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 외국어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언

        유현주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7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20 No.-

        Nicht nur für die Fachstudenten, sondern auch für Hörer aller Fakultäten bieten Universitäten Sprachkurse an. Deutsch, Englisch, Chinesisch und andere Sprachen werden als Pflicht- oder Wahlfach unterrichtet. Jedoch ist es selten der Fall, dass die Kurse nach einem standardisierten Lehrplan gestaltet werden. Es fehlt überhaupt an allgemein akzeptierten Lerninhalten bzw. einem gemeinsamen Curriculum, das als Richtlinien für Lehrende und Lernende dienen würde. So sind einzelne Lehrende gezwungen, jeder für sich zu entscheiden, welches Niveau nach einem Kurs erreichtet werden soll. Dies führt dazu, dass Parallelkurse miteinander nicht vergleichbar sind und die Kurse nicht aufeinander aufbauen können. In diesem Aufsatz wurden Vorschläge für eine effektivere Organisation solcher Sprachkurse gemacht. Ausgehend von einer Bedarfsanalyse wurden Lernziele für die „erste Fremdsprache„ (i.e. Englisch) und die „zweiten Fremdsprachen„ (z.B. Deutsch oder Chinesisch) formuliert. Für die detaillierte Beschreibung der Kompetenzniveaus wurden die Kompetenzskalen des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s eingesetzt. 본고의 목적은 현재 대학 교육에서의 효율적인 교양 외국어 교육을 위한 최소한의 틀과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교양 외국어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공통의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을 제안했고, 구체적 실현 방안으로써 하나의 척도를 바탕으로 과목별 교육 목표이자 ‘숙련도 기술’의 예를 제시하였다. 세계화 시대를 맞아 사회전체가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교 안팎에서 외국어 교육이 성행하고 있지만, 필자는 현재의 대학 교양 외국어교육이 한계에 와 있다고 보고, 그 이유로 교양 외국어 교육의 목적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부재와 그로 인한 방만한 교육 과정의 운영을 들었다. 학습자들이 왜 교양 외국어를 듣는지, 그들의 목표나 기대를 어떻게 충족할지에 대한 고민 없이 교수자들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동일한 과목이 다른 교재, 다른 평가 방식에 의해 수년, 수 십 년 간 이루어져 온 것이다. 또한 한 대학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면서 일정 기간 외국어 교육을 할 때 도달해야 할 목표점조차도 분명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 한 학기 동안에 한 과목을 이수하면 그 학습자가 무엇을 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그리고 다른 유사 외국어와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 제기를 토대로 필자는 85여명의 교양 외국어(영어를 제외한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수강생을 대상으로 간단한 요구분석용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와 제2 외국어를 구별하여 각기 다른 등급기술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시안적인 시도가 각 대학의 실정과 교육정책에 따라 향후 교양 외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다만 본 연구에서 시도했던 설문지 방식에 의한 학습자 요구 조사가 좀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좀 더 상세한 문항을 설계하지 못한 한계와 영어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지 못한 점은 한계로 남는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이들 한계점들을 보완하고자 한다.

      • 북한 외국어교원 양성체계 연구 : 보통교육 및 고등교육의 영어교원 양성을 중심으로

        채청경(Chae, Cheong Gyeong)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0 평화통일연구 Vol.2 No.1

        최근 몇 년간 국제 사회에서 외교정책들을 통해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북한이 외국어(영어)교육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현 시기 외국어교육을 중시할 데 대한 북한 교육정책의 변화로 인해 외국어분야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요구가 더욱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교육과 고등교육 부분의 영어교원 양성 및 재교육을 중심으로 북한의 외국어교원 양성체계를 살펴본다. 북한은 정규적인 교원양성체계인 사범대학 외국어학부 졸업생들을 위주로 외국어교원을 양성한다. 또한 외국어전문가들을 활용한 비정규적인 교원양성체계를 혼용하여 보통교육과 고등교육의 외국어교원들을 양성한다. 사범대학 졸업과 동시에 외국어교원 자격 취득 및 해당 교육기관에 임용된다. 재교육은 기관과 자격 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진행된다. 향후 남북한 교육통합이 가능한 시기를 대비하여 북한의 교원 양성 체계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다문화 시대에 남북한 예외 없이 외국어교원의 역할과 위치는 더욱 그러하다. 교육통합이 이루어진다면 북한의 정치사상과목을 제외한 수학이나 외국어 같은 비정치적 성향의 교과들부터 교육통합 방안을 마련하고 현실성 있게 실현해나가야 한다. North Korea’s foreign policy, which has been actively taking part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past few years, is amplifying its interest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change in North Korean education policy to emphasize foreign language education at this time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training system of foreign language teachers in North Korea, focusing on the training and re-education of English teachers in the general and higher education areas. North Korea nurtures foreign language teachers mainly for graduates of the Department of Foreign Language at the College of Education, which is a regular teacher training system. In addition, it uses the non-regular teacher training system using foreign language experts to train foreign language teachers of general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At the same time as graduating from a college, it is appointed to a foreig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 and a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 Reeducation is condu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and qualification level.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teacher training system of North Korea in preparation for the time when education integration is possible in the future. Especially, the role and location of foreign language teachers without exception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multi-cultural era is more so. If education integration is achieved, education integration plans should be prepared from non-political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foreign languages, except for political thought subjects in North Korea, and realized realistically.

      • KCI등재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아프리카어 교육의 과제와 전망

        박정경(Park, Jeong-Kyung) 한국아프리카학회 2018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5 No.-

        지난 2016년 8월4일부터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특수외국어교육법의 발효로 이제까지 공공교육 부문에서 등 한시 되어왔던 특수외국어 교육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신흥시장으로 교역 대상국 확대와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지위 상승으로 신흥국과의 외교 관계 강화 및 개발협력이 증진되고 있으므로 특수외국어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국내 외국어 교육이 제1외국어로서 영어와 몇몇 주요 제2외국어에 편중되어 있는 현실에서, 이 법의 제정은 특수외국어 교육에 관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법적으로 제도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수외국어교육법과 연계된 교육 진흥 프로젝트의 형태로 국가의 재원이 효과적으로 투입되면 향후 국내의 아프리카어 교육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 간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교류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아프리카 현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수외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수외국어교육법 관련 교육 진흥 프로그램의 핵심과제는 보다 전문화·체계화된 교육과정, 교재, 평가인증체제, 온라인 공개강좌를 제공하는데 집중되어 있다. 국내 제도권 교육기관 중 유일하게 아프리카어 전공과정을 운영하는 한국외국어대 아프리카학부는 이번 특수외국어 지원사업을 통해 언어 교육의 질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아프리카어 교육 저변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특수외국어교육법의 지원은 아프리카 현지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아프리카어 구사 능력을 갖춘 지역전문가 육성과 아프리카어 교육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성을 제고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On the fourth of August in 2016,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Critical Foreign Languages was enacted. With this Act, the government official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various foreign languages, which have been less commonly taught, within its legal framework for public education. The Division of African Studies at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as founded in 1982(then the Department of Swahili), while the government concentrated its diplomatic capabilities on improving relationship with the Third World countries in Africa. It has been the sole educational institution in South Korea that offers majors in African languages. Although the Division has grown in quantity with addition of new African languages courses, it is high time for the Divi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African languages teach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Act and look into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s associated with it. It discusses effectiveness of the Act for teaching African languages and issue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 KCI등재

        외국어교육의 문화교육 - 미국의 National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을 중심으로 -

        박준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2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외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도 이러한 국제적인 추세에 예외가 아니지만, 문화를 교육과정에 통합하는 시도는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외국어교사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제시한 ‘미국 외국어학습 표준’을 중심으로 문화적 요소가 외국어교육과정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소개하였다. 미국의 외국어교육과정 지침은 우리나라의 한국어교육과정 개발, 특히 문화적 내용이 포함된 교육과정 개발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teaching cultur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aspect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worldwid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education is no exception to this global trend, but integrating cultural components into KFL curriculum is in its inception stage. This paper introduces the efforts of the United States to promote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Specifically, general outlines of the National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NSFLL) are presented, followed by suggestions on how to develop culture education curriculum. It is hoped that KFL education can get some insightful ideas from NSFLL in developing culture-incorporated KFL curriculum.

      • KCI등재

        러시아 중등 한국어교육과정 분석과 과제 탐색

        김호정 ( Kim Hojung ),골로바노브키릴 ( Golovanov Kirill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러시아 중등학교 한국어교육과정 설계의 제도적이고 정치적인 상황·맥락을 살피고 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 과제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 헌법, 교육법, 언어법, 연방국가교육기준, 외국어교육과정 문서와 관련 연구 보고서, 논저 등의 문헌을 검토하고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문서, 교육과정 관련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러시아에서는 ‘다원주의’를 외국어교육의 대원칙으로 삼고 있으나 국가 차원의 외국어교육과정, 교과서 개발이 미진하고 교사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등 ‘다원주의’ 가치 실현을 어렵게 하는 상황적 요인이 존재한다. 러시아 외국어교육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에서는 타 문화에 대한 관용적 태도, 학습자의 자아실현 및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설정하며 유럽공통참조기준(CEFR)의 A1+∼B1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2010년 중학교 연방국가교육기준이 개정되면서 중학교 정규과목에 제2외국어가 추가되었고, 고등학교 정규과정에서는 제2외국어가 선택과목으로 편성되고 있다.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는 의사소통능력 즉, 담화능력, 언어능력, 사회문화적 능력, 보상전략 능력의 발전을 교육 목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연간 약 340∼350시수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A1+ 수준 도달을 목표로 5∼9학년 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의사소통 활동 과제, 언어 지식 등의 교육 내용 체계와 요소를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과정이 러시아 내 중등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하며 고등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을 지속적으로 견인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학교-고등학교 간 연계를 위한 후속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교재-교수·학습-평가를 통한 환류 및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sign for secondary schools in Russia, and to discuss the follow-up task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iculum. To this end, documents such as the Russian Constitution, Education Act, Language Act,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eig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research reports, and theses are reviewed, and then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are analyzed while surveying four curriculum-related experts in Russia. In Russia, 'pluralism' is a great principl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but there are situational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realize the value of 'pluralism', such as insufficient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at the national level, and difficulties in supplying teachers. The curriculum, which is the basi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aims to reach CEFR level A1+~B1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tolerant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self-actualization of learners, and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s a communication tool. As the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 middle schools were revised in 2010, a second foreign language was added to the regular middle school subject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discourse competence, language competence, socio-cultural competence, and compensation strategic competence as the educational goal, and the curriculum consists of about 350 hours per year. To this end, with the goal of reaching the A1+ level,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and elements such as topics, tasks, and language knowledge to be covered in grades 5-9 are presented in detai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of Russ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ollow-up curriculum to link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feedback through curriculum-textbooks-teaching·learning-evaluation.

      • KCI등재

        몽골의 K-12 외국어교육 정책과 교과서 분석 연구: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 교과의 진입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더하여

        강남욱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 curriculum, and textbooks in Mongolia, and furth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ubject in Mongolia. To this end, several terms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policy were firstly identified through laws and official documents concerning compilation/formation, instructional hours and management of foreign language courses of the Mongolian public education. Next, the state-authored textbooks released by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were extracted from the English and Russian textbooks and analyzed in detail.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Mongolian English textbooks set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 as standard. Lastly, this study analyzed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classes at K-12 schools in Mongolia and proposed the future prospects. The Korean language as a subject in Mongolia is a third foreign language now,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Korean courses are managed rarely as a regular subject in some foreign language schools, while others as an extra or afterschool program. Based on these analyses and findings, the trend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were summed up and the future strategies for the Korean language as a public foreign language subject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현재 몽골의 외국어교육 교과와 교육과정, 교과서를 분석하고나아가 몽골의 외국어 교과로서 한국어의 현황을 점검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먼저 교육제도 면에서 몽골 공교육의 K-12 과정 중 외국어 교과의 편제, 시수, 운영과 관련하여 법률과 공식 문서 등을 통해 사실적인 정보들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몽골 교육부에서 공개한 국정교과서로서 ‘영어’와 ‘러시아어’ 교과서를 발췌하여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몽골의 영어과 교과서가 유럽공통참조기준(CEFR)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몽골의 K-12 학교 내 한국어 수업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어는 현재제3외국어로서 일부 외국어 심화 학교에서는 정규교과로, 다른 일부에서는 비교과특별활동 시간에 교수-학습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으며,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몽골의 외국어교육의 경향을 종합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과의 향후 전략에 대해논의하였다.

      • Grammar and Communicative Teaching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uk-Soo Park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6 국제한국어교육 Vol.2 No.1

        지난 수십 년 동안 외국어 습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 외국어가 어떻게 습득되는가에 대한 합일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본고의 서론에서는 지난 30여 년간 외국어 습득 분야에서 문법 교육이 어떻게 취급되어져 왔나를 간략히 돌아본다. 여러 외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결과는 언어의 기능/의미에 중점을 두는 의사소통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method)이나 언어 집중(immersion) 프로그램들은 학습자들이 원어민에 가까운 어휘 및 유창성을 갖추는 데는 도움을 주지만, 그들은 흔히 비문법적인 정확하지 않은 언어를 구사하기 때문에 적합한 외국어 교수법이 아니라는 보고를 하고 있다. 이 보다는 일정의 문법 교육과 의사소통 교수법의 조합이 학습자의 언어능력(유창성 및 정확성)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라 는 것이 근래의 많은 외국어 교육 분야 학자들의 주장이다. 외국어 교 육에서 문법교육이 필수적이라고 보는 이들 개입론자들(예, Pica 2000, Nunan 2012, Wong & Barra-Marlys 2012, R. Ellis 1990, 1992, 2002a, 2002b, East 2012)의 주장을 받아들여, 저자는 대학에서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TKFL)’에서 문법 교육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야 한다고 보며, TKFL에서도 전통적 교사 위주의 강의식 문법 교육에 대한 보완 책으로 R. Ellis (1992)이 개발한 학습자의 주의를 주어진 데이터의 새로운 문법형태에 집중시켜 학습자 스스로 규칙을 찾게 하는 과정의 귀납적 학습이 수반되는 consciousness-raising(의식 고양, CR)의 개념을 도입 한 문법 교육을 추천한다. 이제 외국어 교육에서 크게 대두 되는 논지는 CLT에 문법 교육과 같은 형태에 초점을 맞추는 교수법(Form-Focused Instruction, FFI)이 필요한가 아닌가가 아니라, 언제 어떻게 FFI를 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냐인 것이다. FFI는 CLT 활동여부에 따라 통합형(integrated) FFI와 고립형(isolated) FFI로 양분할 수 있는데, 이 두 FFI 중 어느 것이 더 효율 적인 FFI인지를 가리는 것은 필요하지도 권장하지도 않으며, 현재까지의 연구 보고는 두 유형 모두 외국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Spada & Lightbown 2008). Spada & Lightbown (2008)에서는 이들 두 FFI 유형을 택하는 변수가 되는 조건을 찾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며, 이들 조건으로 특정 문법 형태의 특성(예, 복잡성, 빈도수, 언어 정보의 특징), 학습자의 지적 개발 정도, 모국어와 외국어와의 상호 관계, 교사와 학습자의 선호도 등을 들고 있다. 본고의 뒷부분에서는 이들 두 FFI 유 형을 결정하는 이들 변수들을 한국어의 예를 들어 탐구 조사해 본다. Despite the fact tha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ereafter SLA) research has been very productive in recent decades, we have not arrived at a consensus on how second languages are best learned. As a preamble, I briefly review the status of grammar teaching in the field of SLA for the past three decades or so.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reports which argue that meaning-focuse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hereafter CLT) or language immersion programs are not adequate for SLA because, although learners may gain native-like vocabulary and fluency in the target language, they often lack grammatical accuracy, despite years of learning. Adopting the interventionists’ claims (e.g., Pica 2000, Nunan 2012, Wong & Barrea-Marlys 2012, R. Ellis 1990, 1992, 2002a & 2002b, East 2012), I value grammar teaching (hereafter GT) as an important par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ereafter TKFL) in a university setting. This paper is about how we can supplement a traditional teacher-led deductive way of teaching grammar, using the concept of consciousness-raising (hereafter CR) developed by R. Ellis (1992), which involves giving learners some time to notice patterns in data provided to them, and thus an inductive process of learners’ self-discovery of grammatical rules. The most engaging questions and debates in L2 pedagogy are no longer about whether CLT should include Form-Focused Instruction (hereafter FFI) like GT, but rather how and when it is most effective. There ar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arguments for both the ‘isolation’ (that is separation) and the integration of form and meaning in L2 instruction. However, Spada & Lightbown (2008) say that making a choice between isolated and integrated FFI is neither necessary nor advisable. Rather, the aim is to fi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each (isolated or integrated) FFI is most appropriate. These conditions are likely to involve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nature of the language feature in question (e.g., its complexity, and its frequency and salience in the input), learners’ developmental levels in the acquisition of the fe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rable features in the learners’ L1 and the L2, and teachers’ and learners’ preferences for how to teach/learn about form. In the later part of the paper, I explore and examine these conditions with relevant examples from Korean.

      • KCI등재

        한국 (제2)외국어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프랑스의 외국어교육 정책 및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희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blems with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elaborating som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make up for the problems identified. For this purpose, we initially briefly identify the biggest problems currently faced by Korea's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Next, we review and analyse France's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which have been the most actively implemented policies, promoting acceptance of linguistic and 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e findings which have implications on formulating a new framework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hat Korean policy makers should expand their view of the future to create effective policies, rather than having a short-term perspective. 본 연구에서는 다원화 되고 있는 세계무대에서 경쟁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공교육에서 추구해야할 목표가 무엇인가를 성찰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우리 공교육에서 제2외국어교육의 역할과 위상, 현재 대면하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는 제2외국어 교과 존폐 문제와 관련된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현재 제2외국어교육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최근 10여년에 걸쳐 완성된 초등, 중등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영어 이외의 다양한 외국어교육 강화’를 모토로 운영되고 있는 프랑스의 외국어교육 정책을 검토·분석하여 영어 일변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 외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이 시사점을 바탕으로 마지막으로 우리 교육 상황과 문화를 고려하여 21세기 인재양성에 기반이 될 외국어교육을 구상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 분석

        한혜민,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revious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and topic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Brown(2007) mentioned that anxiety is the most significant affective factor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is known that the language anxiety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bout 705 studies on foreign language anxiety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s as well as dissertation. Among them, this study selected 66 studies after reviewing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and topics. The types are sorted by year, dissertations and academic articles, and research target. The topics are categorized as language fun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factors and language anxiety, and oth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distribute to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about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에 대해 다룬 논문을 살펴, 외국어 불안감 연구의 동향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 논문이다. Brown(2007)이 밝힌 바와 같이 불안감은 제2언어 습득에서 가장 중요한 정의적 요인 중 하나이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을 연구 주제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2003년이고,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망라하여 살펴본 연구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외국어 불안감을 주제로 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66편을 살펴 연도별, 유형별, 연구 대상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중 주제별 분석은 언어 기능별 외국어 불안 연구와 외국어 불안과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을 살피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국의 외국어 교육 담론과 인문학

        정우향(Jung, Woo-hyang)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40 No.-

        외국어 교육은 문화와 언어, 의사소통 과정 등에 주목하는 분야이다. ‘인문학(humanities)’을 인간의 사상과 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 분야라고 정의할 때, 외국어 교육의 이론과 주요 연구 대상들은 가장 인문학적인 여러 주제들과 밀접하게 관련된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외국어 교육이 지나치게 시장의 논리만을 반영한 채 인문학적 가치를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외국어 교육학과 관련된 이론과 실제, 교수법의 내용들이 현 시대에 한국의 인문학 연구의 주요 주제들에 기여할 수 있는 담론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방향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로는 외국어 교수법의 역사를 고찰해보면서 도구적, 실용주의적 언어관이 팽배하고 있는 현시대 한국의 상황 속에서 인문학적 가치를 담은 외국어 교육에 대한 보완적 담론들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둘째로는 ‘문화 교육’라는 광의의 개념이 외국어 학습과 병행도리 때, 다른 한문 분야에서 다루는 문화 교육의 범위와 어떠한 점에서 특이성을 가지며, 교육적 초점은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를 논의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인문학적 가치를 담은 외국어 교육을 위해 한국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문학 담론들을 수용할 것과 방법론적 측면에서 학제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Humanities research, lecturing and writing, has become active recently in South Korea. Not only the humanities education in universities, but also interest among the general public has increase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a field that focuses on new languages and cultur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communication. When defined as a humanities discipline that targets human thought and culture, theory and realit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major research target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various subjects of humanities. To keep pace with globalization, the demand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has increased. There are many private language institutions that teach TOEIC, TOEFL and HSK. Quantitative increase in foreign language schools does not lead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that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becomes a par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language, culture and communication”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at meets the goals and objective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broader te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