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울 증상을 수반한 만성 정신분열병 입원환자에서의 Paroxetine 효과 : 이중맹검 위약대조 연구

        한평주,백영석,오상우,전현태,김지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연구목적: 우울 증상이 있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항정신병약물과 항우울제인 paroxetine 20mg을 병합 투여하여 우울 증상, 양성 증상, 음성 증상 및 일반적인 정신병리의 호전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DSM-IV 기준상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입원환자 중 우울 증상이 있는 49명을 대상으로 parox-etine과 위약을 이중맹검을 대조한 전향적 임상 연구로서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ESRS), UKU side effect rating scale(UKU),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을 기저선과 1주, 2주, 4주, 6주의 시점에서 다섯 번 반복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36명의 환자가 6주간의 실험을 마쳤다. Paroxetine군과 위약군을 비교해볼 때 HRSD 총점은 양군에서 의미있게 감소되어(p<.01) 우울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시간경과에 따라 항우울 효과는 paroxetine 군에서는 2주, 위약군에서는 4주 후부터 관찰되었다. 그리고 paroxetine군과 위약군 모두 PANSS 총점(p<.01)과 CGI 점수(p<.05)가 감소되어 전반적인 정신병리의 감소와 전체적인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나, 두 군에서 양성 증상, 음성 증상, 일반적인 정신병리 그리고 약물 부작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Paroxetine군에서 반응군고 비반응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반응군이 비반응군보다 HRSD의 총점(p<.01)과 우울한 기분, 자살, 정신적 불안, 죄채감의 세부 항목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p</01),일과 활동, 초기 불면증, 건강염려증의 세부 항목이 호전되어(p<.05) 현저한 우울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또한 반응군이 비반응군보다 BPRS 총점(p</01)과 PANSS의 일반적인 정신병리 점수(p<.05)가 낮게 나와, 일반 정신병리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Paroxetine군과 위약군 모두에서 우울 증상의 감소가 있었지만, paroxetine군에서 항우울 효과가 빠르게 나타났다. 두 군간에 양성 증상, 음성 증상, 일반적인 정신병리와 부작용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Paroxetine군에서 반응군은 비반응군보다 우을 증상과 일반적인 정신병리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즉 우울한 기분, 자살, 정신적 불안, 죄책감, 일과 활동, 초기 불면증, 건강염려증이 심한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우울 증상을 회복시키는데 paroxetine 20mg의 병용 투여가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s: This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improvement of depressiv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and general psychopatholgy in depressed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with adjunctive paroxetine 20mg therapy in the morning. Methods: Forty nine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randomly received adjunctive paroxetine of placebo for 6 week study period. Therapeutic effect and side dffects were evaluated by means of the Hamiltom Rating Scale for Depression(HRSD),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ESRS), the UKU side effect rating scale(UKU), an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 at baseline, first, second, forth, and sixth week of treatment in a controlled double-blind design. Results: 18 patients completed six weeks of paroxetine therapy, and 18 patients placebo therapy. 1) Comparison between paroxetine and placebo groups: (1) HRSD total scores in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 groups. This study showed that significant effect in paroxetine group appeared at 2nd week of treatment(p<.01), while in placebo group at 4th week of treatment(p<.01). (2) PANSS, BPRS< CGI, ESRS, and UKU : In both groups, PANSS total scores and CGI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p<.01, p<.05) and thus indicated th im-provement of global psychopathology and entire eff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in positive, negative symptoms, general psychopathology, and drug side effects. 2) Comparison between responding and nonresponding groups in paroxetine adjunctive therapy : (1) Compared with nonresponding group, responding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 in HRSD total score(p<.01), in HRSD subitems such as depressed mood, suicide, psychic anxiety, and feelings of guilt(p<.01), and in other subitems such as work and activity, early insomnia, and hypochondriasis(p<.05). (2) Compared with nonresponding group, responding group had significantly decrease in BPRS total score(p<.01) and in general subscale of PANSS(p<.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paroxetine and placebo groups were improved in depressive symptoms, but paroxetine group had more rapid improvement than placebo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symptoms, negative symptoms, general psychopathology, and drug side effects between two groups. Compared with nonresponding group in paroxetine adjunctive therapy, responding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pressive symptoms and general psychopathology.

      • KCI등재

        중학생의 우울 증상과 공격성이 현실비행 및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검증과 성별 간 다집단 분석

        김남희,하은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9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how longitudinal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gg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and how they are also influenced by gender differences, and to find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reduce delinquency. Based on the dataset built by the Korea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3 year period from 2018 to 2020 targeting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325 students (1,248 boys, 1,077 girl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ARCL) model validation and multigroup analysis through AMOS Ver.22. The result shows that, first, the autoregressive and cross-lagged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and aggression were significant, verifying that there is a longitudinal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Second, among the depressive symptoms and aggression at the final time point, only aggression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increased online and offline juvenile delinquency. Thir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 depressive symptoms in the first year predicted that of the second year, and the depressive symptoms in the second year predicted that of the third year again. That is,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t confirms the autoregressive path, in which the depressive symptoms at the previous point intensify that of the later time point, was strong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Fourth,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when depressive symptoms are high, aggression tends to increase the depressive symptoms in the second year when it has persisted, rather than the first year’s depressive symptoms increase aggression as a primary pathway.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e initial depressive symptoms lead to aggression relatively quickl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depressive symptoms and aggression are in mutually reinforcing and cyclical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delin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longitudinal mutu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ggression on delinquency varies according to gender.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it confirmed that clinical intervention should also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differences. 본 연구는 중학생의 우울 증상, 공격성의 시간적 발달 관계의 종단적 변화 양상이 현실비행과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성차를 검증하여 정신건강 및 비행에 관한 상담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2018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3차 연도의 기간에 걸쳐서 구축한 자료 중 2,325명(남 1,248명, 여 1,077명)을 대상으로 AMOS 22ver을 활용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우울 증상과 공격성의 자기회귀 효과, 교차지연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를 갖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최종 시점의 우울 증상과 공격성 중에서는 공격성만 현실비행과 사이버비행을 증가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의 경우 1차 연도 우울 증상이 2차 연도의 우울 증상을 예측하고, 2차 연도의 우울 증상이 다시 3차 연도의 우울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즉 여학생의 경우 이전 시점 우울 증상이 이후 시점 우울 증상을 더 심화시키는 자기회귀 경로가 남학생에 비하여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여학생의 경우 우울 증상이 높을 때 1차적으로 공격성을 높이는 경로보다는 우울 증상이 지속되는 2차 연도 우울 증상에 의해 공격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초기 우울 증상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비행 행동에 대한 우울 증상, 공격성이 상호 강화적인 순환적 관계이며 우울 증상과 공격성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성별에 따라 발달하는 과정이 다르며 이에 대한 임상적 치료 개입 역시 다르게 이뤄져야 함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폐암 환자의 활동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의 관계: 불쾌감이론 기반으로

        김금순 ( Keum Soon Kim ),이명선 ( Myung Sun Yi ),방경숙 ( Kyung Sook Bang ),조용애 ( Young Ae Cho ),이정림 ( Jung Lim Lee ),이은 ( Eun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불쾌감 이론을 기반으로 생리적 요인(폐암 병기와 활동상태),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 및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관리하는 간호실무에 적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은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합친 것으로 평균 12.62점이었다. 이는 일반 암 관련 증상을 살펴 본 Baek10)의 27.7점과 Lee와 Kim19)의 23.1점과 비교 시 낮았으며,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함께 측정한 Lee3)의 평균 17.15점보다 낮은 점수였다. 이러한 차이는 연령과 현재 치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70세 미만으로 60대가 50.5%를 차지한 반면에 Baek10)의 연구에서는 60대 이상이 66.5%인 것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7)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폐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이 높아져 70대에서의 발생이 34.5%로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2)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가 38.6%로 Lee3)의 43.9%와 전체 대상자가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Baek10)의 연구와 비교 시 낮았기에 증상경험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가 지각하는 영양상태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상경험은 낮은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들의 56.4%가 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였고, 38.6%가 현재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3.0%였으며 또한 지난 한달 간 4 kg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경우도 2.0%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80.2%가 현재 건강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추후에 대상자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리적 요인인 폐암 병기,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폐암 병기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에 있어서 병기는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이나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병기와 상관없이 현재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치료 중에 있는 대상자의 증상경험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1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증상점수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기에, 질병 관련 생리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상태가 ECOG PS 0에서 2단계로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은 유의하게 높았고,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3,10,11) 심리적 요인인 불안, 우울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불안과 우울 모두 증상경험과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증상경험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20,21) Lee3)의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이 지각하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디스트레스는 증상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증상경험을 통해 삶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의 권고와 같이 암의 진행단계마다 대상자의 불안과 우울을 평가하여 필요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22) 이때 환자의 내적 능력인 극복력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Lee3)의 연구에서 입증하였듯이 유용한 간호접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황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증상 간에 유의한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3,23) 그러나 Lee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극복력을 매개로 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줌으로써 증상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20점 만점에 가족지지는 평균 17.69점, 친구지지는 13.63점, 의료인지지는 10.26점으로, 의료인 지지가 가장 낮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3,10) 이는 직접간호제공자일 뿐 아니라 옹호자, 지지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도전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필요하며, 아울러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증상경험과 증상경험의 결과, 즉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하게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여 증상경험이 심할수록 기능적 상태는 저하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발성 증상군의 경증군은 중증군에 비해 기능이 더 좋았다는 Lee와 Park4)의 연구결과와 호흡곤란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상태는 저하되었다는 Mohan 등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부작용 증상을 심하게 호소할수록 기능적 상태가 저하되었다는 Baek10)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생리적 요인(활동상태),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증상경험의 5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울에 의해 증상경험이 43.4% 설명되었으며, 우울과 불안에 의해서는 50.7%설명되었다. 이는 Lee3)의 연구에서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로 측정한 디 스트레스에 의해 증상부담이 62.8% 설명되었다는 결과보다는 낮았지만, 두 연구결과 모두 불안과 우울이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활동상태가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활동상태가 매우 저하된 중증의 환자에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는 폐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상태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 영향요인들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 간의 관계를 종합해 볼 때, 불쾌감 이론은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대한 평가와 환자상태에 맞는 간호접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 간호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환자 지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불쾌감 이론과 같은 중범위 이론의 간호실무 적용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줄이고 간호실무가 과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더욱 발전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1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reatment or follow-up at one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13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clinical records. To measure variables, the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Lung Cancer 13,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for Windows. Results: The symptom experience showed more severity in patients with lower activity status,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With lower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al status was lower. When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experience were higher, functional status was also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ymptom experience were depression, anxiety,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explained 57.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ymptom experience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providing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patients` needs prior to providing symptom management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우울증상

        이문숙,양창국,한홍무,김재우,Lee, Moon-Sook,Yang, Chang-Kook,Hah, Hong-Moo,Kim, Jae-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3 정신신체의학 Vol.11 No.1

        연구목적: 파킨슨병 환자에서 다양한 정신증상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우울증상의 동반율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파킨슨병은 완치가 어렵고, 치료의 초점이 질병의 진행 억제나 증상의 완화에 있기 때문에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우울증상에 대한 관심과 치료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통원치료 중인 파킨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파킨슨병 관련 임상요인들과 우울증상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일 대학교병원 신경과 파킨슨병 클리닉에서 특발성 파킨슨병으로 진단 받고 치료중인 환자들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인구통계학적 자료, 파킨슨병 관련 자료[발병연령, 치료약물 용량, 임상양상, Hoehn과 Yahr의 단계(Hoehn and Yahr stage, H&Y stage), 일상생활 평가척도(Modified Schwab and Engl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 설문지(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PDQL), 스필버그 상태/특성 불안척도, 간이정신 검사 등을 조사하였고, 우울증상의 평가는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이용하였다. 결 과: 대상군의 평균 연령은 $60.4\pm7.1$세(범위:34-73세)였고, 남성이 56명(47.5%), 여성이 62명(52.5%)이었다. 대상군은 BDI 점수에 따라 비우울군 39명(33.1%), 경도 우울군 15명(12.7%), 중등도 우울군 16명(13.6%), 중증 우울군 48명(40.7%)으로 분류되었다. 파킨슨병 환자의 우울증상은 H & Y stage(r=0.34, p<0.001) 및 파킨슨병 증상의 정도(r=0.35, p<0.001), 스필버그 특성 불안 척도(TAI)(r=0.33, p<0.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교육정도(r=-0.34, p<0.001), ADL(r=-0.37, p<0.001), PDQL(r=-0.69, p<0.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 중 우울증을 예측하는데 가장 의미있는 척도는 PDQL(p<0.005)이었다. 결 론: Beck 우울척도를 이용한 평가에 의하면 본 연구 대상 환자 118명 중 79명(67%)이 주관적인 우울증상을 호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파킨슨병 증상이 심할수록, 그리고 H & Y stage가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심각함을 보여준다. 또한 BDI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에 제한이 많으며,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파킨슨병 환자의 신체증상에 대한 치료 이외 우울증상에 대한 정신의학적 관심과 치료가 중요함을 뒷받침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2)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3) the correlation of depressive symptoms with clinical variables, and 4) factors that contribute to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s: One hundred eightee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referred from the Parkinson's Disease Clinic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Busan, Korea,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package, which included basic demographic data,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the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and the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n addition, a structured interview and a complete neurological examination, including the Hoehn and Yahr stage, the motor part of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some selected scales of UPDRS part III), the Schwab and Engl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ADL), and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ere performed. Results: 1) Based on BDI scor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severely(40.7%), moderately(13.6%) and mildly(12.7%) depressive and non-depressive(33.1%). 2)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 in Parkinson's disea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ehn and Yahr(H & Y) stage(r=0.34, p<0.0001), the severity of motor symptom(r=0.35, p<0.0001), and trait anxiety inventory(r=0.33, p<0.001). On the other hand,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ducational level(r=-0.34, p<0.001), ADL(r=-0.37, p<0.0001) and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PDQL)(r=-0.69, p<0.0001). Among several clinical variables, the PDQL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predicting whether the depressive symptom was present or no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epressive symptom is very prevalent among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Data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medical staffs who take care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should pay attention to finding and treating depressive symptom among their patients. With appropriate psychiatric intervention, patient's depressive symptom can be minimized or alleviated and thus, the quality of life in these patients is likely enhanced.

      • KCI등재

        한국노인의 우울증상에 관한 연구 : 거주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염지혜 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학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variables affect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differences in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data from the 2020 The Korean Elderly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analyzed (N=9930). The dat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were living in urban area and rural area.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depression,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no depress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epression score. As a result, among residents of urban areas, women we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men and those who were educated in junior college or higher than the uneducated. On the other hand, those who were living with children or others in rural areas were about 2.4 times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ose who were living with spouse. In both areas, those who were working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ose who were not working. Among health-related variables, in both areas, the more negative self-rated health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having experiences with hospitalization in the past year,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is. Currently, in the case of drinking and not exercising, the possibility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areas. However, smoking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ly in urban areas. People who thought of suicide after the age of 60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in the two areas than those who did not.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s caused depression due to dissatisfaction with their health condition and the friends or community, and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caused depression due to dissatisfaction with their leisure life. According to the result, I suggest regional customized policy to protect depression of the elderly. 이 연구는 노인의 거주지역에 따라 우울증상이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더 나아가 거주지역별로 어떤 변인들이 우울증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N=9930). 연구방법으로는 종속변수인 우울증상을 우울점수에 따라 우울증상 ‘없음’과 ‘있음’ 두 범주로 나누었으므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동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전문대학이상이 무학보다 우울증상이 더 높았다. 한편, 읍면부에서는 자녀 혹은 기타 동거자가 있는 경우 부부가구보다 우울증상이 약 2.4배 높게 나타났다. 두 지역 모두 경제활동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우울증상 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건강관련 변인들 중에서는 두 지역 모두 주관적 건강이 부정적일수록,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지난 1년간 병원 입원 유경험이 우울증상을 유의미하게 높였다. 현재 음주가 비음주보다, 운동을 안하는 경우가 하는 경우보다 두 지역 모두 우울증상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현재 흡연은 동부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만 60세 이후 자살생각을 해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두 지역에서 우울증상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동부에서는 건강상태와 친구지역사회에 대한 불만족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고, 읍면부에서는 사회여가문화의 불만족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지역 맞춤형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인 우울 증상의 잠재적 하위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현용(Park, Hyunyo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일반 노인의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과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추가로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과 인구 사회학적 요인 및 임상적 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4,823명의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분석을 통하여 (1) 우울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42.2%), (2)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는 집단(20.3%), (3) 슬픈 정서와 신체화 증상을 동반 경험하는 집단(14.1%), (4) 대인관계 관련 증상을 제외한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집단(17.3%), (5) 모든 우울 증상 경험하는 집단 (6.1%)의 다섯 가지의 하위유형이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우울 증상 하위유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우울 증상 하위유형별 비율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우울 증상별 조건부 확률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지만, 극심한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집단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과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과 임상적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 identify the underlying subgroups of Korean older adults who had similar patterns of depressive symptoms, (b)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c)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fied underlying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Using the 2010 Korean Welfare Panel Study, a total of 4,823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Latent Class Analysis(LC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Results indicate five distinct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1) no depressive symptoms (42.2%), (2) somatic symptoms only (20.3%), (3) depressive affect and somatic symptoms (14.1%), (4) most depressive symptoms without interpersonal symptoms (17.3%), and (5) severe depressive symptoms (6.1%). In addition, a multigroup-LCA showed that measurement invariance holds across gender. However, the prevalence of latent class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gender, indicating female older adults are less likely to belong to the group without depressive symptoms. Furthermor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e.g., levels of self-esteem, a satisfaction of social relations and leisure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identified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Findings highlight the heterogeneity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older adults. Findings, also, indicate the need for tailored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by gender.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어머니 우울증상과 자녀 우울증상의 상관과 어머니 표출감정의 매개효과

        고유빈 ( Yu Bin Ko ),하은혜 ( Eun Hye 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우울증상과 자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지각된 비난’, ‘감정적 과개입’ 등 어머니 표출감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2곳의 초등학교 5, 6학년과 어머니 451쌍을 대상으로 어머니 우울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Beck의 우울척도(BDI), 자녀 우울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소아 우울척도(CDI)를 사용하였고, 어머니 표출감정을 측정하기 위해 가족정서관여 및 비난 척도(FEIC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지각된 비난’이 심하였고 어머니의 ‘감정적 과개입’이 적었다. 어머니 표출감정인 ‘지각된 비난’과 ‘감정적 과개입’은 자녀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지각된 비난’이 높으면 자녀의 우울증상이 심하였고 어머니의 ‘감정적 과개입’이 높으면 자녀 우울증상이 적었다. 어머니 표출감정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보면 어머니 우울증상이 자녀 우울증상을 높일 때 어머니 표출감정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비난’과 ‘감정적 과개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여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우울증상과 자녀 우울증상의 연결과정에서 어머니의 ‘지각된 비난’과 가족 간의 ‘감정적과개입’ 등 표출감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Expressed Emo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The subject were 451 elementary students(212boys, 239girls) from 4th to 5th grade and their mothers in Seoul. Mothers were assessed by Beck Depression Instrument, Family Involvement and Criticism scale and the children were assessed by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tal score of mothers` depression, subfactors of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Mothers` depression and EOI(emotional overinvolve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ut mothers` depression and PC (perceived critic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EOI and child`s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ut PC and child`s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P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orts o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but EOI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orts o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Third, PC and EOI partially mediated i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This study was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EE especially PC and EOI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child`s depression.

      • SCIESCOPUSKCI등재

        여성에서 우울이 위장관 증상에 미치는 영향

        조경란 ( Kyung Ran Cho ),이오영 ( Oh Young Lee ),윤대현 ( Dae Hyun Yoon ),임선희 ( Seon Hee Lim ),박민정 ( Min Jung Park ),임정윤 ( Jeong Yoon Yim ),김영선 ( Young Sun Kim ),김충현 ( Chung Hyeon Kim ),김동희 ( Dong Hee Kim ),양선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2

        목적 : 기질적인 요인으로 설명이 어려운 위장관 증상이 있는 경우 정신적 질환과의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에서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사회학적 요인이 병원 방문의 주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선택편향을 배제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건강검진에서 우울 증상을 가진 여성들의 위장관 내시경 소견의 특징을 알아보고 우울과 위장관 증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0월 1일부터 2007년 3월 31일까지 건강 검진자들 중 설문에 응한 여성 8169명을 대상으로 상부 및 하부 내시경을 시행하고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및 13개 위장관 증상을 설문하였다. BDI 점수에 따라 우울 증상의 정도를 정상(<10점), 경도(10~15점), 중등도(16~23점) 및 중증(>23점)으로 나누었고 16점 이상인 집단을 우울군으로, 그 미만인 경우를 비우울군으로 하여 위장관 내시경 소견과 위장관 증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 우울군은 1460명(17.9%)이었고 비우울군은 6709명(82.1%)이었다. 상부 및 하부 내시경 소견은 모두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우울군(77.2%)에서 비우울군(56.9%)보다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았고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았다. 또한, 각각의 위장관 증상의 호소도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많았다(정상 51.0%, 경도 69.0%, 중등도 76.9%, 중증 79.0%, p<0.001). 위장관 증상 호소는 우울군에서 비우울군보다 2.6배 많았다(CI 2.3-3.0, p<0.001). 결론 : 우울 성향을 보이는 여성들은 특정 내시경 소견과는 관련 없으나 우울하지 않은 경우보다 위장관 증상 호소가 많고 우울 정도에 따라 증상 호소도 증가했다. 우울이 병원으로 내원하게 만드는 요인일 뿐 아니라 위장관 증상 호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위장관 증상을 보이는 여성들의 관리에 정신사회학적인 접근이 중요하다 하겠다. Background/Aims: Patients with unexplained gastrointestinal symptoms often have psychiatric diseases, but most of the studies about the association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sychiatric illness were undertaken in the clinical setting of referred hospit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addition to endoscopic findings in women of healthcare screening. Methods: Total 8169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ith either an upper or lower endoscopy for a health check-up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for evaluation of depression and a list of 13 gastrointestinal symptoms. BDI score ≥16 was defined as depressed and <16, as non-depressed. Results: Among them, 1460 women were depressed, and 6709 women were non-depres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endoscopic findings between two groups. Depressed women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more frequently compared to non-depressed women (77.2% vs. 56.9%) and this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13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 incidence of women complaining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increased as BDI score increased; Fifty-one percent of them ha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BDI score <10, 69% in 10~15, 77% in 16~23, and 78% in ≥24. Depressed women had more chance of having gastrointestinal symptoms by 2.6 folds compared to non-depressed women (CI 2.3-3.0). Conclusions: Although depressed women did not have specific endoscopic findings compared with non-depressed women, they complained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more freque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epression.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46-151)

      • KCI등재

        아동학대 유형과 우울 증상 양상의 관계

        하혜주(Ha, Hyeju),심은정(Shim, Eun-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1

        아동학대 피해경험은 우울의 주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아동학대 유형과 세부 우울 증상의 관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적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하위 유형인 학대와 방임에 따른 개별 우울 증상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이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초4패널 3차 연도(초등학교 6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중 아동학대 피해경험 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선별된 학대피해(n =359) 및 방임피해(n =388)집단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피해경험과 우울네트워크 구조를 추정하였다. 첫째, 두 집단의 우울 증상 네트워크 추정을 통해 우울 증상 중 다른 우울 증상들과 관계가 강한 중심 증상(central symptoms)을 확인한 결과, 학대피해집단의 중심 증상은 “모든 일이 힘듦”, “우울한 기분”, “흥미 저하”였으며, 방임피해집단의 중심 증상은 “우울한 기분”, “흥미 저하”, “외로움”이었다. 둘째, 아동학대 피해문항을 추가한 네트워크 추정을 통해 아동학대 피해 경험과 우울 증상을 연결하는 교량 증상(bridge symptoms)을 확인한 결과, 학대피해집단의 교량 증상은 “자살사고”, “무망감”, “흥미 저하”였으며, 방임피해집단의 교량 증상은 “모든 일이 힘듦”, “무망감”, “자살사고”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학대 피해 유형에 따라 개별 우울 증상 양상에서 차이가 있으며, 학대 피해경험 아동과 청소년의 우울 평가 및 치료에서 이러한 중심 증상과 교량 증상을 고려한 개별화된 치료적 개입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Child maltreatment is a major risk factor for depressi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child maltreatment and patterns of specific and individual symptoms of depre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associations between types of child maltreatment and individual depressive symptoms, making use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third year data of the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wo maltreatment groups were formed, based on the Child Maltreatment scale scores: an abuse group (n =359) and a neglect group (n =388). First, to identify the central symptoms of depression which may have connections with other symptoms, the networks of depressive symptoms were estimated. Next, items of child maltreatment were added to the network, to identify bridge symptoms of depression that are directly activated by child maltreat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in the abuse group, “feeling everything is an effort,” “depressed mood,” and “loss of interest” were the most central symptoms, “depressed mood,” “loss of interest,” and “loneliness” were central symptoms in the neglect group. The bridge centrality indices indicated that “suicide ideation” was the highest bridge symptom of depression in the abuse group, followed by the symptoms of “hopelessness” and “loss of interest,” and in the neglect group, the symptom “feeling everything is an effor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of “hopelessness,” and “loneliness.”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patterns of depressive symptoms may vary depending on the maltreatment typ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se central and bridge symptoms might b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adolescents with experience of maltreatment.

      • KCI등재

        여대생의 우울증상의 지속에 대한 인지 및 행동적 회피 요인의 영향

        곽진영,하은혜 한국보건복지학회 2019 보건과 복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3개월 간격 단기 종단 연구를 통해 여대생의 우울증상의 지속에 대한 인지 및 행동적 회피 요인의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우울증상(CES-D), 반추적 반응(K-RRS), 인지-행동 회피(CBAS)에 대한 자기보고 평가를 실시하였고 3개월 후 우울증상(CES-D)을 평가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총 724명이었다. 그 결과 첫째, 초기 우울증상과 3개월 후 우울증상에서 여대생의 우울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책은 1차시기의 우울증상을 부분매개로 하여 3개월 후 우울증상의 지속에 대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숙고는 1차시기의 우울증상을 매개로 하여 3개월 후 우울증상의 지속에 대한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행동적 회피는 1차시기의 우울증상을 부분매개하여 3개월 후 우울증상의 지속에 대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일반 여대생의 우울증상의 지속에 대한 자책의 더 병리적인 특성을 숙고와 비교하여 입증하였다. 또한, 우울증상의 지속에 있어 행동적 회피 요인의 핵심적인 역할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current and lingering effects of cognitive avoidance and behavioral avoidance on the depressive symptoms. The subjects were assessed by self-reports on four measur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CES-D), Ruminative Response Style (RRS), and Cognitive-Behavioral Avoidance Scale (CBAS). The total subjects were 724 participan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ve symptoms were showed high readings after three months. Second, initial depressive symptom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ooding with depressive symptoms that persisted three months later.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impact of reflection on initial depressive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three months later. Third, initial depressive symptom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avoidance with depressive symptoms that persisted three months later. Also, behavioral avoidance ha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three months later. Fourth, initial depressive symptoms predicted depressive symptoms three months later. This study was confirmed the pathological characteristic of brooding compare to reflection, and the essential role of behavioral avoidance on the onset and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