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遼河文明論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홍은경(Hong Eunkyung)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2 No.-

        Liaohe civilization(遼河文明) and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are the major issues in ancient Chinese history. Hongshan culture is one of neolithic cultures thrived in the Liao River(遼河). In some Chinese academic circles, it is accepted that the Hongshan culture already reached a level of civilization, based on the goddess temple, stone mound tombs and elaborate jade artifacts in Niuheliang site(牛河梁遺蹟). Thus the Liaohe civilization has been claimed to be the origins of later Chinese civilizations.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series of phenomena presented in remains and relics of Hongshan culture would fit in the level of civilization defined with scientific and commonly accepted concepts. Although we admit the fact that in the Hongshan culture the ranking among the tombs and ritual sites had been established, as well as the advanced social stratification with the chief priest at its height, it is not sufficient enough to reach a the level of the civilization. In particular, the settlement sites and stone artifacts in Hongshan culture did not show clear evidence to reflect a high level of social stratification on the basis of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Due to the lack of archaeological indication of social stratification in Hongshan culture, it appears that Liaohe civilization cannot be regarded to reach the level of civilization discussed in archaeological dis-courses. 요하문명론에 따르면, 홍산문화(紅山文化)를 대표로 한 요서지역은 지금으로부터 약 5,000년 전 가장 먼 저 문명시대에 진입함으로써 동북지역뿐만 아니라 중국 대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문화적 중심지의 하나 가 되었다. 그러나 실제 고고학 자료에서 확인되는 양상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요하문명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홍산문화의 고고학 자료인 주거(취 락) 및 무덤과 유물을 살펴 당시 사회계층화의 수준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통해 홍산문화가 이미 문명단계 에 이르렀다는 주장이 타당한지를 검토하였다. 홍산문화의 취락은 분명 그 이전 시기보다 수적, 공간적 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대형 취락의 출현과 이를 중심으로 한 중소 취락의 집체화가 나타나고, 이러한 현상이 높은 수준의 사회복합도를 보여준다는 주장은 유구 및 유구 간의 구체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진하고, 시간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한계로 인해 그 근거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홍산문화의 계층화와 문명론에서 무덤과 제사 유적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며, 특히 우하량유적은 거의 절대적 자료로 제시되고 있다. 우하량유적의 적석총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무덤은 묘실의 구조와 규모, 부장품과 묘역 여부 등을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형식으로의 구분이 가능한데, 중국학계는 이 를 사회계층화의 뚜렷한 증거로 판단하였다. 이는 적석총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축조되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그러나 토기를 기준으로 우하량유적의 분기를 설정한 대부분의 연구는 유적이 짧은 시간에 걸쳐 조성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절대연대측정치 또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하량유적 내 무덤들은 그 위치와 구조에서 차별성이 드러나긴 하지만, 부장품 의 종류와 수량에서 현격한 차이가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무덤의 등급을 통해 홍산문화를 고도로 계층화된 사회라고 평가하기 어렵다는 견해도 제시되었다. 생계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홍산문화의 농업생산력은 높은 수준의 계층화를 이룰 수 있을 정도로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식량자원의 공급 수단이 되지는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 과 관련한 석기(농공구)가 어느 정도 규격화되고 기능에 따라 분화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장 기간에 걸친 농경과 일정 수준 이상의 발달을 추측하는 연구자도 있지만, 유적에서 출토되는 농 공구의 절대적 수량이나 비중, 탄화식물에서 농작물이 차지하는 비율 등은 전체 생산경제에서의 농업 의존도가 그리 높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고고학적 자료의 종합적 양상은 홍산문화가 이전 시기에 비해 사회적 복합도가 증 가했음을 드러내고 있지만, 그 수준은 문명단계로의 진입을 논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며, 오히려 족장사회의 특징과 부합한다. 즉 홍산문화 시기부터 요하지역이 문명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이른바 ‘요하문명론’은 그 고고학적 근거가 빈약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중국 요하문명론의 전개와 의미

        조법종(Cho Bup-Jong)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1

        Recently Chinese academics have started a claim that the origin of the Chinese civilizationthe began to Yellow River. They changed that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is not one, but Chinese civilization began in several places. Then, Liao civilization(遼河文明) of the oldest civilizations have been proposed. The heart of the Liao River civilization is a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is a culture of the Neolithic. The archaeological site at Niuheliang(牛河梁) is a unique ritual complex associated with the Hongshan culture. Guo Da-shun see the Hongshan culture as an important stage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 And he said that Hongshan culture is believed to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 and Manchulia. Especially Chinese excavators have discovered an underground temple complex -- which included an altar -- and also clay female head in Niuheliang. They assert that it is representation of Chinese original the ancestral temple of the royal family. Chinese scholar said that some part of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and Liao civilization(遼河文明) were connected to Koean neolithic culture anmd bronze age culture. It means that from pre-historic age Chinese culture had influenced to Korean culture. Also Liao civilization assert that the Kitan(契丹) and the Manchurian(女眞族) is one of Chinese Nation. And so many relics of the civilization of the Liao River Valley exhibited in the Lianoning provincial museum. But Korean scholar thought quite the opposite. They said that the culture of Liaodung region is distinguished central china culture. So we must research the culture of Liaodung region and we must do our best to solve the problems which confront us now.

      • KCI등재

        중국 영토공정에 관한 대응방안 연구

        신용우,오원규,Shin, Yong-Woo,Oh, Won-Kyu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4 지적과 국토정보 Vol.44 No.1

        중국이 우리 영토인 '구려벌'을 그들의 영토로 만들기 위해 동북공정을 필두로 한 영토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것에 대해, 중국 영토공정의 원인과 목적 및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잃어버린 우리 영토를 수복하는 데 본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이 실시하는 영토공정에 대해 세부적으로 검토했다. 중국이 실시하는 영토공정인 동북공정과 단대공정, 탐원공정과 요하문명론은 물론 근대공정까지 실시하게 된 원인과 목적을 밝히고 그 내용을 점검하고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한 후 그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중국은 영토공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문화와 역사를 왜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문화와 역사적인 측면에서 중국이 주장하는 왜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모순을 짚어서 맞대응하는 방법을 택함으로써 차별성을 가졌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 왜곡은 물론 우리 스스로 중국이 주장하는 것들을 각기 딴 생각으로 해석하는 잘못을 지적하였다. 또 우리 영토를 지키는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China has been tried to make our former territory named "Guryubuel" as their territory and history using the "Northeast Expanding Project" and other territory expanding projects. This study aimed to make a correspond measure to the cause, purpose and statues on the Northeast Expanding Project of China, to help restoration of Korean territory. For this purpose, it was reviewed the detail about Territory Projects of China. This study included not only the "Northeast Expanding Project" but also the Dandae Project, Tamwon Project and the theory of 'Yoha Civilization' to reveal the project's cause, purpose and detail to analysis the issues and to make a countermeasure. China has been distorted our cture and history on purpose for the territory expanding project. Hence, this study has distinction from the previous approach on the China's territory projects since it has been focused on dilemma of cultural and historical distortion by some Chinese. This study pointed out the distortion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ina, as well as Korean mistakes to interpret the China's claim into our own way. It is emphasized that progressive response of Korean governmen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our territory against the Chinese territory expanding projects.

      • KCI등재

        백두산 서편의 제천유적과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에 나타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권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1990년대 중국측은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라 백두산 일대에서 홍산문화(선상문화 · 예제문화)의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고 일차적으로 백두산 서편 통화지역의 적석 단 · 총에 주목하였다. 통화 일대의 고제단 연구는 1989년 여명 제단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는데, 중국 당국의 주목을 받아 1990년대 10여년간 만발발자 제단 및 여명 제단을 위시하여 무려 40여기에 이르는 고제단군이 발굴조사 되었다. 발굴 결과를 종합해보면, 백두산 서편 제천유적의 기본 성격은 B.C.4000년~A.D.600년경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로 정리된다. 이는 요서 우하량 상층적석총 단계(B.C.3500년~B.C.3000년경)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계승되었다. 필자는 이상의 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백두산 서편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 ② B.C.3500년~B.C.3000년경 요서 우하량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③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을 동일 계통 유적으로 보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총칭해보았다. 중국측이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추진해간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지역을 관통하던 ‘맥족계 선도제천문화권’의 존재가 드러난 것이다.

      • KCI등재

        ‘요하문명론’의 초기 전개 과정에 대한 연구

        우실하 고조선단군학회 2009 고조선단군학 Vol.21 No.-

        All of Chinese national projects on history based on 'The unified Nation State Theory(統一的多民族國家論)'. It is not only an academic research but also has a political intention. 'The unified Nation State Theory' insists that, (1) all the nations and their histories in the border of 'present China' are a part of 'Zhong-hua nation'(中華民族) and 'Chinese history' from the beginning. Now a days in China, 'The unified Nation State Theory' is united with ‘The Doctrine of Liao River Civilization(遼河文明論)’. Chinese scholars who accept ‘The Doctrine of Liao River Civilization’ insist that, (1) Chinese Civilization is started around 'Liao River valley', (2) all the minority nations around 'Liao River valley' is a descendant of legendary emperor 'Huang-di ethnic group'(黃帝族) from the beginning, (3) the leaders of Liao River Civilization are legendary emperor Zhuan-xu(顓頊) and Di-ku(帝嚳) who are descendants of 'Huang-di(黃帝)' according to Chinese myth, (4) all the minority nation's histories around 'Liao River valley' are 'Chinese history' from the beginning. I present many Chinese papers on ‘The Doctrine of Liao River Civilization’. And I analyze the the Early Developing Process of ‘The Doctrine of Liao River Civilization’ between 1984 and 1999 in this paper. If ‘The Doctrine of Liao River Civilization’ based on 'The unified Nation State Theory' is settled, (1) all the Korean ancestor who play an active role of Korean ancient history in Northeast China become a descendants of 'Huang-di(黃帝)', (2) Korean ancient history becomes a Chinese history from the beginning. No one accepts such a point of view in Korea. Mongolia is faced with the same situation. All the Chinese people regard Chinggis Khan(1162-1227) as a Chinese. No one accepts such a point of view in Mongolia.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Ⅱ) - 2차 제천시설 ‘선돌 2柱 · 積石 方壇 · 祭天祠’를 중심으로 -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7 No.-

        Wanfabozi萬發撥子 relic is just the typical ‘Heaven Ritual relic’, which was condens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Maek貊 race(the chief race of Korean race)’s Heaven Ritual culture during B.C.4000~A.D. 600, from Baedalkook倍達國 to Goguryeo高句麗. It was consisted of two facilities, i.e. ① primary facilities: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he mother-son 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and ② secondary facilities: two sets of Menhir·stone mound square altar·shrine for Heaven Ritual. The chinese excavation and research on Wanfabozi was original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e Liao-ho river遼河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長白 culture theory’, but the excavation results revealed the fictitiousness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For the chinese side, the most serious and confused problem of the excavation results was the origins and thecurrent succession of the ancient civilization in Northeast Asia. Firs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prim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The typical Heaven Ritual culture of Baedalkook based on Sundo仙道 thoughts was formed in Liaodong遼東, the west of Mt. Baekdu白頭 area(Baedalkook Cheonpyeong天坪 culture) and spreaded to Liaoxi遼西, Uaryang牛河梁 area(Baedalkook Cheonggu靑邱 culture) and Cheonggu culture spreaded to Zhongyuan中原 area through the Yin殷 dynasty again. According to this cultural propagation path,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is nothing but the west of Mt. Baekdu area(Cheonpyeong culture). Nex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second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Heaven Ritual culture of Maek race had been widespread in ‘Liaodong ~ Liaoxi area’ since B.C. 4000 and it had been pushed to ‘the west of Mt. Baekdu ~ Korean peninsula area’ during Bronze Age ~ Early Iron Age, i.e. Dangun Josun檀君朝鮮~Yeolgug(列國, the age of division of small countries after the collapse of Dangun Josun). In short, Baedalkook civilization had been succeeded to Korea, not China. The chinese side(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國家文物局), which could not accept these excavation results, concealed Heaven Ritual facilities of Wanfabozi relic finally, and concealed all altars of the west of Mt. Baekdu which were excavated in the 1990s too. 1990년대 중국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 정립 과정에서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중 가장 전형적인 홍산문화계 고제단으로 지목, 전면 발굴이이루어졌던 만발발자 유적은 B.C.4000년~A.D.600년 무렵, 곧 배달국~고구려시기 한민족의 주족인 맥족계의 선도제천문화가 성립·변천되어가는 과정을 집약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더없이 귀한 유적이다. 유적은 제천·주거·무덤시설로 이루어졌는데 제천시설이 중심이며 나머지 시설은부속시설에 해당한다. 제천시설은 다시 1차 시설 ‘3층원단(모자합장묘)· 방대’, 2차 시설 ‘선돌 2주·적석 방단·제천사’로 나뉜다. 만발발자의 1차 및 2차 제천시설은 크게 보아 B.C.4000년~A.D.600 년 무렵(정식 발굴을 거쳤을 뿐아니라 가장 넓은 시기값을 지닌 만발발자유적의 시기를 기준으로 함) 요동·요서·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나무솟대·제천사·선돌·고인돌류)’ 계통으로 중원지역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형태였다. 중국측의 만발발자 유적 발굴은 애초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증명하기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동북아 상고문화의 기원과 계승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 첫째, 1980년대 이래 요서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북아 상고사 연구를 요동 중심으로 돌려 놓았다. 둘째, 중원문화의 기원이 배달국 요동~요서 문화였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원문화가 배달국문화의 본령인 선도제천문화의 전형을 제대로 전수하지 못하고 지역문화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수용할 수 없었던 중국측은 만발발자 유적중 제천시설 부분을 은폐하며, 더하여 1990년대 발굴조사되었던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 전체를 은폐하게 된다.

      •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 추보(追補) 연구: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중심으로

        정경희(Jung, Kyung-Hee)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3 No.-

        본고는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에 대한 필자의 기존 연구에 근간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추가, 만발발자 제천유적의 분기별 변천상을 새롭게 조명한 연구이다. 1기-조단(B.C.4000~B.C.3500년)의 시기, 선도사상의 요체인 삼원(천·지·인, 원·방·각)의 상징성을 요령 있게 담아낸 거대 규모의 적석단총, ‘3층원단(모자합장묘)·방대’가 조성되었다. 그 주인은 배달국 초 환웅족이 가져온 선진적 선도제천문화를 수용하여 토템족 웅족사회를 천손족 맥족(환웅족+웅족)사회로 바꾸어놓은 역량 있는 선인 지도자 웅녀군이었다. 1기(B.C.4000~B.C.3000년, 배달국 전·중기) 제천단의 거대 규모와 대비되는 간결하고 담백한 제천의 흔적은 선도제천문화의 태동기, 군더더기 없이 기본에 충실한 선도제천문화의 출발점을 보여주었다. 2기(B.C.13세기~8세기, 단군조선 후기) 만발발자의 드넓은 소도제천지에는 3층원단·방대의 국부에 주·부 제천사 2좌가 들어서 있었을 뿐이었다. 1기에 자리 잡힌 소도제천문화의 기본 틀이 유지되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3기(B.C.8세기~B.C.3세기, 단군조선 말기)가 되자 소도제천문화가 크게 형식화되고 번잡해졌으며, 이전에 보이지 않던 위계성까지 생겨났다. 단군조선 말기 맥족사회의 분열·와해 국면 속에서 선도제천문화도 세속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4기(B.C.3세기~3세기, 고구려 개창기)가 되자 종래 번속화 방향으로 흘렀던 소도제천문화는 재차 간결화되면서 새로운 안정 국면을 맞았다. 고구려의 개창으로 맥족사회가 안정을 찾아가는 시대분위기와 맞물린 변화였다. 5기(3세기~5세기, 고구려 중기)에는 제천시설의 중첩 및 소규모화 현상, 또 제천공간의 축소 현상이 두드러졌다. 고구려 중기 선도제천문화의 위상이 서서히 약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This paper is a supplementary study that sheds light on the changes of ‘Wanfabozi萬發撥子 relic’ according to the periods by adding 『Tonghua Wanfabozi Sit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to my previous study on Wanfabozi relic. During the early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500B.C., early Baedalkook倍達國), the huge scale stone mound altar·tomb, i.e.,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3層圓壇·方臺)’ that captured the symbolism of Samwon三元(Cheon天·Ji地·In人, Won圓·Bang方·Gak角), a key element of Sundo仙道 ideas, was built. Its owner was King Ung-nyeo熊女君, a competent good leader who transformed ‘Totem Ung熊 people’ society into ‘Heavenly Maek貊 people(Hwanung桓雄 people + Ung people)’ society by accepting the advanced Sundo culture brought by Hwanung people in early Baedalkook. During the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000 B.C., early and middle Baedalkook), in contrast to the huge scale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traces of concise and plain ritual procedure showed the starting point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s and the essence of the Sundo without any unnecessity. In the 2nd period of Wanfabozi(the 13th century B.C.∼the 8th century B.C., late Dangun Josun檀君朝鮮), there were only two main and secondary temples for Heaven Ritual on a part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framework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1st period, was maintained. In the 3rd period of Wanfabozi(the 8rd century B.C.∼the 3rd century B.C.,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formalized and complicated, and even the hierarchical tendency that had never existed before was formed. In the midst of the divis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Maek貊 society in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also being secularized. In the 4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 B.C.∼the 3rd century, early Goguryeo高句麗),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had been flowing in the direction of secularization, had been arranged in order again and had taken a new phase of stability. These changes were coincided with the mood of the times that the founding of Goguryeo brought a new stability to the Maek society. During the 5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the 5th century, middle Goguryeo), the noticeable point of change in Wanfabozi were just the miniaturization of the Heaven Ritual facilities and the reduction of ritual space. These points show that the status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 the Maek society was gradually weakening from this time on.

      • KCI등재

        중국 ‘요하문명론’의 ‘장백산문화론’으로의 확대와 백두산의 ‘선도(仙道) 제천(祭天)’ 전통

        정경희 ( Jung Kyung-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4 No.-

        The cor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Hungshan Culture(Ritual禮制 Culture, Pre-Shang先商 Culture) theory’ started as a historical theory on Zhongyuan中原 and Liaoxi遼西 region in the first place. It was gradually expanded to the east region of Liaoxi, Liaodung 遼東 and Korean peninsula. In this process, ‘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was emerged as the easting theory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The basic structur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is that the ethnic center is Manju people(prescribed as a Chinese people since Jin and Qing dynasty) and the cultural center is Chinese people excluding the primary status of Korean people in terms of ethnic group and culture. The genealogy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had broadened to ‘〔Hungshan Culture → Xia Jia Dian Lower Culture → Shang Culture〕 →(Yen dynasty·)Kija Chosun箕子朝鮮→Wiman Chosun衛滿朝鮮→ Four Commanderies of Han dynasty→Goguryeo·Buyeo→Balhae’. This genealogy is the extansion of the historical awareness focused on Shang dynasty, the basic historical awareness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 According to this historical awareness, Goguryeo, Buyeo and Balhae as well as Yen dynasty and Kija Chosun were emphasized as a descendant of Shang dynasty. With this, Korean history was abolished from the root. As the starting point for all distortions by China is ‘Hungshan Culture(Ritual Culture, Pre-Shang Culture) theory’, the starting point for all correction of it is just ‘Hungshan Culture(Sundo仙道 Culture, Baedalkook倍達國 Culture) theory’. In the late 1990’s, chinese scholars began to apply ‘Hungshan Culture(Ritual Culture, Pre-Shang Culture) theory’ to the ancient altars that were found in the region of Mt. Baekdu to prove their ‘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At last, the two main centers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Hungshan Culture region and Mt. Baekdu region has come into view and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is exposed to error. Here we can understand that the tradition of Sundo Heaven rituals was diffused from Liaoxi to Liaodung since Hungshan Culture. According to history books of Korean Sundo, Sinsi神市(Mt. Baekdu region) and Cheonggu靑邱(Hungshan Culture region) were just the two main centers of Sundo Heaven rituals Culture during Baedalkook period. When chinese scholars got to know that they were unable to drive Mt. Changbai culture - especially ‘Mt. Changbai Faith’ to the chinese culture, they changed the center of ‘Mt. Changbai Faith’ to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as the next best thing. And they advocated that the ‘Mt. Changbai Faith’ belongs to chinese culture because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was changed to chinese Mountain worship(Ritual Culture) since Jin and Qing dynasty. But the shamanism of Manju people was not merely their inherent shamanism, just but a type of the universal Sundo Heaven rituals of northeast asia since Baedalkook period. In spite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China just got to meet Korean Sundo Culture.

      • KCI등재

        渤海 유역의 역사문화와 동아시아 세계의 이해 - ‘터(場, field)이론’의 적용을 통해서 -

        尹明喆 동아시아고대학회 2008 동아시아고대학 Vol.17 No.-

        동아시아의 역사공간의 네트워크는 전체이면서 부분인 터(field)와 또 부분이면서 전체이기도 한 3개의 中核과 주변의 몇몇 行星들, 그들을 싸고도는 衛星들이 있고(multi-core), 중첩적인 線(line)들로 이어졌다. 선이란 교통로를 말한다. 3핵은 첫째, 중국공간 혹은 中華文明이다. 둘째, 北方遊牧文明이다. 셋째는 한반도와 만주일대에서 성장한 東方文明이다. 행성들은 각 중핵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지역들이다. 위성들은 각각의 행성 내부에 있는 소규모의 국가 내지 문화권이다. 線(line)은 핵들과 핵들을 이어 주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그 자체도 독립성을 지녔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역사공간에서 큰 역할을 담당한 부분이 해양이다. 필자는 이 공간을 東亞地中海라고 명명하면서 성격을 규명하고 각각 지역 종족 문명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동아지중해는 수천 년 동안 지정학적으로 협력과 경쟁, 갈등과 정복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의 역사활동권을 이루어왔다. 한편 농경의 定着性(stability) 문화와 유목 해양의 移動性(mobility) 문화가 만나 상호보완되면서 독특한 성격을 탄생시켰다. 특히 발해의 역사공간은 대륙과 해양을 공히 활용하며, 동아지중해의 中核(core)에 위치하고 있다. 몇몇 지역과 국가를 전체적으로 연결하는 海陸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발해유역의 자연환경은 바다와 대륙과 반도가 만나는 곳이다. 만주지역의 삼림문화 동몽골과 북방의 유목문화, 요동반도의 농경문화, 그리고 황해의 해양문화가 모이는 곳이었다. 이렇게 변화된 지리, 기후 등 자연환경 속에서 생태계와 문화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화했다. 그와 함께 수십 혹은 수백 개에 달하는 다양한 종족과 언어권, 그에 상응하는 다양한 문화들이 생성되어 있었다. 발해유역은 하나의 지역 안에 색다른 자연환경, 이질적인 문화가 공존하면서 복합적인 역사공간으로 되었다. 발해는 6000년 전부터 ‘內海’, ‘灣’, ‘小地中海’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면적이 적당하고 해양교통에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풍요롭다. 고대사회에서는 문명이 발전하기에 적합한 크기이다. 8000년 전에 높은 수준의 신석기 문화가 태동했다. 5000년 전후해서는 紅山문화가 발전했다. 이어 夏家店下層문화, 뒤를 이은 夏家店上層문화가 발전했다. 요동반도의 동쪽에는 해양문화를 비롯하여 고인돌(dolmen) 문화가 발전했다. 고조선과 관계가 깊은 문화이다. 이렇게 발해유역은 東方문명, 北方문명, 中華문명이 교차하고 재생산하는 據點(i.c, heart)의 역할도 하였다. 중국은 발해유역의 문화를 ‘遼河文明論’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 논리는 중국중심적이며, 육지중심적이다. 필자는 ‘渤海文明論’을 제창하고, 동아시아 문명의 성격을 규명하며, 아울러 우리문화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다. The network in the historical region of East Asia consists of three cores which can be either the whole or the field, few planets, and satellites that go around all of these. There are also reiteratedlines which indicate the routes. Such frames of analysis are ‘field and multi core theory’. Those three cores are the Chinese civilization, the north nomadic civilization, and the east civilization that grew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anchuria region. The planets refer to regions around these three nucleuses. The satellites refer to countries or cultural areas in each of these regions planets. The lines connect those cores together and also have their own independence. And the ocean takes the important part in East Asia's historical space. The author names the space as East Asian- Mediterranean-sea,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each regional culture. East Asian-Mediterranean-sea has made up a field of historical actions through interactions such as cooperation, competition, conflicts, conquests, and etc for thousands years. One hand, both stability of agriculture and mobility of nomadic culture met and completed a unique characteristic. Especially, Palhae-sea's historical space use the land and the sea practically and is located in the core of East Asian-Mediterranean-sea, where has an ability to connect the yellow sea. and that she has the ocean network, connecting the regions and the countries over all. Palhae-sea basin had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formed articulated connections between the ocean, the peninsula, and the land with the core at the center. It was a concentrated area that the forest culture of Manchuri, the nomad culture of East-Mongolia and the north, the agri-culture of the Liaodung peninsula area, and the ocean culture from Yellow-sea. The movements of residents were frequent which caused serious conflicts and the economical formation were various because it was the area where meadow, forests, ocean, hill were intercepted. Various types of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e importantly affected to changes of social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Palhae-sea period became the space of history that various natural environment and different cultures co-existed within the area of region. Palhae-sea from before 6000 have the character of `inland-sea' `gulf' ‘small -mediterranean sea'. The area is suitable and Is convenient to an oceanic traffic, is abundant economically. The New stonework culture of high phase advanced before 8000. The Hongsan culture developed before 5000. Continued and the Hagajum upper level culture advanced a Hagajum lower stratum culture and after next. To east of the Liao-river insurgent including an oceanic culture and the dolmen culture advanced. With proto-Chosun is a culture where the relationship is deep. The Palhae-sea basin the Chinese civilization, the north nomadic civilization, and the east civilization intersects like this, took charge of the strong hold role which reproduces. China as Liaohua-civilization theory calls the ‘a Palhae-civilization theory'. It China is central, is a logic in the land center. The author asserts ‘a Palhae-civilization theory', examines closely seeks character of East asia-civilization, the identity of our culture.

      • 요동~요서 적석단총에 나타난 맥족(예맥족)의 이동 흐름

        정경희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2 No.-

        배달국~고구려시기 백두산 서편 천평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한반도 지역 선도제천시설의 대체는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 선돌·나무솟대·제천사·고인돌류)’이었다.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의 중심 제천시설은 애초 3층원단류의 적석단총이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고인돌 이하 각종 다양한 제천시설로 다변화되어갔다. 요서지역에는 나타나지 않는 고인돌이 등장하는 등 요동지역은 요서지역에 비해 제천시설 다변화의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단군조선시기에는 새롭게 신식 고인돌 단총제가 등장하였으나 구식 적석단총제를 전면 교체하지 못하고 구식과 신식이 상호 공존·결합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재차 적석단총제의 부활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면모는 맥족 선도제천문화의 원향이던 백두산 서편 천평지역 선도제천문화의 저력, 특히 그 상징물인 적석단총제의 저력을 보 여주었다. 백두산 천평지역의 적석단총제는 배달국 중기 요서사회로 전파, 대릉하 일대를 중심으로 화려하게 만개한다. 요서지역의 적석단총제는 배달국 후기 일시적 쇠퇴기를 지나 단군조선 전기가 되자 ‘환호·석성을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의 형태로 재차 극성하였으나, 단군조선 후기가 되자 요서사 회 전반에서 군사문화 요소가 증대하고 북방족의 영향력이 높아지는 변화 속에서 약화 경향을 보였다. 부여·고구려시기 맥족은 요서사회에 대한 주도권을 상실하고 요동 송화강 일대를 거쳐 맥족의 원향인 백두산 서편 천평지역으로 되돌아가게 되며 여기에서 재차 적석단총제를 꽃피우게 된다. 결국 배달국~고구려시기 맥족은 ‘요서 진출·정착 및 요동 회귀’라는 순환적 이동 흐름, 곧 ‘백두산 서편 혼강·압록강 천평지역 → 대릉하 청구지역 → 서랍목륜하지역→ 송화강지역 → 백두산 서편 혼강·압록강 천평지역 → 일본열도’의 이동 흐름을 보였고, ‘환호·석성을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선돌·나무솟대·제천사·고인돌류)’로 대변되는 선도제천문화를 남겼다. 맥족의 선도제천문화는 동아시아사회는 물론 유라시아사회로 전파, 세계 상고문화의 발전을 견인하였다. Since the opening of Baedalkook倍達國, Chunpyeong天坪 region in the west of Mt. Baekdu白頭, Liaodong遼東 had maintained its status as a source and center of typical ‘Sundo Heaven Ritual仙道祭天 Culture’ which was represented as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three-layered circular altar·tomb type)’ or ‘three layer- 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The stone mound altar·tomb system of Chunpyeong region spread to Liaoxi遼西 area in middle Baedalkook and it was in full bloom mainly in Daling River大凌河. After the temporary decline in late Baedalkook, it was polarized in the form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stone mound altar type)’ again in early Dangun Chosun檀君朝鮮. However, as the military cultural factors of Liaoxi society increased in late Dangun Chosun, the stone mound altar·tomb system was weakened somewhat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rough these changes, we can know that Maek race(the main tribe of Baedalkook originated from Chunpyeong region in the west of Mt. Baekdu)'s advancement to Liaoxi region in early and middle Baedalkook, Maek race's settlement in Liaoxi region in early Dangun Choson, and the increasing influence of the northern peoples closely related to the military culture of Liaoxi society in late Dangun Chosun. Due to the collapse of the Dangun Chosun Federation at the end of the Dangun Chosun, Maek race lost control of Liaoxi society and moved their activities to the Liaodong area. The vacancies of the Maek race are filled with the northern peoples, who have been increasing influence since the late Dangun Chosun. Overall, from Baedalkook to Goguryeo高句麗, there was Maek race's cyclic moving flow, i.e, 'Maek race's advancement and settlement to Liaoxi area and return to Liaodong area. Specifically it was the movement of 'Chunpyeong region of the west of Mt. Baekdu and Hun River渾江·Amnok River鴨綠江 → Cheonggu靑邱 region of Daling River → Xilanmulun River西拉木倫河 region → Songhwa River松花江 region → Chunpyeong region of the west of Mt. Baekdu and Hun River·Amnok River' The main tribe of Baedalkook, Maek貊 race spread throughout the Liaodong, Liaoxi and Korean Peninsula as the above-mentioned moving flow and became the central race of northeast asian society. In additio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led by Maek race lead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urasian ancient culture, spreading not only in East Asian society but also in Eur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