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MA와 BF를 적용한 움직임 치료 방법에 관한 사례연구

        서현주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라반 움직임 분석과 바르테니에프 기초원리를 통해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움직임을 분석하고, 그 움직임이 왜, 어떻게 나타났는지, 거기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발견한 후 연구대상에게 라반 움직임 분석과 바르테니에프 기초원리에 근거한 움직임 훈련법을 적용하여 자연스럽고 동적인 조화를 되찾을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었다. 관찰 및 분석 결과 연구대상의 일상적 움직임들이 신체적 상해, 취미, 사교활동 등과 관계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은 불안정한 하체로 인하여 왼쪽 발목과 무릎에 상해가 있었으며 하체가 안정적이지 않아 쉽게 무게중심을 잃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연구대상의 무게중심이 왼쪽보다 오른쪽에 더 많았다. 이에 따라 연구대상의 걸음걸이는 수동적이었고 가슴 위쪽 특히 어깨부위가 긴장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자는 라반이론과 바르테니에프 기초원리에 따라 하체와 상체의 움직임을 따로 구성하여 훈련법을 만들었으며, 연구대상에게 적용하여 한 시간씩 열두 번의 수업을 통해 훈련하였다. 훈련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대상의 신체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하체의 안정적인 그라운딩(grounding)과 유동적인 상체의 움직임이 발견되었다. 이는 라반 움직임 분석의 주요 요소인 신체, 에포트, 쉐입, 공간의 유사성 원리에 따른 훈련으로 연구대상으로 하여금 상체의 불필요한 긴장감을 없애고 하체를 안정적으로 그라운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보인다. 둘째, 수직축에서 가벼운 무게 에포트와 강한 무게 에포트의 사용을 통한 무게 에포트의 훈련에 따라 위로 연구대상의 신체가 늘어나거나 아래로 줄어드는 폭이 매우 향상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호흡을 통해 자연스러운 리듬을 만들어 내고 각 신체에 호흡이 전달되는 모습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연구대상은 훈련 이전보다 쉐입흐름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라반 움직임 분석과 바르테니에프의 기초원리를 통한 신체훈련이 신체적 부적응 상태에서 불안정한 움직임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적용 가능한 훈련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라반 움직임 분석과 바르테니에프 기초원리를 적용한 신체훈련이 한 개인의 신체, 기초적인 움직임, 주변 환경에 대한 인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를 통해 자신의 내적인면과 주변과의 조화를 이루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미래의 신체훈련법으로 유용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한계는 연구대상을 한 사람으로 한정하여 실험했다는 점에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후의 연구에서는 이 연구에서 사용했던 한 사람의 무게 에포트와 그라운딩 훈련법 이외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심신의 조화와 균형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좀 더 다양한 차원의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one's movement and find reasons of one's movement pattern by using LMA and BF. Also it intends to introduce and create movements using LMA and BF, and restore natural and dynamic harmony in the client's body. Using LMA and BF, this study will observe and analyze the clients' body and movement by using major four categories, Body, Effort, Shape, and Spa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I create upper and lower movements and exercises for the client using BF and LMA. After teaching, I analyze the progress and problems, and evaluate the lessons from the entire study. Through observation, I found her injury, hobby, and social activities related to her daily movements. Her left ankle and knee injuries were caused by instabilities of her lower body. Because her lower body was not stable, she easily loses control of her weight. Also, the right side of her body carried more weight than the left. Therefore, her walk became passive and her upper chest, especially her shoulder, was tense, so I created upper and lower body movements for her. At the end of the process, I saw dramatic change in her movements. First, her lower body was grounded and balanced. Her upper body was mobile and her upper chest was relaxed. I found that Laban's four major concept: Body, Effort, Shape, and Space affinities supported to ground her lower body and release her upper chest. Second, her body lengthened up using Light Weight Effort and shortened using Strong Weight in Vertical Dimension. Third, she created natural rhythm in her breathing pattern. I could see her energy traveling through her body. Because of this, she used a lot of Shape Flow. Utilizing these concepts in class help her movements to be harmonious and expressive. Through this study, Laban Movement Analysis and Bartenieff Fundamentals can be applied to the people who move unstably out of balance and harmony in the body and the mind. As a result, LMA and BF open doors to a natural basis that one needs to work with, and it allows one to gain awareness of the body. One gains awareness of oneself and the space surrounding him/her. One can clearly see the inner self and also be in harmony with one's surroundings. It is a useful tool for the further therapeutic body movement studies. However, this study limits generalization because the study has done for only one person. Therefore, I hope to see more verity level of future studies on restoring one's balance and harmony in the body and the mind for many others.

      • KCI등재

        캐릭터 움직임 분석 도구로서의 애니메이션 원리 연구 : 라반 움직임 분석(LMA)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동민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9 애니메이션연구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Disney’s animation principles as a movement analysis tool by comparing with Laban movement analysis( LMA) in terms of theoretical frameworks and the results of a film analysis using both tools. The principles of animation can be categorized with four themes; movement phrase, expressive technique, staging and acting, and movement creation method. The principles may lack vocabulary describing how movement forms in space and how the mind links to the body. Although there are relevant concepts such as staging, secondary action, follow-through action, exaggeration, solid drawing, and appeal, which deal with mise-en-scèn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movement, comprehensive knowledge is required to use them proficiently. This paper assumes the reason why the animation principles mainly focus on expressive qualities of movement is that animation addresses a variety of subjects that have no reference in reality. In other words, the inner attitude of motion does not derive from the inside, but from the movement. There can be no single way in which characters with various looks express joy or sorrow. As long as it is believable and acceptable to the audience, animators can try any kinds of expression. In this sense, the animation principles can be useful to read the movements of imaginary characters. The benefits of the animation principles can be found in simplicity, adaptability, and communication as they provide the least but essential concepts to read movement compared to LMA that consists of numerous and complex constructs. However, the framework of the animation principles needs further development and refinement to be fully utilized in various fields as LMA does.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원리와 LMA를 이론적 관점과 영상 분석 결과 측면에서 비교하여 움직임 분석 도구로서 애니메이션 원리만의 의미와 가치를 제시하였다. 애니메이션 원리는 표현 기술 중심으로 LMA에 비해심리적인 측면과 물리적인 측면을 연결하여 설명하는 것에 크게 무게를 두지 않는다. 애니메이션은 현실에 참고대상이 없는 다양한 대상을 다루는 경우가 많고 캐릭터의 내적 태도가 내면으로부터 파생되는 것이 아니라 움직임으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애니메이션 관점에서 다양한 대상의 심리적인 측면과 물리적인 측면을 연결하는 것은 예술가의 몫에 가깝다. 애니메이션 원리 가운데 탄탄한 드로잉과 연출은 캐릭터와 공간과의 관계를 다루고, 연출, 보조적인 움직임, 잇따르는 움직임, 과장, 호소력은 캐릭터의 심리와 움직임과의 관계를 다루어 움직임의 공간과 맥락적인 차원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그 의미가 추상적이고 포괄적인데다 다양한 지식이 요구되는 측면이 있다. 움직임 분석 도구로서 애니메이션 원리의 의미와 가치는 이론의 간결함, 다른 분야로의 적용 가능성, 소통에있다. 애니메이션 이론은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한 최소한의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구성과 체계가 다소방대하고 복합적인 LMA보다 이점이 있다. 많은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 사례가 움직임 표현에 애니메이션 원리를활용하고 있는 점은 쉬운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움직임을 읽는 간결한 개념과 쉬운 용어는 협업에서효율적이고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움직임 분석 도구로서 제시된 바 없으므로 다양한 분야에서온전히 활용되기 위해 본 연구의 시도처럼 애니메이션 원리를 움직임 분석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맥락적인 차원을더하는 등 LMA 이론이 그러하였듯 진화되고 다듬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전적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리의 현대적 재구성

        노승관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8 애니메이션연구 Vol.14 No.3

        Disney animation principles, first introduced in 1930s by Walt Disney Studio, is most well known principles in animation education and production. But, in 80 years of history after it’s first introduction, animation went through many changes and it’s required to re-examine the principles based on those changes. Purpose of this study is a modern restructuring of Disney animation principles based on animation production process. Method of study is made up of paper studies, overview of Disney principles establishment and it’s development, analysis of each 12 principles, definition of acting and motion process and applying principles in the process. In main study, first the study divided animation process in three layers; acting, technique and motion and applied each principle to the corresponding layer. Acting layer, stage where an animator define the purpose of acting, is for Appeal, Timing and Staging principles. Technique layer, for deciding method of animation, is for Straight Ahead and Pose to Pose and Solid Drawing principles. Last, Motion layer, for visualizing movement, is first subdivided with three stages of motion process; hold, motion and reaction and Stretch and Squash, Anticipation, Follow Through, Secondary Action, Arc, Slow In and Out, and Exaggeration are applied. In addition, Disney Principles limitations are discussed; Disney being commercial character animation studio and it’s limit in genre and technical limit of not including computational animation principles. As shortcomings of this study, limited survey of other animation principles and applying digital technologies are discussed. The study is expect to supply a groundwork in educating and producing based on Disney animation principles and hope to supply base in establishing general animation principles transcending genre and technique.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리는 1930년대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에서 처음 제안된 이래 애니메이션 교육과 제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제작원리이다. 처음 도입된 후 80년의 역사를 통해 애니메이션계에 많은변화가 발생했고 이를 반영한 현대적 고찰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세스에 바탕을 둔 디즈니애니메이션 원리의 현대적 재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리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 디즈니 원리의 성립과 발전 개괄, 12 원리 요소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고, 현대적 재구성을 위해 연기 및 움직임의 구성 프로세스를 설정한 후 각 원리를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애니메이션 구현과정을 액팅, 테크닉, 모션의 세 개의 레이어로 구분하고 디즈니의 각 원리들을 해당 레이어에 배치하였다. 액팅레이어는 움직임의 목적을 설정하는 단계로 어필, 타이밍, 스테이징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테크닉 레이어는 움직임의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로 스트레이트 어헤드 포즈투포즈, 솔리드 드로잉 원리를 적용하였다. 모션 레이어는구체적인 움직임을 구현하는 단계로 홀드, 모션, 리액션의 세 가지 운동 프로세스 안에서 스트레치 앤드 스쿼시, 앤티시페이션, 팔로스루, 세컨더리액션, 아크, 슬로 인 아웃, 과장을 적용하였다. 추가적으로 디즈니 애니메이션원리는 상업적 캐릭터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라는 디즈니사의 장르적 한계와 계산적 애니메이션 원리를 포함하지못하는 기술적 한계를 갖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 애니메이션 제작원리에 대한 제한된 고찰과, 디지털테크놀로지의 적용의 보완이 필요함을 들었다. 본 연구가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리와 교육과 응용에 효율적인지침으로 활용되며, 나아가 기법과 장르를 초월한 보편적 애니메이션 제작 원리의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역할을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Creative Dance와 Dance Therapy의 움직임원리 탐색

        변인숙,남중웅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how to progress and approach the body movement in Creative Dance, how to apply movement reaction in Dance Therapy, also how to be divided and evaluated two part of movement principle using movement of body. Creative Dance is the art through a simple body rather than the course that is the combination of body and soul, body and nature, and to make the one phenomenon world through creativity of real world. we will find new movement whatever the course, and do a role to solve the problem of movement related subject through experience of art creativity that gain the while oneself. It is Dance Therapy that can be made by a process in which feeling of movement and desire become material and basis by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movement is reflected to the mind of oneself and is recognized. Creative Dance coach selects and teaches 'work' or regular 'form'. But the coach(Dance Therapist) doesn't teach, but do guide and do a role like build bridge through volunteered participation. Creative Dance performs using 'technology', 'style' or 'aesthetic', creatives new images by being given one meaning by audience estimate. Dance therapy discern and interpret about emotion deeply, it called spontaneity, it is made up of motion vocabulary and it is judged to be change in everyday life. And also if two parts revitalze movement using matrial and properties that suit the subject, it bring about development of sociality. We think that this dance expand into movement principle in Creative Dance and Dance Therapy, is one of the methodology to present the way to go ahead, understand that transmission process be expressed by some facts, and we expect what contribute practical plan to make expand freedom, artistry, and psychological factor through Creative Dance and Dance Therapy. 본 연구는 무용이 창작무용에서의 신체움직임은 어떻게 진행되며 접근되는지를 살펴보고, 무용치료에서는 움직임의 반응이 어떤 방법으로 적용되며 또한 두 영역의 움직임원리가 그 바탕은 무용이라는 신체의 움직임을 활용해 어떻게 구분이 되어 평가되어지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창작무용은 그 과정이 어떤 것이든 새로운 움직임을 찾게 되고, 자신이 쌓아온 예술 창조의 경험을 통해 주제와 연관된 움직임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무용치료는 움직임의 내면적인 ‘정서’와 ‘의욕’이 자신의 ‘경험’에 의해 소재가 되고 근원이 되어 결실을 이루게 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움직임의 의미를 자신의 심리에 반영시켜 의식화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창작무용의 지도자는 ‘작품’이나 일정한 ‘형태’를 선택하여 지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용치료에서 지도자(무용치료사)는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 참여를 통해 안내를 하며 가교적인 역할을 한다. 창작무용은 ‘기술’이나 ‘양식’, ‘미학적’인 것들을 통하여 공연을 하고, 관객들의 평가에 의해 하나의 의미를 부여받으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이다. 무용치료는 ‘정서’와 감정을 깊이 ‘통찰’하고 ‘해석’하며 이것은 자발성이라고 하여 자신만의 움직임 어휘로 이루어지며, 일상생활에서 변화되어 평가되어진다. 이러한 무용이 창작무용과 무용치료에서 움직임원리를 확대시켜주며,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론의 하나가 될 것이다. 전달방식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표출되는가에 대해 이해하고 창작무용과 무용치료를 통해 자유로움과 예술성, 심리적 요소를 확대시켜 실용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엄가드 바티니에프의 기본원리에 따른 움직임 원리

        이경희,김현남 한국체육철학회 200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7 No.3

        Body is the most basic unit of human existence and behaviors and is an absolute element. Here the concept of body is not a dichotomous object of body-mind but body as non-separable embodiment. Human movements through body are connected to mind all the way and become means to interpret or understand inside of human being indicating movements and do very important role for people to have harmonious mutual interactions. Under dichotomous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body, our body has always been regarded as an object to be overcome or controlled by mind. But from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approaches to body movements have been extended not only to professionals pursuing for pure art on the basis of the monismic viewpoint of mind and body but also to overall society and thereby movements have been emphasized even for the purpose of preventive and treatment aspect as a means for a person to maintain healthy mind. The body movement therapy that started to be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of 1900s has recently been extended as a new filed of study named as Somatics and study of body movements is made more actively. Reflecting such tendency, recently from the viewpoint of'somatics', study of movements is suggested as a countermeasu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Bartenieff Fundamentals(BF) devised by Irmgard Bartenieff), who was a pioneer in the field of somatics in the Germany, aiming for'a whole person'through unification of an individual's re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Under Korean situation where somatics is still at initial stage, study of the principles of movement suggested by her is expected to be a new means of study in the fields of dance or sports study dealing with body movements. 몸의 개념은 신체-정신(body-mind)이 이분법적 대상이 아닌 분리 불가능한 체현(embodiment)으로서 몸을 의미한다. 20세기 초부터 신체움직임에 대한 접근은 정신과 신체의 일원론적 관점에서 순수예술을 지향하는 전문인 들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움직임이 한 개인의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예방과 치료 목적으로까지 부각되고 있다. 1900년 초부터 발전되어 온 신체동작치료(Body Movement Therapy)가 최근 소매틱(Somatic)이라는 새로운 학문으로 확장되면서 신체움직임 학문의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구체적인 훈련방법론이나 움직임의 담론들의 연구가 많지 않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미 유럽, 미국을 비롯한 많은 신체치료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독일의 엄가드 바니티에프가 고안한 바티니에프 기본원리 연구를 통해 움직임 학문의 다양성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인의 인지, 정서, 행동의 통합을 통한 ‘전인적 인간’을 목표로 고안한 바티니에프 기본원리가 제시한 움직임 원리의 중요성은 신체움직임을 다루는 무용학문 또는 스포츠 분야에서 새로운 움직임 훈련방법을 비롯한 신체 진단도구로서 다양한 학문적 접근과 임상실습을 도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소매틱 관점에서 본 태평무 움직임 원리 분석연구 : ‘터벌림’ 과장을 중심으로

        박성아 무용역사기록학회 2022 무용역사기록학 Vol.64 No.-

        본 연구는 태평무의 움직임 원리의 이해를 위해 소매틱 관점에서 태평무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김경희가 제시한 소매틱 움직임 교육/치료를 위한 ‘BRACED’ 원리를바탕으로 연구하였다. 태평무는 다양한 장단과 여러 과장으로 구성되어진 춤이다. 그에 따라 몸의 움직임과 방향전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특성을 가진태평무는 ‘BRACED’원리 중 호흡 (Breathe)과 정렬(Align)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심신의 이완(Relax)은 필수적이다. 그로 인해 내면과 외면을 잘 연결(Connect)하여,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Expect)하는 왕비의 춤(Dance)을 출 수 있다. ‘BRACED’원리를 바탕으로 태평무 움직임을 분석한 결과, 소매틱 움직임의 6가지 원리 모두가내재 되어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태평무와 같은 한국 전통춤의 움직임원리를 깊이 탐구하여 태평무 외에 또 다른 전통춤에 내재된 소매틱 움직임 원리를연구하는데 기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내 움직임의 역학적 원리 고찰 : 4학년 체육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강명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 No.

        본 연구는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다뤄지는 신체활동 중 움직임의 역학적 원리 및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영역을 구분하여 그 교수 방법을 알기 쉽게 안내해 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그러기 위해 운동역학적 이해를바탕으로 신체 움직임의 원리를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았으며 세부 학습 내용에서 교수·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역학적 지도 내용을 정리했다. 초등학교 4학년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배워야할 단원 중 연구대상에 속한 학습 내용은 건강 활동의 기초체력 기르기, 도전활동의 매트·뜀틀·평균대 운동, 경쟁 활동의 농구형·축구형·하키형 게임, 표현활동의 리듬체조, 여가활동의 딱지치기, 구슬치기 등이었다. 그에 따른 세부적인 움직임의 역학적 원리 이해가 필요한요소로 근력, 민첩성, 균형성, 순발력, 관성모멘트, 안정성, 각운동량 전이, 투사체 원리, 충격력과 충격량, 작용반작용 원리, 각운동량 보존 법칙, 안정성과 질량, 지렛대 원리 등이 포함되었다. 차후에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 맞춰중학년·고학년 체육의 요소도 분석 및 고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bio-mechanical principles of movement and the areas that can provide the scientific basis of the physical activities covered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is purpose, I have studied the principles of movement of the body on the basis of sports bio-mechanical understanding, and I have summarized the kinematic contents to help teaching and learning. Among the lessons to be learned in the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 basic fitness training as health activities; mat, balance beam, vaulting horse as challenge activities; basketball games, soccer games, hockey games as competitive activities; rhythmic gymnastics as expression activities; a game of slap-match, marbles as leisure activities. The elements that need to understand the bio-mechanical principles of detailed motion in detail are muscular strength, agility, balance, moment of inertia, stability, angular momentum transfer, projectile principle, principle of action and reaction, law of conservation of angular momentum, stability and mass, the principle of leverage was includ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examine the elements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ersion curriculum.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시간의 운동 역학적인 움직임 지도법

        강명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을 비교하였으며 교육과정에서 다 뤄지는 신체활동 중 움직임의 역학적 원리 및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영역을 구분하여 그 교수 방법을 알기 쉽게 안내해 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그러기 위해 교육부에서 고시한 총론 및 교육과정 중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 을 살펴보았다. 또 운동역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신체 움직임의 원리를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았으며 세부 학습 내용 에서 교수·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역학적 지도 내용을 정리했다. 초등학교 4학년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배워야할 단 원 중 연구대상에 속한 학습 내용은 건강 단원의 기초체력 기르기, 도전 단원의 뜀틀·평균대 운동, 경쟁 단원의 농 구형·축구형·하키형 게임, 표현 단원의 리듬체조 등이었다. 각 내용에 내포되어 세부적인 움직임의 역학적 원리 이 해가 필요한 요소로 유연성, 협응력, 관성모멘트, 각운동량 전이, 포물선 운동, 충격력과 충격량, 각운동량 보존 법 칙, 지렛대 원리, 회전력, 공기저항,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전환 등이 있었다. 차후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고학년 체육의 요소도 분석 및 고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ith tho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lassify the bio-mechanical principles of movement and the areas that can provide the scientific basis of the physical activities covered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general principles and curriculum that were notifi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 terms of physical education. Also I have studied the principles of movement of the body on the basis of sports bio-mechanical understanding, and I have summarized the kinematic contents to help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ourth grade lessons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 basic fitness training as health activities; balance beam, vaulting horse as challenge activities; basketball games, soccer games, hockey games as competitive activities; rhythmic gymnastics as expression activities. The elements that need to understand the bio-mechanical principles of motion in detail are flexibility, coordination, moment of inertia, transformation of angular motion, parabolic motion, impact and impulse, principle of leverage, rotational force, air resistance, conversion of kinetic and position energy was includ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examine the elements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ersion curriculum.

      • KCI등재

        필라테스 움직임원리 기반 훈련이 발레무용수의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다진 ( Chung Da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3

        이 연구는 필라테스 움직임원리를 기반으로 한 훈련이 발레무용수의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서울 소재 3개의 대학에서 발레를 전공하는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약 60분씩 필라테스 움직임 원리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피트니스 스크리닝 테스트(Fitness Screening Test)와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t-test 로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피트니스 스크리닝 테스트(Fitness Screening Test) 사전, 사후 검사는 발레무용수의 필라테스 움직임 원리 기반 프로그램 실시 후, 15개의 측정 항목 모두가 중급(level 3)수준에서 중-상급(level 4)수준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푸쉬-업(push up)은 초급(level 1)에서 중급(level 3)으로 향상되었다. 평가항목 중 하프 스쿼트(half squat), 골 포스트(goal post), 롱-시트(long sit), 푸쉬-업(push up), 프론 프레스 업(prone press u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힐 라이즈(hell raise), 시티드 힙 어덕션(seated hip abduction), 제트-시팅(Z-sitting), 헌드레드(hundred), 사이드 리프트(side lift), 슈퍼맨(superman), 프론 숄더 플렉션(prone shoulder flexion), 프론 니드 밴드(prone knee bend)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둘째, 무용수행능력검사에서는 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인 무용기능, 공연대처능력, 무용수행정신력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pilates movement principle-based training o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ballet dancers, this study conducted a program using the pilates movement principle for about 60 minutes(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targeting 6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of three universities in Seoul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Using Fitness Screening Test and questionnaire as measuring tools, data-processing was done through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significance level: α=.05). In the results, the conclusion was drawn like below. First, regarding the pre/post test of Fitness Screening Test, after conducting the pilates movement principle-based program for ballet dancers, all the 15 measuring items were improved from level 3(intermediate) to level 4(intermediate-advanced). Especially, the push up was improved from level 1(elementary) to level 3(intermediate). Among items for evalu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lf squat, goal post, long sit, push up, and prone press up(p<.05).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ll raise, seated hip abduction, Z-sitting, hundred, side lift, superman, prone shoulder flexion, and prone knee bend(p<.01). Second, in the results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test, all the sub-factors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such as dance function, performance coping ability, and dance performance mental pow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1).

      • KCI등재

        논문 : 전통춤 기술(記述)의 논리와 체계적 범주

        송성아 ( Sung A So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20 No.-

        본 논의는 전통춤 형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할 때, 직면하게 되는 범주와 체계의 혼돈을 어떻게 바로 세워 이해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춤 형식의 범주와 체계는 일차적으로 형식을 어떤 관점으로 볼 것인가 즉 과학적 시각에 기초한 춤 일반론에 중심을 둘 것인지 또는 현상과 지각을 강조함으로서 고유성에 중심을 둘 것인지를 먼저 정해야 한다. 또한 정해진 관점에 따라 형식개념을 설정해야 하는데, 예컨대 요소의 배열로서 형식 또는 정보 전달로써 형식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다시 층위를 달리해서 확보해야 할 논리는 전통춤 형식의 구조 및 움직임 원리 등에 관한 것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정리될 수 있는 것이 전통춤의 범주와 체계인 것이다. 본 논의는 이 각각을 기술의 논리1, 2, 3으로 묶어 정리하고 있으며, 그 주된 방향은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춤 형식논의의 출발점은 개념이 아니라, 춤추는 현상 그 자체에 있고, 이것이 산출하는 ``주제적 정서``에 강조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술현상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삶과 역사를 배제한 현상이 아니라, 역사를 안고 있는 현상으로서 전통춤 형식을 보고 있으며, 형식·내용·언어성격의 개념 및 주제적 정서 ``신명``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전통춤 형식을 전승된 형식원리에 의해 조직된 정서적 구성물로 이해하고, 형식을 크게 구조와 원리, 움직임성격과 원리로 구분·접근한다. 그리고 선행연구 속에서 강조되는 연산구조, 마루구조, 맺고 푸는 구조 등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구조와 움직임성격 등을 살펴 전통춤 형식 원리를 명확하게 하고 있다. 셋째, 이상 2가지를 총합하여 범주와 체계를 세워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으로, 언어학과 더불어 범주와 체계를 모색한 이전 논의와 연결된 것이기도 하다. 범주와 체계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전통춤 기술을 위한 것이다. 본 논의에서 전통춤을 기술한다는 것은 현상으로서 춤이 산출하는 미적 특질에 대한 가치 평가를 전제하고 있으며, 전제된 미적 특질의 조직화과정에 대한 체계적 기술을 의미한다. 나아가 기술된 내용은 다시 춤 의미를 찾기 위한 해석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고 봄으로서 현상과 의미를 연결시켜 주는 고리로서 기술을 이해 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춤을 기술한다는 것은 단순한 객관적 서술을 넘어 다각적인 고려 속에 내재된 논리를 필요로 하며, 특히 기술의 체계적 전개를 담보해 주는 범주와 체계는 기술의 논리가 함축·집약될 수밖에 없다. 다소 번잡한 여러 과정을 거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The discussion revolves around how to eliminate the confusion between the category and the system, which one would encounter in an attempt to elucidate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and to clearly understand it. The category and system of the form of dance should be primarily set by determining what perspective should be taken in viewing forms: in other words, it should start by determining whether to focus on general ideas of dance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or to focus on uniqueness by accentuating the phenomenon and the percep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form in accordance with the endorsed perspective. For instance, whether form should be viewed in relation with the arrangement of elements or viewed in terms of the delivery of information. The logic to be secured in a different dimension relates to the structure, principles of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form and its efforts (effort, emotional curve of tension and relaxation) and principles. It is the system and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that could be placed in the right position in this very process. The discussion groups and arranges the above three items in different descriptive logics 1, 2 and 3 and the key direction can be summarized as three ideas. Firstly,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ourse around the form of dance lies not in the concept but in the phenomenon of dancing itself, and the subject matter produced by it turns into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In this vein, by critically embracing the phenomenology of art, it sees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not as an isolated phenomenon devoid of the life and the history but one that bears history while suggesting the concept of form, contents,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matic sentiments. Secondly, by understanding the form of traditional dance as the emotional matters organized by successive form principles, the discussion largely categorizes it into the principles of the structure system, principle and the efforts principle. It also clarifies the concepts of cross-stitched seam structure, Maru structure and tying and untying structure, and elucidates the principle of it by examining effort. Thirdly, it is to represent by establishing category and system in a concrete manner by summing up the aforementioned two and it is also linked with the previous discussion that searched for the category and system in the context of linguistics. In the end, describing traditional dance is an interpretation inquiring the meaning and an aesthetic approach to asking for values. However, if the logic underpinning the description fails to have a firm basis, the meaning and value would be rendered meaningl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