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외식행동 변화궤적에 대한 연구

        장정민(Jang, Jung-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7 외식경영연구 Vol.20 No.5

        사회적 변화에 따라 노인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노인의 외식 행동과 식품, 건강에 관련된 연구는 다수 있으나 거의 횡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들 이며 노인의 외식행동이 연도별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지를 종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노인의 외식행동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성별과 연령에 따른 비교분석을 실시하 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이 실시한 고령화연구패널(KLoSA) 2-5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AMOS를 활용하여 시간에 따른 노인의 외식행동(외식비, 외식비 비율)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성별과 연령에 따른 잠재 성장모형 검증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외식비와 외식비율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둘째, 연령이 낮을수록, 남자일수록 외식비와 외식비율이 증가 하였다. 셋째, 외식비가 낮은 집단일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외식비가 높은 집단 일수록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외식비의 비율이 낮은 집단일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외식비의 비율이 높은 집단 일수록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노인의 연령에 대한 외식비의 변화율은 연령이 낮을수록 초기 외식비가 높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식비의 변화량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ill explore the changing pattern of eating out behavior of senior people as time progresses and conduct comparison as well as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2nd and 5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urvey data were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AMOS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 of eating out behavior of senior people(eating out expense and the percentage of eating out expense), and further presented results from potential growth model tes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o summarize results, first, eating out expense and the percentage of eating out rose as time progressed. Second, eating out expense and the percentage of eating out increased for younger age and men. Third, groups with low eating out expense rose dramatically, while those with high eating out expense increased progressively. Fourth, groups with low percentage of eating out expense rose sharply; whereas, those with high percentage of eating out expense increased progressively. Furthermore, the percentage of early eating out expense for senior populations showed higher as they are younger. However, the change of eating out expense had no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age as time flew.

      • KCI등재

        외식업체 기술기반셀프서비스(TBSS)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의도 - 이주이론(Pull-Push-Mooring)을 중심으로 -

        Jin, ShunYing,나종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4

        유통 및 서비스 업계 전반에 무인화, 비대면 서비스가 점차 보편화 되고 있고, 또한 외식업계 전반에 경영 효 율화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외식업계는 기술기반셀프서비스(Technology-based Self-Service; TBSS)를 활용한 무인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들이 도입에 수반되는 문제점은 새로운 기술로의 이전이 얼마나 원활하고, 소비자 지향적으로 외식업체 TBSS 이용할 수 있는 교육의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고 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형별 TBSS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용행태를 살펴봄으로써 외식업체 TBSS와 기타 유형 TBSS에 대한 이용행태 차이를 도출하고자 하며, 이주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들이 외식업체 TBSS에 대한 인식 과 외식업체 직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 소비자특성으로서의 테크노스트레스, 프라이버시 염려, 커뮤니케이션 회 피성향이 외식업체 TBSS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식업체 TBSS를 이용한 경 험이 있는 소비자 3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314명의 응답 자료를 SPSS 25.0 프 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유형별 TBSS 이용행태를 이용경험과 소비자 인 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TBSS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기술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 으며 다양한 장소와 맥락에서 TBSS를 보편적으로 경험하고 있고, 인적 서비스에 비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둘째, 외식업체 TBSS에 대한 인식인 편리성과 유희성을 이주이론에서의 유입(Pull) 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편리성과 유희성이 외식업체 TBSS 이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든 독립변수 중에서 편리성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업체 직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인 낮은 이용가용성과 낮은 서비스품질을 유출(Push)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낮은 이용가용 성과 낮은 서비스품질은 외식업체 TBSS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 비자 특성인 테크노스트레스, 커뮤니케이션 회피성향, 프라이버시 염려를 계류(Mooring)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테크노스트레스는 외식업체 TBSS 이용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 회피성향은 외식업체 TBSS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이버시 염려는 외식 업체 TBSS 이용의도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s Unmanned and Untact servic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throughout the distribution and service industry, and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efficiency is increasing throughout the restaurants, the food service industry has utilized Technology-based Self- Service (TBSS) is spreading rapidly at the restaurants. With putting in the new technologies or services require consideration of how smoothly transfering from the person’s services to the services of the new technologies, and need to make a policy for the education that consumers can use the new technologies as the TBSS successful.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usage behaviors of various types of TBSS, and applying migration theory to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factors, the perception of TBSS at the restaurants, the perception of the employees’ service at the restaurants and the intention to use the TBSS at the restaurants. For this purpose, we designed online survey for the consumer who has the experience using the TBSS at the restaurants. A total of 314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oftw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ividing the usage behavior of TBSS by use experience and consumer perception, it can be seen that TBSS is positioned as a technology that can be easily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experiencing self-service in general and accepting it more positively than persons’ service. Second,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s on the intention to use the TBSS at the restaurants by the perception of the TBSS at the restaurants as the pull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convenience and the playfulnes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TBSS at the restaurants. especially, the convenience has the highest influence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Third,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tention to use the TBSS at the restaurants by the perception of the employees' service at the restaurants as the push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low availability and the low service qual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TBSS at the restaurants. Fourth,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s on the intention to use the TBSS of the restaurants at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s the mooring factor, It was found that technostres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TBSS at the restaurants. Unwillingness-to-communicat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TBSS at the restaurants. privacy concerns was not significance for consumers' intention to use TBSS at the restaurants.

      • KCI등재

        연구논문 : 외식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이광옥,이승길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식업의 이용유형을 조사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거주지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식업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한식당과 패밀리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을 비교하고 외식업에 대한 소비자의 속성을 비교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주요 광역시거주자를 대상을 이용형태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내국인은 월 2회 이상의 외식활동을 하며 1회 한 명당 8천원에서 3만원의 지출을 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자주 이용하는 외식업의 형태는 한식당(46.8%)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패스트푸드, 퓨전레스토랑, 테마레스토랑의 순서로 파악된다. 이러한 유형을 바탕으로 외식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외식횟수가 남성보다 많으며 여성소비자가 외식을 주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령층에서는 30대 미만의 연령층이 외식횟수가 가장 많으며 한 종류의 외식업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음식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다양한 음식점을 이용하며 소득이 낮을수록 외식횟수는 많지만 1인당 지출비용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식당과 패밀리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의 비교에 있어서는 음식의 맛과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메뉴형태와 종류, 점포의 위치, 서비스, 광고전략, 감성적 욕구의 순서로 패밀리 레스토랑이 한식당 보다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本硏究の目的は、國內外食産業の利用タイプを調査して、人口統計學的特性と居住地に應じた違いを分析することである。硏究の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外食業の利用頻度が最も高い韓食堂とファミリ一レストランの選擇屬性を比較して、外食産業の消費者の屬性を比較した。實정分析のために、國內の主要な市の居住者を對象に利用形態を調査した。分析の結果、韓國人は月2回以上の外食活動をして1回一人當り8千ウォンから3万ウォンの支出をすることが把握された。よく利用する外食業の形態は、韓食堂(46.8%)を最も好むし、ファ一ストフ一ド、フュ一ジョンレストラン、テ一マレストランの順に把握される。これらのタイプに基づいて、外食タイプの違いを分析した結果、女性の外食回數が男性よりも多く、女性消費者が外食を主導するものと把握された。年齡層では、30代未滿の年齡層が外食の回數が最も多く、一種類の外食業にとどまらず、さまざまな種類の飮食店を利用することが分析された。敎育水準が高いほど樣樣な飮食店を利用し、所得が低いほど外食の回數は多いが、1人當たりの支出は低いものと把握された。韓食堂とファミリ一レストランの選擇屬性の比較においては、食品の味と質は有意な差がなかったが、メニュ一の形と種類、店포の位置、サ一ビス、廣告戰略、感性欲求の順序でファミリ一レストランが韓食堂よりも良い條件を持っているあると分析された。

      • KCI등재

        1인 가구의 외식행동 유형화 연구 : 외식비와 외식비 비율을 중심으로

        장정민(Jang, Jeong-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이들의 외식행동을 종단적으로 파악하여 외식비와 외식비 비율에 따른 잠재 집단수를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 하여 이를 통한 기초자료 제공과 관련산업의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적합도에 따라 외식비의 변화유형 수를 결정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3개의 유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외식비 소비 유형의 특성에 따라 ‘고수준 하락형’, ‘중수준 상승형’, ‘저수준 상승형’으로 명명하였다. 모형의 적합도에 따라 외식비 비율의 변화유형 수를 결정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2개의 유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외식비 소비 유형의 특성에 따라 ‘고수준 하락형’, ‘저수준 상승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유형화를 통해 유형화별로 관련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소득계층ㆍ성별 및 연령에 따른 외식비 지출행태를 고려하지 못하고 분석하여 그 결과의 일반화가 제한적이라는 점과 외식비와 외식비 비율의 유형화에 따른 후속 비교분석의 제시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방향성 제시의 한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umber of potential groups according to eating-out expenditure and its proportion by investigating the eating-out behavior longitudinally in one-person household, proportion of which is increasingly increasing, and to suggest direction for related industries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groups and providing fundamental data based on th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change patterns in eating-out expenditure depending on the model fitness and the identified three patterns with high fitness were named as high-profile falling , middle-profile rising , and low-profile ris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ting-out expenditure patterns.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changes patterns in proportion of eating-out expenditure depending on the model fitness and the identified two patterns with high fitness were named as high-profile falling and low-profile ris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ting-out expenditure patterns. The direction for related industries by patter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atterns revealed in this study.

      • KCI등재

        소비자의 외식소비성향별 외식선택속성과 고객행동의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이정화(Lee, Jeonghwa),이정애(Lee, Jeongae),오은해(Oh, Eunhae)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면서 외식업체를 이용했던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외식선호성향의 유형별로 나누고 외식선호성향 유형별 외식선택속성 및 고객행동의도의 차이에 대하여 실증적인 검증을 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외식소비성향 집단을 군집으로 묶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5개 외식소비성향 요인의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맛추구형, 건강추구형, 경제가치추구형, 신속편의 추구형, 분위기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외식소비성향 군집과 외식업체 선택속성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외식소비성향 군집별에 따른 외식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의 결과에서 5개의 모든 외식선택속성에서 외식소비성향 군집 집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외식소비성향 군집과 외식소비행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외식소비성향 군집에 따른 외식소비행동에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외식소비 성향 군집에 따른 외식소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검증 결과 맛추구형, 경제가치추구형, 건강추구형, 분위기추구형, 신속편의추구형의 순으로 외식소비행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differences in attributes of restaurant selection and intention of customer behaviors by type of consumers’ din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based on a survey of customers living in the Daegu region who have an experience of dining out. Some of the important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conducted an analysis by grouping people of different din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into several clusters. Average values of the five extracted propensities were used for K-average cluster analysis, and the consumers were divided into five clusters: taste-oriented, health-oriented, value-oriented, convenience-oriented, and atmosphere-oriented. Second, we examined whether attributes of restaurant selection varied by different clusters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clusters of din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and attributes of restaurant selec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clusters for all five attributes of restaurant selection. Third, we examined whether dining-out consumption behaviors varied by different clusters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clusters of dining-out consumption propensity and dining-out consumption behavio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clusters in terms of dining-out consumption behaviors. Dining-out consumption behaviors were greater in the order of taste-oriented, value-oriented, health-oriented, atmosphere-oriented, and convenience-oriented cluste

      • 남녀 대학생 소비자의 외식가치와 외식행동 비교

        한미희,김경자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4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소비자들의 외식가치와 외식행동을 파악하고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이 외식을 통해 충족시키고자 하는 외식가치는 ‘쾌락’, ‘여유’, ‘존중’, ‘과시’, ‘호기심 충족’, ‘사교’, ‘실용’의 7가지가 제시되었다. 외식행동 중 외식횟수는 월평균 8회 정도였고 남녀모두 요일과 무관하게 외식하며 가족보다는 주로 친구나 연인과 외식을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비는 가족이나 친구와 외식할 때는 남녀차이가 없었으나 연인과 외식할 때는 남자가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메뉴에 있어서도 친구들과 외식을 할 때 남자는 한식을 여자는 양식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였는데 연인과 외식을 할 때는 남녀모두 양식을 더 선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value and eating-out behavior of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Consumption value and consumption behavior with regard to eating-out was examined utilizing by FGI method and sample surve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sumption values of eating-out behavior were classified into seven different factors; pleasure, relaxation, respect, ostentation, newness, social relationship, and utility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ption valu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tended to pursue pleasure and social relationship more than male students did. Second, eating-out consumption behavior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eral. First of all, female students used to go to the restaurants which were superior in taste, friendly service, and convenient atmosphere. Male students were likely to spend more money per person for eating-out than female students and they preferred Korean foods to western foods while female students preferred western foods as well as Korean food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w often and when they did eating-out between male and females. For the expenditure of eating-out, male student who ate with girl friend spent the highest cost.

      • KCI등재

        外食消費者の人口統計學的な特性と利用形態に關する硏究

        李洸玉(이광옥),李承吉(이승길)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식업의 이용유형을 조사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거주지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식업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한식당과 패밀리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을 비교하고 외식업에 대한 소비자의 속성을 비교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주요 광역시거주자를 대상을 이용형태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내국인은 월 2회 이상의 외식활동을 하며 1회 한 명당 8천원에서 3만원의 지출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주 이용하는 외식업의 형태는 한식당(46.8%)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패스트푸드, 퓨전레스토랑, 테마레스토랑의 순서로 파악된다. 이러한 유형을 바탕으로 외식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외식횟수가 남성보다 많으며 여성소비자가 외식을 주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령층에서는 30대 미만의 연령층이 외식횟수가 가장 많으며 한 종류의 외식업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음식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다양한 음식점을 이용하며 소득이 낮을수록 외식횟수는 많지만 1인당 지출비용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식당과 패밀리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의 비교에 있어서는 음식의 맛과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메뉴형태와 종류, 점포의 위치, 서비스, 광고전략, 감성적 욕구의 순서로 패밀리 레스토랑이 한식당 보다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本硏究の目的は、國?外食産業の利用タイプを調査して、人口統計學的特性と居住地に?じた違いを分析することである。硏究の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外食業の利用頻度が最も高い韓食堂とファミリ?レストランの選擇屬性を比較して、外食産業の消費者の屬性を比較した。實?分析のために、國?の主要な市の居住者を?象に利用形態を調査した。分析の結果、韓國人は月2回以上の外食活動をして1回一人?り8千ウォンから3万ウォンの支出をすることが把握された。よく利用する外食業の形態は、韓食堂(46.8%)を最も好むし、ファ?ストフ?ド、フュ?ジョンレストラン、テ?マレストランの順に把握される。これらのタイプに基づいて、外食タイプの違いを分析した結果、女性の外食回數が男性よりも多く、女性消費者が外食を主導するものと把握された。年齡層では、30代未滿の年齡層が外食の回數が最も多く、一種類の外食業にとどまらず、さまざまな種類の?食店を利用することが分析された。敎育水準が高いほど??な?食店を利用し、所得が低いほど外食の回數は多いが、1人?たりの支出は低いものと把握された。韓食堂とファミリ?レストランの選擇屬性の比較においては、食品の味と質は有意な差がなかったが、メニュ?の形と種類、店?の位置、サ?ビス、廣告戰略、感性欲求の順序でファミリ?レストランが韓食堂よりも良い?件を持っているあると分析された。

      • KCI등재

        외식소비자의 자기결정성이 외식상품 속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미애,주서현,최진흔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9

        본 연구는 외식소비자의 자기결정성이론을 외식상품 속성에 적용하여 이론의 실증을 검정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외식소비자의 자기결정성이 외식상품 속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고찰하고, 이러한 속성들이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외식상품의 마케팅 방안과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첫째, 가설 1의 분석결과는 외식소비자의 자기결정성 요인 중 ‘관계성’, ‘유능성’이 ‘외식상품 속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율성’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의 분석결과는 ‘외식상품 속성’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의 분석결과는 외식소비자의 자기결정성 요인인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 요인 모두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의 검증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외식소비자의 제품을 구매하는 행동의도에 대한 외식소비자의 자기결정성이 행동의도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외식상품 속성과 행동의도의 상승은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게 되고, 이는 외식상품을 판매하는 외식기업들의 효과적인 운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외식상품 속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외식상품 속성에 대한 범위와 수준, 그리고 이용의 편리성을 강화하여 고객만족을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인 가구의 외식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장정민(Jang, Jeong-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9 외식경영연구 Vol.22 No.6

        본 연구는 한국 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노동패널’의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1인 가구의 외식행동이 시간의 흐름에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외식시장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비와 와식비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외식비와 외식비 비율이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선형변화 모형을 채택하여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셋째, 남성은 여성보다 초기 외식에 지출하는 비용이 높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는 외식비 변화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의 경우 외식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쳐 연령이 높을수록 초기 외식비가 높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외식비의 증가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비 비율의 경우 성별이 외식비 비율의 초기값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 1인 가구의 남성의 외식비 비율이 초기에는 높지만 외식비 비율 변화율은 남녀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조사되었다. 연령은 외식비 비율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외식비 비율의 초기값도 높고 증가율도 높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함은 제한된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범위가 한정적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추후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use a wealth of data ranging from 2010 to 2017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and further analyze the change in the eating-out pattern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ver time. First;eating-out expenses and eating-out rate were on the steady rise as time progresses. Second;a linear change model was adopted to identify effects. Third;men paid more money in eating out than women early on. As time went by;eating-out rate showed no variation over time. Age affected initial values of eating-out expenses and change rate. Eating-out expenses early on increased in old groups. As time progressed;the increasing rate of eating-out expenses declined. Regarding the rate of eating-out expenses;gender affected intial values of the rate;but no impact on the change rate. The study found that the rate of eating-out expenses of male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high early on;change rates of the expenses remained unchanged between men and women. Age all affected initial values and change rate of eating-out expense rates. Initial values of the rates were higher and the increasing rates were higher in young groups.

      • KCI등재

        가구주 학력과 외식수요

        모수원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3 No.-

        외식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소득수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득수준의 향상없이는 외식의 증가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식행태는 가구주의 교육정도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본고는 가구주 학력을 7단계로 구분하여 학력계층에 따른 외식패턴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외식문화의 보편화에 따라 외식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교육계층이 낮을수록 높다는 것을 밝힌다. 그리고 가격과 소득으로 외식함수를 구성하여 외식가격 상승이 무학계층과 대학원 졸업계층의 외식수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과 소득계수가 가격계수보다 크다는 것과 외환위기로 인해 외식수요가 감소한 교육계층과 외식수요가 영향받지 않은 교육계층을 보인다. 또한 전향적 이동회귀를 실시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소득과 가격이 외식수요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변하는 가를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충격반응을 이용하여 가격충격은 소득충격에 비해 그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식수요에 미치는 충격의 크기도 대단히 작아 가격보다는 소득변수에 의해 외식수요가 좌우됨을 보인다. Korean households’ expenditures on the eating-out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except fo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perio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ating-out expenditures of salary and wage earners’s households by educational attainment of household head. We model the demand function of the eating-out in terms of income and price, examining the responsiveness of eating-out demand to changes in income and price using econometric methods such as regression, rolling regression and impulse response. This paper shows that coefficients of income and price tend to decrease as the income rises in the long-run.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while price shocks decrease the demand for the eating-out, income shocks tend to increase the demand for the eating-out in the short-run. Furthermore income shocks are much greater and last longer than price shocks at all educational attainments of household hea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