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년 개정 ‘우리들은 1학년’ 교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최일선,이경민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This study survey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7 revised ‘We are the first graders’ regarding its functions, management and nee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and small group interviews with 14 elementary teachers and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metho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understood that the subject ‘we are the first graders’ has the functions of helping youngsters in adapting to and exploring school life, and connecting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 problems they saw concerned overlapping content strands, a mismatch between development and content, and vague, weak localization Second, when teachers managed ‘we are the first graders’ class, they received their know-how from discussions with their senior teachers who was leading the same grade and depended on various teaching materials. Teachers managed the subject with discretion. The majority of teachers suggested they had difficulties in management because of differences in educational circumstance, employing teacher discretion and the like. Lastly, to achieve effective management, teachers cited a need for diversification of the subject’s content, abundant teaching aids, construction of a more suitable learning environment,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first grad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kindergarten curriculum.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의 2007년 개정된 ‘우리들은 1학년’ 교과에 대한 인식을 통해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점사항으로 다루었거나 강조한 내용들을 교육과정 시행과정에서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교과내용의 특징과 문제점, 운영과 요구 면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우리들은 1학년’ 교과 수업을 한 14명의 초등학교 1학년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면담과 소집단면담을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우리들은 1학년’ 교과내용의 주요 특징은 학교생활 적응과 기초학습태도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으로 보았다. 교과내용의 문제점으로는 중복된 학습내용, 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못한 내용, 특성 없는 지역화 내용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우리들은 1학년’ 교과 수업은 동 학년 협의를 통한 선배 교사의 실천적 경험 공유, 다양한 교수자료 활용, 교사재량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성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교육환경의 차이, 교사 재량의 차이, 아동에 대한 이해 부족 및 체계적인 계획이 부족한 통합적 지도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들은 1학년’ 교과 지원 요구와 관련하여 교사들은 교과내용 및 수준의 다양화, 풍부한 수업지원 자료, 학습에 적합한 환경구성과 아동 발달 및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성회복을 이끄는 목회: 우리들교회를 중심으로

        구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8

        본 연구는 인성 파괴가 만연한 21세기 상황에서 성경적 인성회복을 가져오는 지역교회의 목회적 요소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인성회복의 중요성을 공감하면서도 인성회복은 주로 교육학 분야에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졌고 신학계도 이 경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성경적 인성회복은 단순한 도덕성 회복이 아니라 믿음으로 거듭난 인간이 예수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까지 자라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성품과 삶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성회복은 보통 지, 정, 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즉, 지적인 측면에서는 가치관 변화를, 정서적 측면에서는 상처의 치유와 사랑을 경험하며, 의지적 측면에서는 행동의 변화를 수반한다. 연구자는 성도들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빈번하게 목격되는 우리들교회를 사례로 연구하여, 크게 다섯 가지의 핵심요소를 발견하였다. 우리들교회에서 발견된 인성회복을 촉진시키는 요소들은 반기복적 메시지, 사랑과 나눔의 목장(소그룹), 공개적인 죄고백, 양육훈련, 치리(권징)이다. 반복적으로 강조되는 반기복적 메시지는 성도들의 가치관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목장은 식탁공동체로써 사랑과 섬김을 경험하고 전수받는 장이자, 단순한 나눔을 넘어 처방과 직면을 통해 객관적으로 자신을 보도록 돕는다. 양육훈련은 큐티의 생활화와 더불어 자기의 죄를 성찰하도록 도움으로써 목장공동체와 더불어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고 죄를 회개하도록 돕는다. 공개적인 죄고백은 우리들교회의 독특한 문화로 자리 잡아 성도들을 더 깊은 회개로 인도하는 역할과 간증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구원으로 인도하는 양면적인 역할을 한다. 다만, 신중한 적용이 요구되며, 담임목사가 먼저 모범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치리(권징) 또한 대부분의 교회에서 볼 수 없는 것으로 성도들을 개인적으로, 교회적으로 거룩성을 유지하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가정중수의 비전과 강조, 공감과 경청, 피드백의 문화가 어우러져 인성회복을 촉진시킨다. 한 가지 기억해야 할 사실은 이러한 요소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서로 협력하면서 인성회복을 촉진시킨다는 점이다. 우리들교회가 인성회복을 가져오는 목회의 완전한 모델은 아니지만, 각 교회의 상황에 맞는 창조적인 적용을 시도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of character restoration in church ministry in the 21st-century context that character distortion prevails. Even though people in all parts of the societ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aracter restoration, it has been studied mostly in the education field and even by Christian scholars. Biblical character restoration is not just for recovery of morality but the restoration of God’s image and the changes of human character and life as a result of born again in Christ. Biblical character restoration can be examined in three areas such as intellect, emotion and volition. In other words, character restoration shows that people experience the change of values in intellect, love and healing of wounds in emotion, and change of behaviors in vol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s the methodology of the case study focusing on Wooridle Church in Korea, which we can evidently see the transformation of church members. Based on the case study, the researcher found five distinctive factors such as anti-prosperity message, Words and life sharing mokjang (small group), public confession, discipleship training focusing on QT and self-examination, and discipline. Anti-prosperity message, which rejects prosperity gospel and focuses on bearing the cross, makes congregation change their worldview and values. As a place that provides love and service, mokjangs, which are small groups, help members see themselves objectively and often provide feedback as well. While focusing on QT training, Discipleship training also helps congregation confront their sinful nature and sins.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Wooridle Church, public confession makes church members and visitors step into deeper repentance and experience salvation. However, it needs caution and sensitivity in the application in order to avoid side-effects. It is also important that senior pastor practices first in front of the congregation so that they can see the example to follow. Lastly, discipline, which cannot be seen in other churches in modern times, makes the church and its members keep the holiness. According to the case study, they do not work separately but function cooperatively and harmoniously. Wooridle Church is not perfect at all, but it is still valuable in providing lots of insights in relation to character restoration under circumstances that the Korean church is losing credit and power of transformation.

      • KCI우수등재

        미디어의 재현, ‘타자’에의 연대를 ‘나’에의 환대를: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분석을 중심으로

        김지연 한국방송학회 2024 한국방송학보 Vol.38 No.4

        본 연구는 오늘의 타자 갈등의 문제가 이항 대립적 타자ᐨ구조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드라마 서사는 어떤 것일지 TV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분석을 통해 가늠해 보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타자ᐨ구조의 해체’를 통해 새로운 타자론을 사유했던 질들뢰즈의 작업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이를 개념적·이론적 틀걸이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들의 블루스>는 ‘그리고’로 연결된 타자라는 가능 세계를 펼쳐내는 독특한 서사구조를 갖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아울러 드라마는 사물의 효과로서의 우발적 ‘사건들’을 배치함으로써 차이와 반복의시간들을 통해 타자ᐨ되기, 나아가 내 안의 타자 환대가 어떻게 가능한지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드라마가 장애인, 노인 등 우리 사회 타자에 대한 새로운 사유의 이미지를 생성하는도구로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기존에 고착화된 타자ᐨ구조를 해체할 수 있는 사유의 ‘혁명 기계’가 될 수 있는지 그 잠재성을 진단해 보았다. 연구를 통해 저자는 <우리들의 블루스>와 같은 새로운 드라마 서사들을 통해 타자와 연대하면서 나를 환대할 수 있는 재현의 방정식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oday’s problem of conflict between others originates from the binary oppositional other-structure and attempted to estimate what kind of new drama narrative could overcome this through analysis of <Our Blues>. For analysis, this study closely examined Gilles Deleuze’s theory of the other, who thought of a new theory of the other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the other-structure’, and used it as a conceptual frame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ur Blues> has a unique narrative structure that unfolds the possible world of others connected by ‘and’. In addition, by arranging accidental ‘events’ as effects of objects, the drama shows how our becoming-other, that is, understanding (embracing) the other, becomes possible through times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Lastly, this study examines how drama operates as a tool to create new images of thought about others, such as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o see whether it can operate as a revolutionary machine of thought that can dismantle the other-structure entrenched in our society. I diagnosed its potential. Through research, the author sought to find an equation of deconstruction that could welcome oneself while solidarity with others through new drama narratives such as <Our Blues>.

      • KCI등재

        공동체를 통한 전도 : 역사적 · 현대적 사례 연구

        구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21세기 한국교회의 위기는 전도의 위기라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작 교회가 우선순위에 두어야 할 것은 새로운 전도방법을 모색하기 보다는 공동체성의 회복이다. 회심이 과정이고, 진실한 코이노니아가 있는 곳에 효율적인 전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역사적, 현대적 사례들(패트릭의 수도원 공동체를 통한 켈트족 전도, 웨슬리의 소그룹을 통한 전도, 우리들교회의 목장을 중심으로 한 전도) 연구를 통해 공동체를 통한 전도를 살펴보고, 주요한 적용점을 제시하였다. 패트릭은 수도원 공동체를 통해 켈트족을 효과적으로 전도하였고, 웨슬리의 메서디즘과 우리들교회는 소그룹을 통해 많은 전도의 열매를 거두었다. 전도와 관련하여 세 사례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공동체가 전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과 불신자들이 공동체를 먼저 경험하고 나중에 믿음을 받아들이는 즉 소속이 믿음보다 먼저 온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들의 연구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적용점은 교회는 말씀을 중심으로 나눔과 교제가 활성화된 역동적 소그룹을 제공하여야 하며; 가르치기 보다는 섬기고 모범을 보이는 소그룹 리더를 세우는 양육 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제공하는 가정에서 식사와 함께 모임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고; 남성의 참여를 진작시키기 위해 부부모임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양육은 소그룹을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지식전달 보다는 삶의 변화를 추구하는 양육이 되어야 하고, 담임목사의 설교도 말씀을 어떻게 삶에 적용할 수 있는지 적용이 강조된 설교가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발견하게 되는 것은 전도가 방법론(doing) 보다는 삶 자체(being)의 문제이며, 공동체성 회복의 문제라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공동체성 회복을 위해서는 소그룹(교제), 양육, 설교(예배)가 전도와 함께 상호 유기적이고 지지적인 관계로 나아가야 한다.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in the 21st century is the crisis of evangelism. Churches should more focus on the restoration of communality rather than seeking to a new way of evangelism. Since conversion is process, effective evangelism is possible where the genuine koinonia exists. This paper dealt with historical and modern cases of the evangelism through communities such as St. Patrick's Celtic monastic community, Wesley's class meeting, and Wooridle church's mokjang. In common, those three cases proves that communities in the church particularly small groups played a crucial role in evangelism; after experiencing Christian communities non-Christians become Christians like "belonging comes before believing." Through the case study of those three cases I found implications that the church ought to provide dynamic small groups having active sharing and fellowship based on the word of God; the church should have discipleship training system that produces serving small group leaders who shows exemplary lives rather than intellectual and skillful to teach; meeting at home providing informal setting with the meal are more effective; having couples together in small groups is beneficial to stimulate men's participation. Discipleship training system should promote small groups and pursue life-changing instead of delivering knowledge; in sermon, sermons emphasizing applications in how to apply the word of God into our daily lives are effective. Even though this study provides many implications, evangelism is about changed life (being) through the restore of communality of the church rather than about methodology (doing). In specific, for the restore of communality small groups, discipleship training systems, and sermons should have organic and inter-suppor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 KCI등재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 재현된 장애인의 완전 통합 방안 연구

        김세령,남세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 재현된 장애인의 완전 통합의 방안들을 문화 연구와 장애학의 융복합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우리들의 블루스>는 장애인을 푸릉마을 공동체 내에서 비장애인들과 다름없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연스럽게 재현하면서 완전 통합의 바람직한 양상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이 드라마는 전형화된 장애인가족의 재현을 벗어나 다양한 현실을 보여주는 한편 장애인 배우자, 장애인 가족이 있는 배우자와의 새로운 가족 만들기 과정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셋째, 이 드라마는 장애인 배우가 자신과 동일한 유형의 장애가 있는 등장인물을 연기함으로써 장애를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장애와 밀착된 자신의 삶과 문화로 진정성 있게 재현하고 있다. 반면 드라마 속 발달장애인의 자립 역량을 제한적으로 묘사하고 장애인과 가족을 동정과 연민의 대상으로 재현한 점은 보완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성과는 현실에서의 장애인 완전 통합의 실천 방안과 드라마에서의 장애인 재현의 나아갈 방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inclusion strategi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in the drama "Our Blues" from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in cultural and disability studies, evaluating both their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e study shows that Our Blues naturally portrays person with disability as members of the Purung Village community, presenting an ideal model of inclusion with non-disabled members. Our Blues goes beyond the stereotypical portrayal of disabled families, showcasing diverse realities and emphasizing the significant process of creating new families with a disabled spouse or spouse with a disabled family member. It authentically depicts disability with disabled actors portraying characters having similar disabilities, emphasizing the closeness of their lives and cultures instead of just mimicking disability. However, it should address the drama's limitations, especially in restricting the independence of character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portraying person with disability and her family as objects of sympathy and pity.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real-life inclusion of person with disability and suggest ways to enhance the portrayal of disabilities in dramas.

      • KCI등재

        성적 응시의 재매개

        마동훈(Dong-hoon Ma),홍수정(Soo-jung Ho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4

        이 논문은 2006년 송해성 감독이 영화화한〈우리들의 행복한 시간〉텍스트가 제공하는 성적 응시의 재매개 현상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와 비매개(immediacy), 하이퍼매개(hypermediacy)의 이중논리 개념과 멀비(Mulvey)와 그 이후의 페미니스트 영화이론을 이론적 준거틀로 채용하였다. 20대 여성수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연구결과, 이들은 영화가 제공하는 남성적 시선을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와 유사한 시선을 남성배우 또는 다른 대상들에게 던지고 있었다. 따라서 투명한 비매개는 남성적인 수용 특성이라고만 볼 수 없다. 여성수용자들의 응시는 원근법에 충실한 시각적 비매개를 통해 화면을 분석하고 해부하고 있지만, 그것이 항상 성적인 욕망의 합의를 갖는 것은 아니었다. 여성 중심의 시각적 쾌락은 기존의 남성적 시선을 답습하는 면이 있으며, 한편 멀비 이후의 페미니스트 영화이론에서 주장하는 다양한 여성관객성은 영화의 여성수용자들의 응시에서도 역시 현저히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투명성을 구현하는 미디어에 잠재된 하이퍼매개성은 텍스트 내부에서 벗어나 여성수용자들의 관람 순간에 수용자의 응시 내부에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소설을 읽지 않은 수용자들은 결과적으로 소설을 읽은 수용자들이 소설을 통해 얻은 것과 비슷한 느낌과 주제의식을 영화를 통해 받았다고 진술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여성작가의 소설의 영향은 대중적 내러티브 영화로서 남성적 시선으로 재현된 영화에 여전히 살아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성적 시선과 여성적 시선은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것이 아니며, 투명한 비매개와 하이퍼매개의 구분 또한 이분법적으로 해석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여성 수용자들의 관점에서 남성적 시선 또는 비매개를 구현하는 텍스트조차 충분히 즐길만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여성수용자들은 자본주의 내부에서 다양화된 욕망의 대상으로서 ‘성적인 것’ 이상을 갈망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여성의 즐거움이 자본의 게임에 의해 길들여진 즐거움인가 아니면 본질적인 여성의 즐거움인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또한 오늘날 미디어가 비매개의 구현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지만, 여성수용자들은 여전히 자신들 나름대로의 응시의 형태를 구축, 유지하고 있다. Textual transitions as reciprocal transfers between media are nothing new in today’s media-saturated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es of the advent and disappearance of modem communication instruments, new media remediate old media technically and culturally. Of those numerous repurposing,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ase of the remediation from a literary work into a film. A renowned Korea female novelist, Gong Ji-young wrote a best-selling novel Our Happy Time(2005). And a recent movie 〈Maundy Thursday〉(2006) by Song Hae-seong, is a dramatization from Gong’s original novel Our Happy Tim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rony that a female author’s subjectivity was represented by male gaze commonly seen in many popular narrative cinemas. The research is embodied with the concept of ‘the remediation of the gendered gaze’ that Boltar & Grusin suggested. The concept of remediation is articulated with double logic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and feminist film theory of Mulvey. Along this theoretical line, the gendered characteristics of media texts and the consequential differences of representation and reception by the gender differences of authors or audiences are explored. For this research, a couple of focus group interview was held with young female film-viewers. Female audience gazes for certain object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male viewers. They look through the medium in a linear perspective pursuing a transparent immediacy. However, sometimes viewers’ gazes also show a psychological vacillation between immersion in the objects of diegesis and self-consciousness or identification with the object. And audience members who had not read the novel could come in contact with the theme and motif of original novel through the remediated film. This suggests that the original character of novel as a female-oriented text was still alive in the film that sought to embody the male gaze and popular narrative. It is suggested that female subjectivity in the original novel could be remediated to the sphere of female audiences’ viewing activities. Male gaze and female spectatorship are not separable one, and the double logic of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also cannot be interpreted as a dichotomy. A popular narrative film like〈Maundy Thursday〉with Hollywood style is generally produced for transparent immediacy, but enjoyable enough to female viewers. Female viewers tend to dream of something more than sexual desire formed within the structure of capitalist society. It is also found that no matter how technologies mobilize a transparent immediacy, hypermediacy re-emerges in a repressed way in this remediated media world. It should be finally referred that the concepts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provide some utilities to expound the media transitions of the texts and their consequences in media consumption.

      • KCI등재

        예술가 교사 엄정순의 시각장애 미술교육 연구

        최성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ing philosophy and praxis of Jeong Soon Oum as a teaching artist who has taught the visually impaired for more than 20- year in a non-profit organization. She was formally an artist and university professor who worked with 2-D painting. In 1996, however, she suddenly quitted her job as a university professor and entered into working with the visually impaired in a school for the blind as an art teacher. Since then, she has built a non-profit art education organization, Another Way of Seeing, and has still taught the visually impaired with teaching artists in Another Way of Seeing.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how her teaching philosophy and praxis has impact on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of Another Way of Seeing which train a pre-service teacher as a teacher. As a result, I have three findings regarding her teaching praxis as a teaching artist for the blind. First, Jeong Soon Oum notice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non-visually impaired and accepted and theorized the notion of “see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Second, she considered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s equal partners in decision-making process, not as human beings who needed help or support, representing the constructivism in education. Third, she opened up the new possibility of creativ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What she believes she can do through her art education teaching for them is to let them move beyond the prohibited socially, culturally and physically, in order to restore the everyday life which is no doubt permitted for the non-blind people but confined for the blind. She pursues moving forward together with the blind, experimenting with art through body image and body memory. Finally, what was missing in her teaching practice is a identity as a teacher educator who builds an artist as teaching artist and currently urgently requires for Another Way of Seeing. 본 연구는 화가이자, 시각장애 미술교육자, 시각장애 미술교육 단체인 <우리들의 눈>의 설립자이자 디렉터인 엄정순의 교육실행을 ‘예술가 교사’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여 그 교육적 성격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엄정순의 시각장애 미술교육은 첫째, 시각장애인들이 지각방식의 차이로 ‘다르게 봄’을 경험한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과 둘째, 시각장애인 학습자를 교수학습 과정에서 지식구축의 동등한 파트너로 인식하는 구성주의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 셋째, 시각장애인의 표현과정에서 창의적인 순간의 역동을 이해하고자 한다는 점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엄정순은 ‘시각적 이미지 작업’과 ‘오감의 이미지 작업’을 통하여 사회적, 관습적, 제도적, 신체적으로 제한 될 수밖에 없는 시각장애인의 일상적 삶의 경험이 회복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이는 교사 중심, 진도 중심, 지식중심의 시각장애 미술교육과는 다른, 학습자 중심, 역량 중심, 경험 중심의 시각장애 미술교육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들의 눈>의 구성원과 이러한 교육철학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요구되어졌던 ‘교사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인지하지 못하였고, 그 결과 예술가 교사의 시각장애에 대한 전문성과 교육 전문성을 계발할 수 있는 조직적인 지원 시스템을 <우리들의 눈>안에서 구축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 미 영화 속 사형 제도에 대한 두 시선 -< 데드 맨 워킹 >과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의 분석과 비교를 중심으로-

        김현수 ( Hyun Su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0

        미국은 그들의 사형 제도에 신뢰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은 국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에 의해 실질적 사형 폐지국으로 분류되고 있다. 1999년 이후 국회에서 사형 제도를 폐지하려는 동향이 있어 왔으나 지금도 한국 사회에서 사형 제도는 여전히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이다. 이 글은 미국과 한국 영화 속 사형 제도에 대한 두 시선을 동, 서양의 사고방식 차이와 함께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 데드 맨 워킹 >과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을 선택하여 분석하여 그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 데드 맨 워킹 >은 사형수의 개체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미국인의 사고를 반영한다. 사형 집행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그들을 미친 개, 미치광이, 짐승, 괴물, 신의 실패작으로 언급하는데, 이는 그들이 인간다움을 상실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즉 사형 집행지지자들에게 사형수들은 인간이 아니다. 따라서 사형 집행은 정의의 실현이자 인간다움의 승리로서 그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미국인의 사고는 심리학의 연구들에 따르면 원자론적 세계관에 토대하고 있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은 사형수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한국인의 사고를 반영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영화는 사형수의 잔혹성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이는 사람이 환경의 산물이라는 동양의 관계 중심적 사유를 대변한다. 그래서 영화는 그러한 상황들의 기술을 통해 그가 여전히 사람임을 드러낸다. 이러한 한국인의 사유는 전체론적 세계관에 토대하고 있다. The U.S. has indicated her faith in the death penalty system. And Korea has obtained the status of "Abolitionist in Practice" by the International Amnesty. Since 1999, there has been a trend toward abolishing the death penalty in the National Assembly. But it is still a matter of debat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wo visions of death penalty in the U.S. and Korean movie. I have been selected < Dead Man Walking > and < Maundy Thursday > and analyzed two movies for this purpose. < Dead Man Walking > reflect american thought that focused on the individuality of death row. All those in favor of execution referred to them as mad dogs, maniacs, animal, monster and God``s mistake. Because it is humanness which is not absent from the death row’s spirit. In other words, they are not human being. Therefore execution act as realization of justice and victory of humanness. This american thought is based on atomistic world view by psychological studies. < Maundy Thursday > reflect korean thought that focused on the situation of death row. For this reason, it is not concerned about the cruelness of death row. This speaks for the eastern thought that Man is the creature of his environment. So it reveals that he is still human being by the description of those situations. This korean thought is based on holistic world view.

      • KCI등재

        앤더슨의 『와인즈버그, 오하이오』와 헤밍웨이의 『우리들의 시대에』에 나타난 여백의 미학

        이영애(Yi, Young-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본 논문은 미국의 대표적인 단편집인 셔우드 앤더슨의 『와인즈버그, 오하이오』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우리들의 시대에』를 문체와 주제면에서 접근하여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존에 두 작품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있으나 이 두 작품을 함께 연계하여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있다. 헤밍웨이보다 20년을 앞서 살았던 앤더슨은 헤밍웨이에게 많은 영향을 준 작가 중 한 명으로 꼽을 수 있다. 『와인즈버그, 오하이오』와 『우리들의 시대에』는 여러 단편을 하나로 묶어 놓았다기 보다는 단편마다 등장하는 주된 인물인 조지와 닉의 일상을 파노라마처럼 엮어놓은 작품이라고 할만큼 연계성과 통일성을 보여주는 공통된 특성을 보인다. 앤더슨과 헤밍웨이는 언어에 대한 불신으로 늘어진 만연체보다는 상징을 통해 간결하고 함축적인 문체를 차용하고 있어 주제의 전달이 강렬하다. 앤더슨의 작품에 등장하는 손, 닫혀진 창문, 방, 사무실 등 닫힌 공간은 곧 외부와의 단절을 의미하여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의 소외된 상태를 보여준다. 헤밍웨이에게도 방이나 빈 벽은 역시 고립을 상징한다. 앤더슨과 헤밍웨이는 회화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마치 지도나 그림을 보는 듯한 효과를 준다. 작가들이 가진 언어에 대한 불신은 생략에 이어 침묵하게 만든다. 조지와 닉의 침묵은 앤더슨에게는 여백의 미를, 헤밍웨이에게는 빙산이론과 같은 생략이 주는 미를 탄생시키게 만든다. 조지와 닉은 단편집의 첫 작품부터 마지막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과의 경험을 통해 성숙함으로써 앤더슨과 헤밍웨이가 인간에 대한 긍정성을 피력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조지는 와인즈버그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하고 닉은 소극적인 어린아이에서 주체적인 성인으로 성장함으로써 당시 불운한 시대상에서 벗어나 꿈을 그리며 정신적 방황에서 탈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herwood Anderson"s Winesburg, Ohio and Ernest Hemingway"s In Our Time from the perspectives of style and theme. In his greatest collection, Winesburg, Ohio, Anderson focuses on the grotesque characters who are hopeless and isolated. Anderson, as a mentor to Hemingway, picks up clues from Gertrude Stein"s prose experiments and develops his own aesthetic of simplicity. The influence of Winesburg, Ohio on In Our Time is palpable. After meeting Anderson and reading “Loneliness,” Hemingway develops an aesthetic theory that monumental singularities provide the depths of meaning. Hemingway"s iceberg theory is based on “a discontent with the dominant noisiness of the culture.” The iceberg is a cultural symbol and celebrates the power of omission. Anderson and Hemingway use such symbolism as omission, simple sentences, and figurative objects. Anderson and Hemingway distrust meaningless words, so George and Nick become silent. Winesburg, Ohio and In Our Time are consciously unified works, not at all fragmentary. George achieves romantic longings for the new city, departing Winesburg. With the unified consciousness, Nick comes to terms with the problem of marriage and his fear of fatherhood and he represents Everyman. George and Nick are not confused young men any more. It is worth stressing that Winesburg, Ohio and In Our Time prove Anderson"s and Hemingway"s genuine creativity.

      • KCI등재

        韩语定中短语的汉译方法研究

        崔海?(Cui, Haiman),?容洙(Han, Yongsu)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38 No.-

        Since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more and more Korean literature works started to be introduced to Chinese people. Among them, novels by Yi Mun-yol, a renowned South Korean writer, has gradually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and introduced to the Chinese. The writer Yi Mun-yol is known as the evergreen tree in South Korean literary world and an active writer who will never retire. And the novels of Yi Mun-yol enjoy a high reputation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Korean novel ≪Our Twisted Hero≫. There are three versions of translation of ≪Our Twisted Hero≫ in Chinese. The first one is translated by a Korean translator, the second is translated by a Chinese translator who can speak Korean and Chinese as a native language, and the third one is translated by a Chinese native translator. This paper analyzed this three Chinese versions of the Korean novel ≪Our Twisted Hero≫ in five different methods, and attempt to identify the methods and strategies adopt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Korean attribute pregnant sentence into Chines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valuable case study for the Korean attribute pregnant sentence into Chinese translation studies and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Korean into Chinese translating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