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두 접종의 보편화 과정과 그 영향: 1938-1939년 상하이 두창 대유행을 중심으로

        조정은 의료역사연구회 2023 의료사회사연구 Vol.11 No.-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what kind of efforts were made to expand vaccination amid a smallpox epidemic in Shanghai in 1938-39,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such efforts. In Shanghai, various strategies were employed to achieve universal vaccination.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theories of Chinese medicine were borrowed to help people’s understanding, and various media outlets were used to promote the effect and safety of vaccination. Health institutions in the foreign concession and the Chinese elites helped to expand free vaccination. At the time, vaccination was not mandatory, and people voluntarily visited a clinic for innoculation. Between 1932 and 1937, the number of fatality from smallpox fluctuated and did not reach a threatening level due to the vaccination effort. However, upon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the number of smallpox patients and the subsequent death toll surged. Some of the refugees who fled to the foreign concession to avoid the war had smallpox, and the disease spread from there. The Japanese military force that occupied Shanghai began mandatory vaccination in a bid to protect the health of Japanese people and soldiers as well as the safety of Japan. Setting aside justifications for war and pillage of the colony, the Japanese occupation helped to expand universal vaccination to an extent. Statistical data indicate that the number of vaccination applied by Japan’s health institutions is significant, and the military institution enabled forced vaccination.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the Japanese military force, health institutions, hospitals, clinics, charity organizations in the foreign concession joined hands for the shared goal of fighting against smallpox. Due to the nature of an epidemic tha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friends and foes or across races, an odd cooperative relationship was formed in Shanghai. The significance of an increase in vaccination can be observed in that its infrastructure and method were replicated to fight cholera. Specifically, the two approaches―active and forced innoculation by the authorities and free innoculation in the form of traditional charity work―were first made to increase vaccination and then fully applied to expanding cholera inoculation. Vaccination also paved the way for universalization of inoculation. At the time, the Chinese people were not familiar with the method of cholera inoculation, and its effect was dubious. They suspected that the Japanese injected poison and shunned cholera inoculation. When a rule was implemented that banned people without a certificate of cholera inoculation from traveling to other regions, people forged certificates. In comparison, over a century had passed since vaccination was introduced in China, and people knew its effect well. For this reason, the public probably did not strongly oppose forced vaccination by the Japanese. However, this is merely in comparison with cholera inoculation, and the goal of universal vaccination was not attained. Smallpox continued to break out after 1939, and many people remained reluctant to receive vaccination. For peaceful rul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d to endeavor for vaccination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as did the authority of the foreign concession and the Japanese military force. Reasons for a failed attempt to achieve universal vaccination despite tenacious efforts need to be investigated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이 논문의 목적은 1938-1939년 상하이에서 두창 대유행에 맞서 우두 접종을 확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상하이에서 우두는 다양한 전략을 이용하여 보편 접종으로의 길로 나아갔다. 처음 우두법을 소개할 때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중의학의 이론을 이용했고, 이와 함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우두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홍보했다. 조계의 위생기구와 중국인 엘리트는 무료 우두 접종의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 이 시기 우두 접종은 자발적으로 사람들이 접종소에 와서 접종을 받는 방식이었고, 강제로 시행되는 일은 없었다. 1932-1937년 두창 사망자 수는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기는 했지만, 위와 같은 노력 덕분인지 그리 위협적인 숫자는 아니었다. 그러나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두창 환자와 사망자 수는 크게 늘었다. 전쟁의 포화를 피해 조계로 들어온 난민 중 두창 환자가 있었고, 이들로부터 두창이 퍼져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상하이를 점령한 일본군은 일본인과 일본군의 건강, 본국(즉 일본)의 안전을 목표로 삼아, 강제적 우두 접종을 실시했다. 전쟁과 식민지 침탈의 정당성은 차치하고 보편 접종의 확대라는 목표만 보면, 일본 측의 역할을 무시하기는 어렵다. 통계상의 숫자로만 봤을 때 일본 측 위생기구가 실시한 백신 접종 수가 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군대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강제적 접종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일본군뿐만 아니라 조계의 위생기구와 병원, 진료소, 자선단체 등 다양한 기관들이 두창 방역이라는 같은 목표하에 힘을 모았다는 점이다. 인종과 피아를 구분하지 않는 감염병의 특성은 상하이에 기묘한 상호협력관계를 만들어냈다. 두창이 몇 달 만에 종식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협력 덕분이었다. 우두 접종의 확대가 지닌 의의는 우두 접종의 기반과 방식이 콜레라 방역에 그대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치 권력의 적극적 강제 접종”, “전통적 자선사업의 형식을 빌린 무료접종”이라는 두 가지 방식은 우두에서 시작되어 콜레라 백신의 확대에도 그대로 응용되었다. 보편화를 위한 길 또한 우두가 먼저 걷기 시작했다. 콜레라 백신은 중국인에게 친숙하지 않은 주사 형태였고, 효과도 불분명했다. 사람들은 일본이 독을 주사한다고 의심하여 콜레라 백신 접종을 꺼렸다. 접종증명서가 없으면 이동을 못하게 하자, 증명서를 몰래 위조하기도 했다. 이에 반해 우두 접종은 이미 중국에 들어온 지 백여 년이 흐른 상황이었다. 상하이 사람들은 우두의 효과를 잘 알고 있었고, 무료 우두 접종에도 익숙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콜레라 백신 접종과 비교했을 때 그렇다는 것이고, 우두 접종의 보편화라는 목적을 성취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1939년 이후로도 두창은 계속 유행했고, 여전히 접종을 꺼리는 사람도 많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이전의 조계 당국이나 일본 점령군과 마찬가지로 평온한 통치를 위해 건국 초기부터 우두 접종에 힘을 쏟아야 했다. 우두의 보편화를 위한 끈질긴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꿈을 이루지 못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정치,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근대 중국 우두지식의 보편화를 향한 노력: 민중 계몽에서 학생 교육까지

        조정은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9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spreading Chinese modern vaccination knowledge using vaccination-related articles in newspapers, magazines and textbooks. It analyzed civil recognition of vaccination and implications of vaccination knowledge education and propaganda by carefully looking all around from basic vaccination knowledge propaganda to student education. Being able to prevent smallpox more simply and safely than the traditional Chinese variolation, vaccination was highlighted early on. In the Republican period, the increase in news media and national intervention facilitated systematic and full-scale vaccination propaganda and education. First, the state put efforts into conveying accurate information of vaccination and stressed shortcomings of variolation and strengths of vaccination by comparing vaccination with variolation. It also endeavored to change the existing wrong notion by providing scientific information of vaccination time and re-vaccination. On the other hand, it explained the occurrence of smallpox and the concept of vaccination using traditional Taidu. When persuading people, it was more convenient to use conventional knowledge of Taidu than to introduce virus, which was then new knowledge. Meanwhile, vaccination-related articles often appeared in educational magazines, school magazines and even magazines for children. Magazines, textbooks and teaching aids for children cited poetry, songs and picture books at the level of children’s eyes to propagate vaccination. In particular, they displayed pictures of people suffering from smallpox and pictures of young children’s faces full of pockmarks to emphasize the fear of smallpox and the importance of vaccination. The articles argued that students should learn songs recommending vaccination and also teach vaccination to rural people; this proves not only were students subject to propaganda but also they had to play a role as an instrument of propaganda itself. Students propagated strengths of vaccination among people in country towns, who did not know properly about vaccination and still preferred to get variolated due to a lack of knowledge in hygiene. As explained above, vaccination of students could be an effective propaganda to their siblings and furthermore, to the whole society. Many schools ranging from small primary schools to universities compulsorily vaccinated students every spring or whenever smallpox spread. Moreover, in order to impart information of vaccination, many articles stressed that young children were willing to get vaccinated rather than being afraid of cowpox and highly praised female students for getting vaccinated with no fear, as a symbol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other words, vaccination propaganda and education for children and students and compulsory vaccination at school was a smart strategy to generalize vaccination knowledge and vaccin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중국 근대 우두(牛痘) 지식의 확산과정을 신문잡지 및 교과서의 우두관련 기사를 이용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우두 지식 선전부터 학생 대상의 교육까지 두루 살펴봄으로써 민간의 종두인식과 더불어 우두지식의 교육과 선전이 지닌 함의를 분석하였다. 우두는 기존의 인두법(人痘法)보다 간단하고 안전하게 두창 (痘瘡)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민국시기에 들어서는 언론매체의 증가와 국가의 본격적인 개입 덕분에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우두 선전과 교육을 할 수 있었다. 먼저 두창과 우두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우두를 인두와 비교하며 인두의 단점을 부각하고 우두의 장점을 내세웠다. 우두의 접종 시기와 재접종에 대해서도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기존의 잘못된 관념을 바꾸고자 노력했다. 한편으로는 여전히 전통적인 태독설(胎毒說)을 이용해서 두창의 발병과 우두의 개념을 설명하기도 했다. 바이러스라는 새로운 지식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는 것보다, 태독이라는 기존 지식을 이용하는 게 사람들을 설득하기 편했기 때문이다. 한편 어린아이 대상의 잡지와 교과서, 보조교재에서는 아 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시, 노래, 그림책 형식을 빌려 우두 접종을 선전했다. 두창의 무서움과 우두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기 위해 두창을 앓는 모습의 그림, 마맛자국이 가득한 어린아이의 얼굴 그림을 내세웠다. 마맛자국은 전통 시대와 달리 흉하고 추한 얼굴의 상징이자, 우두라는 과학을 모르는 무지함의 상징이 되었다. 어린 학생들이 우두를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흔쾌히 접종받았음을 강조하고, 두려움 없이 우두를 접종받는 여학생을 현모양처의 표상으로 치켜세웠다. 우두를 권장하는 노래를 배워서 농촌 사람들에게 우두를 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기사들은 학생이 선전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대중을 향한 선전용 도구 그 자체의 역할도 수행해야 했음을 보여준다. 학생들은 이러한 가르침을 마음에 새기고 향촌으로 직접 향했다. 위생 지식이 부족해 우두법을 잘 모르고 여전히 인두를 접종하는 사람들에게 우두의 장점을 선전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선전과 교육은 학생들에게 우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어 의무접종을 무난히 시행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소학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많은 학교에서 매년 봄이나 두창이 유행할 때 의무접종을 시행했다. 학생 대상의 종두 접종은 가깝게는 학생의 형제자매들에게, 멀게는 사회 전체에 유효한 선전이 될 수 있다. 즉 어린아이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우두 선전과 교육, 교내의 의무접종은 우두지식과 우두접종의 보편화를 위한 영리한 전략이었다.

      • KCI등재

        19세기에서 20세기 중반 한국의 우두법 및 백신접종 연구에 있어 지구사적 관점(global perspective)의 유용성

        이현주(Lee Hyon-ju)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8 동국사학 Vol.65 No.-

        본고는 1980년대 이후 출판된 우두백신과 백신접종에 관련된 해외 연구사를정리하고, 19세기에서 20세기 중반에 이르는 시기 동일 주제에 대한 한국의 케이스를 연구함에 있어 지구사적 관점을 활용하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지난 몇 십 년에 걸쳐 한국의 우두법 및 백신 정책에 대한 연구는 질적·양적측면에서 성장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우두관련 연구는 좁게는 국내,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의 연구사 및 자료에 한정되어 진행되어왔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우두가 발견된 이래, 우두 백신 뿐 아니라 다양한접종 방식이 제국들의 팽창 및 지방에서 형성된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전래되었다. 그리하여, 본고는 한국의 우두법 연구를 지구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해외의 연구결과를 참고 함으로써, 우두백신 기술, 관련 법 및 정책, 대중의 반응,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 간의 복잡한 관계에 대해 더 정확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해외연구결과는 영어로 출판된 책 및 논문에 한정되어 있지만, 지리적으로는 동아시아를 넘어서는 광대한 지역-유럽, 라틴아메리카, 동남아시아, 인도, 아프리카, 중동-의 케이스를 포괄한다. This article reviews the historical research on cowpox vaccine and vaccination published abroad since the 1980s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global perspective in studying relevant Korean cases from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o the mid-twentieth century. Korean historiography of cowpox vaccine and vaccination has grown in quality and quantity in the last several decades. However, the achievement has been mainly confined to Korea’s national boundaries or East Asia at large. Since the discovery of cowpox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various techniques of vaccination as well as vaccine lymph were globally disseminated through the expansion of empires and locally established intellectual networks. This paper argues that reviewing research covering a wider geographical scope than East Asia and placing the Korean history of cowpox vaccination in this global picture enables a more in-depth and accurate understanding of vaccination technology, law, policy, public response, and the complex relationship during the proposed period in Korea. Despite a limited inclusion of articles and books written in English, this article encompasses a wide range of geographical locations beyond East Asia, including Europe, Latin America, Southeast Asia, India, Africa, and the Middle East.

      • KCI등재

        강원도 <그네뛰는소리>의 시군별 양상

        이영식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8 No.-

        In Gangwon-do, the sound of singing while swinging is transmitted. However, 18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did not specifically what sounds were transmitted. In this study, we compiled 18 cities and counties <swinging song> through existing reports and surveys. As a result, <swinging song> differs from region to region, and its central sound is 'Udugne' and 'Chuncheoniyo'. If you're more specific, the central sound of Gangneung, Donghae and Yangyang, and Yeongwol, Jeongseon and Pyeongchang areas is ‘Chuncheoniyo’. The central sounds of Chuncheon, Yanggu, Inje, Hwacheon and Goseong are ‘Udugne’. In Cheorwon, the sounds of ‘Udugne’ and ‘Gneya Nambaeya’ are transmitted. And in Wonju, Hoengseong, and Hongcheon, they sing ‘Chuncheoniyo’ and ‘Udugne’, and there is no specific sound in Samcheok, Taebaek, and Sokcho. Instead, these cities and counties shout ‘Ihuhu’, ‘Ollaganda’, ‘Naganda’, ‘Uyeo’ and so on. The swing is known to burn during Dano. However, in Goseong, Sokcho, and Yangyang, they said they had a lot of swings on Chuseok. This content has not been known. And I knew that the swing rope was not made only of rice straw. In a town without rice straw, a swing rope was made using the linden tree bark, the elm bark, the hemp bark. Through the study, I found out how <swinging song> differs by region. And in some areas, I knew I was swinging during Chuseok. However, it did not disclose why ‘Chuncheoniyo’ and ‘Udugne’ were not transmitted in Samcheok, Taebaek, Sokcho and some parts of Yangyang. This problem is a future challenge. 그네는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나뭇가지에 줄을 매는 그네이고, 다른 하나는 땅에 두 기둥을 세운 후 기둥 위에 굵은 통나무를 하나 얹어 고정하여 줄을 매는 땅그네가 그것인데, 나뭇가지에 그넷줄을 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넷줄은 볏짚으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지만, 볏짚이 없는 마을에서는 칡․느릅나무껍질․삼 껍질․피나무껍질 등으로 밧줄을 만들어 소나무․밤나무․배나무․느티나무․상수리나무․버드나무․물푸레나무․참나무 등의 가지에 매고 그네를 뛰었다. 이들 나무 중에서 밤나무에 그넷줄을 매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밤나무는 옆으로 뻗은 가지가 많기에 그넷줄 매기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보고서 및 답사를 통해 강원도 18개 시군의 <그네뛰는소리>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그네뛰는소리>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중심이 되는 소리는 ‘춘천이요’와 ‘우두그네’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피면, 고성과 양양의 일부 지역에서만 ‘우두그네’와 ‘춘천이요’ 소리를 하였으며, 속초․삼척․태백에서는 다른 시군에서처럼 ‘우두그네’․‘춘천이요’․‘그네야 남배야’ 등의 <그네뛰는소리>를 하지 않았다. 원주․횡성․홍천 등 세 시군에서는 ‘우두그네’와 ‘춘천이요’ 소리를 모두 불렀다. 춘천․양구․인제․화천에서는 ‘우두그네’를, 강릉․동해․영월․정선․평창 지역에서는 ‘춘천이요’의 소리를 외친다. 강원도 18개 시군의 <그네뛰는소리>를 모두 살피고, 영동북부 지역에서는 단오가 아닌 추석에 그네를 많이 뛰고 취떡을 단오가 아닌 설날에 해먹었다는 내용을 정리한 것은 본 연구의 성과다. 하지만 오랜 세월 그렇게 그네를 뛰었음에도 삼척․태백․속초 그리고 고성과 양양의 일부 지역에서 ‘춘천이요’와 ‘우두그네’ 소리가 전승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밝히지 못한 것은 과제로 남는다.

      • KCI등재

        의학지식의 수용과 변용 ― 종두법(種痘法)의 전래와 한문 우두서(牛痘書)를 중심으로 ―

        조정은 명청사학회 2018 명청사연구 Vol.0 No.49

        인류의 역사는 질병과의 투쟁사이다. 그 중에서도 천연두(天然痘, smallpox)는 인류역사에 가장 큰 족적을 남긴 무서운 전염병이었다. 쉽게 전염될 뿐만 아니라 걸리면 10명 중 3명이 죽을 정도로 치사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요행이 낫더라도 얼굴에 흉한 곰보자국을 남긴다. 물론 지금의 인류에게 천연두의 공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천연두 바이러스의 절멸을 선언하면서 천연두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인류가 천연두를 정복할 수 있게 된 것은 백신 개발을 통한 예방법이 성공한 덕분이다. 천연두 백신의 시초는 중국에서 시행된 인두법(人痘法)이다. 인두법이란 천연두 환자에게서 균을 채취하여 약하게 천연두를 앓아 면역을 만들게 하는 방법이다. 중국에서는 주로 관을 통해 코에 두가(痘痂)를 넣었다. 약 17세기부터 중국의 인두법은 러시아, 중앙아시아, 터키, 일본, 조선 등으로 전파된다. 다만 유럽에서 유행한 인두법은 중국식이 아닌 터키식 인두법으로, 팔을 째고 그 상처에 두묘를 넣는 방식이었다. 이 시기 종두법으로 대표되는 의학지식의 전파는 주로 바다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특히 해양교통의 발전은 인두법보다 우두법(牛痘法)의 확산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우두법의 관건은 신선한 백신의 공수에 있다. 교통이 발전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인두법에 만족했을지라도 이후 신선한 우두백신의 운반이 가능해지자 종두접종의 대세는 점차 우두법으로 바뀐다. 우두법의 중국내 확산은 종두서의 번역과 출판 덕분에 가능했다. 알렉산더 피어슨(Alexander Pearson)의 『영길리국신출종두기서(咭唎國新出種痘奇書)』는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한문으로 번역되어 우두법을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구희(邱熺)의 『인두략(引痘略)』은 중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우두법을 설명함으로써 중국인들이 쉽게 우두법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왔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두법이 곧바로 중단된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20세기 초까지도 여전히 인두법이 행해졌다. 우두법은 팔을 째고 그 상처에 두묘를 집어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교적 관념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이 들여온 기술에 대한 기피, 완종법을 실시할 의료종사자의 부족도 우두법 접종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중국과 달리 일본에서는 우두법이 들어오자 인두법을 실시하던 사람들도 곧 우두법으로 방식을 바꾸었다. 이제까지 선행연구는 우두법의 빠른 수용이 가능했던 원인으로 인두법을 통해 백신이라는 관념을 체득하고 있었다는 점, 난학의 수용으로 서양의학에 대해 거부감이 적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국에서 건너온 한문 종두서의 영향력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한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문제없이 읽고 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신정두종기법(新訂痘種奇法)』과 『산화신서(散花新書)』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의 의사들은 원문 그대로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서양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종두법을 수정, 보완하였다. 『신정두종기법』은 『영길리국신출종두기서』의 설명이 부족하다고 여겨 종두를 채취하는 모습이나 묘장의 보관법을 묘사한 그림을 추가하고 종두 접종 시 주의점을 덧붙여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산화신서』 또한 『인두략』의 번역에 그치지 않고 본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medical knowledge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 East Asia, the propagation of Variolation(人痘法) and Vaccination(牛痘法) as an example. Variolation was the first method used to immunize an individual against smallpox(Variola) with material taken from a patient. Smallpox was a devastating infectious disease in former times. On average, 3 out of every 10 people who got it died. Those who survived were usually left with scars. It is unclear when the variolation began in China, but at least it was generally practic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is method was introduc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by sea until 1720s. In Japan, a Chinese inoculator Li Jen-Shan(李仁山) proposed the method of Chinese style variolation after a severe smallpox outbreak in Nagasaki in 1744, but it was not popular except for some areas. On the other hand, vaccination with cowpox developed from an experiment carried out by an English country doctor, Edward Jenner in 1796. Unlike the old Chinese style variolation, Jenner’s vaccine quickly spread throughout Asia, including China and Japan. Alexander Pearson’s small book was translated into Chinese YingjiliguoXinchuZhongdouQishu(咭唎國新出種痘奇書)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forming the Jenner’s vaccine in China. But the Chinese doctors understood that Jenner’s vaccine was based on the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for example YindouLue(引痘略). Japanese doctors were relatively tolerant of Jenner’s vaccine acceptance.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they had learned the concept of vaccines through the Chinese Variolation and the acceptance of Rangaku has made it less resistant to Western medicine. But the influence of Chinese Vaccination Books should not be overlooked, because it is a Chinese character, and Japanese was able to understand it without problems. In addition, Japanese doctors not only introduced the original texts, but also revised and supplemented them with western medical knowledge, as can be seen in the "Sinteitousyukihou(新訂痘種奇法)" and "Sankasinsyo(散花新書)". Here we can see how medical knowledge continues to build vitality and develop.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논쟁으로부터 배우기 -백신 반대론자와 초기 제너백신의 효용성과 안전성 논쟁-

        이현주 ( Lee Hyon Ju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49

        본 연구는 18세기말에서 19세기 초에 걸친 초기 우두백신에 대한 효용성과 안전성 논쟁을 논의한다. 초기 제너백신에 대한 연구는 우두백신을 전파한 에드워드 제너 자신과 백신 지지자들, 그리고 광대한 지역으로 전파된 우두백신의 역사에 집중되어 발전해 왔다. 그러나 종국적으로 1980년대 역사상 가장 무서운 질병인 두창(천연두)의 종식이라는 선물을 인류에게 가져온 이 인류 최초의 백신이 반대나 저항 없이 받아들여졌던 것은 아니다. 본 연구는 백신 반대론자들이 제기했던 초기 제너 백신에 대한 의료계 내의 비판을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제너 백신의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한 과학적 회의주의, 새로운 기술 도입에 대한 두려움과 염려, 의료계 내의 경쟁 등 초기 백신 논쟁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소를 분석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초기 백신의 역사를 더 확장된 역사적 맥락위에 위치시키는데 기여 한다. 더 나아가 역사적 사례를 통해 의학 기술의 역사를 수용의 관점에서 뿐 아니라 갈등과 논란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과 유용성에 대해 역설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medical debate over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cowpox vaccination against smallpox during the early vaccine years of the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y. The historiography of early Jennerian vaccination has built up heavily focused on the discoverer of the cowpox vaccine, Edward Jenner, vaccine supporters, and the worldwide dissemination of the new technology. However, this precious technology, which helped humankind take its first steps toward the eradication of smallpox in 1980, was not accepted without debate and opposition. By exploring the professional criticism of early Jennerian vaccination, in particular, from anti-vaccinators, this research reconstructs the impetuses of the first vaccine’s controversies, including scientific skepticism, fear and wariness, and professional competition over the new medical technology. In doing so,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a more comprehensive historical context for early vaccination and argues for the importance and usefulness of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medical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conflict and opposition as well as acceptance. (Ewha Womans University / maat782000@gmail.com)

      • KCI등재

        중국 초기선종의 성립에 관한 일고찰 - 우두선(牛頭禪) 사상을 중심으로 -

        김제란(金帝蘭)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7 No.-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초기 선종사에서 가장 강렬한 이념을 제시했던 우두법융(牛頭法融, 594657)의 선사상인 우두선(牛頭禪)의 형성과 그 내용을 재해석하기 위함이다. 6, 7세기 동아시아 불교 지형도에서 달마의 중국 도래는 당시 소의경전 중심의 고답적인 종파불교에 대한 경종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동아시아 선불교의 황금기를 예고했다. 달마는 『능가경(楞伽經)』을 소의경전으로, ‘응주벽관(凝住壁觀)’을 수행방법으로 후학들에게 그의 독특한 선사상을 전수했다. 그의 선법은 5조 홍인 이후 남북 양종, 즉 혜능의 남종선과 신수의 북종선으로 각기 분기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분기에 앞서 4조 도신 때 법융은 삼론종의 반야 공관(般若空觀)을 바탕으로 한 ‘무사선(無事禪)’과 ‘절관(絶觀)’의 이념을 선보였다. 그의 선사상은 4조 법지에 이르러 우두종이라는 종파를 형성했다. 후에 화엄종 5조 종밀은 우두종이 남북 양종과 별개인 제3의 선종이며, ‘민절무기종(泯絶無奇宗)’ 혹은 ‘반야공종’(般若空宗)이라고 표현했다. 그들은 남북 양종의 이념적 대립 구도 속에서 타 종파의 선사나 문인들과 빈번한 교류를 통해 여러 사상들의 담론을 형성하는 가교 역할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두종은 당말 삼론종의 쇠퇴와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에 본 연구는 우두종의 선사상을 중국 선종의 성립이라는 측면에서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bout the thought of Zen(禪) in Fǎ róng(法融, 594657) and the sect of Niu-t"ou(牛頭宗).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delicate the Niu-t"ou Zen(牛頭禪) which had taken a brilliant role in Zen Buddhism in China of bygone days. The Order of Zen Buddhism insists on the faith that Buddha and Human beings have originally the same in true nature. Furthermore, Geonsung(見性) isn’t the discourse of the true nature, but manifests oneself it. According to the 1st Bodhidharma’s coming from India, China Buddhism has turned over a new leaf and became more pratical religion than just dogmatic concentration of the teachings of Buddha. He put Lankāvatāra-sūtra(『楞伽經』) on a essential text of Zen Buddhism and practised a ‘meditation staying focused on wall’(凝住壁觀) as a method of the practice on his Zen. As time passed, his tradition of Zen’s practice was divided into two kinds of South and North in China. Namely, one is ‘Mindlessness’(無心) of Southern Zen and the other is ‘Escape of thouhgt’(離念) of Northern Zen. A fully separate sect from previous sects was the Order of Niu-t"ou which had established by the 1st zen master named Fǎ róng. He wa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Sānlùn school(三論宗) in China, avocated ‘None of action zen’(無事禪) and ‘Extinction of all Vipassanā’(絶觀) as a practice of Zen throughout Prajña-Śūnyatā(般若空觀) of Mahāyāna Buddhism. The 4th master (法持) succeeding a brilliant thought on Zen by Fǎ róng actually established the Sect of Niu-t"ou as a independent sect in China Buddhism. They were called as an ‘Independent from Extinction of Emotion Sect’(泯絶無奇宗), a ‘Prajña-śūnyatā Sect’(般若空宗), or a ‘3rd Zen Sect separate from north-south two zen sects’ tradition’ by the 5th Zōng mì(圭峰宗密, 781-841) in the Huá yán zōng(華嚴宗) in China. The thought of conformability of the meditative(禪) and doctrinal aprroaches(敎) have given the background on it of the 4th Chéng guān(清涼澄觀, 737-838) and the 5th Zōng mì in the Huá y án zōng. However, the sect of Niu-t"ou had gone away into a page of history in China Zen Buddhism before China’s Song(宋) Dynasty, casting in their fortunes with a decline of the Sānlùn school in late Tang(唐) Dynasty. So, to conclude,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pose the true reason of the ‘jiàn xìng chéng fó’(見性成佛) on Zen Buddhism by investigating thoroughly the Niu-t"ou Zen which had presented a most powerful thought in Zen Buddhism in China.

      • 춘천 우두동 출토 토양과 토기의 재료학적 특성 및 상관성 분석

        김수경 ( Su Kyoung Kim ),한민수 ( Min Su Han ),이명성 ( Myeong Seong Lee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0 문화재과학기술 Vol.15 No.1

        본 연구는 춘천 우두동 유적지에서 출토된 토양과 토기에 대해서 성분과 구성광물, 소성온도를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토양과 토기의 재료학적 상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거지에서 수습한 토양은 다양한 색상을 띠고 있었으며, 점성과 가소성을 가지고 있었다. 주요성분 함량 분석결과, 토양에는 Fe<sub>2</sub>O<sub>3</sub>의 함량이 높고, 토기는 Al<sub>2</sub>O<sub>3</sub>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전체적인성분함량 범위 안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요 구성광물은 토양과 토기에서 모두 유사했으나, 170호와 188호 주거지에서 수습된 토양에서 다량 포함된 녹니석과 장석류의 영향으로 MgO, K<sub>2</sub>O, CaO 등 일부 성분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판별분석 결과, 토양과 토기가 서로 떨어져 존재하나 실제 구조행렬의 값에서 알 수 있듯이 특정 화합물의 비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완전히 다른 차이라고 보기 어려워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토양과 토기의 주요성분과 구성광물이 유사하고, 지역의 지질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으로 주거지 토양이 토기의 제작 재료로써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낙랑계 토기와는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material correlation between soils and potterie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composition and firing temperature of the soils and potteries excavated from the Chuncheon Udu-dong site. The soils collected from dwelling had various colors and had plasticity.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comparing the content of major components, the content of Fe<sub>2</sub>O<sub>3</sub> was relatively high in soils, and the content of Al<sub>2</sub>O<sub>3</sub> was relatively high in potteries. However, within a wide range, there was no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m.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 of constituent minerals and major components of the soils with potteries, similarity was shown within a wide range. The major constituent minerals were similar in both soils and potteries, but some components such as MgO, K<sub>2</sub>O, and CaO were different due to the influence of chlorite and feldspar contained in large amounts in the soils collected in dwellings No. 170 and No. 188.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firing temperature of potteries through constituent minerals and thermal analysis, it can be divided into those estimated at 900~940℃ and those estimated at 800~900℃ regardless of the type. As a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soils and potteries exist apart from each other, but as can be seen from the values of the actual structural matrix,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due to the ratio of specific compounds. In conclusion, it is highly correlation that soils collected from dwellings were used as materials for potteries, as the main components and constituent minerals of soils and potteries are similar and reflect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However, it is judged to have a low correlation with the Lelang potteries,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