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圓覺寺13層塔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

        남동신(南東信) 국립중앙박물관 2021 미술자료 Vol.- No.100

        본고는 원각사탑에 대한 지난 백 년간의 근대 학설사를 층수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성찰하 였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근대 개항기에 조선을 여행한 서양인들이 종래 한성의 ‘非美’내지는 흉물로 간주되던 원각사탑을 한성의 ‘奇觀’내지 ‘偉觀’으로 재발견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추적하였다. 이들 은 불탑에 관한 예비지식이 거의 없는 서양 출신이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원각사탑에 대하여 객관 적인 견문기를 남길 수 있었는바, 그들이 접촉한 조선 지식인들을 통하여 대체로 13층설을 받아들 였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대한제국 선포 이후 일인 관변학자들이 원각사탑을 본격적으로 학술 조 사하고, 일제식민기 동안 조선총독부가 원각사탑을 문화재로서 관리하는 과정 및 그 문제점을 언급 하였다. 특히 지난 100여 년 동안 원각사탑 층수 문제에 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세키노 타 다시(關野 貞)의 학설이 10층설에서 13층설로, 다시 다층설로 변하는 문제를 집중 조명하였다. 마지 막으로 제Ⅳ장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62년까지 원각사탑에 대한 인식이 다층설에서 10층설로 바 뀐 경과를 정리하되, 선행하는 일제식민기 조선 지식인들의 인식이 13층설 일변도였음을 특기해두 었다. 다만 1962년 이후 지금까지 원각사탑에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성과가 적지않이 발표되었지만, 층수에 관한 한 대부분 1962년에 확정된 10층설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따로 정리하지 않았다. 학설사 검토의 결과, 원각사탑이 13층탑으로서 건립되었다는 근거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일제 시기는 물론 해방 이후 지금까지 백 년이 넘도록 13층설은 단 한 번도 공인받지 못하였으며, 학계에 서 층수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각사탑과 경천사탑이 10층 탑이라는 현재의 통설은, 백 년 전에 세키노 타다시(關野 貞)가 최초로 주창하였다. 세키노는 원각사 에 남아있는 「원각사비」가 글자를 거의 판독할 수 없을 정도로 마멸이 심하였기 때문에 원각사탑의 현상만 건축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10층탑이라고 주장하였다. 공교롭게도 그 직후에 발견된 『속동 문선』에 실린 「원각사비」에서 ‘탑 13층을 세웠다.’라는 구절이 확인되었다. 또한 15세기 후반 왕명으 로 『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한 편찬자들도 원각사탑의 모범인 경천사탑 또한 ‘13층탑’임을 분명히 인식 하고 있었다. 특히 원각사탑 건립 직후 왕명으로 건립된 「원각사비」는 세키노의 10층설이 전제에 오류가 있음 을 명백히 보여준다. 세키노는,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 올려져 있어서, 세상 사람들이 13층탑 이라고 불렀다.’라고 하였는데, 「원각사비」는 세조가 처음부터 13층탑으로서 원각사탑을 건립하였음 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다만 이례적이게도 13층탑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을 올린 형태로 조성 하였을 따름이다. 그렇다면 세조는 왜 13층탑을 세웠으며, 왜 그것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라는 이례적인 국문초록 52 美術資料 제100호 2021 형태로 구현하였는가? 세조가 원각사13층탑을 건립한 의도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먼저 원각사탑의 정체를 파악해야 하는바, 그 첫 단추는 원래의 명칭을 회복하는 데 있다. 필자는 전제의 오류 위에 구축된 세키노의 10층설―나아가 절충적인 다층설―은 이제 폐기하고, 「원각사비」에서 말하는 13층 설을 복원할 것을 촉구한다.

      • KCI등재

        <용궁부연록>의 창작과 원각사(圓覺寺) 낙성회(落成會)

        정규식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interpret the significance of <Yonggungbuyeongrok> by focusing associations between the creation of the novel and Kim Si-seup’s participation in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Wongak Buddhist Temple. King Sejo’s reconstruction of the Wongak Buddhist temple was a Buddhist project that had diverse political meanings. In order to overcome the illegitimacy of his regime and firmly maintain his power, the king took a variety of political actions. One of them was to implement Buddhist projects. Among those projects, the most important was reconstructing the Wongak Buddhist temple. Kim Si-seup was invited to the event celebrating the reconstruction, and after a while, he created a series of five novels one of which is <Yonggungbuyeonrok>. Thus, this study started from raising a question that asks whether the novelist’s writing of <Yonggungbuyeonrok> is associated with his participation in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temple. To get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 Chapter 2 examined implications that King Sejo’s reconstruction of the Wongok Buddhist Temple may have. And Chapter 3 considered <Yonggungbuyeonrok> by relating it to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temple. Discussions in Chapter indicated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Wongak Buddhist temple was a project through which King Sejo strongly intended to strengthen his political position. Chapter 3 clearly suggested it is possible that different scenes depicted in the novel such as performing palpung and gugong dances at the event named Yunpilyeon, Han Saeng’s inspecting the palace of the Sea King and giving gifts by the Sea King to Han Saeng as a part of send-off may be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the banquet during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Wongak Buddhist temple in which Kim Si-seup participated, Sangharama in the temple and conferring docheop, or Buddhist certificates by King Sejo. Considering this possibility, Chapter 4 interpreted implications that <Yonggungbuyeonrok> have in the following. In the novel, Han Seang finally left for mountains presumedly because the upset of Confucian orders at Yunpilyeon and the Sea King’s suppressive ruling by force made him realize that he’s nothing but being vulnerable there, so he could not do anything and that the ultimate pursuit by him is out of the objects, or in natural things like mountains and waters. This may properly reflect inner emotions that Kim Si-seup had in mi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Wongak Buddhist temple. 본고의 목적은 <용궁부연록>의 창작과 김시습의 원각사(圓覺寺) 낙성회(落成會) 참석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작품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다. 세조의 원각사 중건(重建)은 다양한 정치적 의미를 지닌 불사(佛事) 행위이다. 그는 정권의 부당성을 극복하고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정치적 행보를 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가 불사였다. 세조의 불사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원각사 중건이다. 그리고 그곳에 김시습이 초청되었고 그는 거기에서 돌아 온 후, 얼마 뒤에 『금오신화』를 엮었다. 따라서 본고는 <용궁부연록>의 창작과 김시습의 원각사 낙성회 참석이 일정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 않을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2장에서는 원각사 중건의 의미를 살폈으며, 3장에서는 <용궁부연록>의 작품 세계를 원각사 낙성회와 연관해서 고찰하였다. 2장의 논의 결과, 세조의 원각사 중건은 결국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한 불사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3장에서는 작품에 등장하는 윤필연(潤筆宴)의 팔풍무(八風舞)와 구공무(九功舞) 장면, 한생의 용궁 구경 장면, 용왕의 환송 선물 등이 각각 원각사 낙성회의 연회, 원각사의 가람, 세조의 도첩 수여 등과 연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을 바탕으로 4장에서는 작품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한생이 산으로 간 것은 윤필연에서 유학적 질서가 전도된 상황을 접하고 용궁 구경을 통해 용왕의 강력한 패도정치를 확인함으로써 이러한 세계에서는 스스로가 어떠한 역할도 할 수 없는 무기력하고 나약한 존재라는 점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는 낙성회를 통해 세조의 강력한 패도정치를 확인한 김시습 자신이 궁극적으로 지향할 것은 산수를 통한 물외라는 깨달음으로 인해 현실 세계를 떠나려는 의지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 세계는 원각사 낙성회를 중심으로 펼쳐진 세조의 불사 정치에 대한 김시습의 내면 의식을 반영한 결과이며 이것이 <용궁부연록>의 창작 의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圓覺寺址 十層石塔의 西遊記 浮周 硏究

        신소연(Shin Soyeo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49

        1348년에 건립된 敬天寺 十層石塔과 1467년 건립된 圓覺寺址 十層石塔은 다층다각의 석탑으로 각층마다 다양한 도상을 갖춘 독특한 형태의 대리석 석탑이다. 참배자의 눈에 잘 띄는 기단부 중대면석 전체와 상대면석의 두 장변에는 소설 『西遊記』의 내용이 부조로 남아 있다. 현장은 인도에서 수많은 경전을 가져왔으며 譯經작업을 통해 중국의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한 역사적인 인물로, 업적과 명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그의 求法行 역시 전설화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예가 바로 明代 吳承恩의 『西遊記』이다. 경천사 석탑의 건립연대를 통해 석탑의 서유기 부조의 내용 전개는 元代 『서유기』에 근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경천사 석탑의 서유기 부조는 10여 장면만이 남아 있으며 석탑 전체가 해체ㆍ복원되어 보고서 간행 작업중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경천사 석탑과 도상이 동일하며 22장면이 모두 잘 남아 있는 원각사지 석탑의 부조를 중심으로 서유기 부조를 살펴보았다. 현존하는 원대 『서유기』는 잔편만이 남아 있으나, 고려시대 중국어 회화 교본인 『朴通事』를 언해한 『朴通事諺解』에는 원대 『서유기』의 항목과 내용이 잘 남아 있다. 이를 명대 『서유기』의 내용과 비교하면 『서유기』의 기본적 내용과 구성이 이미 원대에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석탑 부조의 내용은 唐을 출발하여 靈鷲大會에 도착하기까지 현장이 겪는 다양한 사건을 묘사하였다. 부조에는 출발의 계기가 된 당 태종의 無遮大會와 송별 장면이 있으며, 현장의 제자들이 등장하고, 火焰山이나 車遲國 일화처럼 현장이 겪은 모험담과 경전을 얻어 돌아와 證果를 얻는 장면이 나열되어 있다. 각 부재의 내용은 명확하지만 그 배치 순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배열로 보기 어렵다. 부조면의 길이가 긴 동서남북의 정중앙에 위치한 부재들만을 별도로 본다면 시계반대 방향으로 내용이 전개되는 반면, 나머지 다른 부재들의 장면만을 놓고 볼 때는 시계방향으로 진행되어 내용 전개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전개 방향은 남측 남면의 귀환 장면과 북측 북면의 출발 장면을 혼동한 결과로 보인다. 만약 북측 북면과 남측 남면 장면을 바꾼다면 동측부터 탑돌이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출발’, ‘모험’, ‘취경’, ‘귀환’이라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러한 중앙 면석 중심의 전개 방식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순차적인 배치라기보다는 효과적인 이야기 전달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서유기 부조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면 경천사 석탑의 부조는 입체적인 데 비해 원각사지 석탑은 평면적이다. 또한, 경천사 석탑은 꼼꼼한 세부 묘사가 특징인 반면, 원각사지 석탑의 부조는 동일한 도상임에도 생략되거나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 이는 원각사지 석탑이 경천사 석탑을 모방하여 만들었으나, 제작 당시 도상에 대한 이해는 낮았음을 알려준다. 서유기 부조는 여러 장면에 걸쳐 내용을 표현한 것으로 후대 『서유기』에 수록된 판화의 형식과 매우 유사하다. 경천사 석탑과 원각사지 석탑의 서유기 부조를 통해 명대 통속소설인 『서유기』 판화의 원형이 원대에 성립되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 서유기 부조는 스투파에 새겨진 불전이나 본생담과 같은 서사 부조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통속소설로 알려진 『서유기』의 내용이 석탑의 기단부에 부조된 이유는 『서유기』의 내용이 참배자에게 공덕을 쌓아 깨달음을 얻은 현장과 그의 제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證果라는 종교적 메시지를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장이 증과를 얻는 장변은 상대면석의 나한상 중에 위치해 있다. 송대 이후 현장을 나한 중의 한 명으로 인식하기도 하는데, 서유기 부조 역시 이러한 전통이 이어진 결과로 보인다. 조선시대 왕실이나 궁궐 건축의 지붕 위에 있는 잡상의 명칭이 『서유기』의 주인공인 현장 일행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서유기』 등장인물이 지니는 벽사적인 상징적 의미가 석탑의 부조에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close examination of the Xiyouji reliefs calved on the ten-story pagoda at the Wongak Monastery and define its significance and function. Xuanzang (玄?), one of the most well-known Chinese monks. made pilgrimage to India between AD. 629 to 645. On his return, he brought massive volumes of Buddhist scriptures and devoted the rest of his life in translating the texts. Xuanzang's successful nip and remarkable accomplishment in Buddhist studies led to the mystification of the monk himself and his religious journey. Xiyouji (西遊記) or Journey to the West, a novel written by Wu Chengen (吳承恩), is the most widely known story of Xuanzang wth his four disciples. In the story. Xuanzang travels toward the Leiyin Monastery (雷音寺) in Mt. Vulture (靈鷲山) to obtain Buddhist scriptures for the people in me East. The ten-story pagoda at the Gyeongcheon Monastery (敬天寺), built in 1348. is significant as to the formation of Xiyouji and its pictorial translation in the Yuan dynasty. The form and decoration of this marble pagoda was repeated in the pagoda built at the Wongak Monastery (圓覺寺) in 1467 by order of King Sejo (世祖, r. 1417-1468). On each monument Xiyouji story is represented in 22 scenes in relief sculpture. Twenty scenes are located in the middle parts and two scenes are in the upper parts of the foundations. Except for some stylistic differences. the depictions on the two marble pagodas are almost identical. As the pagoda of Gyeongcheon Monastery were seriously damaged.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appearance of the pagoda and the arrangement of the stone pieces. On the contrary, the pagoda of the Wongak Monastery maintains its original form. Hence, this paper focuses on Xiyouji reliefs on the pagoda at the Wongak Monastery. When collaborating with several versions of Xiyouji, the episodes of Xiyouji reliefs on the pagoda are similar to the contents in Paktongsa eonbae (朴通事諺解), which records the storyline and several episodes of Yuan version of Xiyouji. This identification is significant since it suggests that the relief sculptures on the Wongak Monastery pagoda can be related to the prototype of Wu Chengen's Xiyouji in the Ming dynasty. Moreover, the selected scenes and compositions in the relief sculptures also appear similar to the woodblock print of the novel of the Ming Compared with the relief on the pagoda of Gyeongcheon Monastery, the relief on the pagoda at Wongak Monastery is bas-relief and it lacks three-dimensional effect and fineness of detail. While the story of each relief scene is easily identifiable, the order of the scenes reveal some discrepancies, being inconsistent with the general order of the depiction from departure. adventures, obtainment of scriptures and return. Based on the size and placement of each relief piece, it seems that the relief of the departure' scene in the north and that of return in the south have changed. When these two pieces are replaced by one another the sequence of the story becomes clear starting from the east side and ending in the north. This arrangement also accords with the directions in the traditional way of viewing scroll paintings and the circumambulation of the pagoda. The inclusion of the popular literature Xiyouji in the sacred construction of pagoda can be justified by the pious nature of the story in which Xuanzang pursues enlightenment with great determination and effort When walking around the pagoda, worshipers would have seen the story of Xuanzang making virtuous deeds and learn important teachings of Buddhism. The scene of Xuanzang's enlightenment is located among the scenes of Luohans in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Considering that Xuanzang was considered as one of Luohans since Song dynasty. the effectiveness of Xuanzang relief on this pagoda is comparable to those on Fan pagoda in Kaifeng. Besides being exemplary Buddhist practitioners, Xuanzang and his four disciples also functioned as powerful guardians. Con

      • KCI등재

        민족예술전당의 꿈, 1958년 圓覺社 재건과 벽화 제작

        황정연 미술사연구회 2024 미술사연구 Vol.0 No.46

        본 논문은 이인직이 1900년대 초 종로에서 운영한 원각사에 가려 실체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을지로 원각사’의 재건 과정과 내부에 그려진 벽화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을지로 원각사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극장인 원각사를 계승해 명칭을 그대로 사용했으며, 제1공화국이 역점적으로 추진한 「정부수립 제1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958년 건립되었다. 그러나 개관한 지 2년만에 火魔 속으로 사라지면서 그 존재와 가치가 오래도록 잊혀 왔다. 원각사는 당시 사업을 주관한 공보실의 首長을 역임했고 연극계, 미술계와 친분이 있던 오재경이라는 인물이 주도해 ‘민족예술의 전당’을 실현시킬 목적으로 건립을 추진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가 벽화를 구상하게 된 배경으로 1958년 6월에 열린 한국의집 개관 1주년 기념 書畵揮毫會가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파악했다. 아울러 남아있는 사진과 영상자료 등 시각물을 바탕으로 원각사 내부에는 총 7점의 그림이 있었으며, 이 중 6점은 김은호·이상범·허백련·김기창· 변관식·김용진이 그린 付壁畵이고 한 점은 작가가 특정되지 않은 대형 액자그림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하지 못했으나 작가들의 회고록과 영상자료를 통해 노수현·박노수·배렴·이응노 등 몇몇 화가들의 그림 역시 원각사 로비와 복도, 계단 등에 걸려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원각사 벽화는 부벽화 형식으로 높이 약 5m에 가까운 대형 화폭으로 제작되었다. 당시로서는 동양화가들이 거의 처음으로 그린 대형 화폭이었으며, 소재나 표현이 화가들의 창작활동에 있어 대표성을 지닌 작품들이라는 점, 변관식·김기창처럼 전환기 화풍양식 또는 향후 그러한 활동을 예견한 작품들을 선보였다는 점에서 회화사적 의미가 크다. 비록 원각사 벽화는 1960년 화재로 소실되어 실물 확인이 불가능하지만, 조선 말기~1950년대에 활동한 서화가들이 국가의 주문을 받아 거의 마지막으로 제작한 대형 회화이자, 단발성인 전시회와 달리 대중성, 공공성이 지속된 극장이라는 장소의 성격상 이들의 이름과 작품을 대중들에게 각인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construction process and the wall paintings inside the homonymous edifice rebuilt in the Euljiro area of Seoul in 1958 after the original Weongaksa National Theater operated by Lee In-jik in the Jongno area was destroyed in a 1914 fire. The erection of the ‘Euljiro Weongaksa’ came into being as one of the projects that the First Republic of Korea (1948-1960) put into motion in commemoration of the 1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but the value of the new theater as well as the very fact of its existence have long since faded from memory due to the building in question also being lost to fire. This paper analyzes photographs and video records from 1958-1960 and confirms that there were seven paintings in total placed inside the Weongaksa National Theater. Six of the seven were the respective works of Kim Eun-ho, Yi Sang-beom, Hoe Baek-ryeon, Kim Ki-chang, Pyeon Kwan-sik, and Kim Yong-jin, while the remaining work was a framed painting by an unknown artist. Standing at five meters in height, these pieces were affixed wall paintings (Bubyeokhwa) completed on paper and later attached to their hanging surfaces. The Weongaksa wall paintings carry significance in that they were the first of their kind to be housed in a Korean national theater; they were representative of the styles of the participating artists in terms of material and mode of expression; and they were instrumental in using the public space of the theater to render traditional paintings visible to an audience whose attention had been largely captured by Western style paintings.

      • KCI등재후보

        세조의 원각사13층석탑 건립과 그 의미체계

        남동신 국립중앙박물관 2022 미술자료 Vol.- No.101

        Completed in 1467,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is the last Buddhist pagoda erected at the center of the capital (present-day Seoul)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commissioned by King Sejo, the final Korean king to favor Buddhism.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King Sejo’s intentions behind celebrating the tenth anniversary of his enthronement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in the central area of the capital and the enshrinement of sarira from Shakyamuni Buddha and the Newly Translated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 This paper provides a summary of this examination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second chapter of the paper discusses the scriptural background for thirteen-story stone pagodas from multiple perspectives. I was the first to specify the Latter Part of the Nirvana Sutra (大般涅槃經後分) as the most direct and fundamental scripture for the erection of a thirteen-story stone pagoda. I also found that this sutra was translated in Central Java in the latter half of the seventh century and was then circulated in East Asia. Moreover, I focused on the so-called Kanishka-style stupa as the origin of thirteen-story stone pagodas and provided an overview of thirteen-story stone pagodas built around East Asia, including in Korea. In addition, by consulting Buddhist references, I prove that the thirteen stories symbolize the stages of the practice of asceticism towards enlightenment. In this regard, the number thirteen can be viewed as a special and sacred number to Buddhist devotees. The third chapter explores the Buddhist background of King Sejo’s establishment of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I studied both the Dictionary of Sanskrit-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Terms (翻譯名義集) (which King Sejo personally purchased in China and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King Sejo involved himself in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into Korean. The Dictionary of Sanskrit-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Terms was published in the fourteenth century as a type of Buddhist glossary. King Sejo is presumed to have been introduced to the Latter Part of the Nirvana Sutra, the fundamental scripture regarding thirteen-story pagodas, through the Dictionary of Sanskrit-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Terms, when he was set to erect a pagoda at Wongaksa Temple. King Sejo also enshrined the Newly Translated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inside the Wongaksa pagoda as a scripture representing the entire Tripitaka. This enshrined sutra appears to be the vernacular version for which King Sejo participated in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Furthermore, I assert that the original text of the vernacular version is the Abridged Commentary on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略疏疏) by Zongmi (宗密, 780-841), different from what has been previously believed. The final chapter of the paper elucidates the political semantic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Wongaksa pagoda by comparing and examining stone pagodas erected at neungsa (陵寺) or jinjeonsawon (眞殿寺院), which were types of temples built to protect the tombs of royal family members near their tomb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hese stone pagodas include the Thirteen story Pagoda of Gyeongcheonsa Temple, the Stone Pagoda of Gaegyeongsa Temple, the Stone Pagoda of Yeongyeongsa Temple, and the Multi-story Stone Pagoda of Silleuksa Templ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stone pagodas reveals that King Sejo established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at Wongaksa Temple as a political emblem to legitimize his succession to the throne. In this paper, I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 scriptural and political semantics of the Wongaksa pagoda as a thirteen-story pagoda. By providing a Korean case study, this attempt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pagoda culture ... 1467년에 완성된 원각사13층석탑은 한국 역사상 최후의 호불군주에 의한 최후의 도성불탑이다. 필자는 세조가 즉위 10년을 맞이하여 都城 중심부에 13층석탑을 세우고 탑에 釋迦舍利와 함께 ‘新譯圓覺經’을 봉안한 뜻을 세조의 관점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머리말에 이어 제II장에서는 13층탑의 경전적 배경을 다각도로 고찰하였다. 특히 필자는 13층 건립의 직접적인 소의경전으로서『大般涅槃經後分』을 최초로 발굴하고, 이 경전이 7세기 후반 중부 자바에서 번역되고 동아시아에 유통된 사실을 추적하였다. 아울러 13층탑의 기원으로서 이른바 카니시카양식의 탑을 주목하고 동아시아와 한국에서의 13층탑 조성 사례를 개관하였다. 그리고 불교 문헌을 탐색하여 ‘13층’이 깨달음[Buddha]으로 나아가는 수행 단계를 상징함을 입증하였다. 확실히 ‘13’은 불교도에게는 매우 특별하면서도 신성한 숫자라 할 수 있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세조의 원각사13층탑 건립의 불교적 정치적 함의를 탐색하였다. 불교적 함의와 관련해서는, 세조가 중국에서 직접 구입하여 조선에 최초로 유통시킨 『翻譯名義集』과, 그가 최초의 한글 번역에 직접 개입한 『圓覺經』에 주목하였다.『번역명의집』은 14세기에 출현한 일종의 불교 용어집인데, 세조는 원각사탑을 창건할 무렵 이 문헌을 통하여 13층탑의 소의경전인 『대반열반경후분』을 알았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한편 세조는 대장경 전체를 상징하는 단일경전으로 ‘신역 원각경'을 원각사탑에 봉안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그가 최초의 한글 번역에 깊이 관여한 『원각경언해』였다. 아울러 『원각경언해』의 저본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宗密의 『圓覺經略疏』임을 밝혔다. 원각사탑 건립의 정치적 함의와 관련해서는, 조선 초 왕실의 陵寺(또는 眞殿寺院)에 세워진 석탑-敬天寺13層石塔, 開慶寺石塔, 衍慶寺石塔, 神勒寺多層石塔-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세조가 자신의 왕위계승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정치적 상징으로서 원각사13층석탑을 건립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고에서 필자는 13층탑으로서의 원각사탑의 의미체계를 온전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여말선초 정점에 달한 불탑 문화를 이해할 뿐 아니라, 카니시카대탑에서 기원하고 『대반열반경후분』에 근거하는 동아시아의 13층탑을 연구하는 데 한국적 연구모델로서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초창기 창극의 공연양상 재고찰 -협률사와 원각사의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김민수 국립국악원 2013 국악원논문집 Vol.27 No.-

        In this paper, I will confirm the following information by grasping the aspects of Changgeuk performances of Wongaksa and Hyupryulsa. And I would like to set the period from 1902 when Heedae was established as the first indoor theater in Kyungsung until 1909 when did not show changgeuk performances in Heedae anymore. Hyupryulsa(協律舍) used the inside theatre 'Heedae(戱臺)' and it managed singers for external Pansori performances. Especially, it made changgeuk(唱劇, the Korean classical opera) as a new style of pansori performance that singers sang separately by their roles. However, because in absence of female singers in that period, there were only male singers for traditional changgeuk performance, and the other conditions were also not prepared yet. As the works of changgeuks in that period, there were Chunhyangga, Simcheongga, Huayoungdo-taryoung (ballad). Changgeuk performances in Hyupryulsa were helpful for preparing for making the changgeuk frame. Wongaksa was a group that concentrated on Changgeuk performance from the establishment, and it organized Changbu and Gagi(the singing kisaeng) as its member including the master singer Kim Chang Hwan who lead Changgeuk performances in Hyupryulsa. From the establishment, Wongaksa performed the traditional changgeuk Chunhyangga, Simcheongga, Hwayongdo which Hyupryulsa already performed. In addition, they also performed new Changgeuk pieces such as Heungboga and Sugungga. Furthermore, not like Hyupryulsa that performed only Changgeuk of traditional Pansori, Wongaksa showed the improved aspects by performing Unsaegae(a silver world) and Chuninbong using props on the stage under the name of new theatre. 본고는 1902년 경성 최초의 실내극장이었던 ‘희대’의 설립과 더불어 시작된 창극공연에서부터 ‘희대’에서 더 이상 창극공연이 확인되지 않는 1909년까지로 한정하여 이 극장을 중심으로 공연활동을 전개하였던 협률사와 원각사의 창극공연양상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하였다. 전통연희단체였던 협률사는 최초로 판소리에서 파생되어 창자들이 배역에 따라 분창하는 창극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공연을 선보였다. 창극의 등장은 실내극장무대에 일정한 규칙을 부여하였는데 전통연희공연을 앞과장과 뒷과장으로 나누고 앞과장에는 여러 전통연희와 함께 판소리 중 한 대목을, 뒷과장에서는 창극을 공연하는 변화를 가져왔다. 이 시기 창극은 판소리를 단지 막과 장으로만 나눈 형식으로 극의 구색만을 갖춘 형태였으며 창극을 위한 공연무대의 제반조건도 전혀 갖추지 못하였다. 또한 초기 협률사의 창극공연에는 대명창 김창환을 위시하여 남성창자들이 배역을 분담하여 공연하였다. 창극에는 지금의 ‘도창’처럼 전체적 소리를 이끌어 가는 ‘창군’이 존재하였고 판소리인 <춘향가>ㆍ<심청가>ㆍ<화용도타령> 등의 작품이 창극으로 공연되었다. 원각사는 설립 초부터 창극공연에 치중했던 단체로 구성원도 협률사에서 창극공연을 이끌었던 대명창 김창환을 필두로 창부와 노래하는 가기들로 조직되었다. 설립이후 원각사는 협률사가 공연했던 창극 <춘향가>ㆍ<심청가>ㆍ<화용도>를 재공연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이외에도 <흥보가>와 <수궁가>를 공연하며 새로운 창극작품을 추가하였다. 나아가 전승되던 판소리만을 창극으로 공연했던 협률사와는 달리 신연극이라는 미명아래 창작극 <은세계>와 <천인봉>을 선보였으며 창극무대에서 소품을 사용하고 협률사시기보다 좀 더 향상된 면모를 보였다. 협률사와 원각사에 의해 선보이고 연행되었던 초창기 창극은 지금의 창극공연과 비교해 볼 때 단지 판소리를 여러 명이 나누어 부르는 기초적인 형태에 불과했다. 그러나 협률사와 원각사에서 창극공연을 주도했던 대명창 김창환과 여러 판소리창자들은 아직 연극분야도 정착하지 않았던 시기에 실내극장이라는 생소한 공연무대에서 판소리와 극이 합해진 새로운 공연형태인 창극으로 판소리 다섯 바탕을 모두 공연하였으며 나아가 창작극까지 시도하는 빠른 적응력을 보였다. 이렇게 실내극장 ‘희대’를 중심으로 협률사와 원각사가 전개했던 초창기 창극은 그때까지 전통연희 일색이었던 우리의 공연무대에 또 다른 종목으로서 입지를 다지며 전통연희공연의 중심에서 새로운 활력으로서의 역할을 해 주었다.

      • KCI등재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이용한 탑 다라니 콘텐츠 제작 및 활용

        이기옥(Ki Ok Lee),박성은(Sung Eun Park),이용규(Yong Kyu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1

        최근에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문화 콘텐츠 산업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 반면에 불교 문화재 콘텐츠시장은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대부분의 문화재가 불교 문화재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재로서의 원형 보전이나 복원 및 디자인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이용한 탑 다라니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불교 디자인과 불교 문화재 콘텐츠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이용한 탑 다라니를 디자인하고, 이를 이용한 탑 다라니 콘텐츠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탑 다라니 콘텐츠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불교 문화재 콘텐츠 활성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While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plays main role in global contents market recently, the market of Buddhist cultural property contents is still in insufficient state. Specially, despite most cultural properties is Buddhist cultural property in Korea, there is a lot of difficult problems in preserving, restoring and designing its prototype as cultural property. So, this research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t design and Buddhist culture contents by developing the Pagoda Dharani contents using the Ten-storied Stone Pagoda on the Site of Wongaksa. The first thing is designing the Pagoda Dharani using the Ten-storied Stone Pagoda on the Site of Wongaksa. Also, using the Pagoda Dharani, we design and implement the Pagoda Dharani contents on the web. In this paper, by using the proposed the Pagoda Dharani contents, the previous activation problem of the Buddhist culture contents can be resolved.

      • KCI등재

        圓覺寺10層石塔 16佛會圖의 圖象特徵 : 漢城의 朝鮮初期 彫刻 The sculpture of Hanseo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文明大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구 한국미술사연구소 ) 2002 강좌미술사 Vol.19 No.-

        This thesis deals with the iconographic features, stylistic featur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ixteen Buddha's Meetings sculptured on the surface of the Ten-storied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site in Seoul. The first example of the Buddha's Meeting scenes, an illustration of Buddhist sutras, sculptured on the surface of a Buddhist pagoda can be found on the Hyun-hwa-sa Temple of Goryeo. The sculpture of the theme reached its zenith in the pagoda from the Gyeongcheonsa Temple site and that in the Wongaksa Temple site. The Buddha's Meetings sculptured on the surface of the Pagoda of Wongaksa Temple site has so far been known to represent Twelve or Thirteen Buddha's Meetings, but the scenes represented on all four sides on the fourth story should also be regarded as Buddha' Meetings, so it would be proper to consider that the pagoda represents the Sixteen Buddha's Meetings. In this these, a discussion was also made on the scene represented on the southern side on the first story as depicting not the Three Tathagatas' Meeting(三世佛會) but the Three Bodies and Three Tathagatas' Meeting(三身三世佛會). The scene on the southern side on the second story so far known as representing the Avatamsaka Meeting(華嚴會) should also be accepted as that of the Lotus Sutra(法華經見寶塔會) considering the two seated Buddhas. Any way, each of the Buddha's Meetings is a comprehensive integration of various Buddhist sutras, each of which is a concentration of Mahayana Buddhism. It is an important material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who unified each of the Buddhist religious sects. It is also judged as carrying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s the completion of the iconography of the Mahayana Buddhism. Moreover, the sculpture is part of the stone pagoda which was constructed on the occasion of Buddha's birthday on April 8th, 1468 on the lunar calendar in the 13th year of King Sejo. Due to the clear date of its construction, its significance should be emphasized in in the study of Buddhist sculpture in the Joseon period. The iconographic and stylistic features of the sculpture on the surface of the Ten-storied Stone Pagoda in Wongaksa Temple site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should be valued as a monumental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s during the Joseon period.

      • KCI등재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의 표면오염물 형성과정

        전유근,이명성,김유리,이선명,임보아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6 보존과학회지 Vol.32 No.3

        이 논문에서는 원각사지 십층석탑 표면에 발생한 오염물의 형성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흑색오염물은 석탑의 화학적인 풍화로 인해 석고가 일차적으로 형성되고 공기 중의 탄소화합물이 석탑표면에 고착되면서 생성된 흑연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발생시기는 1933년 이전으로 확인되었다. 백색오염물은 보호각 상부 마감재의 노후화 및 구조물의 훼손으로 발생한 방해석이 석탑표면에 재결정화 되면서 형성되었으며, 발생시기는 보호각이 설치 된 1998년에서 2013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원각사지 십층석탑의 장기적인 보존을 위해서는 보호각 상부에 형성된 오염물의 제거, 구조물의 방청처리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interpreted the forming process of surface contaminants on ten-story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Seoul. Results of research, we estimated that black contaminants were formed by graphite stuck carbon in air pollution substance after that gypsum was generated by chemical weathering on stone pagoda. White contaminants were built by recrystallization of calcite that were made by decomposition of finishing materials and structure on the stone surface. To preserve a long-term of stone pagoda in Wongaksa temple, there were required that continuous monitoring, anticorrosion treatment and contaminants cleaning of protective facilities.

      • 흥복사지와 원각사의 불교사적 의미 - 원각사(탑골공원) 성역화 작업을 위한 제언

        최건업 ( Choi Keonup ) 세계불학원 2024 세계불학 Vol.4 No.0

        고려 남경의 흥복사는 서경의 흥복사처럼 궁궐 인근에 위치하여 국왕과 왕실이 남경을 들를 때마다 순행하여 기도를 올리는 왕실사찰이었다. 이성계는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스승인 무학대사를 위해 흥복사를 중창하여 조계종의 본사로 정한다. 국행불사나 기우제/기청제, 왕실의 재승 등을 봉행했을 정도로 흥복사는 국가사찰이자 왕실의 원찰이었다. 이러한 흥복사는 유학이 통치이념이었던 조선에서 세종의 시대를 거치면서 쇠락하여 이곳에 관습도감이란 관청이 들어서고 악학도감까지 그 터를 차지한다. 성리학의 가치를 등지고 반정을 일으킨 세조는 불교 이념에 의지하여 강력한 군주 중심의 나라를 세우고자 하였다. 왕권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도덕성을 회복하면서 왕권을 강화해야 할 세조에게는 회암사 원각법회에서 생긴 불교적 상서가 정국을 만회할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세조는 특히 원각경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던 터에 원각경 법회에서 여래가 출현하는 이적이 생기자 이를 기회로 삼아 도덕적 권위를 회복하고 왕권에 대한 정통성을 확보하는데 진력하였다. 세종과는 달리 창덕궁에서 정사를 봤던 세조는 창덕궁의 내불당이 경복궁으로 이미 옮겨갔기에 창덕궁궐에 다시 불당을 세우고 싶었을 것이다. 이에 세조는 궁궐 안의 조그만 내불당이 아니라 창덕궁 전면의 흥복사터에 제대로 된 불당을 세워 불교의 재융성을 통해서 전륜성왕으로서 호국의 강력한 군주가 되려고 마음먹었을 것이다. 원각사는 세종대에 수륙재 등이 설행될 때 들어설 자리가 없을 정도로 백성들이 많이 모여들었던 도읍의 중심거점이었다. 여기에 세조는 한글 금속활자를 만들어 실질적으로 백성들이 불교경전을 읽을 수 있도록 했고, 수륙재 등을 통해 백성들에게 재물을 베풀었으며, 가난한 백성을 구제하는 현장으로 만들었다. 그런 일련의 과정 중심에 원각사가 있었다. 세조가 흥복사를 중건하면서 원각이라 이름하여 사액하고 이후 원각사는 국행불사와 왕실원찰로서 수많은 국가행사의 중심이 되었다. 원각사는 시대마다 그 당시 중심 집단들의 주요 활동거점이었다. 조선말 나라가 어지러운 시절에 깨어있는 백성들이 역사의 주체였을 때에는 만민공동회가 개최된 곳이기도 하고, 일제 치하에서는 삼일 독립만세운동의 기치를 열었던 곳이다. 이후 일반인들의 휴식공원으로서, 최근에는 노인들의 휴식처와 노숙자들을 위한 식사제공의 장소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소명을 감안하여 관주도의 성역화 복원사업을 통해 다시금 만인이 모여들고 그들의 희망을 담아내는 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Heungboksa Temple in Namkyung[Hanyang], Goryeo, was a royal temple located near the palace like Heungboksa Temple in Seogyeong[Pyungyang] so whenever the king and royal family visited Namkyung, they marched down and prayed. Yi Seong-gye moved the capital to Hanyang and promoted Heungboksa Temple for his teacher, Master Muhak, and decided it as the headquarters of the Jogye Order. It was a national temple and the royal family's original temple to the extent that Heungboksa Temple carried out National buddhism-event, a ritual for rain/clear and the royal family's jaeseung. In Joseon, where Confucianism was the ruling ideology, Heungboksa Temple also declined through the era of Sejong, and a government office called KuanseubDogam was established, and Akhak Dogam took its place. King Sejo, who raised a rebellion against the value of Neo-Confucianism, tried to build a strong monarch-centered country by relying on Buddhist ideology. For Sejo, who ha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while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royal authority and restoring morality, the Buddhist miracle from the WongakBeophoe of Hoeamsa Temple becam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make up for the political situation. Since Sejo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Wongakgyeong, he took this opportunity to restore moral authority and secure legitimacy of the royal authority. Unlike Sejong, Sejo, who take care of political affairs in Changdeokgung Palace, must have wanted to build a Buddha hall again in Changdeokgung Palace because the Naebuldang of Changdeokgung Palace has already been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In response, King Sejo will make up his mind to become a powerful monarch of his country as a Chakravartin through the re-prosperity of Buddhism by establishing a proper Buddhist temple at the site of Heungboksa Temple in front of Changdeokgung Palace, not a small Buddhist temple in the palace. Wongaksa Temple was the central base of the town where many people gathered to the extent that there was no place to stand when Suryukjae were performed at Sejong era. On top of that, King Sejo created Hangul metal type so that the people could actually read Buddhist scriptures, gave wealth to the people through Suryukjae, and made it a site of relieving the poor. At the center of such a series of processes was Wongaksa Temple. When King Sejo rebuilt Heungboksa Temple, he named it Wongak, and later Wongaksa Temple became the center of numerous national events as a national Buddhist temple and a royal memorial temple. Wongaksa Temple was the main base of activities of the central groups at that time. It was also a place where the Manmin Community was held when the woke people were the subjects of history in the chaotic days of the countr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under Japanese rule, it opened the banner of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n, it has been used as a rest park for the general public and has recently been used as a place to provide meals for the elderly and the homeless. In consideration of this vocation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become a space where all people gather again and contain their hopes through the government-led sanctuary restoration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