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물의 외부공간 개선을 위한 고찰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정윤(Jung, yoon) 대한부동산학회 200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6 No.1

        오늘날 아파트는 단순히 주거의 의미를 벗어나 생활과 여가가 함께하는 복합주거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첫째, 광범위한 의미의 건강과 친환경 아파트의 건설이 일반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주거의 양적공급에서 질적 공급으로 전환됨으로써 주거의 관심범위도 사적공간에서 점차 공적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거주자들도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특히 과거의 내부 주거환경 위주에서 외부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아파트라는 주거양식의 문제점으로 주민 커뮤니티의 단절과 근린의식의 저하가 지적됨에 따라 외부공간의 계획이 더욱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도심 아파트주거의 외부공간은 작게는 단지내 거주민들의 커뮤니티형성에서 영향을 미치고 넓게는 도시계획시 도심환경의 공익적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근의 공동주택 계획에 있어서 외부환경이 주거환경을 평가하는 데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며 또한 주민 커뮤니티를 유도할 수 있는 외부공간의 계획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조로운 아파트 외부공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대별 사례를 통해서 아파트 외부공간 구성요소의 변화의 양상을 검토,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thesis intends to point problems in simple exterior space of apartments, check out the changing tendency of the factors constituting exterior space of apartments through cases, classifying them with age, and to grope for development ways. This author desires that the thesis might be a material pointing out a direction for influence that exterior space of apartment have on real property price and activities. Chapter1 studied aims and backgrounds of studies, and study substances. Chapter2 stated the conception of common houses, concept and changing process of exterior space in our country, centering on types, and history of apartment origination. In addition, this thesis discussed on the peculiarity of apartments, classifying them with age. Chapter3 presented problems in constructing exterior space and contemplated consumers preference, change history of laws on exterior space, and its forms, classifying them with age. Chapter4, basing on studies mentioned above, intended to present improvement ways and models of exterior space type of the future apartments

      • KCI등재

        교회사(敎會史)적 시각에서의 한국 현대 성당건축 외부공간의 유형과 의미 - 아시하라 요시노부(芦原義信)의 외부공간 개념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

        권태일 수원교회사연구소 2013 교회사학 Vol.0 No.10

        전통적으로 성당건축(聖堂建築, Catholic Church Architecture)은 외부세계(俗界)와 분리된 성소(聖所)로서의 의미를 가지 며, 크게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으로 구성된다. 내부공간은 전례(典쎒)수행을 위한 중심장소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외부공 간은 내부 전례공간과 외부세계를 매개하는 전이공간이자 완충장소로서 전례의 준비, 희생제사, 출입구 등 주로 보조적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현대사회로 오면서 성당건축의 의미는 단순히 독립된 성소에 머물지 않는 다. 과학기술의 발전, 정치적 민주화와 사회 경제적인 변화, 그리고 20세기 전례운동(典禮運動, Liturgical Movement)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Ⅱ)에 의한 종교적 쇄신 등이 맞물리면서 교회공동체(ekklesia)의 기능과 예배형식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고, 그에 따라 성당건축도 사 회적, 문화적 기능이 강조되는 새로운 차원의 공간 형식으로 변모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성당건축이 갖는 사회·문화적 기 능의 상당부분을 수용하게 되는 외부공간도 단순한 보조공간이 아니라, 주요 영역의 하나로 그의미가 차츰 변해가고 있다 .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성당건축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뚜렷하게 구분하는 경계, 즉 공간적 위계성이 점차 흐려진다 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성당건축, 특히 한국 현대 성당건축에 대한 대부분의 전문연구는 여전히 내부 전례공간을 중심으 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외부공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매우 드물다. 이런 취지에서 이 글은 먼저 건축의 외부공간 연구 에 거장(巨匠)인 아시하라 요시노부의 논리를 통해 그 구성방식과 의미를 파악한다. 그런 후, 이를 성당건축에 적합하게 재해석, 적용하여 교회사(敎會史)적 시각에서 다양한 유형의 성당건축 외부공간을 4가지 조합형식으로 정리·분류하고 그 의미를 밝힌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1960년대 이후 본격적인 현대화가 시발된 한국의 사회적 변화 속에서 우리나 라 현대 성당건축의 외부공간은 어떠한 유형과 의미로 형성되어 왔는지, 즉 그 정체성을 1)종교시설의 관점, 2)사회참여 공간의 관점, 3)지역건축문화 표현장소의 관점으로 세분하여 추적한다. 이러한 논의의 목적은 한국 현대 성당건축 의 외 부공간계획은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그 좌표점을 새롭게 조명 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Traditionally,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has been composed of the inside liturgical space and the exterior supplementary space. The former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core place for liturgical ceremony, and the latter transition space; the space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However, the meaning & function of exterior supplementary space i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has been changed not only as the transition space but also the part of main liturgical space with the democr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Catholic Church Liturgy; 20th century Liturgical Movement and VaticanⅡ(1962-65). In the context,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a new meaning and type of the exterior space in Modern Korean Church Architecture based on architect Asihara Yoshinobu’s idea of the exterior space in architecture with the perspective of Catholic Church History.

      • KCI우수등재

        공동주택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

        김현주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2

        This study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xternal space planning in multi-family hous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ood casebuilt after 2000 in Europe. First, the cases were categorized into block or block perimeter, linear and point type to examine the relationshipbetween the type of building in urban context and the location of private external space. By block or block perimeter and linear type, privateexternal spaces are planned in the inner courtyards or open space between buildings used as common space for residents, inducingcommunications between neighbors. And the direction of private external space depends on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mass in urbancontext. In the classification as point type, there are many cases, where private external spaces are arranged in all directions, connectedalmost all interior spaces. Seco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lanned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xternal space are derived by dividingit into three categories: intermediated sp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intermediate space between private and public /individual andcollective space and the identity of the intermediate space. (1) In most cases, direction, size of enclosed area and location of private externspace is designed to fit the surrounding context, so residents can perceive as much of the asset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possible,and it can be used as an extended area of living space. In another cases, it is divided into various sub-areas to experience the spatialtransition from inside to outside or vice versa. 2) The private external space, which is placed in a courtyard or in a collective open space, ispartially enclosed and blocked, allowing interaction with the neighbors without pressure. Along the street, they are designed to allow residentsto experience the vitality of the city and to be formative element of the facade, which could confidently reveal the lifestyle and taste ofresidents. 3) By some of point types, which facade is three-demensional layer as a habitable external space, the private external space is veryflexible for use. This intermediate space is composed of diverse spaces for various needs, or it has generous size with positional conditionsconnected with all interior spaces to be used multi-functional. 환경의 변화, 사회적 변화, 인구구조의 변화는 공동주택 설계에서 외부와 내부의 관계,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관계를 새롭게 풀어내고 규정하여 양극간의 적절한 조율을 이끌어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매개공간으로서의 사적 외부공간에 대한 논의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유럽에서 2000년 이후 지어진 공동주택 사례분석을 통해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을 매개공간의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첫 번째, 공동주택의 도시계획적 유형과 단위세대의 사적 외부공간과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대상 사례들을 블록형 및 블록외연형, 선형, 점형으로 분류한 후, 개인영역-공동영역-도시영역의 위치와 성격, 동선구조, 사적 외부공간의 향과 주거 내부공간과의 연결성 등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블록형 및 블록외연형, 선형의 공동주택에서는 사적 외부공간이 2개소로 계획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1개소는 도로가 있는 도시영역에 배치되었고, 다른 1개소는 블록 내부 중정이나 주동 사이 외부공간에 계획되었다. 여기에 배치된 사적 외부공간은 주로 단위세대 내부의 공동영역(거실, 주방, 식사, 다기능실 등)과 연결되게 배치되어 이웃 간의 교류를 유도하였다. 각 사적 외부공간에서 물리적 또는 시각적으로 연결되는 내부공간들의 개수는 대부분 5개소 이상으로 내부와의 높은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향은 남향위주라기 보다 건물매스의 도시맥락상의 배치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점형의 공동주택들은 명확하게 구분되는 (거주자들만의) 공동 외부영역이 없기 때문에 사적 외부공간이 도시영역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양상을 보였다. 사적 외부공간이 단위세대의 거의 모든 내부공간에 면하여 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두 번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와 외부의 매개공간, 사적과 공적 / 개인과 공동의 매개공간, 매개공간의 정체성이라는 세 개의 범주로 구분하여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1) 내부와 외부의 매개공간 -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내부의 연장공간 대부분의 사례에서 수려한 원경, 주변 녹지로의 전망, 자연채광과 같은 주변 환경의 자산을 거주자가 최대한 많이 지각할 수 있도록 각각의 주변 맥락에 적합하게 공간의 방향, 위치, 위요감의 강도 등을 계획하여 휴식, 취미, 놀이 등 일상생활에 풍부한 경험을 가져다주는 생활의 연장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몇몇 사례에서는 외부에서 내부로,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간적 전이의 단계가 세분화될 수 있도록 하나의 발코니 영역이 위요감의 차이가 있는 2개의 세부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사적과 공적 / 개인과 공동의 매개공간 - 심리적 완충 공간 또는 개성의 표출 공간 거주자들의 공동 외부 공간에 면하여 계획된 발코니는 위요되고 부분적으로 시선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인해 심리적 완충공간으로 격상되어 강요가 아닌 자연스러운 이웃과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였다. 반면에 도시 도로변으로는 거주자가 도시의 활기를 체험할 수 있으면서 건물 외관의 주요 요소가 될 수 있도록 조형성을 부여하였다. 특히 점형 공동주택에서는 사성과 공성이 충돌하는 사적 외부공간이 거주자의 생활방식과 취향을 과감하게 드러낼 수 있는 장소로 해석되고 있었다. 즉, 물리적 조형성과 거주자들의 행위와 소품들이 하나가 되 ...

      • KCI등재

        이용자 중요도-만족도로 조사한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분석 연구

        백양선,고성룡,강석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2

        교육기본시설의 확보가 목표였던 이제까지의 대학교 캠퍼스 계획에서 외부공간은 교육시설을 배치하고 남은 소극적 공간으로서, 캠퍼스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에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과 이용자의 행태를 문헌고찰하고 이용자의 행태, 심리, 만족도, 중요도, 요구사항을 설문조사하여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이용자의 개선 요구가 가장 높아 적극 개선해야하는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은 부출입구였으며, 개선 시에는 방범시설과 조명시설을 확보해야하며, 차량으로부터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 안전을 확보해야한다. 이용자의 만족도와 중요도가 모두 높았던 보행로, 휴게녹지공간, 주출입구는 높은 만족도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중요한 외부공간이었다. 보행로는 최단거리 이동 및 보행연속성과 2인 이상 교행가능한 보행로 폭, 다른 외부공간과 연결성을 확보해야하며, CCTV와 조명시설을 설치하여 차량 및 범죄로부터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해야한다. 또한 보행자의 눈눞이를 넘지 않도록 조경 및 가로시설물을 정비해야한다. 그리고 길찾기가 쉽도록 안내시설의 위치와 내용의 적정성을 확보해야한다. 휴게녹지공간은 시설의 파손 여부 및 청결상태를 확인하는 등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조명시설과 장애인 편의시설을 개선해야한다. 주출입구는 방범시설을 확보해야한다. 그리고 차량으로부터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 안전을 확보해야한다. 또한 조명시설을 확보해야한다. 중요도가 낮았던 주차공간과 차로, 운동공간, 공연장은 비교적 개선요구가 낮은 공간이었다. 그러나, 주차공간 내 안내표지판의 유지관리 부족과 차로 이용자 간 통행혼선, 운동공간 및 공연장 내 조명시설 부족과 같은 문제를 순차적으로 개선해야한다. 끝으로 이 연구는 대학교 캠퍼스 주 이용 대상자인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나 앞으로 대학의 다른 구성원인 교수, 직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확대되어야하며, 사례조사 캠퍼스의 수와 지역도 확대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of university campus outdoor space based on the user's awareness and demand. The physical status of the outdoor space in university campus was surveyed by observation, and the users' behaviors, satisfaction, importance, and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ce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utdoor space with the highest users improvement demands was the sub-entrance. So, the sub-entrance need to be actively improved.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users safety from the crime and the traffic. Therefore, it should consider the installation of security facilities, traffic information facilities, lighting facilities. Secondly, the walkway for pedestrians, green for rest and main-entrance needed continuous maintenance. So, the pedestrian facilities and lighting facilities must be secured. Other parking lot and road, sports grounds, and outdoor stage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than other spaces. However,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ack of maintenance of sign facilities in the parking lot, crossing of passengers and cars in the road, lack of lighting facilities in sports grounds and outdoor stage. Therefore, a sequential improvement procedure of these outdoor spaces need to be planned.

      • KCI등재

        왕슈(王澍)의 수안산거(水岸山居) 건축 외부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종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2

        본 연구는 건축가 왕슈의 수안산거(水岸山居) 작품에서 나타나는 그의 외부공간의 디자인 철학을 알아보고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점, 동선, 재료 등의 요소와 연계된 외부공간을 분석하여 왕슈 건축에서 보여지는 공간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왕슈의 건축배경 및 원리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여 그의 건축 이론과 작품에 나타난 건축공간의 특징, 동선, 외부공간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한다. 분석은 왕슈의 수안산거 건축 작품을 대상으로, 그의 작품집, 수필집, 인터뷰 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할 것이다. 서론에서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방법을 제시하고 그의 작품, 건축설계과정, 주요 디자인 어휘를 근거로 분석의 틀을 제시하여, 이 틀을 기준으로 수안산거 건축에 구현된 외부공간의 시점, 동선, 재료 등의 3가지 측면으로 분석·정리한다. 왕슈의 건축에는 3가지 특성이 나타나는데, 첫째, 시점에 의한 외부 공간의 표현으로 이용객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다양한 풍경이 펼쳐지는데, 단일시점이 아닌 3개의 다양한 관점(앙시, 심원, 평원)으로 외부공간을 구성하였다. 둘째, 외부공간의 다양한 동선은 이용자의 다양한 시각변화와 공간적 경험을 유도한다. 셋째, 외부공간의 재료구성은 전통을 근거로 아이디어를 추출하여 현대건축 재료와의 조화를 통한 대응 방법을 찾아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중국 건축계의 대표적인 왕슈는 수안산거에 구현된 외부공간을 통하여 본인의 건축디자인과 조경 및 도시를 결합하여 시대적인 가치와 지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sign philosophy in the works of architect Wang Shu's ‘Suan Shanger’ and analyze the external spatial meaning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viewpoints, circulation, and materials that appear in the design proces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space shown in Wang Shu's architecture. As a research method, first, Wang Shu's theory of architectural background and principle is considered, and the characteristics, circulation, and outer space of architectural space shown in his architectural theory and works are mainly studied. The analysis will be conducted on Wang Shu's ‘Suan Shanger’ architectural works, and will be studied by analyzing his works, essays and interviews. The introduction present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and presents the framework of analysis based on his work,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nd major design vocabulary, and analyzes and organizes the exterior space implemented in ‘Suan Shanger’ architecture in three aspects based on this framework. Wang shu's architecture ha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expression of the outer space by the point of view unfold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user's circulation, and this point is not only considered at one point, but it is composed of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Look up, Deep, and Plain). Second, the diverse circulations of the outer space induce the users' various visual changes and spatial experiences. Third, th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outer space solved the problem by extracting ideas based on tradition and finding a way to respond by harmonizing them with modern architectural materials. Wang Shu, the representative of Chinese architecture, shows his values and guidelines by combining his architectural design with landscape and city through the external space embodied in ‘Suan Shanger’.

      • KCI등재

        사회학적 변화가 공공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

        공은미(Kong, Eun-Mi),김영욱(Kim, Young-Ook)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환경의 변화가 공공아파트단지 외부 공간구조의 시대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사회학적 변화와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의 상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특성과 변화를 고려한 주거단지 외부공간 계획의 방향성 및 디자인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197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아파트단지 외부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사회ㆍ문화ㆍ경제적 측면에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변화 원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와 같이 분석한 결과, 공간의 변화가 있었던 시점에는 사회 환경 변화의 영향 요소가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는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파트단지 계획 시 사회적인 변화와 소비자들의 욕구를 반영한 외부 공간 요소의 배치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함과 동시에 새로운 주거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주거문화를 위하여 아파트 단지 외부 공간 계획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공간과 사회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environment transformation on the outdoor space of Public housing apartment complex.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nfiguration in Korea’s apartment complex. Detailed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to elicit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and Space Syntax was adopted to analyze spatial properties in apartment complex. Then these two variables were analyzed to see the influence of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on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outdoor space. We could find the evidence to explain the transform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In order to reflect social changes and consumer desires spatial layout of the complex has been changed. Dramatic change was happened in 2000s by the trends stressing the impotance of revival of community and outdoor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change and spatial properties are related each other, thus we have to be keen to provide healthy outdoor space considering society.

      • KCI등재

        스마트 도시 외부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구리시 한강변 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전진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기술의 발전은 언제나 각종 제도와 실천 영역을 앞질러 진행되며, 인간의 삶을 담는 외부공간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분야 역시 기술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공공 인프라로써의 성격이 두드러지는 도시 외부공간은 이제 더 이상 전통적인 방식으로만 설계되기보다 새로운 기술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스마트 오픈스페이스로 계획될 때 보다 경쟁력 있고 이용자 친화적인 도시가 완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원을 비롯한 전통적인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가치와 기능을 높이기 위해 4차 산업시대의 새로운 기술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하여 고민하고, 스마트 외부 공간 설계 전략의 모델을 구리 한강변 도시개발사업의 구체적인 설계 사례를 통해 제시한다. (연구방법)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 외부공간의 본질적인 기능과 가치를 탐색한 후 이를 위한 조건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외부 공간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설계의 큰 방향성을 마련한다. 현재 외부 공간 설계와 관리에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 기술들을 프로젝트 사례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총체적으로 정리한 후, 앞선 내용을 종합하여 외부공간의 본질적 기능과 가치를 보다 스마트한 방식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설계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설계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대상지와 사업의 여건을 고려하여 설계를 도출한다. (결과) 도시 외부공간의 본질적인 기능을 유지하기위해서는 접근성, 친환경성, 다양성이 담보되어야 하며 이는 기술을 통해 보다 지속가능하고 이용자친화적인 형태로 달성 될 수 있다. 먼저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본 설계에서는 연결녹지, 순환녹지, 중앙공원, 서브그린네트워크와 이밖에 정보접근성 확보를 위한 공간과 시설들을 제안하였다. 친환경성과 관련해서는 효율적 수자원과 에너지 순환 이라는 기능에 바탕을 두어 프로젝트의 주요 공간을 설계하였다. 즉, 본 프로젝트의 주요 설계 언어중 하나인 연속된 띠 패턴은 단순히 장식적이고 심미적인 목적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기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 기술과 시설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그룹의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형태·규모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순환녹지와 PM도로의 선형을 유기적인 형태로 구성하였고, 각기 다양한 기능을 가진 구조물인 22개의 폴리를 주요 교차점에 배치하였다. (결론) 본 설계연구가 추후 조성될 스마트 외부 공간 설계에 시사할 수 있는 바는, 첫째, 스마트 외부 설계의 초점은 화려한 치장술이나 랜드마크화가 아닌 도시 외부 공간 본연의 기능을 보다 지속 가능하고 이용자중심적인 방향으로 업데이트하는데 있다는 점, 둘째, 접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통적인 설계방법 뿐 아니라 차세대 교통수단 시스템, 차세대 정보전달 장치 등의 신기술들이 물리적 설계와 연계되어 제안될 수 있다는 점, 셋째로 친환경성과 관련해, 수자원과 에너지의 순환과 같은 ‘기능’에 대한 설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시스템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이는 기능을 따르는 물리적 설계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규모, 형태 등의 물리적 다양성 뿐 아니라 프로그램적인 다양성이 추구되어야하며 이는 스마트 기술의 다양한 소프트웨어들로 채워질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공동주택 단지 외부공간의 거주자 범죄불안감 저감을 위한 개선사항 분석

        송희문,황성은,윤성빈,강부성 한국셉테드학회 2023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의 외부공간을 실태 분석하고, 거주자의 외부공간에 대한 범죄불안감과 만족도 및 이용도를 분석하여 단지 외부공간의 범죄불안감을 저감하기 위해 개선해야 하는 사항을 도출했다. 단지 외부공간별 범죄불안감은 외부인 출입 통제가 적극적이지 않고, 시야차단이나 숨은 공간이 다수 발생할 수 있는 단지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분석되었으며, 단지 출입구 및 필로티 공간과 같이 외부인을 포함한 다수의출입구간은 범죄불안감 저감을 위해 접근통제와 영역성을 확보하고, 조경밀집공간은 자연감시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으로 범죄불안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단지 전체 만족도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 외부공간에 대한 거주자 이용률이 높을수록 범죄불안감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휴게·운동·놀이공간과 같은 단지 외부공간과시설의 적절한 위치와 개수를 산정하여 배치함으로써 접근성과 활동성을 강화하는 등 공동주택 외부공간에 대한 범죄불안감을 저감시키는 방안 마련이필요하다

      • KCI등재

        감천문화마을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아시하라 요시노부(芦原義信)의 외부공간론의 재해석과 적용을 중심으로 -

        권태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1

        이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재개발 된 후, 부산의 관광 명소가 된 ‘감천문화마을’의 외부공간 구성현황을 학술적으로 분석 및 평가하려는 시도이다. 감천문화마을 구성의 핵심요소인 외부공간의 현황을 20세기 건축외부공간론의 뛰어난 성과 중의 하나인 아시하라 요시노부(芦原義信)의‘건축의 외부공간 계획론’을 바탕으로 분석·평가하여, 도시재생의 새롭고 실천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전술한 요시노부의 이론을 5가지 분석의 원칙, 즉 1)외부공간의 질적 특성, 2)스케일, 3)페쇄도, 4)위계성, 5)연속성과 변화로 재해석하여 외부공간의 적정성을 분석·평가하는 이론적 토대로 사용한다. 연구의 범위는 ‘감천문화마을’ 공간구성의 핵심 요소인 경사지 주거 군 및 가로변 공공시설과 연계된 주요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structure of exterior space of Gamcheon Culture Village by Ashihara Yoshinobu’s theory of architectural exterior space. His architectural theory should be summed up as five principles; 1)Quality of Space, 2)Scale, 3)Enclosure, 4)Hierarchy, 5)Continuity & Variety. The range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the exterior space of two hosing blocks(Block 1&2) and six community facilities(Small Museum, Mini Outdoor Stage, Village Rest Area 1, Tower of Dok-Rak, Observatory, Village Rest Area 2) in the village. The method of the research is combined document research with field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xterior space of two hosing blocks comparatively show the low Scale and high Hierarchy and Continuity & Variety value. The exterior space of Small Museum and Mini Outdoor Stage show the high Scale and the intermediate Enclosure, Hierarchy, and Continuity & Variety value. The exterior space of Village Rest Area 1 shows the intermediate Enclosure value, and the high Scale, Hierarchy and Continuity & Variety value. The exterior space of Tower of Dok-Rak and Observatory show the high Scale and the low Enclosure and Hierarchy value, and the intermediate Continuity & Variety value. The exterior space of Village Rest Area 2 shows the high Scale, Hierarchy, Continuity & Variety and the low Enclosure value. These results indicate not only the week and strong point of the structure of exterior space of Gamcheon Culture Village, but also its direction of development as an urban regeneration projet.

      • KCI등재

        공동주택 외부공간과 커뮤니티 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형언(Kim, Hyeong-Eon),이동훈(Lee, Dong-Hoon),손동욱(Sohn, Dong-Wook)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외부공간 구성요소와 주민들의 교류 활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커뮤니티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외부공간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본 도쿄의 도심 밀집지역 내 소규모 공동주택 단지 중에서, 외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커뮤니티 활동이 활발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관찰조사를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지의 주민들은 단지 내 외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커뮤니티 활동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자치회 활동이나 육아 등 공통된 관심사를 바탕으로 커뮤니티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외부공간의 특성상 방범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범죄 예방형 환경설계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부공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커뮤니티 활동은 안부인사, 어린이를 동반한 놀이, 대화 등의 친교 활동이며, 위요공간이 선호되고 있었다. 외부공간에서 커뮤니티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활동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공간계획과 시설물 배치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 that facilitates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analyzing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lements of outdoor space and the community activities among the residents of apartment housing complex. Three apartment housings, located in the center of Tokyo, Japan, were chosen for analyses through questionnaire and observation survey. The residents have positive understandings toward the community activities occurring at the outdoor space and they form a intimate relationship based on their mutual interests such as residents? association or child care. However, the relatively low satisfaction on security of outdoor space requir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Daily greeting among residents, children?s play and conversation are typical community activities in outdoor space and enclosed space type is preferre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space design and layout of proper community facilities considering activity types will enhance the community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