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戰國ㆍ秦ㆍ漢시기 遼東郡과 그 경계

        宋眞(Song Jin)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6

        본고는 고대 중국 왕조와 고조선의 경계의 위치와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전국ㆍ진ㆍ한 시기 요동군과 고조선의 관계 및 定界 형태를 검토하였다. 기본적으로 요동군에서 왕조의 국경을 구성하는 부분은 장성이 설치된 북쪽 경계와 고조선을 비롯한 주변 국가가 위치한 동쪽 경계였다. 우선 북변을 구성하는 연진한 장성의 동단은 모두 요동군에 위치하였고, 그 위치는 오늘날 遼寧省 阜新縣과 彰武縣 부근이다. 문헌에 보이는 고조선과의 定界 형태 기록은 매우 단편적이다. 연의 요동군과 고조선이 접하는 변경에는 障ㆍ塞가 설치되어 연의 국경을 이루었다. 그러나 연과 고조선의 경계는 국경선의 형태가 아니었고, 연의 障ㆍ塞와 만번한 사이에는 넓은 국경 지대가 존재하였다. 진의 요동군과 고조선이 접하는 지역은 진의 ‘外?’에 속하였다. ‘外?’는 요동군 밖에 설치된 ?로서, 고조선이 ‘外?’에 속했다는 표현은 고조선이 진의 변경 치안 관리 범위에 속했다는 의미이다. 한대 玉門關 밖 서역과의 중간 지대나, 五原塞 밖 흉노와의 중간 지대가 한 제국의 직접 지배 범위가 아니듯, 요동군 밖에 위치한 ‘外?’의 관할 범위 역시 제국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전한시기 한은 옛 변새를 수보하여 요동군의 경계이자 한의 국경으로 삼았으며, 고조선의 국경은 浿水였다. 요동군의 변새와 고조선의 국경인 浿水 사이에는 明代 遼東邊墻과 압록강 사이와 같은 ‘無主地’가 존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border type between Liao Dong Jun(遼東郡) during the Warring States(戰國)·Qin(秦)·Han(漢) periods and Gojoseon.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rder between ancient Chinese dynasties and Gojoseon. The border line of Liao Dong Jun comprised the northern boundary with the Great Wall and the eastern boundary where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Gojoseon. The Eastern end of the Great Wall of Yan(燕)QinHan, which constituted the northern boundary, was also part of Liao Dong Jun and was located near today’s Fuxin(阜新) in Liaoning province(遼寧省). The border type with Gojoseon is partially recorded in the literature. A fortress and a castle of the Yan State were installed where Liao Dong Jun and Gojoseon shared a border. However, the border between Liao Dong Jun and Gojoseon was not a line, but rather a large area between the fortress and 滿番汗. During the Qin dynasty, the border between Liao Dong Jun and Gojoseon belonged to ‘Wai Jiao(外?)’, meaning that the border line was established outside of Liao Dong Jun. If Gojoseon belonged to the outside border of Liao Dong Jun,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was included in security area of Qin. During the Han Dynasty, the middle zone among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and located outside of the Yumen Pass(玉門關) was not directly controlled by the Han Empire. Similarly, ‘Wai Jiao’ did not belong to the Han Empire. Throughout the Han Dynasty, the Han protected the fortress and the castle to create the boundary of Liao Dong Jun. This denoted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border. Meanwhile, Gojoseon established the border along Pei River(浿水). A buffer zone existed between the fortress in the border area of Liao Dong Jun and Pei River in Gojeseon, as during the Ming dynasty, a buffer zone was in place between defense line of Liao Dong Jun and the Yalu River.

      • KCI등재

        조선 전기 요동에서 사행(使行) 호송군(護送軍)의 역할과 국제무역의 경계

        구도영(Koo Doyoung)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8

        본 연구는 조선 전기 조선 의주와 요동의 요양을 오간 조선 호송군에 주목하여, 호송군의 활동을 파악하고 그간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조선 전기 변경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 전기 조명외교에서 호송군이란 명(明)의 북경(北京)으로 떠나는 조선사행단을 의주에서 요양까지 보호하기 위해 파견된 군부대를 일컫는다. 15세기 의주에서 연산관에 이르렀던 요동 지역 일대는 명의 영토가 아니라 조선과 명사이의 국경 완충지대로 존재하였으므로 도적의 습격에서 조선 사행단을 보호할 군인이 반드시 필요하였던 것이다. 호송군은 조선 대명 사행단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인력이었으며, 동원된 규모 역시 상당하였다. 호송군은 평안도민에서 선발하였다. 하나의 사행마다 호송군을 50~100여 명 정도만 동원해야 했지만, 실제로 많게는 1,000여명까지 동원하는 등 호송군 수는 북방 성식의 상황과 사신의 품계에 따라 가변적이었다. 동원 기간을 살펴보면, 하나의 사행단을 호송하기 위하여 평균적으로 대략 2개월 남짓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므로 15세기에는 호송군 인력을 거의 일 년 내내 동원해야 했다. 시기를 가리지 않은 호송군 동원은 백성들의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고, 이는 해당지역 백성의 동요로 이어질 수 있었다. 조선 조정은 농번기를 가리지 않고 동원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호송군의 경제적 피해를 보상해주고자 이들에게 요동에서의 국제무역을 허가하였다. 명과의 사무역을 강력히 통제하였던 조선 조정의 대외무역 정책을 참고하면 이는 매우 이례적인 조치였다. 조선 전기 요동에서 사무역으로 경제적 이익 획득이 가능하다고 합법적으로 고시된 자들은 호송군이 유일하였다. 호송군은 중앙 권력에 접근하지 않아도 요동에서 국제무역의 가능성이 부여된 유일한 조선 백성이었던 것이다. 이는 조선 조정이 명과의 무역을 엄금하는 국가 기조 속에서도 대명외교와 국방을 맡고 있는 평안도민의 안정을 중시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요동에서 중국인과 합법적으로 무역할 수 있었던 경험의 오래된 축적은 호송군이 조선의 백성들 가운데 누구보다 국제무역에 익숙하게 하였을 것이다. 또한 호송군은 요동 지역을 수시로 왕래하며 요동의 지리와 생활환경 등에 대해 누구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하고 경험했으며, 달적의 습격에 대한 대처 역시 누구보다 능숙해졌다. 호송군 임무로 요동의 정보와 지리에 익숙해진 이들은 15세기말 조선과 요동 지역의 유통경제 발달과 명의 요동팔참 장악 확대로 거주의 안정성이 확보되자, 요동으로의 이주와 불법무역을 추동하는 세력이 되었다. 의주인이 요동에서의 불법무역을 기회로 포착할 수 있었던 것은 호송군으로서 요동무역을 경험하고, 외국인 명에 대한 정보력을 축적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호송군 중 일부는 그들이 가진 요동 정보를 이용하여 더 나은 삶을 꿈꾸었다. 그것이 요동으로 이주를 선택하게 하거나, 조선과 명 모두가 국초부터 절대불가의 영역으로 지정하였던 불법무역의 금단을 허물게 하였으며, 16세기 조선의 국제무역을 성장시킨 하나의 물꼬가 되었다. 조선 전기 중앙과 중앙이라는 테두리를 넘어 변경인으로서 조선 사회의 또 다른 변화를 재생한 주체가 요동의 왕래자 호송군이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The escort soldiers in diplomacy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were sent to protect the Joseon government envoys traveling to Beijing from Uiju to Liaoyang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se soldiers were required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Joseon Dynasty envoys traveling to Ming, and the scale of an embassy was large. The soldiers were recruited from residents in Pyeongan Province. As many as from fifty to 100 soldiers had to be mobilized for each envoy. However, in actuality, more than 1,000 soldiers were mobilized, and that number differ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northern areas. In addition, it typically took more than two months to escort the embassy to Beijing. Soldiers were mobilized regardless of the busy farming season. The Joseon government permitted trade in the Liaoyang are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the soldiers. Considering that the Joseon government’s policy toward foreign trade strongly controlled private trade with Ming, these were exceptional measures. These soldiers were the only Joseon people authorized to engage in international trade in the Liaodong area despite their not having approached the central government. The consistent accumulation of experience through which they could legally trade with Chinese in Liaodong led these soldiers to become more accustomed to international trade than any other Joseon people. Furthermore, the soldiers frequently visited the Liaodong area and obtained more information, such as the geography and the life environment in Liaodong, than other Koreans, which made them skilled in coping with attacks by bandits. Some soldiers who became acquainted with information and geography in the Liaodong area sought a better life by utilizing their own knowledge of the region. They chose to emigrate to Liaodong or broke the prohibition against illegal trade with the Ming Dynasty that had been enforced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period. They opened the gate for developing Joseon’s international trade in the sixteenth century. Thus it should be noted that subjects who made changes as marginal people included these soldiers who visited Liaodong.

      • KCI등재

        ‘樂浪史’ 時代區分 試論

        權五重(Kwon O-jung)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3

        낙랑군은 4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존속하였다. 이처럼 오랜 기간을 하나의 단일한 시대로서 이해하기는 곤란하며 또한 낙랑군의 모습은 시기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낙랑군의 역사에 대한 시대구분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여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는 한무제가 조선을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그 지역에 낙랑군을 비롯하여 군현을 설치했던 시기이다. 이 시기는 중국적 지배방식을 현지 주민에게 강요하던 시기로서 지배형태는 무단적이었으며, 이에 따른 원주민의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그 시기는 무제기에 해당한다. 제2기는 한무제의 사망이후 원주민에 대한 지배가 다소 완화되었던 시기이다. 진번군과 임둔군이 폐지되고 현도군이 이사한 것도 이 때문으로서, 이 시기는 공권력에 대신하여 민간(주민)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특히 낙랑인 王調가 봉기한 후한 초는 민간 활동의 전성기라고 할 만하다. 제3기는 후한이 왕조정권을 진압한 이후 낙랑에 군현의 공권력을 복원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 이후 민간의 교류는 2期의 산동에 대신하여 요동에 의존하였으며, 특히 祭?이 요동태수로 재직하던 시기 낙랑에 대한 요동의 영향은 컸다. 이 시기는 2세기 초 安帝期까지 지속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제4기는 후한 중기부터 말기에 이르는 시기로서 이 기간 중 낙랑군은 크게 쇠퇴하였다. 그 원인은 낙랑 밖의 원주민사회가 성장한 때문으로서 이로 인한 낙랑주민의 동요와 이탈이 있었다. 낙랑을 지원해야 할 漢 조정도 무기력한 상태로서 낙랑의 쇠퇴는 후한말까지 계속되었다. 제5기는 후한 말기에서 曹魏의 기간으로서, 이 시기 낙랑군은 요동에 자리한 세력의 지원을 받아 부흥의 기회를 맞았다. 요동에 공손씨정권이 출현하면서 낙랑은 그 지배 아래 있었는데, 2대 군주인 公孫康은 낙랑군 남부에 대방군을 신설하여 낙랑주민의 이탈 문제를 해결하였다. 공손씨정권이 붕괴한 이후엔 요동에 주둔한 幽州刺史가 대신하여 낙랑과 대방을 지원하였다. 제6기는 낙랑 최후의 시기로서 魏ㆍ晉의 교체기로부터 西晉 말기에 이르는 시기이다. 이 때에 낙랑과 대방에서 군현체제를 확인하기 어렵다. 잠시 東夷校尉의 후원을 받는 시기가 있었으나 그 영향은 과거 요동군이나 幽州刺史府의 지원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낙랑 최후의 과정은 官府의 모습이 아닌 주거집단으로서의 모습이었다. This study attempts the periodization of Lorang history and divides the six historical periods as below. The first period features that Han Wu-ti conquered Gojoseon(古朝鮮) and set up four commanderies including Lorang commandery in that area. As it forced the chinese ruling system on the barbarian inhabitants, its ruthless governance faced with resistance of the aboriginal inhabitants. The first period amounts to Han Wu-ti(漢武帝)'s reign. The second period features that the loosened governance on the aboriginal inhabitants after Wu-ti's death. As this caused Zhenfan(眞番) and Lintun(臨屯) to be abolished and Xuantu(玄?) to be moved, nongovernmental circles came to play extended roles instead of public power. The early of the later Han Dynasty in which Wangjo(王調), a native of Lorang, rose in rebellion, is the zenith of Lorang history. The third period features that the later Han restored commandery system to Lorang after suppressing the regime of Wangjo. Nongovernmental interchange from this period based on Liaodong(遼東) instead of Shandong (山東) of the second period. At the time of Zhaitong(祭?)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Liaodong, had influence on Lorang. This period lasted until the reign of An-ti(安帝) at the early second century. The fourth period features that Lorang commandery was wasting away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the later Han. As the native societies at the outside of Lorang came to develop, the Lorang residents were in disturbance and fled from Lorang. The Han Dynasty was so incapable of supporting Lorang that the decline of Lorang lasted by the end of the Later Han. The fifth Period features that Lorang commandery was restored with the support of local power in Liaodong from the end of the later Han to the kingdom of Cao Wei(曹魏).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ongsun Kingdom(公孫氏政權) in Liaodong, Lorang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Kingdom. Gongsun Kang(公孫康), the second ruler of the family, established the Daifang commandery(帶方郡) at the southern half from the Lorang and settled the problem of Lorang residents' breakaway. After the collapse of the Gongsun Kingdom, Regional Inspector of Yuchou(幽州刺史) who stayed in Liaodong supported Lorang and Daifang. The sixth period features the ending of Lorang from the replacement period of Wei(魏)and Jin(晉) to the end of the Western Jin Dynasty. It is hard to ascertain the commandery system in Lorang and Daifang at this time. The Commandant of Eastern Barbarians(東夷校尉) supported Lorang for a while but its influence was less than the support of Laiodong commandery (遼東郡) and Regional Inspector of Yuchou. The last appearance of Lorang looked not like an administration but like a inhabitants group.

      • KCI등재

        창해·요동의 의미와 창해군

        윤병모 한국국학진흥원 2024 국학연구 Vol.0 No.54

        한대漢代 요동은창해의동쪽으로표현하고있어창해는오늘날발해에 해당한다. 창해는 사기 등 다수의 고대 중국 문헌을 근거로 할 때에 발해를 지칭하며창해군은발해 인근에위치하였다고볼 수있다. 한대에 창해군이 폐지된 것은 그것이 멀리에 있었다는 것보다는 창해군에 속한 이민족 지배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든다는 내용으로 해석된다. 삼국지 위서와비교하여 기원후207년 보다330여년이 앞선기원전128년상곡과 요동구간의교통로 사정은매우열악한 지경에있었음을알수있다. 여기서요동에이르는구간의교통로가매우좋았을것이라는견해는타당하지않다. 어양이동의요동은한입장에서포기할수있는이적의땅으로 인식되고는하였다. 사기 세가에의하여기원전202년이후기원전109 년까지요동군의실체를분명히확인할수없다. 후한에의해요서지역에 요동속국이설치된것도요동이반드시요하의동쪽을의미하지는않는다. 창해군의28만구는요동군27만여구와현도군22만여구보다도더많은 수에해당한다. 때문에궁벽한 동해안 쪽 예 일대에 28만구를 가진 한의 창해군이 설치되기는어렵다. 창해군이기원전128년에설치되어126년에폐지되었다면 폐지후불과20여년만에설치되는현도군이왜창해군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쓰지 않고 별도의 현도군이라 했는지 의문이다. 창해군 재함흥설과 재동해안설의문제는삼국사기에나와있는창해를 사기와한서, 후한서, 삼국지의창해와동일시한다는점이다. 상곡부터요동은땅은넓으나인구가적었다는점을고려하면창해군은발해 인근 오늘날 요하 서쪽에 설치된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The fact that Canghaijun was abolished during the Han Dynasty is not that it was far away. It is said that the cost of ruling the foreign people belonging to the Canghaijun is high. Liaodong is represented as the east of Canghai. Canghai thus corresponds to the western part of present-day Bohai. In ancient China, Donghae in Korean waters was not called Canghai. Based on a number of ancient Chinese texts such as Shiji, it can be said that Canghai refers to Bohai in ancient China. Canghai refers to Bohai, and Canghaijun is located in Bohai. It is not desirable to establish the location of Canghaijun by detecting only Hui alone in Huijunnanlu. Huijun must be reviewed together with Canghai, Liaodong and Huimo to understand its original meaning. Also, do not judge Huijunnanlu in the 2nd century BC with the Canghaijun articles in Sanguozhi and Houhansu compiled around the 3rd century AD. This is far from historical. If Huijunnanlu and others betrayed Chosun king Woogeo and belonged to Liaodong, Canghaijun was not established in the lands of Chosun, such as Hui, Okjeo, and Goguryeo. In the records of Sanguozhi and Houhansu, Hui comes out as a region encompassing Hui, Goguryeo, Okjeo, and Donghui. Huijunnanlu is neither Buyeo’s Hui nor Donghae’s Hui, but Liaodong’s Hui or Huimo. Based on this criterion, Canghaijun is installed in the west of Bohai, and spring is reasonable.

      • 高句麗 廣開土王의 遼東確保에 관한 新考察- 廣開土王碑 ‘丁未年條’의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강재광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09 한국고대사탐구 Vol.2 No.-

        Gwanggaeto the Great(廣開土大王) was the lord that came true the dream of Koguryo(高句麗) people who had desired to secure Yodong(遼東) province during several centuries. Yodong province became a part of Koguryo territory in the rule of Gwanggaeto the Great. The father, King Gokukyang(故國壤王) made an assault on Yodonggun(遼東郡)ㆍHyuntogun(玄菟郡) in 385. Owing to this successful military operation, Koguryo could take possession of Lyukseong(力城)ㆍBukpoong(北豊) which had existed as a main part of Yodonggun. Gwanggaeto the Great who succeeded to the throne, needed to go on an expedition in person against Baekje(百濟) in 396. Therefore, he accepted the installation of King Moyongbo(慕容寶) who ascended to the throne of Huyeon(後燕), for maintaining peace relations with Huyeon. But the tribute to Huyeon was accomplished belatedly in the rule of King Moyongseong(慕容盛) who was a child born of a concubine of King Moyongbo. The tribute to Huyeon was caused by following two objects. First, Gwanggaeto the Great wanted for Koguryo envoys to scout internal circumstances of Huyeon Court. Second, he longed for continuing peace relations with Huyeon, because his grand army went southward to relieve Silla(新羅) dynasty from invasion of foreign forces. Between Koguryo and Huyeon, the installation-tribute relationship that seemed to be formal and unrealistic, was abrogated finally in 400. On February the same year, King Moyongseong plundered Koguryo in the name of Gwanggaeto the Great's rudeness. Actually his invasion made good use of the time that Koguryo grand army went southward to relieve Silla. In the war, Koguryo was put on the defensive for a time, losing Sinseong(新城) and Namsoseong(南蘇城). But after a while Gwanggaeto the Great easily could occupy the whole area of Yodong province in 401, because of utilizing internal strifes of Huyeon dynasty. He broke into war of revenge against Huyeon immediately. Koguryo army took a fortress, Sukgunseong(宿軍城) which was near by Huyeon's capital, Yongseong(龍城) in 402. Further more, they boldly attacked Yeongun(燕郡) which was located on the lower Daerungha(大凌河) in 404. In addition to this, Gwanggaeto the Great kept all out attack of King Moyonghee(慕容熙) in check at Yodongseong(遼東城) and Mokjurseong(大底城) during 405~406. As a result of triumph, Koguryo could hold military superiority over Huyeon. At the last, Gwanggaeto the Great was urgent to extend military results against Huyeon army that having been made a general retreat into Yoseo(遼西) in 407. The preceding part in front of 'Hwanpa(還破)' in the Jeongminyeon(丁未年) article of Gwanggaeto the Great's inscription(廣開土大王碑文) is considered of containing this content. In short, the exterminatory war against Huyeon in 407 was a outstanding achievement of Gwanggaeto the Great. And the influence of the exterminatory war had replaced Huyeon dynasty with Bukyeon(北燕). Hence, the Jeongminyeon(丁未年) article connoted the historical meaning that it made special mention of the rise of Koguryo dynasty as a supreme ruler in the Northern Asia. 廣開土王은 수 세기에 걸쳐 遼東確保를 염원해왔던 고구려인의 宿望을 실현시킨 군주였다. 요동 영토는 고구려의 전통적인 西進政策에 따라 오랜 세월에 거쳐 점진적으로 확보되어 오다가 廣開土王代에 이르러 완전히 고구려의 領地가 되었다. 광개토왕의 부친 故國壞王은 385년 6월 遼東群ㆍ玄菟郡을 기습 공격하여 이후 고구려가 力城ㆍ北豊 등 요동군의 일부 영역을 점유할 수 있었다. 고국양왕의 뒤를 이은 광개토왕은 396년 당시 최대의 宿敵이었던 백제에 대한 대규모 親征이 필요했으므로 後燕王 慕容寶의 冊封을 수력하여 후연과 平和關係를 유지했다. 그러나 광개토왕의 후연에 대한 朝貢은 모용보를 이은 慕容盛 집권기에서야 뒤늦게 이뤄졌다. 그것은 광개토왕이 후연의 내부정세를 정탐하고 400년 新羅救援戰爭으로 인한 요동방어선의 약화를 염려하여 후연과의 전쟁을 방지하기 위한 정치 군사적 목적에 起因하였다. 이러한 형식적ㆍ일회적 ‘朝貢冊封關係’는 결국 400년에 파국을 맞이했다. 같은 해 2월 후연왕 모용성은 고구려왕의 예의가 오만하다는 것을 명분으로 하고, 실제로는 고구려가 신라구원전쟁을 수행하고 있던 틈을 타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이 전쟁에서 고구려는 新城과 南蘇城이 함락되는 등 일시 수세에 몰렸다. 그러나 후연의 自中之亂을 활용하여 401년경 요동 전역을 차지한 광개토왕은 후연에 대한 반격전에 돌입하였다. 그리하여 402년에는 후연의 수도 龍城에서 가까운 宿軍城을 함락시켰고, 404년에는 大俊河 하류의 燕郡까지 공략하였다. 아울러 405~406년에 걸쳐 후연왕 慕容熙의 遼東城ㆍ木底城 침공을 효과적으로 격퇴함으로써 후연에 대해 군사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광개토왕은 407년 초엽 遼西로 총퇴각하는 후연군을 괴멸하기 위한 전과확대 전쟁이 시급하였다. 그러한 내용은 「廣開土王碑文」 丁未年條의 ‘還破’ 앞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해 보았다. 반면 정미년조의 ‘환파’ 뒷부분은 백제의 6城을 攻破한 것임이 거의 확실하였다. 요컨대 407년 후연군에 대한 섬멸전은 광개토왕의 위대한 정복사업들 가운데 하나였으며 후연에서 北燕으로의 정권 교체를 유발케 하였다. 그러므로 정미년조는 고구려가 東北亞의 覇者로 등극하는 순간을 特記했다는 역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 KCI등재

        전국∼전한시기 遼東郡의 경계형태와 대외 교통로 : 고조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송진(Song, Jin)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5

        본고는 전국시대∼전한 시기 동북 방면 대외 교통로 문제를 요동군 변경 시설과 그 경계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로서, 특히 전국시대∼전한 시기 중국 왕조와 고조선과의 대외 교통로 문제를 고찰하였다. 중국 고대 국가의 교통망은 縣 단위의 문서전달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 때문에 군현을 확대․ 재편하는 과정에는 반드시 교통로 정비가 수반되었다. 그리고 봉수와 같은 변경 수비 시설 역시 변경 문서전달체계의 최하위 단위였으며, 변경의 위급한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군대나 물자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교통로 확보는 필수적이었다. 이런 점은 대외 교통로 문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전국시대 燕과 고조선의 주요 교통로는 당시 변군이었던 요동군의 방어시설과 관련이 있었다. 비록 요동군의 강역이나 고조선과의 경계로서 滿番汗의 위치 비정 문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그 대략의 교통로는 遼寧省 동단에서 압록강 중하류를 통과하여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에 이르는 경로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육로 교통로는 진한 시기를 거치면서 요동군 변경 시설의 변화에 따라 그 관리 방법이 바뀌었을 뿐 대체로 유사한 형태로 유지되었다. 특히 진 제국 시기에는 요동군과 고조선이 접변하는 지역에 外徼를 설치하여, 대외 교통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고대 중국 왕조와 고조선의 대외 교통로 문제는 고조선의 강역과 중국 왕조와의 경계와도 관련이 있기에 국내외 학계에서 군현과 하천의 위치 비정은 물론 遼寧省과 서북한 지역에서 발견된 봉수 유지 등의 해석을 둘러싸고 이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중국 왕조와 고조선의 경계 지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 비정은 향후 관련 고고 발굴 조사가 진행되어 이에 대한 확정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boundary types of the Liaodong-Jun(遼東郡) and foreign traffic routes during the Warring States(戰國)·Qin(秦)·Han(漢) peri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raffic Routes between ancient Chinese dynasties and the Gojoseon. The transportation network of ancient China was closely related to the document delivery system of the Xian(縣) unit. The route maintenance always accompanied the expansion or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e boundary defense facilities such as “the beacon” were also the lowest unit of the boundary document delivery system, so the nation s internal transportation network was systematically formed up to the boundary defense facilities. Therefore, the main traffic route from the capital of ancient Chinese dynasties to Gojoseon s Capital was the route to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facilities of Liaodong-Jun. Although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extent of Liaodong-Jun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location of the boundary with the Gojoseon is controversial, the main traffic route between the Yan(燕) and the Gojoseon can be understood as routes from the border facilities of Liaodong-Jun to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alu River and to the capital of the Gojoseon. Although management methods were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of facilities in Liaodong-Jun during the Qin(秦)·Han(漢) periods, these roads were generally maintained the same. During the Qin Empire, ‘Wai Jiao(外徼)’ wa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Liaodong-Jun and the Gojoseon bordered to effectively control or manage foreign traffic routes. However, since the problem of foreign traffic routes between ancient Chinese dynasties and the Gojoseon i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ir boundaries,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location determination in the academic circles. It is expected that the exact location of their boundaries will be confirmed after archaeological excavations.

      • KCI등재

        樂浪郡의 推移와 嶺西 地域 樂浪

        李道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B.C. 108년에 설치된 한사군 가운데 낙랑군의 소재지를 313년까지 지금의 평양 지역으로 국한시킨 견 해가 정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낙랑의 소재지를 충족시켜주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낙랑 관련 자료를 재검토해 보았다. 평양 지역의 낙랑군은 설치된 지 1세기가 지나서부터는 쇠약의 기미를 보였다. 이후 낙랑군의 존치와 폐치는 거듭되었다. 그리고 韓濊의 강성으로 2세기 후반에는 낙랑군의 통제력이 급속히 이완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이전에 이미 고구려의 南進으로 인해 평양 지역의 낙랑군은 압록강을 넘어서 안평 以北으로 이동하였다. 이렇게 성립한 요동의 낙랑군이 대표성과 상징성을 함께 지니면서 대방군과 더불 어 存置되었다. 역대 중국 왕조에서 삼국 왕들에게 수여한 爵號에 '樂浪'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럴 정도로 낙랑이 지닌 지배권적 명분은 지대했던 것이다. 그랬기에 요동에 存置된 낙랑은 이후 폐 지와 부활을 거듭하면서 6세기대까지 존속할 수 있었다. 그런데 평양 지역의 낙랑군 주민 일부는 嶺西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삼국사기』에 보이는 백제의 동쪽에 소재하면서 신라까지 침공한 낙랑의 태 동이었다. 낙랑군의 分解를 읽을 수 있다. 영서 낙랑은 지금의 강원도 春川에 소재하였다. 이것을 뒷받 침할 수 있는 문헌적 근거와 물증도 제기된다. 4세기대에 접어들어 요동의 樂浪郡과 帶方郡은 고구려의 집요한 공세를 견디지 못하고 前燕으로 歸附 하고 말았다. 嶺西 樂浪 역시 고구려의 압박으로 인해 해체의 길을 걸었다. 그런데 嶺西 樂浪은 진번이 나 임둔, 그리고 제1현도군과 마찬 가지로 뚜렷한 고고학적 물증을 남겨놓지 못하였다. 앞으로 구명해 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It was widely-accepted theory that the location of Nanglang commandery, one of Hansagun that were established in 108 B.C., was confined to Pyongyang until 313. However, it couldn’t meet the location of Nanglang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I reexamined the material about Nanglang with a critical mind. Nanglang Commandery in Pyongyang region showed signs of decay after a century of establishing. Since then, there were constant maintenace and demolition. As Hanyea(韓濊) becoming powerful, control of Nanglang relaxed rapidly in the late 2ndcentury. However prior to that, due to southward advance of Goguryeo(高句麗), they moved to the north of Xi’anping passing over the Yalu. Nanglang Commandery of Liaodong area was established with representability and symbolization, along with Daifang in this way. A line of kings in China, ‘Nanglang’often appeared in the names of government posts which were given to the kings of the Three States. To that extent, control cause of Nanglang was profound. That’s why the Commandery of Laiodong exists until 6thcentury repeating abolition and reinstate. But some residents in Nanglang Commandery of Pyongyang moved to the west side area of Gangwon province. It was the beginning of Nanglang which was located in the east area of Baekje and once attacked Silla,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Breakup of Nanglang Commandery can be read. The west side area of Nanglang is now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Supporting evidences are also suggested. As 4thcentury is ushered in, Nanglang of Liaodong and Daifang obeyed Yan, because they were unabled to stand Goguryeo’s persistent attack. The west side area of Nanglang came to breakup due to the pressure of Goguryeo, too. However, they are lack of archaeological proof, like the cases of Jinbeon, Limdun, and First Hyeondo Commandery. These are remained problems to be solved.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 『염철론』‘조선’ 기사의 분석을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염철론』의 ‘조선’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 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오현수(吳炫受)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염철론』의 ‘조선’ 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 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 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 KCI등재

        조선 전기 對明 使行 護送軍 제도와 운영

        구도영(Koo, Do-Yo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50

        본 연구는 15~16세기 對明 使行을 호위하는 중요한 역할을 점하고, 조선조 軍役에서 지속적으로 동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대명사행 護送軍의 운영 제도를 살펴보았다. 이로써 사행단의 구성원이었던 호송군의 역할을 환기하고, 군사 연구에서 결락으로 남아있던 호송군의 존재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명은 국초 요동의 連山關 동쪽에서부터 압록강에 이르는 넓은 요동일대에 대해 행정적으로나 군사적으로 장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조선은 의주에서 요동도사가 있는 요양까지 420里 구간에서 조선사행단을 보호할 군인을 파견해야 했는데, 이들이 호송군이다. 호송군은 주로 평안도민에서 차출되었다. 호송군인을 통솔하여 사행단의 안전을 총지휘하는 자는 團練使였고, 그 아래에 하급 무반직인 旅帥와 隊正을 두어 단련사를 보좌하게 하였다. 단련사는 국초 평안도 지역의 형세와 군무를 잘 알고 있는 토착인인 천호로 임명하였지만, 점차 지방에 대한 중앙 행정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수령으로 임명하였다가 16세기에 이르면 別侍衛, 甲士 등의 군관에서 주로 임명하였다. 호송군은 사행 호송시에 隊伍를 나누어 호송하였으며, 각기 軍號와 各隊의 칭호를 써서 行伍를 분변하였다. 지정된 군령을 어기면 처벌받았으나, 사행 호송중에 방어를 행하다가 사망 혹은 실종되면 戰死者 예우로 보상받았다. 국초부터 성종대 이전까지는 사행단 파견이 잦아서 북경 사행단만을 위해서 호송군을 1년에 약 420~600여일을 동원해야 했고, 16세기에는 약 280~350일 정도 동원했다. 국초에는 한 차례의 사행에 호송군을 30명 정도 동원하였지만, 세종 중엽부터 북방으로의 영토 확장이 강력하게 추진되면서 여진족과의 갈등이 깊어지자 호송군 수도 수백 명으로 증가하였다. 『經國大典』에 호송군 동원 인수를 규정하였지만, 지켜지지 않은 적이 많았다. 호송군은 국경을 지키는 일보다 고된 일이라고 이해되어, 호송 병력 유지에 대한 조선조정의 고민과 부담은 깊어질 수밖에 없었다. Ming Dynasty was not able to seize the wide whole area of the Liaodong from east of Yonsan Gateway to the Yalu River during the foundation of a nation. As a result of it, Joseon Dynasty had to send soldiers to protect Joseon Envoy from Uiju County to Liaoyang where Liaodongdosi, the General headquarters, is located for the particular interval of 420 Li(里), who was referred to as "Convo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voy System & Its Operation of Envoy to Ming which has not been paid attention from the academic world up to now. Furthermore, we"ve tried to provoke the attention of Convoy"s role that occupied protecting the Envoy to Ming during 15th and 16th Century, and to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Convoy which had been missed in the military research. The convoy was mainly recruited from people in Pyongan Province. The person who commanded the safety of Envoy group by controlling the convoy soldiers, was the training envoy, while at the lower public office, there were "Ryeosu" and "Daejeong", the lower military positions, which helped the training envoy. The training envoy was appointed as the native and head of thousand population, who was acquainted with the terrain and military affairs in Pyeongan Province at first, and as the central administrative power to local area was reinforced, it was appointed as "Chief". After then, it was changed as being appointed from the military soldiers such as "Byeolsi-wi" (the Special Military Soldier) and "Gap-sa"(the Soldier with suit of armor). The Convoy soldiers escorted the Envoy by dividing the parade of soldiers and punished when they violated the military rules. However, if they were killed and missing in the course of escort of Envoy, they were indemnified as the respectful treatment of the person killed in war. Since there used to be a frequent dispatch of Envoy from the foundation to the previous Ninth King, Seong-jong, they had to mobilize the convoy soldiers for Beijing Envoy for 420 ~ 600 days in a year, while 280 ~ 350 days in the 16th century. At the beginning, 30 convoys were mobilized at one time of Envoy, but as the territorial expansion to the northern region was carried forward from the middle of King Sejong with the deepened conflict with Jurchen, the number of convoy soldiers increased up to hundreds of soldiers. Though the number of convoy soldiers was regulated in Gyeonggukdaejeon, the code of law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not kept on several occasions. Working as a convey soldier was considered as harder than guarding the border, as a result of it, the agony of Choseon government for retaining the military troops of convoy came to appear in a number of different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