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왕세자문서와 국왕문서의 비교 연구 - 명령문서와 보고문서를 중심으로 -

        조미은 ( Jo Mi-eu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69 No.-

        본 논문은 현전하는 왕세자문서 가운데 왕세자가 내린 명령문서와 왕세자에 대한 보고문서를 국왕문서와 함께 비교ㆍ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왕세자문서의 문서식을 복원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왕세자문서는 왕세자가 직ㆍ간접적으로 발급 혹은 수취한 문서로서 차기 왕권 계승자로서의 면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문서이다. 그러나 왕세자문서의 특성상 국왕문서에 비해 현전하는 문서의 실례가 매우 희소하고, 기본적으로 국왕문서 형식에 준하여 발급되기 때문에 별도의 문서규정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왕세자’라는 발급 또는 수취 주체가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국왕문서 또는 왕명문서, 왕실문서 등의 범주에 혼재되어 있거나 아무런 명칭 없이 흩어져 있었기 때문에 그만의 독자적인 특성은 주목받지 못했었다. 왕세자문서 가운데 왕세자가 신하에게 내리는 명령문서와 신하가 왕세자에게 올리는 보고문서는 국왕문서 사례와 비교해 볼 때, 왕세자와 국왕의 서로 다른 지위와 권한에 따른 문서행정 체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실례라고 할 수 있다. 현전하는 왕세자문서와 국왕문서의 실례를 비교ㆍ분석하여 왕세자가 통치자로서 국정을 운영할 때 발급 또는 수취한 문서는 모두 국왕문서의 제도 속에서 작성되고 행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문서의 양식은 기본적으로 국왕문서의 형식을 준용하되, 왕세자의 지위에 알맞은 용어와 명칭을 사용하고 문서를 발급ㆍ전달하거나 수취하는 과정에 차별성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by analyzing the orders issued by the crown prince and the documents submitted to the crown prince and comparing them with similar documents issued by and submitted to the king,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both kinds of documents and recover the writing styles of the crown prince's documents. The crown prince's documents are what the crown prince directly or indirectly issued or received, vividly showing the feature of the heir apparent of the throne. But,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wn prince's documents, very few have remained, in contrast to the abundant amount of the king's documents. And, as the former was issued in accordance with the writing styles of the latter, there was no separate writing style for the former. Even if the subject who issued or received the documents was clearly 'the crown prince', the crown prince's documents have existed under the category of the king's documents or the court documents, or in scattered condition without any separate category. Thus, the crown prince's documents have not attracted specific attention. Among what can be categorized as the crown prince's documents, order documents issued by the crown prince and report documents submitted by officials to the crown prince can be said to the empirical cases where we can learn how the crown prince's documents and the king's documents are the same and different in the document administrative system in those days. With the remaining documents of both kinds, this study identified that all the documents the crown prince had issued or received were written and used in the system of the king's documents. That is, while the former applied the writing styles used in the king's documents, they were made with specific terms and titles suitable to the crown price.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procedure of issuing, delivering, and receiving documents between the two types of documents.

      • KCI등재

        조선시대 왕세자 혼례의 절차와 의미 -1882 왕세자(王世子) 가례(嘉禮)를 중심으로-

        이욱 ( Wook Lee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8 No.-

        본 연구는 1882년에 거행되었던 왕세자 李.(1874-1926, 재위 1907-1910)의 혼례 과정과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1874년(고종 11) 2월 8일에 고종과 명성황후 사이에서 출생한 순종은 이듬해 2월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그리고 9세가 되던 1882년 1월 10일에 성균관에 입학하고, 20일에 冠禮를 행한후 2월 21일에 閔台鎬의 딸과 혼례를 치렀다. 본 연구는 왕세자 혼례 절차를 국왕, 왕세자, 王世子嬪의 역할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納采, 納徵, 告期, 冊嬪, 臨軒醮戒 등의 의식을 주관하는 자는 신랑의 婚主이자 국왕인 高宗(1852-1919, 재위 1863-1907)이었다. 그는 궁궐의 正殿에서 사신을 파견하여 신부의 혼주에게 婚事를 명령하고, 嬪을 책봉하였다. 그리고 왕세자를 보내어 신부를 맞이하여 혼례를 치를것을 명하였다. 혼례 후에는 官民에게 왕세자의 혼사를 선포하고 축하를 받았다. 이러한 일련의 관정을 통해 국왕은 왕세자의 혼례식을 국가의 공적인 의식으로 전환시켰다. 반면 왕세자는 국왕의 명을받아 신부를 데려와 同牢宴을 치르고 이후 신부와 같이 朝見禮와 廟見禮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의식에서 왕세자는 공경과 친애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왕세자빈은 혼례의 실제적인 主演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왕세자빈은 혼례에서 책봉의 대상이었다. 士大夫家의 처자는 책봉 의식을 통해 왕세자빈으로 그 지위가 승격되었다. 그리고 왕세자빈은 의례를 통해서 시댁인 왕실에 입문하는 과정을 거쳤다. 먼저 신랑의 인도를 받아 궁궐로 들어가는 친영은 왕세자빈의 입문 의식을 극적으로 나타내었다. 왕세자빈의 입궐을 보여주는 반차도는 왕실 의례 속에 담겨진 민간의 풍속도 보여주었다. 궁궐에 들어간 왕세자빈은 왕세자와 혼례를 치르고, 그 다음날에 국왕과 왕비, 大王大妃殿, 王大妃殿에게 인사를 올렸다. 그리고 宗廟와 경모궁에 나아가 先王과 先后에게 인사함으로써 왕실의 구성원으로 확고한 자리를 잡았다. 이와 같이 왕세자 혼례는 신랑과 신부의 결합이라는 일반적인 혼례 의식과 더불어 왕세자빈의 신분 상승과 왕실 가족으로의 입문 의식을 잘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considers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prince Yi Cheok’s (李石, 1874-1926; reign 1907-1910) marriage ceremony celebrated in 1882. On the 8thday of the 2ndmonth in1874, Sunjong, son of King Gojong(高宗, 1852-1919; reign 1863-1907) and Queen Myeongseong was enthroned as prince in the 2nd month of the following year. On the 10th day of the 1st month in 1882, at the age of nine, he matriculated at Sunggyungwan, and twenty days later after carrying out the gwanrye(冠禮: coming of age rites), he was married to the daughter of Min Tae Ho(閔臺鎬). This research examines the marriage ceremony proceedings through the roles of the monarch, prince and the princess consort (wangseja bin 王世子嬪). The one who supervised the rituals of matrimonial proceedings such as napchae (納采: Ritual of accepting proposal of marriage), napjing (納徵: conferment of ritual gifts from groom’s family to bride’s family), gogi (告期: announcement of marriage date from groom’s family to bride’s family), chaekbin (冊嬪: enthronement of royal consort), imheon chogye (臨軒醮戒: admonition of father) was the groom’s honju (婚主: wedding master), his father King Gojong(高宗). The king dispatched envoys from the jeongjeon (正殿: main hall) of the palace to command honsa (婚事: marital tasks) to the bride’s wedding master and enthrone the bin (嬪: consort). He also commanded the prince to bring the bride home in order to carry out the marriage ceremony. After the marriage ceremony, the king proclaimed the marriage to officials and people. Through the series of such proceedings, the monarch transformed the prince’s marriage ceremony into public awareness. On the other hand, in receiving the monarch’s command, the prince brought the bride for the wedding ceremony, and afterwards introduced his bride to his parents, grandmother, great-grandmother, and his ancestors. Lastly, the princess consort expresses the practicality of claiming lead role during the marriage ceremony. The princess consort was the subject of enthronement at the marriage ceremony. Through the enthronement ritual, a daughter of a sadaebuga (士大夫家: noble household) elevated their status to princess consort. Furthermore, through ceremony the princess consort joined the groom’s family, namely the monarchy. The welcoming ritual of the bride occurs by way of first entering the palace with the guidance of the groom, which was presented in a theatrical manner. The banchado (班次圖: documentary painting) depicting the princess consort’s procession to the royal court shows folk customs associated with this royal ceremony. The princess consort who entered the palace participates in the marriage ceremony, and the following day formally salutes the monarch and queen, Grand Queen Dowager (daewang daebijeon 大王大妃殿), Queen Dowager (wang daebijeon 王大妃殿), pays respects to the previous kings (seonwang 先王) and previous princes (seonhu 先后) at Jongmyo (宗廟: Joseon Royal Ancestral Shrine), thus confirming their new role as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Thus, the prince’s marriage ceremony while having the standard ritual significance of marriage as the union of the groom and bride, also includes the initiation rites of the princess consort’s ascent in status by becoming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 KCI등재

        ≪왕세자입학도≫ 제작기법 연구

        임지수 동서미술문화학회 2022 미술문화연구 Vol.22 No.22

        This study examines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Illustrated Album of the Cremony for the Crown Prince Entrance to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an Uigwe–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containing the entrance ceremony of Crown Prince Hyomyeong(1809-1830). The Illustrated Album of the Ceremony for the Crown Prince's Entance to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is a book of folded pictures, containing ceremonial statements and events in order of ritual, and colored on paper.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of the Illustrated Album of the Ceremony for the Crown Prince's Entence to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many of which have been studied on the origins, rituals, and methods of production. But in practice its pictorial imitation research and restoration are not sufficient. Thu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most important original in the Reproduction and Analysis study, it is necessary to know how damaged the original is and analyze its pictorial production techniques to identify it. Reproduction and Analysis refers to restoring the damaged part and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sha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duction techniques based on "Illustrated Album of the Ceremony for the Crown Prince Entrance to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hich is in good condition, and the original was studied by analyzing lines and coloring techniques. It was intend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e and color of the original by directly comparing it with the original, and several specimens were produced to define the exact color used in the original through microscope images, and its manufacturing technique was described. In this study,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e part that detailed the production technique of the "Illustrated Album of the Ceremony for the Crown Prince Entrance to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through scientific analysis data, original research, and reproduction and analysi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tyle, traditional pigment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Uigwe can be reinterpreted in modern painting techniques. 본 연구는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의 성균관 입학례를 담은 유일한 의궤인 ≪왕세자입학도≫의 제작기법에 관한 것이다. ≪왕세자입학도≫는 그림을 반으로 접어 연결한 화첩으로, 종이에 먹선을 긋고 채색되어 있다. ≪왕세자입학도≫에 대한 연구는 입학도의 기원과 왕세자의 생애, 의례(儀禮), 복식 등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왕세자입학도≫의 회화적 모사 연구와 복원은 미흡하다. 따라서 원본과의 비교를 통해 원형 복원모사의 방법으로 ≪왕세자입학도≫의 회화적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복원모사는 손상된 부분을 복원하여 만들어진 원형 그대로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것을 말한다. 복원모사본 제작에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인 ≪왕세자입학도≫를 바탕으로 선묘와 채색기법을 분석하여 원본을 연구하였다. 원본과 직접 비교하여 원본의 선과 색의 특징을 찾고자 하였으며, 여러 시편을 제작하여 현미경 이미지를 통해 원본에 사용된 정확한 색을 규정하고, 그 제작기법을 서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왕세자입학도≫의 제작기법에 대해 과학적 분석 자료, 원본 연구, 복원모사의 방법을 통해 자세히 밝힌 부분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왕세자입학도≫ 의궤의 양식과 전통 안료, 제작기법 등을 변용하여 현대의 회화 기법에 재해석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17·18세기 왕세자(王世子) 교육과정(敎育課程) 연구

        김은정 ( Kim Eun-jeo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3 No.1

        본고는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왕세자 교육 변화의 실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임란·병란 이후 급변한 정치적인 상황과 사회 전반적인 제도정비 과정에서 일어난 왕세자 교육의 변화를 살폈다. 특히 왕세자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인성교육과 진강책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왕세자 교육은 성리학적 교육과정에 따라 진행된다. 성리학의 목표가 인성함양에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 역시 전인적 인격의 완성을 위한 것이었다. 특히 주자가 제시한 소학-대학 연계의 교육과정은 교재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동몽기에 『小學』을 학습하고, 성인이 된 뒤에는 『大學』을 학습하며, 기타 四書와 史書를 익히도록 되어 있다. 왕세자 역시 성리학적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교육을 받았다. 인성 교육을 위해서는 師傅賓客을 선발하여 스승으로 삼도록 하였다. 실질적인 교육이 궁료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사부빈객은 會講과 朝講에 참여하여 왕세자 교육의 내용을 점검하였다. 왕세자는 사부빈객과의 相見禮 및 會講禮·朝講禮 등의 行禮를 통해 겸양하는 예절과 스승을 공경하는 마음을 익혔다. 특히 조선후기에는 스승의 선발 시점이 점차 빨라지게 된다. 인성 교육의 강화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왕세자는 성리학의 교육과정에서 정해진바 교재를 차례로 학습하는 것이 규례였다. 그런데 본격적인 『소학』 학습에 앞서서 初學 교재를 통해 한자를 학습하고 성리학적 기본 이념을 배우기도 하였다. 특히 『訓蒙字會』, 『童蒙先習』과 같이 조선에서 편찬된 서적도 포함되다. 『소학』은 17세기 초반까지는 『小學集說』과 이를 저본으로 한 『소학언해』가 강학교재로 사용되다가 17세기 후반에는 李珥가 편찬한 『小學集註』와 이를 저본으로 한 새로운 언해서가 왕세자 강학교재로 대치된다. 왕세자 교육에 당시 조선 학계의 연구 성과가 반영된 것이다.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theory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Joseon Dynasty and examines the Crown Prince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Dongmong(童蒙) period. Because the goal of the Confucianism is to cultivate human nature, the curriculum was for the perfection of the holistic personality. In particular, the curriculum of the Sohak(小學)-Daehak (大學)-linked curriculum proposed by the Zhu-Xi(朱子) is composed of textbooks, and it is taught Sohak(小學, text for child) in Dongmong period, and Daehak(大學, text for adult) is learned after becoming an adult, and other the Four Chinese Classics[四書] and history books are learned. The Crown Prince was also educated on the basis of the ideology of ethical education. Particularly,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several prime ministers were selected as the teachers of Crown Prince, Sabu-fellow[師傅賓客]. The Sabu-fellow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of lecture meeting and checked the contents of the prince`s education. The prince has learned to respect the courtesy and the master by humiliating through the ceremonies such as the lecture meeting. It was the ordinance of the Crown Prince to study the textbooks set forth in the curriculum of neo-Confucianism. However, prior to the study of Sohak(小學), The Crown Prince also learned the Chinese character through basic textbooks and learned the basic ideology of neo-Confucianism. In particular, the books compiled in the Joseon Dynasty are included as well, such as Hunmongjahoi(訓蒙字會) and Dongmongsunseub(童蒙先習). In early 17th century, Sohakjibsul(小學集說) was used as a lecture book.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Sohakjibju(小學集註) which was compiled by Lee-Yi[李珥], and the new Korean Annotation. It is replaced by the text of the Crown Prince lecture. The royal priesthood education reflect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Chosun academy at the time.

      • KCI등재

        1817년 효명세자 입학례의 왕세자 복식 고증

        손윤혜,이은주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1817년에 거행된 효명세자의 입학례 의주(儀註)와 절차별 장면을 담은 국립문화재연구 소 소장본 《왕세자입학도》를 중심으로, 입학례 절차에 따라 왕세자가 착용하는 복식의 종류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입학례를 구성하는 첫 번째 절차인 〈출궁의(出宮儀)〉는 산선시위를 비롯하여 세자시강원과 세자익위사 관원들, 그리고 의장군들이 왕세자와 함께 동궁을 출발하여 성균관을 향하는 절차이다. 산선시위를 비롯 하여 세자시강원과 세자익위사 관원들이 동행하고, 이 대열 앞에 의장군이 앞장서 출궁을 알린다. 이때 왕세자는 서연복(書筵服)을 착용하였다. 서연복은 익선관(翼善冠)과 곤룡포(袞龍袍), 독옥대(禿玉帶), 흑화 (黑靴)로 구성된다. 그러나 입학례 당시 효명세자는 아직 관례를 치르지 않은 상태였으므로 익선관 대신 쌍동계(雙童鉅)라는 머리모양에 쌍옥도(雙玉導)를 꽂는 공정책(空頂岫)을 썼다. 곤룡포는 다홍색 안감을 넣은 아청색 혹은 자적색 곤룡포를 착용하고, 허리에는 청정(靑殺) 독옥대를 띠며 청색 또는 흑색 깃 장 식의 흑피화를 신었다. 성균관에 이르면 〈작헌의(酌獻儀)〉, 〈왕복의(往겖儀)〉, 〈수폐의(脩弊儀)〉, 〈입학의(入學儀)〉를 치르게 되 는데, 그동안 줄곧 학생복인 청금복(靑衿服)을 착용하였다. 왕세자는 학생복으로 연두건(軟頭巾)을 머리에 쓰고 아청색 도포를 입고 자적색 세조대, 흑화를 착용하였다. 도포 안에는 대창의와 중치막을 받쳐 입었 다. 왕세자가 성균관에서 학생복을 착용하는 것은 왕세자가 왕위 계승자로서의 서열을 내세우는 자리가 아니라, 학문의 스승을 맞이하고 유학의 학맥을 잇는 자임을 표방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성균관에서 의식을 마치고 궁으로 돌아온 후, 효명세자는 창경궁의 시민당(時敏堂)에서 입학례의 마지 막 절차인 〈수하의(受賀儀)〉를 거행하였다. 이때 원유관복(遠遊冠服)을 착용한다고 하였으나 관례를 치르 기 전이므로 원유관 대신 공정책을 사용하였다. This study looks at the costumes for the crown prince based on the Hyomyeong of 1817, a collection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picture of School Entranc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 (王世子入學圖) does not have the crown prince in the scene. However, it can be verified through literature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costumes for the ceremony. Chulgungui(出宮儀), the ceremony’s first procedure, describes the departure of the prince crown from his residence toward Sungkyunkwan (成均館) with his escorting officials. The Crown Prince wears Seoyeonbok (書 筵服) during this event. When the Crown Prince arrives at Sungkyunkwan, he participates in a series of ceremonies that consist of Jackhunui (酌獻儀), Wangbokui (往겖儀), Supeiui (脩弊儀), and Ipackui (入學儀). At that time, he wears a confucian scholar’s uniform. After returning from Sungkyunkwan, he attends Suhaui (受賀儀), the final procedure of the Crown Prince’s School Entrance, at Simindang (詩敏堂) of Changgyong Palace(昌慶宮), At this time, the price crown wears Wonyukwanbok (遠遊冠服) as he is congratulated by royal family members and high ranking officials for his entrance to Sungkyunkwan in this ceremony. This point hereby concludes this study on the historical costumes for the prince crown based on the Hyomyeong Crown Prince’s School Entrance in 1817.

      • KCI등재후보

        고종대 왕세자 입학례(⼊學禮)의 시행과 의의

        우정 청계사학회 2024 청계사학 Vol.27 No.-

        본 논문은 1882년(고종 19)에 시행된 왕세자[순종] 입학례를 대상으로, 시행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입학례는 왕세자・왕세손이 성균관에 나아가 문묘를 배향하고 학생의 신분으로 박사에게 배움을 청하는 의식으로 조선 초부터 왕세자의 통과 의례로 자리 잡았다. 1882년 시행된 왕세자 입학례는 당시 국내외의 혼란을 타개하기 위한 대책으로 구상되었다. 조선 왕실은 국가 차원의 위기를 겪으면 의례를 거행하여 정국 안정을 구하였고, 고종은 왕세자의 통과 의례에 의탁한 국본의 확립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왕세자 입학례는 책봉례 이후 통과 의례의 첫 단계로서 시행된 의례였다. 조선 후기 행해진 입학례는 고유제와 진하, 반사의 절차가 추가되는 등, 조선 전기에 비해 한 단계 격상된 형태의 예식으로 변화되었다. 조선 전기 입학례는 입학이치의 준용과 존사 이념의 바탕 아래 전개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 영・정조대 두드러진 군사론으로 국왕의 도통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문묘를 배알하는 입학례가 정치적으로 중요한 의례로 각광 받게 되었다. 1882년 왕세자 입학례에 고종은 전알례의 대상으로 경모궁을 추가하여 혈통적 보완을 통해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속수의의 배례에 박사가 먼저 왕세자에게 재배하고 왕세자가 답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사제관계였던 왕세자와 박사의 관계를 군신관계로 변모하게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ractice and meaning of the crown prince's admission ceremony in 1882 (Gojong 19). The entrance ceremony was a ritual in which the crown prince or the crown grandson went to Sungkyunkwan[成均館] and paid homage to the Confucian temple and asked for learning from the doctor as a student. It was a rite of passage for the crown princ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The entranc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 in 1882 was devised as a measure to overcome the domestic and foreign turmoil at that time. The Joseon royal family performed rituals to stabilize the political situation when they faced a national crisis, and Gojong tried to establish the national foundation by entrusting the rite of passage of the crown prince. The entranc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 was the first step of the rite of passage after the Royal Investiture ceremony. The entrance ceremony performed in the late Joseon period changed into a more elevated form of ceremony than the early Joseon period, with the addition of the rites of Goyuje[告由], Jinha[進賀], and Bansa[頒赦]. The entrance ceremony of the early Joseon period was carried out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entrance ceremony and the ideology of respect. However, as the interest in the king’s succession increased due to the prominent Master king[君師] of the Yeong-Jeongjo er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entrance ceremony of paying homage to the Confucian temple became a politically important ritual. In the entranc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 in 1882, Gojong added Gyeongmogung[景慕宮] as the subject of the pre-announcement ceremony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through bloodline supplementation, and proceeded with the rite of the Soksuwi[束脩儀], in which the doctor first bowed to the crown prince and the crown prince returned the bow, trans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own prince and the doctor, which was a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to a military-civilian relationship.

      • KCI등재

        ‘琉球 세자 살해설’과 김려의 <유구왕세자외전>

        홍진옥(Hong Jin o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본고는 조선 인조 대에 일본으로 붙잡혀 간 부왕을 구하기 위해 배를 타고 일본으로 가던 유구 세자가 제주에 표착한 후, 배 안의 재물을 탐낸 탐학한 관리에 의해 죽음을 당했다는 ‘유구 세자 살해설’의 실상을 규명하고, 전설화 과정을 추적한 후 김려의 <유구왕세자외전>을 분석한 것이다. 먼저 유구 세자 살해설은 1611년 이기빈이 안남과 일본을 오가던 무역선을 약탈하고 살상한 사건과 1612년 유구인이 제주로 표류한 사건이 발생한 것에 더하여, 국제적으로는 일본의 유구국 침략 사건과 국내적으로는 허균의 역모사건, 인조 정권의 정치적 의도가 복합적으로 얽혀 만들어진 허구적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사건이 발생하고 1세기가 지난 후부터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광범하게 전해지면서 전설로 정착되었다. 전설화되는 과정에서 무고한 백성들을 탐욕으로 인해 몰살한 사건(1595년 홍인걸 사건)이나 외국에서 조선으로 표류해 온 사건(1667년 중국 상선 표류 사건) 등과 결합되면서 다양한 문헌들에 전해졌다. 여러 사건들 중에 이기빈 사건과 결합된 이야기가 주로 전승되었던 이유는, 유구 세자가 제주에 표류하였다고 믿을수 있는 가장 적합한 시기에 일어난 사건이 이기빈 사건이고, 또 이기빈 사건이 복잡하고 민감한 정치적 사안들과 얽히면서 조선왕조실록 에 이기빈이 유구 세자를 죽인 것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구 세자 살해설을 傳으로 창작한 김려의 <유구왕세자외전>을 분석하였다. <유구왕세자외전>은 문예성과 주제의식 면에서 ‘유구세자 살해설’을 가장 완성도 높게 형상화한 작품이다. 다음으로, <유구왕세자외전>은 전의 체제를 따르면서도 설화를 수용하거나, 허구적 요소를 개입시켜 흥미를 추구하고 있는 점에서 야담과 전, 그리고 소설의 중간에 위치하는 작품이다. 마지막으로, <유구왕세자외전>은 김려의 傳의 공통적 특징인 주제 의식과 표현 방식의 양면성이 가장 극대화되어 있는 작품이다. 사건의 흥미로운 점을 부각시켜 평이하게 서술한 행적부와 달리 논찬부에서는 사관의 입장에서 엄중하게 포폄을 가하는 모습에서 이러한 점이 확인된다. 여기에는 작가의 패사소품적 취향이 드러나 있기도 하지만, 비극적인 현실에 맞서고자 했던 작가 나름의 진지하고 치열한 문제의식이 투영되어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truth behind the theory of the murder of the Ryukyuan Crown Prince(琉球世子殺害說), according to which,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1595~1649; r. 1623~1649) of the Joseon Dynasty(1392~1910), the Crown Prince of the Ryukyu Kingdom(also known as Lewchew; 1429~1879), while sailing to Japan to rescue his father the King, held captive in that country, was cast ashore on Jeju Island, only to be murdered by an avaricious and heartless Korean government official who desired the riches on the vessel. It then trace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alleged event into a legend and analyzes Kim Ryeo’s(1766~1822)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琉球王世子外傳」).” First, the theory of the murder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s a fictional account created through the complex interplay of: the 1611 incident where Yi Ki-bin (c. 1563~1625) plundered a trading ship traveling between Annam(Vietnam) and Japan and killed the passengers; the 1612 incident where Ryukyuans were washed up on Jeju Island; internationally, Japan’s invasion of Ryukyu (1609); domestically, Heo Kyun’s (1569~ 1618) treason conspiracy incident; and the political intentions of King Injo’s administration. Broadly transmitted starting a century after the actual murder incident and throug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this tale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egend. Combining,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into a legend, with incidents such as the massacre of innocent commoners out of greed (Hong In-geol Incident of 1595) and foreigners’ stranding in Korea (Chinese merchant vessel stranding incident of 1667), it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diverse records. Versions of the story integrating the Yi Ki-bin Incident, out of a variety of incidents, have been mainly transmitted because that event occurred at the most opportune time to make the Ryukyuan Crown Prince’s stranding on Jeju Island credible, and joined with complex and sensitive political issues, thus leading eve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record that Yi Ki-bin had in fact killed the Ryukyuan Crown Prince. Finally, the present study analyzes Kim Ryeo’s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which recreates the theory of the murder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nto a biography(傳). Indeed,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s the extant work that most consummately recounts the theory of the murder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n terms of the artistry and thematic consciousness. Next,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s a work situated in the middle ground among an unofficial history(野談), a biography, and prose fiction(小說) in that it follows the structure of a biography yet accommodates aspects of traditional tales(說話) and pursues the entertainment value by involving fictional elements. Finally, “An Unofficial Biography of the Ryukyuan Crown Prince” is a work that maximizes both thematic consciousness and expressive techniques, which is a characteristic common to all biographies written by Kim Ryeo. This is confirmed by the author’s rigorous critique from the viewpoint of a historian in the Commentary Section, unlike in the Acts and Accomplishments Section, where he highlights the interesting aspects of the incident in a plain style. While this also reveals the author’s penchant for unofficial histories(稗史) and prose essays(小品), it must be noted that projected on this work are his earnest and intense problematics and his will to stand against a tragic reality.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진찬(進饌) 왕, 왕세자, 왕세손의 동선(動線) 및 공간 사용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석진영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3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lines, the center is the location of the king, the center is the location of the king, the eastside is the king, the crown prince, the crown prince, and the royal family, and the west side is the seat of the subjects. The detailedhierarchical division between each position was divided between the king and the successor,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between the kingand subject.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line are summarized as gates, Jeongmun is the movement line of the king and hissuccessors. The east-west side gat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ll were used by the royal family and ministers, and thehierarchy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subjects was also divided into gate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jinchan by external and internalcircumstance, the king waits in the outer cour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gate, and finally ascends to the ceremonial hall of theceremonial hall. The crown prince mainly used the east gate of the main gate and performed the ceremonies in the eastern position, and thecrown prince's son was located below and behind the crown prince in the eastern area. In the inner palace, the king's movement becomesconcise, and in the daily meeting led by the crown prince, a central movement line appears in which the crown prince passes through themiddle gate of the front gate. In the inner court, the movement of the king becomes concise, and in the following day's meeting led by thecrown prince, the pattern of the movement of the center appears as the crown prince passes through the central gate. The crown prince'smovement shows a complex movement and a mixed pattern of the center and the east to perform various ceremonies appropriate to theprocedure at the banquet. The location of the crown prince was divided into the east,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king's straight line ofmovement, and royal women such as the crown princess mainly used the west area. From the external and internal courts during the reignof King Sunjo,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king and crown prince can give a glimpse of the kingship that was passed on to thesuccessor who had actual authority,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ill of King Sunjo's gyejisul is being passed on to Crown PrinceHyomyeong. In other words, in the inner circle, the middle, straight line is the king's hierarchy, the east is the hierarchy of the successorwho inherits the kingship, and the complex aspect of the center and the east is the hierarchy of the successor who carries out the kingshipby proxy. 進饌을 중심으로 왕과 왕실 정통성을 이을 후계자의 位次와 動線을 정리해보면 조선전기 규범화된 의례는 조선후기까지 이어졌으며 진찬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변화되었다. 位次에서 中央, 즉 중심은 왕, 東은 왕, 왕세자, 왕세손, 종친 등의 왕실을 의미하였고 西는 신하를 의미했다. 신분 간의 세밀한 위계 구분은 上과 下와 前과 後로 왕·왕실간·군신간의 위계를 向으로 구별하였다. 殿閣의 正門은 왕, 왕세자, 왕세손이 이동하는 국본의 동선이었고, 세부적으로 왕은 中央門 왕세자, 왕세손의 후계자는 東門으로 구분하였다. 동서 편문은 종친과 대신의 동선으로 왕실과 군신간의 위계를 門으로 구분하였다. 動線에서 외연에서 왕은 정문을 중앙문을 통하여 마지막에 正殿의 御座에 오르는 일직선 동선이다. 왕세자는 주로 동문을 이용하며 동쪽의 영역에서 하례의 예를 행했으며, 순조시기 일부 위차와 동선이 中央으로 이동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왕세자의 동선은 연회에서 절차에 맞는 다양한 의례를 행하기 위해 복합적 동선과 중앙과 동쪽의 혼합 양상이 나타났다. 內宴에서 왕의 동선은 간결해지고 왕세자 주도의 翌日會酌에서 왕세자가 正門의 中央門을 통과하는 中心 동선의 양상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1812년 왕세자(王世子) 책봉의례(冊封儀禮)의 진행과 그 의미

        박나연 ( Park Na-yeo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본고는 1812년(순조 12)에 진행된 孝明世子의 王世子 冊封儀禮의 절차와 그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효명세자의 책봉의례는 홍경래의 난 이후 위기 상황 속에서 사회 질서의 재건과 정국의 안정을 위해 기획되었다. 순조는 홍경래의 난을 진압한 직후 왕세자 책봉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를 시작하였다. 왕세자로 책봉된 효명세자는 당시 4세의 어린 나이였다. 이로 인해 규례대로 책봉의례를 거행하기에 무리가 있었고, 이전 사례를 참고하여 사신을 통해 책봉을 진행하는 ‘遣使冊命’의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순조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한 방안으로 후계자 책봉을 진행하는 한편, 정조를 계술하는 사업임을 밝혔다. 순조는 재위기간 왕권 강화를 위해 여러 사업을 실시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정조를 계승하는 ‘계지술사’로 선왕의 권위를 자신에게 이어지게 하는 방안이었다. 순조는 이번 왕세자 책봉에서 정조를 계술하는 뜻을 밝혔으며, 효명세자의 보도를 담당할 관료들을 정조와 자신을 교육했던 스승들과 그 후손들을 임명하였다. 이를 통해 선왕 정조와의 관계와 그 권위가 순조, 그리고 효명세자에게로 이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official investiture ceremony for crown princess, Crown Prince Hyomyeong that was underwent in 1812 (the 27th year of King Sunjo) as well as its implication. The official investiture ceremony for Crown Prince Hyomyung was planned for the rebuilding of social order and stability of political circle under the crisis situation after the Uprising of Hong Gyeong-rae. After suppressing the Uprising of Hong Gyeong-rae, King Sunjo began to discuss in full-scale for the investiture of crown prince, and Crown Prince Hyomyung who was inaugurated as the crown prince at that time was only four years old and the official investiture ceremony was to be carried out by the method of ‘Gyeonsa-Chaekmyeong’, where the king delivers Chaekmyeong to an officer who then delivers it to the crown prince. King Sunjo processed the investiture of his successor as a way of settling down the enrage of people while he stated it as a project to report to King Jeongjo. King Sunjo implemented a number of projects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king while he was still the kingship, and one of them was the ‘Succession commemoration projects’ that displayed the succession of King Jeongjo as a way of handing down the authority of King Jeongjo to King Sunjo. In the investiture of crown prince, King Sunjo indicated its intention to report to King Jeongjo and he appointed the teachers who taught King Jeongjo and King Sunjo and the teachers’ descendents were appointed as the officers who would be in charge of guilding Crown Prince Hyomyung. Through this effort, it is shown that the relationship with King Jeongjo had handed down to King Sunjo and then to Crown Prince Hyomyung.

      • KCI등재후보

        1882(壬午)年 王世子 嘉禮 연구 : 『가례도감의궤』와 「궁중?긔」 중심으로

        안애영(An Ae-yo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장서각 Vol.0 No.22

        純宗(1874~1926)은 高宗과 明成王后 閔氏의 소생으로 1875년 세자로 책봉된 후 두 번의 혼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왕세자 신분의 가례인 1882(임오)년 2월의 첫 번째 가례이다. 왕실 혼례인 왕과 왕세자가례는 『國朝五禮儀』 嘉禮에서 체계화 되어, 법도에 따라 六禮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왕세자 가례에서 중심이 되는 의식은 친영이다. 그러므로 가례법복은 친영례를 행할 때 갖추는 衣?로 공복, 조복, 면복으로 변화를 보이고 있다. 1882(임오)가례 육례의식은 『國朝五禮儀』의 법례를 따르고 있으며, 고종 18년(1881) 11월부터 왕세자의 관례와 가례에 관한 논의가 있은 후 다음해(1882)에 관례는 정월 20일, 가례는 정월부터 이월까지 삼간택 후 六禮가 이루어졌다. 1882(임오)년 가례의 가례복은 의궤인 「왕세자가례도감의궤」와 「궁중?긔」에서 의대발기에 기록되어 있다. 이 두 기록은 현재까지 발표된 자료 중에 의궤 기록과 발기 기록의 차이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기도 하다. 그런데 동일한 주인공의 혼인 기록인 의궤와 ?긔에서 국혼을 위해 준비된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의대기록이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실제 복식을 제작한 궁녀들의 기록인 발기에는 현존하는 왕실 유품 등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복식명을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또한, 각 의대의 소재 및 종류와 수량을 정확히 기록하고 있어 『국혼정례』와 『상방정례』의 편찬 의지대로 기록된 의궤의 기록과는 달리 국혼의 규모를 알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왕실 복식연구에 있어 지금까지 가장 중심이 되었던 의궤연구에서 더 발전하여 발기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궁중?긔」의 계속적인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In February 1882 which is also called Imo-Year, the king Soon-jong(1874-1926) married to lady Min(from the Min family) who eventually became the queen Soon-meong-hyo. Their wedding is recorded in a Protocol of Book of Ga-rae for Crown Prince and Chronicle of the Royal Pal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ix rituals as a Ga-rae ritual focused on these two historical records. A wedding of the crown prince as a state wedding consists of 'bride reception ritual' after an initial discussion of Ga-rae. Subsequently a wedding ban is announced and registration of virgins was conducted. After three selection processes, six rituals of nap-chae, nap-jing, go-gyi, chaek-bin, chin-young, and dong-ryae are executed strictly following the formal ritual codes. The ritual of chin-young in particular is a central ritual in the Ga-rae of crown princes of the Chosun Dynasty. The detailed process of the official wedding in the 19th year of the king Go-jong in 1882 was as follows: three selections of a bride in January and February; nap-chae of the six rituals. The six rituals of the Ga-rae of the Imo-Year which is a main subject of this study can be identified in Record of the Five National Rituals. As for costume, the records of the Protocol(Uigwe) which is based on the Ui-joo in State Wedding Formalities and Sang-bang Formalities were different from the records of the Proposal which is an actual record of the responsible personnel in practice. Thus the future research can be made in this area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