients received conventional treatment, with additional limited dorsal approach. The fracture patterns involved sigmoid notch with dorsal lunate fossa depression, as well as distally displaced dorsal rim fragment. Radiologic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dorsal tilt, radial inclination, and radial shortening.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grip strength, motion range of the wrist joint, arm disabilities, shoulder & hand (DASH)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Results: The average radial inclination was 21°, with 5.6° of volar tilt and 0.1 mm of radial shortening.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ere 42.6° of flexion, 56.5° of extension, 23.4° of radial tilt, and 24.8° of ulnar tilt. The average grip strength was 81.3% of the opposite side. The average VAS and DASH scores were 1.1 and 21.3,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e case of sigmoid notch fracture involving dorsal lunate fossa depression fractures and distally displaced dorsal rim fractures, we were able to reduce and fix the fragment conveniently using limited dorsal approach. 목적: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관절 내 원위 요골 골절에 환자 중 제한적 배측 접근 술식으로 치료한 16례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3년 6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743명의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중 16례에서 기존의 술식에 추가적으로 제한적 배측 접근 술식을 시행하였으며, 골절양상은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배측 월상골와 함몰 골절, 후방벽의 골편이 원위로 이동한 경우였다. 수술 후 요골 경사와 수장측 경사, 척골변이 등을 측정하여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관절운동범위 및 악력, VAS score와 DASH score를 사용하여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요골 경사는 평균 21도 수장측 경사는 5.6도, 척골 변이는 0.1 mm였다. 관절운동범위는 굴곡 및 신전은 평균 42.6도, 56.5도였으며, 요측 및 척측 변위는 평균 23.4도, 24.8도였다. 악력은 술 후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81.3%였다. VAS score는 평균 1.1점, DASH score는 평균 21.3점이었다. 결론: 요골 절흔 골절을 동반한 배측 월상골와 함몰 골절, 후방벽의 골편이 원위로 이동한 경우 등에서 제한적 배측 접근 술식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골편의 정복과 고정을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원위 요골 골절에서 외고정술 및 원위 요척 관절에 대한 핀고정술의 효용성

        이승환,윤상필,송경섭,이수건,임상윤,이영태 대한수부외과학회 2015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0 No.1

        목적: 원위 요골 골절 환자의 수술적 치료에서 K-강선을 이용한 원위 요척 관절의 핀고정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해 K-강선을 이용한 핀고정과 외고정을 시행한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원위 요골에 대해서만 핀고정을 시행한 그룹(pinning on distal radius only [PD] 그룹)과 원위 요골과 원위 요척 관절에 핀고정을 시행한 그룹(pinning on distal radioulnar [DRU] 그룹) 간에 방사선학적 결과와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외고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23명의 환자는 PD 그룹에 속하였고, 15명의 환자는 DRU 그룹에 속하였다. 방사선학적 계측상 DRU 그룹에서 요골 높이와 요골 경사각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군 간에 척골 변위, 배측 경사, 관절면의 부조화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임상적 결과에서는 DRU 그룹에서 수부에 파악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군 간에 운동 범위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원위 요골 골절에서 원위 요척 관절의 핀고정술은 요골 단축을 방지하기 위해 유용한 술기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icacy of percutaneous pinning of distal radioulnar joint in patient with distal radius fracture. Methods: Thirty-eight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pinning and external fixation for distal radius fractur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pinning on the radius only (PD group) and the patients with supplementary pinning on distal radioulnar joint (DRU group) after percutaneous pinning on the radius. External fixation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Results: Twenty-three patients were PD group and fifteen patients were DRU group. Radial height and radial inclin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RU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lnar variance, volar tilt and articular step off between two groups. Among the clinical outco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nge of motion between two groups but grip strength was significantly larger in DRU group. Conclusion: Percutaneeous pinning with K-wires on distal radioulnar joint in distal radius fracture can be a useful procedure for prevention of radial shortening without loss of range of motion of the wrist.

      • KCI등재

        원위 요골 골절의 역학 및 계절별 발생 빈도

        이호재(Ho-Jae Lee),한수홍(Soo-Hong Han),조용길(Yong-Gil Jo),이수현(Soo-Hyun Lee),봉선태(Sun-Tae B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의 원위 요골 골절의 발생에 있어서 계절별 발생 빈도 및 역학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내원한 432명의 원위 요골 골절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 환자들의 연령, 성별, 수상 기전, 골절의 양상, 동반 골절, 치료 방법 및 계절, 월별 발생률을 포함하는 역학적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3세(남성은 41.6세, 여성은 64.5세)였다.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나이대는 50-60대였으며 (45.2%), 남녀비는 1.0:2.5였다. 저 에너지 손상에 의한 경우가 78.4%였으며, 가장 흔한 동반 골절은 척골 경상돌기 골절(38.6%)이었다. AO 골절 분류에 따르면 type A가 54.5%로 가장 많았으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39.2%였다. 월별 유병률은 11월(12.1%)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12월(14.2%)에 절정을 보였다. 결론: 이 연구는 국내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역학적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원위 요골 골절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생활 양식의 변화와 함께 노령화되어 가는 한국인에서의 원위 요골 골절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is one of the most common fractures encountered in the emergency room. The incidence of distal radius fracture has increased substantially according to several studies that estimated the overall incidence in various general population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epidemiological data regarding distal radius fracture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pidemiology and seasonal variance of incidence of distal radius fractures in the Korean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the 432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for distal radius fractures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uthors analyzed the epidemiologic parameters including age, gender, injury mechanism, fracture classification, combined fracture, treatment method and monthly incidenc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injury was 53 years (41.6 years in 171 men, 64.5 years in 261 women). The highest incidence in age distribution was the sixth and seventh decade (45.2%)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0:2.5. Most fractures (78.4%) were caused by a lower energy fall and the most common combined fractures were the ulnar styloid fracture (38.6%).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54.5% were type A, 14.5% were type B and 31.0% were type C and 39.2% of the patient underwent surgery for treatment. The incidence of fracture began to rise in November (12.1%) and peaked in December (14.2%).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epidemiology and seasonal variance of incidence of distal radius fractures from the patient records of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The epidemiological data gathered in this study could be added to our knowledge of distal radius fractures in the Korean population, thus it enables the Korean surgeon to determine the best management for individual patients.

      • KCI등재

        수장측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문은선(Eun-Sun Moon),신영주(Young-Joo Shin),김명선(Myung-Sun Kim),김성규(Sung-Kyu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3

        목적: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해 수장측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치료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수장측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 치료를 받은 7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2명, 여자가 41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5.5세(17-85세), 평균 추시 기간은 25.5개월(6-64개월)이었다. AO 분류상 A형 골절이 18예(A2.1: 2, A2.2: 4, A3.2: 4, A3.3: 8), B형 골절이 5예(B1.1: 1, B3.2: 2, B3.3: 2), C형 골절이 50예(C1.1: 1, C1.2: 1, C1.3: 1, C2.1: 1, C2.3: 2, C3.1: 15, C3.2: 20, C3.3: 9)였다. 임상적 결과는 Green & O‘Brien’s scoring system 및 Demerit point system을 이용하였고, 술 후 고정기간을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방사선학적 지표들(요골 길이, 요골 경사각, 수장측 경사각, 척골 변위)을 측정하고, Sarmiento criteria로 평가하였으며, AO 분류 기준과 골밀도에 따라 원위 요골 골절을 분류하여 각각의 군에 따라 임상적 결과와 수술 전,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상의 여러 방사선학적 지표들의 변화 정도를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Green & O‘Brien’s score에서 우수 46예, 양호 17예, 보통 9예, 불량 1예로 임상적 결과는 양호 이상이 86.3%였으며, Demerit Point system에서는 우수 50예, 양호 16예, 보통 7예로 양호 이상이 90.4%였다. 술 후 평균 2.2주간의 수장부 석고 부목 고정 후 관절 운동을 시작할 수 있었다.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Sarmiento criteria상 우수 36예, 양호 21예, 보통 16예로 방사선학적 결과는 양호 이상이 79.5%였다. 수술 전후 비교에서 요골 길이, 요골 경사각, 수장측 경사각 및 척골 변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향상되었으며(p<0.05). 수술 직후 및 최종 추시상 비교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변화는 없었다. 또한 골절 유형 및 골밀도에 따른 임상적 결과 및 요골 길이, 요골 경사각, 수장측 경사각과 척골 변위의 집단 내 그리고 집단 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원위 요골 골절에서 수장측 잠김 금속판 고정술은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며, 골절 유형 및 골밀도에 관계없이 술 후 정복 소실이 거의 없는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s by using volar locking plates. Materials and Methods: There were 73 consecutive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s treated by open reduction internal fixation using a volar locking plate.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5.5 years (range: 17-85 years): the study included 41 women and 32 men. The mean duration of follow up was 25.5 months (6.1-63.7 months). There were 18 type A, 5 type B, and 50 type C fractures by AO classification. For clinical evaluation, Green & O‘Brien’s modified scoring system and Demerit Point system were used. For radiological evaluation, radiographic index (radial length and radial inclination, volar tilt and ulnar variance) and Sarmiento’s Criteria for Anatomic results were assessed. And, clinical results, the difference of mentioned radiographic index at preoperation, and immediat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were compared according to AO classific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Results: Clinical results by the Green & O‘Brien’s scoring system were as follows: 46 excellent, 17 good, 9 fair, 1 poor by demonstrating more than good results in 86.3% of all cases. According to the Demerit point system, there were 50 excellent, 16 good, and 7, which showed more than good results in 90.4% of all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Sarmiento Criteria showed 36 excellent, 21 good, and 16 fai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al length, radial inclination, volar tilt and ulnar variance (p<0.05), wherea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ose at immediat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results, measurements of radial length, radial inclination, volar tilt and ulnar variance between intragroup and intergroup, or in immediat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according to fracture type and BMD. Conclusion: Volar locking plate fixation for distal radius fracture offers rigid fixation with insignificant reduction loss. It enables early rehabilitation and showed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It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regardless of fracture type and osteoporosis.

      • KCI등재

        원위 요골 골절의 비수술적 치료: 언제, 어떻게?

        신영호 ( Young Ho Shin ),윤준오 ( Jun O Yoon ),김재광 ( Jae Kwang Kim ) 대한골절학회 2018 대한골절학회지 Vol.31 No.2

        원위 요골 골절의 상당수는 안정형 골절이고, 고령의 환자에서는 불안정형 골절이라도 수술적 치료를 통한 골절의 정확한 정복이 곧 좋은 기능적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닌 것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비수술적 치료는 여전히 중요한 치료 원칙이다. 수상 직후 및 정복 후 시행한 방사선 소견에서 보이는 원위 요골 관절면 후방 경사, 요골 단축, 후방 골피질 분쇄, 관절내 골편의 전위, 척골의 골간단 골절 동반, 원위 요골의 전단 골절, 원위 요척 관절의 골절 탈구 등을 확인하여 보존적 치료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환자의 연령, 활동 정도 및 기저질환, 환자가 골절 회복 후 바라는 활동 정도 등에 따라 그 기준을 유연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보존적 치료 시 고정 기간은 감입 골절이나 최소 전위 골절에서는 3-4주, 전위 골절에서는 5-6주 정도 시행할 것으로 권장하고 있다. 전위 골절을 정복한 경우는 수상 후 2-3주 동안 매주 방사선 촬영을 하여 골절 부위의 재전위 및 변형 여부를 확인, 필요 시 수술적 치료로 치료 방침을 바꿔야 한다. 수상 후 손목의 부종을 막기 위해 손을 거상하는 것이 중요하고, 수지 강직을 막기 위해 중수지 관절을 포함한 손가락 운동을 지속하도록 하여야 한다. 계획된 고정이 끝난 후에는 손목 관절에 대한 적극적인 움직임을 통하여 관절 운동 범위를 회복하도록 하여야 한다. Distal radius fractures are a common upper extremity fracture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patients have a stable fracture. In the treatment of distal radius fractures, there is considerable disagreement regarding the need for a strict anatomical restoration with operation in elderly patients. Therefore, nonsurgical treatment is a still important treatment option in distal radius fractures. The radiological parameters of before or after manual reduction are important for deciding whether to perform operation or not. The radiological parameters include dorsal angulation of the articular surface, radial shortening, extent of dorsal comminution, intra-articular displacement, concomitant ulnar metaphyseal fracture, shear fracture, and fracture-dislocation of the distal radio-ulnar joint. In addition, clinical situations of patients, including age, activity level, underline disease, and recovery level, which the patients wish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For the duration of a splint or cast, three to four weeks are recommended in impacted or minimally displaced fractures and five to six weeks in displaced fractures. After reduction of the displaced fractures, patients should undergo a radiologicical examination every week to check the redisplacement or deformity of the fracture site until two or three weeks post trauma. Arm elevation is important for controlling fracture site swelling and finger exercises, including metacarpophalangeal joint motion, are needed to prevent hand stiffness. Active range of motion exercise of the wrist should be initiated immediately after removing the splint or cast.

      • KCI등재후보

        원위 요골 골절의 수장측 잠김 금속판 고정에서 원위 나사못의 개수에 따른 방사선학적 결과

        최현철,이주엽,정준영,박일중,정양국 대한수부외과학회 2014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of distal locking screws affected the final radiologic results after volar plate fixation for distal radius fractur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identified 176 patients (male, 36; female, 140; aver- age, 60 years) who had distal radius fractures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volar plate fixation between 2011 and 2012. The number of screws used for dis- tal fixat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rgeon’s preference and the type of plate used. Radiologic parameters and their displacements were measured post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up. The results of using 4 or 5 distal locking screw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using more than 6 distal locking screw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splacement in fracture fragment when using 4 or 5 distal locking screws compared with using more than 6 distal locking screws. Mean displacement in ulnar variance was 0.6 mm in group with less than 5 screws, and the displacement was 0.4 mm in group with more than 6 screws (p=0.772). Secondary displacement was not correlated with fracture type or the number of distal locking screws. There was no fixation failure during the study period. Conclusion: It seems that 4 or 5 distal locking screws are strong enough to pre- vent a significant loss of fracture reduction. Filling every distal screw hole is not recommended to limit cost and avoid extensor tendon complications. 목적: 원위 요골 골절의 수장측 잠김 금속판 고정에서 원위 나사못의 개수에 따른 방사선학적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수장측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원위 요골 골절을 치료하고 3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76명의 환자(남자 36명, 여자 140명, 평균연령 60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원위부 잠김 나사못의 개수는 술자의 선호도 및 기구의 종류에 따라 결정하였다. 수술 직후 및 최종 추시 시 요골 길이, 요골 경사, 수장 경사, 척골 변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원위 나사못의 개수가 5개 이하인 그룹과 6개 이상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방사선학적 인자에서 원위 요골의 전위 정도는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원위 나사못의 개수가 5개 이하인그룹의 척골 변위는 평균 0.6 mm, 6개 이상인 그룹은 평균 0.4 mm로 양 군 간에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772). 골절의 전위 정도는 골절의 형태나 원위 나사못의 개수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골절의 고정 실패가 발생한 경우도 없었다. 결론: 원위 요골 골절의 수장부 잠김 금속판 고정술에서 원위 잠김 나사못은 5개 이하로도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으며, 6개 이상의 원위 나사못 삽입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개방성 관절내 분쇄 원위 요골 골절에 1차적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판 내고정 수술

        이준구 ( Jun-ku Lee ),이순철 ( Soonchul Lee ),조원민 ( Weon Min Cho ),길민규 ( Minkyu Kil ),한수홍 ( Soo-hong Han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1

        목적: 개방성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수술 술기의 적용은 술자의 경험과 선호에 따라 달라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AO-OTA 분류 C3 원위 요골 골절에서 일차적 관혈적 정복 및 수장판 금속 고정술을 한 그룹을 폐쇄성 그룹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본 후향적 연구는 2010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AO-OTA C3원위 요골 골절만을 포함하였다. 전체 13예의 개방성과 203예의 폐쇄성 원위 요골 골절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환자 특성 및 치료 관련 요인에 대한 데이터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로 골유합 시간을 확인하였고, 기타 요골 높이, 요골 경사, 수장측 경사를 측정하였다. 최종 추시 관찰에서 손목 ROM, VAS 점수 및 기능에 대한 MMWS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개방 골절 환자는 평균 62세로 폐쇄 골절 환자 평균 57 세보다 나이가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개방형 환자에서 더 긴 항생제 치료와 입원 기간을 보였다. 요골 경사에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평균 3도 차이로 임상적 의미는 크지 않았다. 다른 방사선학적 비교 항목 및 손목 관절 범위와 기능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개방형 그룹에서 심부 감염을 포함한 합병증 역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술자의 경험과 판단에 의거, 개방성 관절내 분쇄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즉각적인 관혈적 정복 및 수장 금속판 내고정술은 심부 감염을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폐쇄성 관절내 분쇄 골절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re are no standard surgical treatments for open distal radius fractures (DRFs), and the fracture fixator is chosen by the surgeon’s own experience. This study compared the outcomes of open reduction and volar locking plating (OR VLP) between closed and open AO-OTA type C3 DRF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8. Only patients aged >18 years with AO-OTA C3 DRFs were included. After further exclusion, the patients with DRF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3 patients with open DRFs in Group 1 and 203 patients with closed DRFs in Group 2. Data on the patient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related factors were further investigated. For the radiological evaluation, the radial height, volar height, and volar titling were measured based on the final plain radiography, and the union time was measured. The wrist range of motion (ROM), pain visual analogue scale score, and modified Mayo wrist score for function were measured at the final outpatient follow-up. Finally,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OR VLP fixa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the demographic comparison, the patients with open fractures were older (mean age, 62 years) than those with closed fractures (mean age, 57 years),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atients with open DRFs had longer antibiotic therapy and hospital stay durations. Although they presented a higher radial inclin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linical implication was low with a mean difference of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remaining radiological parameters, wrist ROM, and functional scores. An open DRF did not increase the complication rates, including deep infection. Conclusion: Depending on the expertise of the operating surgeon, the primary OR VLP fixation in open intra-articular comminuted DRF did not increase the incidence of deep infections and yielded similar outcomes to a closed intra-articular comminuted DRF.

      • KCI등재후보

        원위 요골 골절에서 도수 정복 및 석고 고정 치료의 결과: 배측 골간단 분쇄가 방사선학적 및 기능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경민규,전인호,정호욱,김진삼,준탄,이준범,박호연 대한수부외과학회 201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and the radiographic and functional outcomes of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s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cast immobilization. Methods: Twenty-six patients with acute distal radius fractur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an age of this patient group was 62.8 years (range, 45-87years). Eighteeen cases were AO type-A3 and 8 were AO type-A2. Radiographic and functional parameter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he patients who presented with or without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on their initial radiographs in order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s. The radiographic parameters included radial inclination, radial length, volar/dorsal tilt, and ulnar variance. In order to measure the functional outcomes, each patient’s range of motion,grip strength,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SAH), visual analog scale (VAS), and Mayo score were determined. Results: Seventeen patients (65%) presented with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on the initial radiographs. Radial inclination, radial length, and volar/dorsal tilt were decreased and ulnar variance was increased on the final radiographs in comparison with the postreductio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at presented with or without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p>0.05). None of the functional parameters (i.e.,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DASH, Mayo, and VAS score)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seems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radiographic and functional outcomes when closed reduction and cast immobilization was planned for the treatment of distal radius fracture. 목적: 배측 골간단 분쇄가 있는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분쇄여부와 방사선적, 기능적 결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1 12월까지 본원에서 원위 요골 골절 진단 받은 후 도수 정복 및 석고 부목 치료를 받은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45세부터 87세까지였고, 평균나이 62.8세였다. 환자들의 원위 요골 골절은 AO type A2 18예, AO type A3 8예였다. 임상적 결과 확인하기 위해 배측 골간단 분쇄가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을 나누고, 두 집단에서 방사선학적 변수와 기능적 변수를 분석하였다. 방사선적 변수에는 요골 경사각, 요골 단축, 요골 요배측 경사, 척골 변위를 포함하였고, 기능적 변수로 관절운동범위, 악력,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 hand (DASH),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Mayo score를 측정했다. 결과: 총 17명 (65%)의 환자에서 초기 엑스레이 영상에서 배측 골간단 분쇄가 있었다. 방사선적 결과는 외래 추시 중 시행한 마지막 방사선 촬영과, 도수 정복 직후의 방사선 촬영에서 요골 경사각, 요골 단축, 요골 배측 경사, 척골 변위를 비교하였고, 두 집단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p>0.05). 두 집단 사이의 기능적 결과로 관절운동범위, 악력, DASH, VAS score,Mayo score를 비교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원위 요골 골절 뒤 도수정복 및 석고부목 치료받은 환자에서 배측 골간단 분쇄는 방사선적, 기능적 결과에 영향을미치지 않는다.

      • KCI등재후보

        원위 요골 골절에 동반된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손상 및 월상삼각 인대 손상

        김병성(Byung-Sung Kim),이광원(Kwang-Won Lee),김하용(Ha-Yong Kim),최원식(Won-Sik Choy),이성훈(Sung-H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4

        목적: 원위 요골 골절에서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및 월상삼각 인대 손상과 골절 양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위 요골 골절로 본원에서 치료한 3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골절선의 월상와 및 원위 요척 관절 침범 여부, 척골 경상돌기의 크기와 전위 정도, 요골 후방 경사각 빛 척골 변이를 측정하였다. 관절경 소견은 주상월상 인대 및 월상삼각 인대와 삼각섬유연골 복합체의 손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요측부(radial rim) 파열 및 월상삼각 인대 손상 빈도는 월상와(lunate facet)의 침범이 있는 군이 침범이 없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척골 경상돌기의 크기 및 전위 정도와 수상 당시 요골 후방 경사각, 척골 양성 변이 정도 그리고 골절선의 원위 요척 관절 침범 여부는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빛 윌상삼각 인대 손상 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원위 요골 골절과 동반된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요측부 파열과 월상삼각 인대 파열은 삼각골에 가해지는 척골두의 축성 압박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골절 선이 월상와를 침범한 원위 요골 골절에서는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요측부 및 월상삼각 인대 파열이 잘 동반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tern of fractures and associated intra-articular soft tissue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study of 31 patients treated for distal radius fracture. Radio-graphic evaluation included ulnar styloid process fracture, dorsal anglulation and ulnar variance. We observed TFCC injuries, scapholunate and lunotriquetral ligament injuries by arthroscopy. Results: The incidence of TFCC radial rim tear and lunotriquetral ligament injur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e punch fractures with lunate facet involvement than in fractures without lunate facet involvement (p<0.05). But, the size and displacement of the ulnar styloid process, dorsal anglulation, and ulnar positive variance, and fractures involving the DRUJ had no relationship with TFCC and lunotriquetral ligament injuries (p>0.05). Conclusion: The TFCC radial rim and the lunotriquetral ligament may be injured by axial compression loading of the ulnar head on the triquetrum. TFCC radial rim tear and lunotriquetral ligament injuries must be kept in mind in die punch fractures with lunate facet invol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