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론:조선시대 ‘국가의례’ 연구의 성과와 전망

        나영훈(Na young hun)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4

        조선시대 국가의례는 ‘五禮’로 정리할 수 있다. 본 공동연구는 조선의 ‘국가의례’와 관련된 성과가 상당수 누적되어 있는 것에 비해 이들 성과를 정리한 시도가 없었던 점에 착안하여서 이들 연구사를 세밀하게 정리하여 연구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또한 향후 국가의례 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고민을 하고자 시도되었다. 각 연구자들은 오례 가운데 ‘길례’, ‘가례’, ‘빈례’, ‘흉례’ 연구사를 정리하고 또한 실학자들의 ‘예학’을 추가하여 공동으로 국가의례 연구를 정리하였다. 총론에서는 조선시대 국가의례 연구를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의 추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국가의례 연구의 서막은 1980년대 이범직과 지두환의 오례 연구로 시작된다. 이전까지 유교망국론 등의 영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지 않는 불모지였던 국가의례 분야는 이들 연구자에 힘입어 본격적인 연구의 발판이 마련되었다. 1990년대는 국가의례 연구의 기반이 조성된 시기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김해영, 한형주는 길례 연구를 토대로 오례 전 분야에 걸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시기에는 조선 왕실에 대한 연구자와 대중의 관심이 함께 증가한 시점으로, 이들 연구는 국가의례 연구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예학과 관련된 심도 있는 연구가 이 무렵 증폭되면서 이 역시 국가의례 연구에 기여한 바가 컸다. 이 시기는 국가의례를 주제로 한 분야가 한국사 내에서 점차 학문적 영역을 확보한 시작점으로 의미가 있다. 2000년대는 왕실에 대한 관심 속에서 연구자의 수효가 증가하고 학술적인 연구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였다. 국가의례를 선도하는 다수의 연구자가 배출되었고 연구의 기반이 될 전례서, 의궤, 등록 등의 자료에 대한 이해 역시 심화되었다. 이 시기는 다방면에서 국가의례 연구가 비상할 수 있게 해준 시기로 의미가 크다. 2010년대는 국가의례 연구의 방법론상의 외연이 확장된 시기이면서 폭넓은 사례 연구가 진행되는 시기이다. 더 나아가 90년대 후반부터 진행된 주요 자료의 인터넷 서비스로 관련 자료를 손쉽게 접근하고 연구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의례 연구가 범람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누적된 수많은 국가의례 관련 연구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해결해야할 과제 역시 남아 있다. 첫째, 국가의례 전체를 아우르는 시도가 다시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방법론상의 영역을 넓히되 국가의례를 주요 주제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타분과 학문과의 긴밀한 융복합 연구를 모색해야 한다. 조선시대 국가의례는 현재에도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만 앞으로 더 많은 연구주제가 산적해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본 공동 연구사 정리는 현재까지 누적된 국가의례 연구를 집적하는 역할에 그쳤다. 향후 이를 토대로 내실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Joseon Dynasty’s “National Ritual(國家儀禮)” can be summarized as “Five Rites(五禮)”. This study was attemp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were no attempts to summarize these achievements, compared to the accumulation of significant achievements related to Joseon’s ‘National Ritual’. It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by organizing the ‘National Ritual’ study in detail and to think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National Rituals’ study. The prelude to the study of ‘National Ritual’ begins with the study of ‘Five Rites(五禮)’ by “Lee Bum-jik” and “Ji Doo-hwan” in the 1980s. The 1990s was the time when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National Ritual’ was established, an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is period is meaningful as a starting point for the field under the theme of ‘National Ritual’ to gradually secure academic areas within Korean history. The 2000s was a time when the number of researchers increased and academic research exploded amid interest in the ‘Royal(王室)’. The 2010s was a time when the extension of the methodology of ‘National Ritual’ research was expanded and extensiv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Despite the accumulated studies so far, several challenges remain to be solved. First, attempts must be made to encompass the entire ‘National Ritual’. Second, while expanding the scope of methodology, research with the main theme of ‘National Ritual’ should be conducted.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close convergence research with other branches and disciplines. This joint research organization has only played a role in integrating research on ‘National Ritual’ accumulated so far. It is expected that substantial research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려 무신집권기 왕권과 의례 - 왕실 조상 숭배의례를 중심으로 -

        김아네스 ( Kim Agnes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80

        이 글은 고려 무신집권기 국왕이 주재한 주요 의례를 왕권의 위상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왕실 조상에 대한 숭배 의례인 왕실제사와 국휼의례를 중심으로 정치의 두 구심, 즉 국왕과 무신집정의 시각에서 의례의 설행 의도 및 의례 개정과 참용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명종은 왕실 조상에 대한 숭배의례를 국왕의 위상을 확인하고, 왕권을 확립하는 데 활용하였다. 재위 초반 명종은 경령전과 태묘에서 제사를 지내서, 자신이 태조의 후계 왕이며 왕정의 최고 책임자임을 과시하였다. 재위 후반 명종은 공예태후의 국휼을 주관하면서 신민과 구별되는 왕실의 존엄을 드러내고 왕권의 위상을 높이려 하였다. 최씨정권이 성립하면서 국왕의 권력은 미약해졌다. 왕권을 표상하는 왕실 조상 숭배의례를 주관하는 일은 국왕의 권리였지만 최충헌은 국휼의 상기를 단축하고 예식을 격하시켰다. 최씨집정은 국왕의 폐위와 옹립을 좌우하며 태묘에 봉안할 신주를 정하고 소목의 위차를 개정하였다. 왕통을 상징하는 의례를 개정함으로써 국왕의 실질적 권위가 향상되는 것을 제어하였다. 최우가 집권자가 되면서 최씨 집정 집안의 상장례에 국휼의 왕례와 왕후례를 참용하였다. 이에 따라 왕실의례가 가지는 특수성이 사라지게 되었다. 최항집정기에 고종은 최씨집정이 권력을 승계한 것을 기념하며 왕실 조상에게 시호를 가상하였다. 최씨정권 아래서 왕들은 의례를 주재하는 권한을 온전히 행사하지 못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oyal rituals hosted by the kings during Goryeo dynasty under the military regime. The study focuses on royal ancestral worship ceremonies and funerals. It explores the administration and the alteration of rituals, and the abuse of power,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two major powers in the dynasty: the king and the military rulers. King Myeong-jong utilized the royal ancestral worship rituals to affirm his status as the highest ruler in the royal court and to also establish the royal power. King Myeong-jong, in his early years of reign, conducted ancestral ritual ceremonies at Gyeong-ryeong-jeon and Royal Ancestral Shrine in order to worship the founding King Taejo. Through these ritual ceremonies, the king affirmed that he was a part of King Taejo’s royal lineage, and he had the highest status in the dynasty. Later, when King Myeong-jong hosted the funeral of his mother, Empress Dower Gong-ye, he dignified the royal family over the common people. When Choe military regime established, the king’s power dwindled. It was the king’s right to command royal ancestral ceremonies and funerals. However, Choe Chung-heon downgraded royal rituals by shortening the mourning period for royal funerals. Choe clan rulers exerted their power by enthroning or dethroning the king in addition to selecting the ancestral tablets along with their placement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 The Choe rulers rewrote the royal rituals that signified royal lineage in order to prevent the kings from possessing heightened royal power. After Choe Woo, son of Choe Chung-heon, became the second ruler of the military regime, the funerals of the Choe family were conducted as if they were royal rituals. During Choe Hang’s regime, the third generation of Choe, King Gojong conducted a congratulatory ceremony celebrating the succession of power in the Choe clan. The significance of the royal rituals hosted by the king during the military regime has changed based on the power structures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ritual. The significance of the royal rituals and the king’s status and power has changed as the Choe clan took over the military regime.

      • KCI등재

        조선시대 왕의 사친(私親)의례와 축문(祝文) : 의묘(懿廟) 의례의 축문을 중심으로

        권용란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5 No.35

        This paper will discuss the legitimacy of the national rituals(國家儀禮)of the royal family ancestor worship of Yimyo ritual(懿廟儀禮), which is the biological father's ritual of the first king and its the written prayer(祝文) during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ten prayer, naming the king Seongjong(成宗) and his biological direct father, Yi-Kyoung SeJa,(懿敬世子) through Yimyo ritual proceedings .Although Yi-Kyoung SeJa was not belong to the king’s direct lineage, He was adopted and officially declared as the legitimate inherit through the national rites.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built on the tenets of Confucian ideology, accepted ancestor ritual and attempted to realize it through a legal family system (宗法制度) which arranged for the worship of ancestors by the oldest legitimate sons(嫡長子). According to this legal family system(宗法制度), to endow the oldest legitimate son(嫡長子) with this duty was to not only a measure to structure the practice of the family ancestor ritual, but also a core institutional mechanism to keep up social and national order. To form an ancestor lineage and practice ancestor ritual was, therefore, not only central to the descent-focused patrilineal system, but also foundational for the preservation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built on Confucian ideology. So, he worshipped in Jongmyo(宗廟), The top priority was the relationship of written prayer naming. Because king Seongjong and king Yejong(睿宗) was already set up son and father in written prayer naming of Jongmyo ritual. So, The relationship of written prayer naming was set up nephew and his father's elder brother. The most essential intention of Yimyo ritual is the expression of Jeong(情) to biological father. That is to say, biological bobonbansi(報本反始). Yimyo ritual was preserved even after then and accepted as proper ritual. It led to the inception of a new royal family ancestor lineage and the relationship setting of written prayer naming. 본 논문은 조선시대 최초로 국가의례 길례로 행해진 왕의 사친(私親) 의례였던 의묘(懿廟) 의례 형성과정에서부터 이후 종묘에 부묘되기 전까지 축문(祝文) 호칭을 둘러싼 주요 쟁점과 명분을 살펴보았다. 예종(睿宗)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성종(成宗)이종묘 의례의 축문에 부자(父子) 관계로 설정된 상황에서 원칙적으로는 성종의 생부, 의경세자[懿敬世子, 1438~1457, 덕종(德宗)으로 추증됨]를 아버지로 제사지낼 수 없었다. 의묘 의례의 축문 호칭은 성종과 의경세자를 조카(姪)와 큰아버지(伯考)의 관계로 설정하였다. 대통(大統)이라는 기존 질서에 어긋나지 않으면서 사친에 대한 정(情)도 온전하게 하기 위한 절충안이었다. 의경세자를 의묘에서 종묘로 부묘하는 문제에서 주요 쟁점이자 최우선적인 해결과제는 축문 호칭이었다. 축문 호칭은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관계를 맺고, 그 관계의 질서를 정리해주는 위격을 의미하며 이것을 표명하고 규범화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종묘부묘 논의에서 가장 쟁점이 된 실제적인 문제는 축문 호칭의 관계설정이었다. 결과적으로 의묘 의례에서처럼 조카와 큰아버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종묘에 부묘되었다. 덕종으로 추존되어 종묘에 부묘된 의경세자는 성종 개인의 사친으로서가 아니라 왕실 조상신으로 이후 왕대에도 지속적으로 봉안되었다. 의묘 의례 형성과정에서 종묘부묘 전까지 축문 호칭을 둘러싼 논의를 통해서 왕실조상신의 이중적인 모델인 이념적인 왕실 조상신과 정서적인 왕실 조상신이라는 특징을볼 수 있다. 의묘 의례는 유교 조상신 의례의 명분, 보본반시가 구체적으로는 생물학적보본반시이자 정(情, 私情)의 명분이 수용되었다. 사친의례에 대한 명백한 법규가 없던조선 초기에 형성된 의묘 의례와 부자(父子) 관계로 설정되지 않은 축문 호칭은 이후 왕대에 조선 왕실의 전례로 삼아졌다. 성종 대 당시 생물학적 보본반시(報本反始)를 명분 으로 한 사친의례의 형성과 축문 호칭은 당시 조상신에 대한 관념과 실천 양상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이를 통해서 여타의 유교의 신들과 다른 조상신의 특징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네팔의 왕실 의례 나바라뜨라와 그 의례 형태의 재편에 대한 논의

        심재관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3 무형문화연구 Vol.0 No.10

        말라왕조와 샤왕조는 카트만두 계곡을 연속적으로 통치하며, 유사한 종교 전통을 유지하고 있었던 왕조들이다. 특별한 왕가의 여신을 모셔온 것도 두 왕조의 공통점이다. 18세기에 샤왕조가 카트만두 계곡의 권력을 통합하게 되면서 고르카에서카트만두로 이들의 왕실이 이동하게 되고, 두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던 왕실 나바라뜨라 의례도 완전히 재편되는 과정을 거친다. 결과적으로 고르카 뿐만 아니라 카트만두에서도 나바라뜨라 의례는 샤왕조를 위해 강화된 의례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의례들의 통합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두 가지의 다른 전략들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카트만두 계곡 내에 존속해왔던 말라왕조의 의례들은 거의 변함없이 존치시킨 반면, 샤왕조의 의례는 새로운 의례절차, 사제, 의례시기 등을 추가하여, 과거 말라왕조의 왕실 나바라뜨라 의례의 권위를 이어받으면서, 새로이 확장된 형태의 나바라뜨라 의례는 샤왕조를 위해 강화된 형태를 띠도록 변형된다. Astrid Zotter examines the textual sources for the Malla(1200–1768) and Shah (1768–2008) dynasties of Kathmandu through ethnohistorical method. In this chapter, Zotter compares the ritual procedures of both courts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ynasties. She complicates the received history of Nepal’s royal rituals by showing how the Shahs adopted rites, deities, and specialists of the previous dynasty while advancing their own ritual culture.

      • KCI등재

        조선 초기 王室祖上儀禮의 유교적 정비

        강제훈(Kang, Jae-Hoon)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6

        조선은 즉위교서에서 유교 의례의 실천을 선언하였다. 오랫동안 전통이었던 불교식 조상의례는 국왕과 왕비가 사망하고, 관련된 의례를 진행하게 되면서 유교적 의례로 대체되었다. 종묘 의례는 태조의 사망 후, 태조 神主를 종묘에 모시는 과정에서 조선식의 定形이 마련되었다. 이를 기준으로 山陵과 原廟, 眞殿등의 의례가 정리되었다. 태종 때 부터 종묘는 보편적 유교 의례로 설정되었다. 반면에 俗祭에는 揖, 俯伏등 종묘 의례에 없는 동작을 사용하고 奠幣, 飮福등의 절차를 종묘와 다른 패턴으로 시행하였다. 세종대를 거치면서 점차 조상의례는 유교 의례 기준에 없는 동작은 해소하고, 각각의 절차를 일관된 방식으로 통일하되, 의례 구성에서 어떤 절차를 넣거나 빼거나 하여 서로를 구분하였다. 처음에는 종묘 의례를 기준으로 속제를 정비하였으나, 나중에는 속제의례에서 정리된 패턴으로 종묘 의례를 수정하기도 하였다. 『국조오례의』 왕실 조상의례는 태종대 이래의 일관된 원칙에 따라 정비된 결과물이었다. 正祀인 종묘의례는 동아시아의 보편적 유교의례에 맞게 설정되었다. 俗祭인 문소전과 산릉, 진전 등은 조선 습속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묘의 어떤 절차가 생략되기는 하였지만, 유교 의례의 기준에 맞았다. 이렇게 정비된 조상의례는 종묘와 속제의 구분 없이 제사가 진행되는 패턴에서는 철저하게 유교적이었다. 의례는 사회 전체에서 실행될 수 있을 때, 의미를 갖게된다. 조선이 건국되었을 때는 이미 불교적 조상의례의 전통이 오랜 습속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이를 대체하는 것은 정치적 선언만으론 불가능하였다. 더구나 부모를 위하는 의례는 이를 시행하는 자손의 심적인 위안으로 기능할 수 있어야 했다. 낯설고 준비하기 어려운 유교 원칙이 적용된 종묘의례는 사회 일반이 실행할 수 없었고, 설령 가능하다고 해도, 이를 통해 위안을 받는다는 의례 목적이 달성될 수 없었다. 종묘 의례의 정비는 유교 의례의 기본적 전제였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가능하지 않았던 조상 의례의 사회적 확산은 속제 범주의 의례가 마련됨으로써 가능할 수 있었다. Joseon proclaimed the implementation of Confucian rituals at the enthronement message. Buddhist style ancestral rituals, which had been traditionally applied for a long period, were replaced with Confucian rituals when related rituals were implemented after the death of kings and queens. Joseon-style rituals were established at the Jongmyo Shrine during the process to enshrine the tablet of King Taejo after his death. Various rituals such as those at the royal tombs, private shrines, and portrait shrines were formalized based on the rituals used at the Jongmyo Shrine. Meanwhile, movements such as prostrations and bowing with hands clasped,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rituals at the Jongmyo Shrine, were applied during local Confucian rituals for ancestors. Procedures such as sacrificial libations (offering of silk cloth) and the partaking of sacrificial food and drink were implemented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rituals at the Jongmyo Shrine. The procedures for ancestral rituals were gradually unifi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by mitigating movement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standard Confucian rituals and adding or omitting other procedures when a ritual ceremony was composed. Local Confucian rituals for ancestors were originally organized based on the rituals at the Jongmyo Shrine. However, the rituals at the Jongmyo Shrine were subsequently modified to reflect the patterns established at the local Confucian rituals for ancestors. The ancestral rituals for the royal family found in the Gukjo Oryeui (Five Rites of State) were the result of the presence of consistent principles since the reign of King Taejong. The rituals at the Jongmyo Shrine, which represented the Joseon dynasty’s official ritual system, were setup in accordance with the universal Confucian rituals of East Asia. The Munso Shrine, royal tombs, and portrait shrines, all of which fell under the category of local Confucian rituals for ancestors, reflected the traditional folkways of Joseon. Although some of the procedures were omitted, these were well suited for the Confucian rituals. The established ancestral rituals thoroughly exhibited the Confucian style in that these rituals proceeded in a manner that did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 Jomyo Shrine and local Confucian rituals for ancestors. Rituals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lay in the fact that they are implemented in the entire society. Buddhist-style ancestral rituals had already become entrenched by the time the Joseon dynasty was founded. These Buddhist-style ancestral rituals could not be removed solely based on political proclamations. Furthermore, the ancestral rituals for parents only became possible when they functioned as a psychological consolation for the descendants who implemented the rituals. The general people of the Joseon dynasty could not implement the rituals at the Jongmyo Shrine involving strange and difficult Confucian principles. Although the rites spread to the masses, the goals of the rituals to receive consolation could not be achieved. The organization of rituals at the Jongmyo Shrine became the basic prerequisite for Confucian rituals. The social diffusion of ancestral rituals became possible once the local confucian rituals for ancestors were established.

      • KCI등재

        문화복합 퍼포먼스로서 왕실·황실제례 - 조선 종묘제례와 로마 황제숭배의례를 중심으로

        신현숙 한국연극학회 2019 한국연극학 Vol.1 No.70

        본 연구는 세계의 문화현상들이 몇 가지 유사한 사유의 범주에 따라 대별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보편성과 특수성이 발견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국가적 연출의 조상 제사문화로서 조선의 종묘제례와 로마의 황제 숭배의례를 비교해보았다. 물론, ‘종묘제례’(1394-1910) 와 로마의 ‘황제숭배의례’(기원전 27-서기 392) 사이에는 크나 큰 시공적 격차가 존재한다. 지역적 문화의 차이도 엄청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국가의례는 조상숭배 제례이자 문화복합 퍼포먼스(cultural complex Performance)라는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우선, 종묘제례와 로마 황제숭배의례는 전통적인 윤리적·사회적 가치를 신격화하고, 추상적인 도덕개념을 의례로서 구체화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의례 텍스트에는 종교적 담론과 국가이데올로기가 밀착되어 있고, 그 재현 형태는 전래의 ‘조상신 제사형식’이라는 점도 동일하다. 단일 종교로서 유교국가인 조선의 종묘제례와 다신교 국가인 로마의 황제숭배의례는 종교와 정치가 상호불가분의 관계이고, 표현 형식은 다르지만 똑같이 장엄한 제의와 예술적(종묘제례)/세속적(황제숭배의례) 퍼포먼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제례의 참여자들이 감각적으로 공동체적 교감을 통해 국가의례가 의도한 충성심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두 왕실·황실제례는 시대적, 지역적, 문화적 격차에서 비롯된 상이한 특성들을 표출한다. 우선, 근대 여명기에서 20세기 초까지 극동 아시아 국가 조선에서 지속되었던 종묘제례는 신화가 따로 없는 유교의 구조적, 이성적 철학에 근거한 제사의례와 예악론에 따른 제례악이 종합된 격조 높은 예술성이 두드러진다. 반면 고대 유럽의 로마 황제숭배의례는 그리스 신화를 토대로 ‘황제신 만들기’의 단순한 제의적 퍼포먼스와 세속적이고 생동하는 육체적, 물질적 공연물로 구성된 ‘힘의 컬트’이다. 그런 관점에서, 유교국가 조선의 내적 성찰과 예악 중심의 제례와, 다신교 군국주의 국가인 로마의 과시적 스펙터클 및 디오니소스적 컬트가 대비된다. 다음, 종묘제례가 추구하는 목적이 ‘생명의 연속성’이라면, 로마 황제 숭배의례의 목적은 ‘권력의 연속성’이다. 두 국가의례의 정치철학도 다르다. 조선은 신-유교주의를 토대로 도덕성 윤리성을 강조하고 ‘어진 임금’의 덕치주의와 국민의 정신적 교화에 중점을 둔다. 반면에 로마는 도덕적 목적보다는 제국주의, 군국주의에 중점을 두고 다민족 속주민들의 결속을 이끌어낼 강력한 정치권력(황권)에 역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종묘제례의 참석자들은 왕과 세자, 종친들, 그리고 문무백관에 한정된다. 제례 장소도 서울의 종묘로 한정되어 제한적이다. 반대로 로마 황제숭배 의례의 참석자들은 황국의 신료들과 숭배의식이 수행되고 있는 속주의 주민들이다. 여러 속주들의 광장에서 거행되는 제의와 공연은 개방적이어서 관중도 다양하고 참석자의 제한도 없다. 이는 다양한 이질적 전통과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많은 속주의 주민들을 결집해 중앙집권체제의 로마제국을 강화하기 위한 필수적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 두 국가의례의 상징적 유효성은 조선의 종묘제례가 ‘덕치주의 이미지 만들기’라면, 로마 황제숭배의례는 ‘제국주의 이미지 만들기’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세기 조선왕실 혼례용 백자의 구성과 특징

        최경화 ( Choi Kyunghwa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0 한국문화연구 Vol.39 No.-

        왕실 혼례는 대표적인 왕실 축제로 국가의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이다. 그러나 중대한 왕실 혼례에 사용된 백자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체계적 연구 없이 현전하는 몇몇 유물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이들 백자는 점각명으로 인해 언제, 누구의 혼례에 사용되었는지와 외면에 문양 그리고 기술적 특징(질·굽깎음·굽받침) 정도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왕실 혼례용 백자에 대한 매우 단편적인 인식일 뿐 왕실 혼례용 백자를 예치(禮治)를 기반으로 한 조선왕실의 의례 가운데서 인식하고, 백자 기면에 나타난 문양·기술 이외의 다양한 사실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19세기 가례도감의궤를 분석한 결과 혼례용 백자의 사용 배경인 왕실 혼례의 절차가 유교 예에 입각하여 위계에 따라 차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기발기를 통해서는 혼례 소용 백자의 수량(규모)·종류·구성·명칭·문양·진상체제·수량단위·크기분류 뿐 아니라 외래자기 사용 및 선호양상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어 왕실 혼례용 백자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왕실 혼례용 백자는 조선왕실 의례용 백자의 한 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royal wedding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Royal Festival, and was one of the biggest national events of Joseon era Korea. However, no systematic inquiry was made regarding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momentous royal wedding; researchers’attention was solely focused on a few of the more well-known white porcelains. One could understand the era, of whose wedding the porcelain was used, by looking at the Jeomgakmyeong (點刻銘, letters engraved in the white porcelain with dots). One could also grasp the design and the technical features by looking at the porcelain’s external appearance. However, this is just a fragmentary perception of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royal wedding.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orcelains used in the royal weddings based on the Joseon dynasty’s ritual, Rye (禮: Confucianism, based on courtesy), as well as by assimilating other various factors, excluding design and technique. Analyzing the 19th century’s Garyedogamuigwe (가례도감의궤, the book containing the record of the royal weddings), the white porcelain used in the royal wedding is based on Confucianism’s Rye, and distinguishes the status of each wedding by differentiating the procedures of each. Also, according to the Sagibalgi (사기발기, the book containing the list of the porcelains used in the Royal Festival), we can see the quantity, form, official name designation, design, and the sizing system of the porcelains, as well as how the king and royals were treated and viewed. Moreover, various and specific details such as the use of the imported porcelain and the preferred forms can be found in Sagibalgi, which became the method to analyze the white porcelain, we are able to see that Confucianism’s Rye, which is the basis of the royal ritual, is expressed through various aspects in ceramics. At the same time, it is meanigful to perceive on side of the white porcelains used in royal rituals in Joseon, and be able to find its significance.

      • KCI등재

        <긔묘년 조대비 입궐일기>에 나타난 혼례복식 -처자(處子)에서 세자빈(世子嬪)이 되기까지-

        이민주 ( Lee Min-joo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69 No.-

        이 글은 <긔묘년 조대비 입궐일기>라고 하는 새로운 자료가 발굴됨에 따라 왕실의 시선이 아닌 ‘사가의 시선’을 통해 왕실의 복식문화를 재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조대비는 1808년(순조 8) 조만영의 딸로 태어나 1819년(순조 19) 순조의 아들인 효명세자와 가례를 치름으로써 세자빈이 되었다. 효명세자와의 가례는 _왕세자등록_, _왕세자가례도감의궤_,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의 관찬자료가 남아 있으며, 이를 통해 왕실의 복식문화를 확인할 수 있다.반면 왕실과의 혼례 과정을 기록한 사대부가의 기록은 흔치 않다. 이러한 시점에서 <긔묘년 조대비 입궐일기>는 딸을 출가시키면서 경험한 왕실과의 혼례과정을 기록한 사가의 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다만 혼례 날짜 등이 실제와 달라 이 기록이 어느 정도 사실과 부합되는 지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왕실을 중심으로 한일방적인 기록에서 벗어나 <긔묘년 조대비 입궐일기>를 통해 왕실의 혼례문화를 다양한 시선에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왕실의 혼례를 크게 예비의례인 간택과 본 의례인 육례로 구분하고 특히 육례에서는 왕세자빈이 등장하는 책빈, 친영, 동뢰를 중심으로 각각의 의례에 착용하는 복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물론 여기에서도 사가의 시선에 초점을 맞췄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간택복식은 ‘주저(紬紵)를 넘지 말라.’는 하교에도 불구하고 잘지켜지지 않았으나 순원왕후 조대비의 집안에서는 다른 처자들과 달리검소함을 실천하고자 했음을 강조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초간택에 견마기를 착용했다는 새로운 사실도 확인하였다. 둘째, 삼간택에 들어가는 처자의 복식은 왕실에서 제작하였다는 사실을 본 자료에서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복식을 통해 처자의 입지가 공고해졌음을 드러내기 위한 결과였다. 셋째, 왕실복식의 명칭이나 표면장식을 사가에서 알기에는 한계가 있다. 지금까지 왕세자빈이 착용하는 원삼의 표면장식은 직금이나 부금으로 인식되었지만 본 자료를 통해 수를 놓은 원삼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왕실복식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나 추후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책빈, 친영, 동뢰시 왕세자빈의 복식은 명복인 적의를 입었으나 동뢰연을 마친 후에는 명복을 벗는다는 기록만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왕세자와 격을 맞춘 홍장삼이 가장 유력한 복식이라고 판단하였다. 앞으로 새로운 자료의 꾸준한 발굴을 통해 비어있는 왕실의 복식문화 공간이 채워지길 기대한다. Queen dowager Cho, daughter of Cho Man Young, has become the crown princess by having a ritual with prince HyoMyung, son of King Sunjo, in year 1812. The process of prince hyomyung going through the ritual can be found in many official documents such as Prince Garyedeungrok(王世子嘉禮謄錄)_, Prince Garye dogamuigwe(嘉禮都監儀軌),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 鮮王朝實錄),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 Royal Archives(王室 發記). However, as the civillian document < Gimyonyeon Queen Dowager Cho’s Diary of the Royal Court Entry > being found, unknown facts were found and it initiated the movement to perceive the culture of the wedding rite in the royal family in many different perspectives.First, even though there was the king's order not to wear clothes fabricated with better fabric than silk and ramie fabric for women who participate in ceremony, most of them wore luxurious clothes violating the order. However, by wearing the most artless clothes, Gyeon-magi, fabricated with silk throughout the whole ceremony, Queen dowager Cho revealed her family's integrity with her clothes.Second, while Royal Family's clothes are so special that no ordinary people can wear, they are also very hard to know. Therefore, by sending the clothes to those women who surpassed the third ritual, Royal Family acknowledged that they become more closely related to royal family with the clothes.Third, it is already confirmed by the record < list of goods of royal family > that the clothes being used for visiting a secondary palace is made of wonsam. The record also says that, even though gold brocade or gilt is the style of royal family, they have embroided wonsam's big belt in the size of samll ball and made the princess to wear round bag decorated with pearl. However, this should be further researched to know more precise informations.Fourth, After finishing the rite of Dongroi(同牢儀), crown prince took off the ceremonial clothes and wear ordinary clothes. However, for the crown princess, while there exists the record that she took off the Jeok-ui(翟衣), there is no record about what she wears afterwards.Researchers tracked down that crown princess has wear a Red-Jangsam(紅長衫), but this has to be researched further in the future. As it is discussed, < Gimyonyeon Queen Dowager Cho’s Diary of the Royal Court Entry > i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unraveled aspects of the royal family’s costume culture and to provide more abundant contents while leaving the necessity for discovering what has been undiscovered. Discovering those private compilation materials will be priceless, as it will fill up the royal family’s unknown culture. Therefore, I expect further research to be continued.

      • KCI등재

        조선 종친부의 체제 및 기능과 그 변천

        원창애(Won, Chang-Ae)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4

        조선의 종친부는 고려의 제왕자부와는 달리 왕의 친왕자 이하 모든 종친이 소속된 관서이다. 종친부는 종반직에 제수되는 종친과 동반 관원으로 구성된 이중 체제로 운영되었다. 종친부 구성원인 종친은 정치에는 관여할 수 없었으나, 국가 의례에 참여할 의무를 가지고 있었다. 종친은 각종 국가 제사와 제향, 조회, 왕실 혼인, 흉례, 사신 접대, 대열이나 강무와 같은 군례 등에서 감당해야할 역할이 있었다. 특히 흉례에서는 종친이 주축이 되었다. 종친부는 종친의 봉작과 종반직의 初授?陞進?復職 등에 관여하고, 종친의 예우 문제나 구휼 등 종실의 품위 유지에 힘썼다. ?경국대전?에는 종친부 내의 종친 직임이 따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충훈부와 마찬가지로 왕이 2품 이상 종친 가운데 3명을 유사당상으로 차임하여 종친을 관할하게 하였다. 왕의 자손이 번성한 시기에는 친왕자 그리고 왕과 촌수가 가까운 왕자군을 위시한 종친이 주로 유사당상에 차임되었다. 인조대 이후 왕자의 출생이 적어지자, 왕자군에게 유사당상을 맡기기가 쉽지 않았다. 종친의 감소로 선왕의 증손이나 현손이 유사당상에 차임되는 사례가 많았다. 그나마 순조대 이후로는 종반직 제수 대상이 거의 없어 종친부 유사당상의 성원도 갖추지 못하였다. 종친의 감소로 종친부가 제 기능을 다 할 수 없게 되자, 헌종대에 종친부 유사당상을 맡은 흥선군은 쇠잔한 왕실의 권위 회복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왕실의 울타리가 되어줄 종친이 거의 없는 현실 속에서 흥선군은 친진된 왕실 후손들에게 관심을 돌렸다. 흥선군은 왕실 후손의 결속을 위해서 왕실의 대동보인 ?선원속보?를 편찬하였고, 고종이 즉위한 후에는 종친부의 재정비에 나섰다. 우선 종친부와 종부시를 통합하여 종친부의 관제를 개정하였다. 개정된 종친부 관제는 종성의 관료가 종친부 관직에 제수될 수 있도록 하였고, 자벽제를 통해서 왕실 후손이 관직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혔다. 또한 왕실의 지손들을 보존한다는 명분하에 당하 종반직을 폐지하여 왕의 3, 4대손은 과거에 응시하거나 종친부의 동반직을 통해서 문무관료 관직으로 진출하였다가 2품으로 승진하면 封君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종친의 봉군 범위를 줄인 것이 아니라, 당하 종반직을 폐지하고 일반 관료 관직으로 일원화한 것이다. 조선 후기 종친들이 사림 정치의 여파로 역모에 연루되어 화를 입어 종친의 수가 더욱 감소되었다. 이러한 폐해를 방지하고 종친을 보존한다는 명분으로 오랜 세월 동안 금지했던 과거 응시와 일반 관료 관직 진출을 왕의 3,4대손에게 허락하였다. 종친의 부재 속에서 고종대 종친부 개편으로 종친부가 대원군의 봉사손과 종성 관료들에게 개방되었고, 종친부 당하관직은 자벽제를 도입하여 왕실 후손들의 음직 진출 통로가 되었다. 이러한 개편은 종친부의 권한 강화나 확대이기 보다는 진진된 왕실 후손을 포용하여 종친부를 존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재정비된 종친부는 왕실 후손과 왕실의 유대를 확인하기 위해서 대·소 종회를 개최하는 등 왕실 가문의 일에 관여하게 되었다. 고종대 종친부는 왕실 가문의 크고 작은 행사를 주관하고 왕실보첩을 편찬하는 왕실 가문 기구로 변질되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주준(酒樽)용 백자용준(白磁龍樽)의 문양과 왕실 의례와의 관계

        구혜인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8

        White Porcelain Dragon Jars were regarded as the very highest quality ceramic vessels in the Joseon period. They were used to hold liquor or flowers in a variety of rites. This study focuses on White Porcelain Dragon Jars used to hold liquor. Illustrations in written manuals for ceremonies prove that the patterns on Joseon White Porcelain Dragon Jars varied according to type of rite. Until now, the fact that the patterns on such jars varied according to type of rite has been confined to the early Joseon period and mentioned only briefly; there has been no specific investigation of this phenomenon through the entire Joseon period. Consequently, I have been able to find 11 further illustrations of White Porcelain Dragon Jars in addition to the three previously known images, thereby casting light on the pattern differences, changes and arrangement methods of such vessels according to type of rite. Pattern differences among White Porcelain Dragon Jars depend more fundamentally on type of royal ceremony than on period of production. In particular, dragon jars used in each ceremony show more striking differences in terms not of dragons but of subordinate patterns; examples include the mountain patterns on the lower parts of dragon jars used in wedding ceremonies(garye) and the lotus petal patterns on the upper parts of dragon jars used for funerary ceremonies(hyungnye). White Porcelain Dragon Jjars are said to have been used to hold liquor during the Five Rites, but they were not used in all rites. Liquor jars and flower jars were used in the dongnoeyeon part of the garye or at royal banquets, while jujun were used for sokjeol rites among auspicious rites(gillye) and in spirit tablet shrines(honjeon) during hyungnye. For gillye and hyungnye held at royal tombs, liquor was held not in White Porcelain Dragon Jjars but in brass salloe jars; this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norms and ideology behind the use of certain royal ritual vessels with materials and patterns according to place. Future studies of White Porcelain Dragon Jars will need to be based on analysis of extant artifacts, like those of many studies conducted so far, combined with comparative analysis of such jars depicted in the illustrations of state rite manuals and a macroscopic view of royal rites. 조선시대 백자용준은 백자 중 최정점의 위상을 차지한 기물로써 다양한 의례에서 주준과 화준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례용 술을 담는 용도로 사용된 주준용 백자용준에 대해 주목하였다. 조선시대 주준용 백자용준의 문양과 특징이 의례에 따라 달랐다는 사실을 의례서의 도설을 통해 증명하였다. 그동안 조선시대 백자용준의 문양이 의례별로 달랐다는 사실이 조선 초기에 국한되어 간단히 언급되기는 했으나 조선 전시대를 통틀어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못했다. 이에 필자는 기존에 알려진 3건의 백자용준 도설 이외에도 11건의 백자용준 도설을 추가 발굴하여 백자용준의 의례별 문양차이와 변화, 진설방식과 특징 등을 밝힐 수 있었다. 백자용준의 문양 차이는 제작시기의 차이 라기 보다는 기본적으로 왕실 의례의 종류에 따른 것이다. 특히 각 의례에서 사용하는 용준은 용 보다는 오히려 다른 종속문양에서 눈에 띄는 차이가 있었는데, 가례용 용준 하부의 산문과 흉례용 용준 상부의 연판문을 들 수 있다. 백자용준이 주준으로써 오례에 사용되었다고는 하지만 모든 의례에 사용된 것은 아니다. 가례 중에서는 혼례의 동뢰연과 진연진찬의 주준과 화준, 길례에서는 속제용 주준, 흉례에서는 혼전용 주준으로 선별되어 사용되었다. 길례나 흉례시 산릉에서는 주준을 백자용준이 아닌 산뢰로 사용한다는 것은 왕실 의례기물들이 적재적소에 맞는 재질과 문양이 선택하여 사용하려는 규범과 의례사상이 있었다는 구체적인 사례가 된다. 향후 백자용준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많은 연구자들의 접근방식처럼 현전 유물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하면서 더불어 국가전례서 도설 속 백자용준과의 상호 비교분석과 왕실 의례란 거시적 조망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