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차사고 후 정신과로 의뢰된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연규월,Yun, Kyu-Wol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2

        본 연구는 자동차사고 이후 신체적 증상에 대한 치료를 받은 후 정신과적 진단 및 치료 또는 정신감정을 위해 정신과로 의뢰되었던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자동차사고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와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진단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척도(CAPS)를 사용하여 DSM-IV 진단기준에 따라 분류하였고, 축소형 부상척도(AIS)를 사용하여 신체적 손상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증상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와 Axis I 공존질환 유무에 대해 알아 보았다. 자동차 사고후 정신과에 의뢰된 대상자 44명중 20명(45.5%)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로 진단되었고 13명(29.5%)이 아증후성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속하였다. 신체적 부상의 정도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을 예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군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진단 기준 BCD 모든 증상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아증후성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군은 기준 B와 D 증상에서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두 군 모두 기준 B 가운데 '사건에 대한 반복된 꿈' 항목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군의 55%가 주요우울증을 동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연구의 결과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가 자동차사고 이후 흔히 올 수 있는 정신장애임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사고 후 신체적 손상에 대한 치료를 받고 마지막으로 정신과에 의뢰된 환자들에 대해서는 적어도 치료계획에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라는 진단을 정규적으로 고려해야만 할 젓이고. 특히 취약성이 있는 환자들에 대해서는 조기 중재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fter motor vehicle accidents(MVA) in 44 consecutive MVA victims referred to psychiatry for the diagnosis, treatment and psychiatric assessment. Method : The diagnosi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made on the basis of DSM-IV criteria,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ere assessed by the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CAPS).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physical injury and the severity of PTSD symptoms using the Abbreviated Injury Scale(AIS) was analyzed and the frequency of psychiatric comorbidity of PTSD was invested. Result : Twenty-two(45.5%) MVA victims met DSM-IV criteria for PTSD, while thirteen(29.5%) showed a subsyndromal form of it. AIS score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r=0.565, p=0.0001). PTSD group showed high percentages of each of the 17 symptoms(criterion B, C, D), while subsyndromal PTSD group showed relatively high percentages of criterion Band D.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distressing dreams' of criterion B in both group. A high percentages(56%) of the MVA-PTSD group also met the criteria for current major depression.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pparently a high likelihood of developing all or part of the PTSD syndrome after motor vehicle accidents. So it does appear that for those MVA victims who seek medical attention and eventually need psychiatric referral, diagnostic possibility of PTS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reatment planning and early intervention.

      • KCI등재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 및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3

        본 연구는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하고, 그 구체적 기제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작용기제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 및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외상경험자들의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및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외상 후 성장 또는 외상 후 부정적 인지가 매개한다고 가정하는 세 가지 부분매개모형과 한 가지 완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321명의 외상사건 경험 대학생들로부터 탄력성,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정신적 웰빙,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우울과 불안증상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탄력성은, 다른 관련 변인들을 모두 통제한 후에도,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각각에 고유하게 기여하였다. 하지만 탄력성과 외상 노출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둘 다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탄력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가정된 통합적인 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다른 매개모형들에 비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탄력성은 다른 관련변인들의 영향을 넘어서서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을 각각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직접 경로 외에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를 개선하는 두 가지 간접 경로가 더 있다는 점과, 탄력성은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완전 매개를 통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resilience on mental health and to shed light on its specific mechanism.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ree partial and one full mediational models in whic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ere proposed. Three hundred twenty one trauma-exposed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measuring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mental well-being,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Resilie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relevant predictors, bu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 between trauma exposure and mental well-being 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upported an integrated partial mediational model in which both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fu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ilience uniquely contributes to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at these impacts may be mediated throug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 KCI등재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지은혜,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5 인지행동치료 Vol.15 No.1

        현대적인 인지모형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증상을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다양한 정신장애와 심리적 문제들을 예측하고 치료하는데 있어 정서조절곤란도 일정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고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외상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류된 대학생 212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는 우울증상, 불안증상, 스트레스 증상과 정서조절곤란의 영향을 통제하거나 그렇지 않든 간에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정서조절곤란은 우울증상, 불안증상 및 스트레스 증상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나,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를 추가로 통제하였을 때에는 그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나아가, 외상관련 부정적 인지의 5가지 차원들의 독립적이고 상대적인 기여도를 탐색해 본 결과, 미래/가치관련 부정적 자기와 외상반응 관련 부정적 자기 둘 다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정서조절곤란의 5가지 차원들의 독립적이고 상대적인 기여도를 탐색해 본 결과, 정서이해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유일하게 기여하였다. 이 결과들은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들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 그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적절하게 예방하는 데 있어 미래/가치관련 및 외상반응 관련 부정적 자기의 개선과, 정서 이해의 증진에 초점을 맞춘 치료적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Contemporary cognitive model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i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PTSS), and recent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ay also play a role in psychological problems. This current study examined the unique effects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PTSS. Two hundred twelve traumatized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 significantly predicted PTSS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s well a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PTSS when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were controlled for, whereas its unique effect was not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additionally. Of the five dimensions of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negative self-concept about future/values and negative self-concept about traumatic reactions each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TSS. And of the five dimensions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only understanding of emotion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TS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imed at modifying trauma-related negative cognitions, especially negative self-concept about future/values and negative self-concept about traumatic reactions, as well as enhancing understanding of emotions, in order to alleviate PTSS of traumatized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even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KCI등재

        고위험 공무직업에서의 위기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의 관계 - 우울, 불안, 신체화를 중심으로 -

        안세윤(Ahn Se Yun),박영석(Park Young Seok)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8 교정상담학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업무상 고위험 공무 직업군에 속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위기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우울, 불안, 신체화)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일개 광역시 소방관 중 구조, 구급 및 화재진압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3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연구의 주요변인인 위기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불안, 신체화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본 연구에 참가한 소방관들은 모두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위기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 결과 위기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 4.6%, 우울 10.5%, 불안 2.6%, 신체화 5.6%를 설명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우울 43.7%, 불안 45.8%, 신체화 37.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위기경험 자체에 대한 개입보다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개입이 정신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직무특성에 따라 위기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특성에 따른 위기경험은 계급, 전체 소방관 근무경력, 현재 담당업무, 출동빈도, 스트레스가 많았던 업무에서 위기경험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특성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는 계급, 전체 소방관 근무경력, 현재 담당업무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의 정도가 달리 나타났다. 즉, 두 변인 모두에서 계급과 전체 소방관 근무경력에서 위기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예방을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고, 우울, 불안 등 외상 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들을 중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Crisis experience,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ental health(Depression, Anxiety, Somatic symptom) of Fire fighters belonging to the high-risk official occupation group. 312 rescue, first aid, and fire suppressor were conducted among fire fighters in a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risis experience, PTSD,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 All participants were at high risk for PTSD. Crisis experience explained 4.6% of PTSD, 10.5% of depression, 2.6% of anxiety, and 5.6% of somatic symptom. PTSD explained 43.7% of depression, 45.8% of anxiety, and 37.7% of somatic symptom.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on PTSD may have a greater impact on mental health than intervention on crisis experience itself. Second, post-tes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risis experience and PTSD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risis experience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crisis experienced more in class, overall fire fighter work experience, current duty, dispatch frequency and stressful work. The difference between crisis experience and PTSD was found in both class and total fire fighter work experience in both variables. Finally,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TSD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t levels of PTSD in class, overall fire fighter work experience, and current 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PTSD of fire fighters, and to develop a program to mediat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PTSD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새터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서사적 이해와 문학치료 방안

        강서영(Kang Seo Young)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1 통일인문학 Vol.51 No.-

        본 연구는 새터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학치료적 접근을 시도한 논의이다. 문학치료학은 사람의 인생이 곧 문학이라는 대전제로, 서사를 통해 사람을 작품처럼 분석하고 작품을 사람처럼 분석하여 문학이 지닌 치료적 힘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학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학치료학의 원리를 통해 새터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문학치료적인 방안을 구상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새터민이 겪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서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증상과 원인에 대해 그들이 맺는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살피는 작업을 하였고, 3장에서는 그에 대한 문학치료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새터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서사적으로 검토한 결과 그 원인은 자신이 경험하거나 목격한 외상이 대상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그 대상과 관계를 끊거나 외상을 겪은 후 극심한 무력감에 빠져 타인에게 매우 의존하는 방식으로 관계를 맺기 쉬운 데서 비롯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에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나타내는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으로 〈밤새 머리가 하얗게 센 남자〉를 제시하였고, 이 작품과 서사적 거리를 가깝지만 인물의 대응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는 〈지네각시〉도 제시하여 외상후 스트레스를 잘 극복하고 다시 일상생활에 잘 적응해나가는 서사를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서사지도의 원리를 통해 〈밤새 머리가 하얗게 센 남자〉와 〈지네각시〉를 어떻게 진단과 치료의 과정에서 활용할 것인가를 밝혀보았다. 본 연구는 새터민들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문학치료를 기획하는 논의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인간관계에서 비롯되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처하는 데 중요한 지향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North Korean refugee in a Literary Therapeutic wa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catched the symptom and the leading cause of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ith human relations as its point.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an be caused by breaking up or depending on another completely when they come face to face a crisis. Second, we suggested a Literary Therapeutic alternative about it. The literary therapy with Korean Tale will be effective for them. We especially expect that tales like 〈A man whose hair got grey during the night〉, 〈A Centipede Woman〉 will be effective for them. Because the epic of this tales is similar to life of North Korean refugee.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연구

        신성원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8 No.4

        이제까지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그 동안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참전 군인들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천재지변, 교통사고, 산업재해사고, 강간, 인질, 조직폭력 등 다양한 사건의 희생자들과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의사 같은 위기상황에 노출되기 쉬운 집단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 따르면 최근에 위기상황을 경험한 경찰공무원 중 상당수가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사기, 결근, 건강, 조기 퇴직, 부정적 가족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실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경찰공무원 채용․인사․교육 등의 분야에 유용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결혼관계, 학력, 계급, 연령, 근무기간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분석과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은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을 살펴본 다른 국내 연구결과들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고,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끝으로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대책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의심 및 취약 경찰공무원의 관리, 사회적 지지망의 강화,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활용, 위기상황 스트레스 관리의 도입,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관리교육 실시를 제안하였다. Studies on police officers with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re very rare. Most studies focus on military veterans. However,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other groups who are susceptible like victims of disaster, motor vehicle accidents, industrial disaster, rape, hostage, organized crime and police officers, fire fighters, health workers. According to studies, a large number of police officers who had recently been exposed to a critical incident has severe stres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mpact on morale, absenteeism, health, early retirement, negative family relationships. In this study, I inquired into the actual level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police officer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level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 wanted to provide useful data for policy making. The level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police officers was relatively high, when compared to other studi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gender. Finally, I suggested some countermeasures. I presented the management of police officers who are suffering and vulnerable to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reinforcement of social support net, the application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the introduction of 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the training of management techniques fo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KCI등재

        교통사고 후 신체 손상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연구

        강영수,김동인,이선미,김 임,김태형,은헌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4

        연구 목적 : 임상가를 위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를 이용하여 교통 사고 후 신체 손상 환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발병률을 알아보고, 사회인구학적 변인들, 손상 심각도, 불안, 우울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의 상호관련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04명의 교통사고 환자들을 대상으로 , 자기 보고형인 사고 후 정신 건강에 관한 설문지와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 임상가를 위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를 이용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손상 심각도 척도를 이용하여 신체 손상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발병률은 61.5%이었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들과 손상 심각도 점수에서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군과 비 외상후스트레스장애군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군에 속한 사람들이 사고 당시에 사망자나 부상자를 목격한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고(χ²=8.48, p<0.05). Beck의 우울점수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t=5.03, p<0.05). 결 론 : 교통사고 후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발병률은 매우 높았고, 두 집단 모두가 정상인 보다 훨씬 더 높은 불안과 우울을 보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연구 결과는 상황에서 사망자와 부상자의 목격시 외상후스트레스장애로 발병하게 하는 위험 요인 중 하나 일 수 있다. Objectives : the authors attempted to estimate the incid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e differences of sociodemographical feature, injury severity,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PTSD and non-PTSD groups after motor vehicle accident. Methods : The subjects were 104 patients who had undergone motor vehicle accidents, and been hospitalized to orthopedic surgery hospitals. We administered them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CAPS) for diagnosing PTSD, injury severity scale(ISS) for identifying their physical injury, self-reported questionnaire made to identify socioepidemographic data,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for measuring depression, and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Ⅰ,Ⅱ(STAI-Ⅰ,Ⅱ) for measuring anxiety. Results : The incidence of PTSD in subjects was 61.5%. Mos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not different between PTSD and non-PTSD groups. On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TSD group and non-PTSD group on the cases that observed the dead or the wounded at the scene of motor vehicle accident(χ²=8.478, p<0.05) and BDI(t=5.03, p<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evalence of PTSD is higher after motor vehicle accident and both of the two groups report much higher depression and anxiety than normal popul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observation of dead or wounded at accident situation can be one of risk factors to precipitate PTSD.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성장 영향요인

        Seung Woo Han,Hee Sook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3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외상사건 경험, 자존감 ,스트레스대처 능력과 스트레스 반응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경찰공무원들의 외상후 성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보제공과 함께 의사소통을 증진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서면 동의한 경찰공무원 171명이었다. 외상후 성장, 외상사건 경험, 자존감 ,스트레스 대처,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여 2014년 8월 18일 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성장은 성별에서 여성, 종교 유무에서는 종교를 가지고 있는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은 평균 57.7(±14.88)점, 자존감은 36.0(±4.55)점, 스트레스 대처에서 문제중심적 스트레스대처는 평균 18.2(±2.70)점이었으며, 정서중심적 스트레스대처는 26.1(±3.23)점, 스트레스 반응에서 신체화 반응 12.4(±7.06)점, 우울8.9(±6.06)점, 분노반응은 7.4(±4.54)점이었다. 외상후 성장과 자존감, 문제중심대처, 정서중심대처는 유의한 정상관으로 나타났고(p<.001),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중심 대처가 가장높게 나타났고(ß=.35, p<.001), 성별(여자)(ß=.24, p<.001) 및 자존감 이였으며(ß=.23, p=.002), 이들 변수의 외상후 성장에 대한 설명력은 24%였다. 따라서 경찰공무원들이 스트레스에 대해 정서중심적 대처 및 자존감이 높고 성별이 여성일수록 외상후 성장 정도가 높음으로 평상시 스트레스에 정서중심적 대처방법과 효율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익히도록 훈련할 필요가 있으며 자존감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개발, 그리고 성별 및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체계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with police officer. Methods: The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August 18 to 31, 2014 from 171 the police officers of section in charge of violent crime and detective in ten different police offices in seoul. The variables were assessed by research tool of post-traumatic growth, traumatic event experience, self-esteem, stress coping method, stress response. The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post-test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zed with the SPSS 12.0 program. Result: Post-traumatic growt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emale police officer and having a religio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emotion and problem focused coping.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were emotion focused coping, female police officer and self-esteem, accounting for 24% of the varience in the outcome.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and improve stress coping method. Furthermore, further research. will have to be supported by the systematic metho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이상현(Lee Sang Hyun) 한국국가법학회 2013 국가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국내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외상사건의 유형과 PTSD 증상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외상사건에 따른 PTSD 증상에서 대처양식의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최근에는 천재지변, 교통사고, 산업재해사고, 강간, 조직폭력 등 다양한 사건의 희생자들과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같은 위기 상황에 노출되기 쉬운 집단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공무원들은 업무에 있어서 외상사건에 자주 노출되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높은 위험에 영향을 받는다.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 의하면 최근에 위기상황을 경험한 경찰공무원 중 많은 수가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건강, 조기 퇴직, 부정적 가족관계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외상성 사건의 개수와 충격정도는 PTSD 증상 및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외상성 사건 개수보다 주관적인 충격 정도가 더 큰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대책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의심 및 취약 경찰공무원의 관리, 사회적 지지망의 강화, 근로자 지원프로그램의 활용, 위기상황 스트레스 관리의 도입,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교육관리 실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the relation of a type of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of police officer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other groups who are susceptible like victims of disaster, motor vehicle accidents, industrial disaster, rape, organized crime and police officers, fire fighters. Police officers are frequently exposed to traumatic events at work, yielding higher risk for PTSD. Nevertheless, research on psychological factors of PTSD symptoms among police officers in korea is lacking. According to studies, a large number of police officers who had recently been exposed to a critical incident has severe stres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mpact on health, early retirement, negative family relationships.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 events caused the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Especially, subjective amount of shock of traumatic events in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Finally, I suggested some countermeasures. I presented the management of police officers who are suffering and vulnerable to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reinforcement of social support net, the application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the introduction of critical incident stress traumatic, the training of management techniques fo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KCI등재

        외상경험 초등학생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이혜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8 초등상담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4개 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 525명 중 외상경험을 보고한 36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외상 후 성장,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 침습적 반추는 의도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도적 반추 역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외상경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모형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한 것으로, 초등학생의 외상 치료 및 외상 후 성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에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raumas. For this purpose, 365 students who reported traumatic experiences among 525 5th and 6th graders in 4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extra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posttraumatic growth, inva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l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Specifically, the invasive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sequential mediation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ls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grounds of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raumas. This study implies that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trauma treat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