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광명단 옹기에 대한 논란과 그 문화적 파장

        이한승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In the 1970s, when it became a social problem to use minium, a kind of glaze for making pottery that contains lead, in pottery, the so-called minium incident took place. The minium incident accelerated the decline of the pottery workshop, which had been having difficulties due to the decline of consumption of pottery in the 1970s,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people to categorize pottery into two kinds, harmless or harmful to the human body. This paper deviated from the dichotomous view that divides right and wrong of the use of the minium glaze. It regarded the minium incident as a historical event and looked into the process it unfolded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Minium glaze started to be used to make potte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nd early Japanese colonial era. Soon after the Korean War, demand for pottery increased dramatically, and the use of minium glaze spread in pottery workshop. Potters used minium glaze for economic reasons, to raise the success rate of production and save firewood while increasing the amount of pottery production. Until the 1960s, pottery made with minium glaze was recognized positively in the society. In the 1970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minium glaze was harmful as it contains lead, and it started to be considered negatively. As a result, glaze containing no lead component was introduced, and legal sanctions were made against the use of minium. Potters took legal measures opposing the law against the use of minium but after the minium incident, potters themselves, rejected minium pottery and looked for solutions. The minium incident had the following effects on pottery culture. First, the positive perception of pottery made by using the minium glaze turned negative. Second,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set legal standards related to the public health. Third, it changed the aesthetic point of view on pottery. Fourth, it accelerated the decline of pottery production since industrialization. Fifth, it offered an opportunity to recognize pottery from dichotomous point of view about the use of the minium glaze. 1970년대 옹기 제작에 쓰이는 유약에 납 성분이 함유된 광명단을 넣어서 사용한 것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이른바 ‘광명단 사건’이 일어났다. 광명단 사건은 1970년대 옹기 소비의 감소로 어려움을 겪던 옹기공방의 쇠퇴를 가속화시켰고, 사람들이 옹기를 인체에 무해한 것과 유해한 것으로 나누어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광명단 유약의 사용 유무에 따라 좋은 옹기와 나쁜 옹기로 나누는 이분법적 인식에서 벗어나 광명단 사건을 하나의 역사적 사건으로 보고, 그 전개 과정을 신문기사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광명단 유약은 조선 말기에서 일제강점기 사이에 옹기 제작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한국전쟁 직후 옹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옹기공방에서 광명단 유약의 사용이 확산되었다. 옹기장인은 옹기 생산량을 늘리는 가운데 제작의 성공률을 높이며, 화목을 절약하기 위해 기술․경제적인 목적을 가지고 광명단 유약을 사용하였다. 1960년대까지는 사회적으로 광명단 유약을 사용하여 만든 옹기가 긍정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광명단 유약은 그 속에 포함된 납 성분의 유해성이 밝혀지면서 부정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그 영향으로 납 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유약이 보급되고, 광명단 사용에 대한 법적 제재가 이루어졌다. 옹기장인은 광명단 사용 제재에 대해 반발하며 법적으로 대응하였지만, 광명단 사건이 끝난 후에는 옹기장인 스스로 광명단 옹기를 배척하며 활로를 모색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광명단 사건은 옹기문화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쳤다. 첫째, 광명단 유약을 사용하여 만든 옹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부정적인 것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국민보건과 관련된 법적 기준 마련의 계기가 되었다. 셋째, 옹기에 대한 미적 관점에 변화를 일으켰다. 넷째, 산업화 이후 옹기제조업의 쇠퇴를 가속화하였다. 다섯째, 광명단 유약 사용 유무를 기준으로 옹기를 이분법적으로 인식하도록 만든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제주 옹기문화연구회의 변천과 발전 방안

        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2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to enhance cooperation and friendship among its members and conduct research on creative activities and Onggi (pottery or earthenware) culture in Jeju in 1999. Since its foundation, the institute has elevated its status through exhibitions, seminars and workshops based on creation of Onggi in Jeju. The study aimed to reflect on activities conducted by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for the past 20 years and suggest a method of facilitating and developing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based on it. The process and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cused on examining and sorting through the background and transition of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and analyzing such activities as seminars, exhibitions and workshops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such problems as reasons for failure in facilitation. Seco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its member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figure out problems and reasons for reduction in membership and suggest a method of development. As a result of analyses, it turned out that reduced membership of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was caused by change in its name into Jeju Onggi Design Association in 2013, failure in clarification of characterization of the organization (between exhibition and academic research), commercialization-oriented operation and transformed environment in terms of formation of an organization in Jeju since 2000, which resulted in decreased interest among its members, increased problems and reduced members. In order to facilitate and develop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def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push for invigoration through systematic improvement of on-going projects. In addition, efforts need to be made to enable non-majors and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nterested in Onggi culture to take part as members with an aim to proliferate Onggi culture and suggest a method of development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Jeju Onggi Preservation Association and Jeju Onggi Cave Festival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facilitating the research institute. In addition to in-depth discussions, a lot of thoughts need to be given to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so that it can make a leap forward and maintain its status as a leader in the Onggi culture and the pottery culture in Jeju in the future. Toward this end, the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milestone enabling Jeju Onggi Culture Research Institute to establish a new vision and mission and make a mid-to-long-term plan. 제주옹기문화연구회는 회원 간 협력과 유대를 도모하고, 창작활동 및 제주옹기문화에 대한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제주에서 창립된 단체이다. 창립이후 제주옹기작업을 기반으로 전시, 세미나와 워크샵을 통해 단체의 위상을 높여 왔다. 본 연구는 제주 옹기문화연구회의 과거 20여년의 활동을 뒤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보다 발전적인 단체로 나아가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제시한다. 연구의 과정 및 결론은 첫째, 제주옹기문화와 옹기문화연구회의 성립배경과 변천과정에 대하여 조사·정리하고 세미나, 전시, 워크샵 등 제반활동을 분석하여 회의 활성화 실패요인 즉,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회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과회원감소 등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제주옹기문화연구회의 회원감소 원인은 2013년 제주옹기디자인협회로 단체명칭변경, 전시/학술연구 사이에서 단체성격을 명확하게 하지 못한 점, 사업위주의 회 운영과 2000 년 이후 제주의 단체형성 환경 변화 등으로 회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여러 가지문제점이 발생시키며, 회원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옹기문화연구회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단체의 개념과 성격을 명확히 재정립함과동시에 단체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정비를 통해 활성화를 모색해야 한다. 또한옹기문화 확산에 초점을 두고 비전공자, 옹기문화에 관심 있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회원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마련과 제주전통옹기보존회, 제주옹기굴제 등과 지속적인 교류와 연계를 통한 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발전방안을 제안·제시한다.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제주옹기문화와 도예문화를 선도하는 연구회로 위상을 유지하고 도약하기 위해서는 향후, 많은 고민과 함께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본연구는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으로서 향후, 제주옹기문화연구회가 새로운 비전 및 미션을 정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해나감에 있어 이정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1970년대 광명단 옹기에 대한 논란과 그 문화적 파장

        이한승(Lee, Han-seung)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1970년대 옹기 제작에 쓰이는 유약에 납 성분이 함유된 광명단을 넣어서 사용한 것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이른바 ‘광명단 사건’이 일어났다. 광명단 사건은 1970년대 옹기소비의 감소로 어려움을 겪던 옹기공방의 쇠퇴를 가속화시켰고, 사람들이 옹기를 인체에 무해한 것과 유해한 것으로 나누어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광명단 유약의 사용 유무에 따라 좋은 옹기와 나쁜 옹기로 나누는 이분법적 인식에서 벗어나 광명단 사건을 하나의 역사적 사건으로 보고, 그 전개 과정을 신문기사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광명단 유약은 조선 말기에서 일제강점기 사이에 옹기 제작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한국전쟁 직후 옹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옹기공방에서 광명단 유약의 사용이 확산되었다. 옹기장인은 옹기 생산량을 늘리는 가운데 제작의 성공률을 높이며, 화목을 절약하기 위해 기술 · 경제적인 목적을 가지고 광명단 유약을 사용하였다. 1960년대까지는 사회적으로 광명단 유약을 사용하여 만든 옹기가 긍정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광명단 유약은 그 속에 포함된 납 성분의 유해성이 밝혀지면서 부정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그 영향으로 납 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유약이 보급되고, 광명단 사용에 대한 법적 제재가 이루어졌다. 옹기장인은 광명단 사용 제재에 대해 반발하며 법적으로 대응하였지만, 광명단 사건이 끝난 후에는 옹기장인 스스로 광명단 옹기를 배척하며 활로를 모색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광명단 사건은 옹기문화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쳤다. 첫째, 광명단 유약을 사용하여 만든 옹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부정적인 것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국민보건과 관련된 법적 기준 마련의 계기가 되었다. 셋째, 옹기에 대한 미적 관점에 변화를 일으켰다. 넷째, 산업화 이후 옹기제조업의 쇠퇴를 가속화하였다. 다섯째, 광명단 유약 사용 유무를 기준으로 옹기를 이분법적으로 인식하도록 만든 계기가 되었다. In the 1970s, when it became a social problem to use minium, a kind of glaze for making pottery that contains lead, in pottery, the so-called minium incident took place. The minium incident accelerated the decline of the pottery workshop, which had been having difficulties due to the decline of consumption of pottery in the 1970s,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people to categorize pottery into two kinds, harmless or harmful to the human body. This paper deviated from the dichotomous view that divides right and wrong of the use of the minium glaze. It regarded the minium incident as a historical event and looked into the process it unfolded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Minium glaze started to be used to make potte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nd early Japanese colonial era. Soon after the Korean War, demand for pottery increased dramatically, and the use of minium glaze spread in pottery workshop. Potters used minium glaze for economic reasons, to raise the success rate of production and save firewood while increasing the amount of pottery production. Until the 1960s, pottery made with minium glaze was recognized positively in the society. In the 1970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minium glaze was harmful as it contains lead, and it started to be considered negatively. As a result, glaze containing no lead component was introduced, and legal sanctions were made against the use of minium. Potters took legal measures opposing the law against the use of minium but after the minium incident, potters themselves, rejected minium pottery and looked for solutions. The minium incident had the following effects on pottery culture. First, the positive perception of pottery made by using the minium glaze turned negative. Second,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set legal standards related to the public health. Third, it changed the aesthetic point of view on pottery. Fourth, it accelerated the decline of pottery production since industrialization. Fifth, it offered an opportunity to recognize pottery from dichotomous point of view about the use of the minium glaze.

      • KCI등재

        옹기교우촌의 분포와 특성 - 경상북도 칠곡지역을 중심으로 -

        이창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ottery-making workshop and the Catholicism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elects Chilgok area as a study area where a lot of Catholic brotherhood communities have existed during 19th century and examines formation, change and significance of Catholic brotherhood communities. Results are as follows. Catholic brotherhood communities as living and faith communitise have been formed by the persecutions of Catholic christian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refore a lots of Catholic brotherhood communities are formed in Gyeonggi-do, Chungcheong-do, Jeolla-do, Gangwon-do and Gyeongsang-do province. Catholic christians who had escaped from government arrest gathered at shelters in Chilgok area to continue their religious life. In this process, they formed Catholic brotherhood communities. Producing pottery was suitable for refugee life because operation of pottery-making workshop was unnoticed by government watch and was helpful for their livelihood. As a result of this process, most pottery-making workshops in Chilgok area during the 19th century were operated by Catholic Christians refugees. The life in pottery-making Catholic brotherhood communities have been continued by communal living of all members. Most pottery-making workshops in Chilgok area was closed in early the 20th century. Residents of pottery-making Catholic brotherhood communities in Chilgok area moved to the other place after the finish of religious persecution. This is one reason to make difficult the continuation of operating pottery-making workshop in Chilgok area. The other reason is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near area. In recent years pottery-making Catholic brotherhood communities in Chilgok area have changed to holy places where a thousand of Catholic christians visit every year to reflect on the past hard days and to purify their religious life. But it needs to restore the communal living in terms of producing pottery in pottery-making Catholic brotherhood commun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옹기점의 설립 및 운영과 천주교라는 특정의 종교와의 상관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천주교 신자들이 설립하여 운영했던 옹기점의 사례가 많은 칠곡군 일대에 존재한 옹기교우촌을 대상으로 그 형성과 변천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옹기생산에 관련된 전통수공업체계가 종교와 관련하여 전승된 양상과 그 특성, 종교와 관련된 옹기생산의 지역적 특성 및 옹기교우촌의 사회문화적 의의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공동체이자 생활공동체인 교우촌은 조선후기 천주교에 대한 탄압에 의해 형성되었다. 18세기 말엽부터 한 세기 동안 진행된 탄압으로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강원도, 경상도 등지에 교우촌이 형성되었다. 경상도의 칠곡지역은 예로부터 피난처가 많았고, 대구 감영과 인접한 것을 배경으로 을해박해 이후 교우촌이 형성되었다. 관의 감시를 덜 받았던 옹기점을 운영하는 것이 생계활동과 신앙생활을 지속해야 하는 교우촌의 생활에 적합하였다. 그 결과 19세기와 20세기 초반 동안에 칠곡지역에 존재한 대부분의 옹기점의 운영에 신자들이 관여하였다. 옹기교우촌의 생활은 신앙에 우선하여 공존공생의 관계로 이루어짐에 따라 일반 옹기촌과는 구분되었다. 천주교에 대한 탄압이 중단되어 신자들이 흩어지고, 인근 지역의 도시화와 산업화의 영향으로 옹기점의 운영에 유리한 배경을 갖춘 칠곡지역의 옹기점은 다른 지역에 비해 일찍 폐점되었다. 칠곡지역의 옹기교우촌은 성역화되어 박해시기 신자들의 고난을 되새기며 신앙심을 심화하는 신앙체험현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된 옹기관련 부분이 온전히 복원될 때 옹기교우촌의 문화사가 완성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제주옹기의 조형성(造形性)연구

        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11 한국도자학연구 Vol.7 No.2

        This thesis is to aim at defining the concept of Jeju Onggi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terior. and setting up the theoretical basis of Jeju Onggi by researching the plasticity of Jeju Onggi centering on its kinds and patterns. Interior's ceramic culture began with earthenware of New Stone Age, which was connected to the Bronze Age, the Iron age, the period of three States, unified Shilla, Goryou dynasty, Chosun dynasty. During these periods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mode of the interior's ceramic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ose of previous age. On the other hand, historical background of Jeju's ceramics was New Stone age, the Bronze age, the Iron age, Tamra age, Goryou, Chosun. During these periods, even if many ceramics such as earthenware and Onggi were produced in Jeju island, some Onggies made in interior were imported to the Jeju island. Only in Chosun dynasty, usueful Jeju Onggi were made and used by Jeju citizens The major reason that Jeju Onggi was different from that of interior came from the different process of gama(kiln), so that the various aspects of Jeju Onggi such as type, pattern, and terms had the local color of Jeju itself. Although Jeju Onggi had the peculiar beauty, it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by artists or scholars and has been excluded from the Korean ceramic culture and Onggi history. The research of Jeju Onggi has begun from 1990s, however the study is only based on the limited research. Because of this, we have many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whole Jeju Onggi culture. This thesis defined the concept of Jeju Onggi and analyzed the Jeju Onggi's various categories influenced by Jeju natural environment. I classified the similar jars to Jeju Onggi such as Jeju pots and Hubuk(a kind of jar) and studied its unique pattern and plasticity on Onggi. The aesthetic aspect of Jeju Onggi appears on the whole parts of Onggi and the special quality of Jeju Onggi is that it is made by Jeju soil and characterized by kiln, firing, plasticity and fir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special pattern on Jeju Onggi ranges from the pattern expressing imaginative imagery to the one expressing the natural phenomena, which are all naturally made during the firing. This thesis will rediscover Jeju Onggi which has not been spot-lighted by artists and identify the value of Jeju Onggi and embody its theoretical basis. The systematic study of Jeju Onggi will take a great role in connecting Jeju ceramic culture to the offsprings and become the basis for the further ceramic study. 본 연구는 내륙(육지부)의 옹기와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제주옹기의 개념을 정의하고 종류 및 문양을 중심으로 조형성을 연구함으로서 제주옹기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륙(육지부)의 도예문화는 신석기시대 토기를 시작으로 청동기, 철기, 삼국, 통일신라,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며 전 시기의 제작기술이나 양식을 계승하며 발전된 데에 비해 제주도는 신석기를 시작으로 청동기, 철기를 거쳐 탐라국시대를 지나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 이 시기동안 제주지역 자체적으로 토기, 옹기를 생산하였지만 부분적 시기에는 육지부에서 생산된 자기와 옹기를 수입하여 사용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치며 조선 중기에 와서 제주옹기가 자체적으로 생산되어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용구를 제작하여 사용 되어왔다. 제주옹기는 내륙(육지부)의 옹기와는 다른 제작과정을 보이고 있으며 형태 및 문양, 발효량 등에서 내륙과 다른 독특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가마, 옹기제작과정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옹기의 종류, 문양, 용어에 있어서도 제주라는 지역성으로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다양한 독특함을 보이는 제주옹기는 우리나라 옹기의 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내륙지방 옹기에 비해 미술사나 옹기관련 분야에서 관심을 갖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며 제주옹기라 하여 따로 개념정의를 내리거나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런 과정에서 제주의 옹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조사 및 연구는 90년대 이후 조금씩 시도되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부분적 접근, 과거의 조사를 근거로 한 것들이어서 전체적인 제주의 옹기를 이해하기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환경성에 의해 생겨난 제주옹기의 개념정의를 하고 제주옹기 종류를 분석한 후 분류하였다. 종류는 제주옹기의 대표기형인 항아리, 허벅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옹기에 나타난 다양한 문양과 조형성을 연구하였다. 제주옹기의 미적 요소는 어느 한군데 국한되지 않고 옹기 전면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내륙의 옹기와 달리 제주점토, 가마, 소성, 소성재료 등에 의해 특화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주옹기에 나타난 다양한 문양은 인간 내면의 심상을 표현한 문양, 자연의 모습을 표현한 문양,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소성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문양으로 나뉘어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오늘날 관심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제주옹기를 재발견하여 제주 옹기의 가치를 새롭게 확인하고 더 나아가 제주옹기에 대한 이론적 바탕의 기초를 쌓고자 함이다. 이런 제주옹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기록은 제주의 도자 문화를 이어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하며 제주옹기를 비롯한 도예 관련 연구에 기초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옹기 제작에 나타나는 전승지식의 양상

        이한승(Lee, Han-se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1

        이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인 김일만 옹기장의 옹기점을 중심으로 옹기 제작에 나타나는 전승지식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것이다. 옹기흙 준비와 옹기성형, 시유와 건조, 가마재임, 가마 불때기에서 전승지식의 활용이 구체화되기에 제작과정에 내재된 전승지식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옹기 제작과정의 단계별 전승지식뿐만 아니라 단계별 상호관련성 속에서 지식체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옹기흙에 대한 전승지식은 옹기 제작을 할 수 있는 흙을 판별하고, 옹기성형을 할 수 있도록 적합한 상태로 옹기흙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옹기성형에 대한 전승지식은 옹기를 종류에 따라 규격화하여 이해하고, 제작의 전 과정을 인지한 상태에서 완성품을 예상하고 성형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아울러 균질적이고 튼튼한 옹기를 성형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시유와 건조에 대한 전승지식은 유약을 만드는 재료와 건조 방식을 중시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가마재임에 대한 전승지식은 수평을 맞춰서 옹기를 쌓는 것, 두께와 무게를 고려하여 포개어 쌓는 법이 중심이다. 그 외에 옹기를 포개어 쌓았을 때 유약이 녹아서 옹기끼리 붙지 않도록 처리하거나 옹기 속에 그보다 작은 옹기인 속그릇을 넣고 구워서 생산성을 높이려는 지식도 있다. 가마 불때기에 대한 전승지식은 가마의 공간과 불의 속성, 옹기의 상태 변화, 연료의 특성, 외부 환경의 영향 등에 대한 것을 중요내용으로 한다. 이와 같이 옹기 제작 단계마다 고유한 전승지식이 내재하는 바, 이는 감각적 체득에 의한 경험적 지식이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되면서 형성된 지식체계이다. 전승지식은 과학적 지식과 마찬가지로 그것을 전승하고 실천해온 사람들 사이에서는 합리적인 지식으로서 옹기제작기술을 실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준이 된다. 또한 옹기장의 지식은 신체감각으로 터득된 것이 많은데, 옹기를 제작할 때는 시각과 촉각을 이용하는 전승지식이 나타난다. 옹기장은 초기단계부터 이미 최종 완성단계를 염두에 두고 옹기를 제작한다. 옹기흙은 옹기성형과 옹기소성에 적합한 것을 기준으로 선택되고, 옹기성형은 가마에 쌓아서 굽는 것이 전제된 상태에서 설계가 이루어진다. 이렇듯 옹기 제작에 관류하는 지식은 어떤 형태, 어떤 속성을 띠든지 간에 옹기 제작단계에서부터 완성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연속성을 갖는다. 그런가하면 옹기흙에 대한 지식과 같이 전 단계에 작동하는 지식도 있고, 비연속적인 몇몇 단계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지식도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an aspect of transmitting knowledge concerning onggi (Korean earthenware) production, in regard with onggijeom (onggi workshop) of Kim Il-man, a skill-holder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ince the application of transmitting knowledge is materialized while preparing soils, shaping onggi, glazing and drying onggi, making kiln and then firing them, I personally contemplate the transmitting knowledge of production process thoroughly. In addition, I try to apprehend the knowledge system in connectivity of entire onggi production as well as individual transmitting knowledge of each process of production. The transmitting knowledge concerning onggi soil is comprised of distinguishing suitable soils for onggi making, and of preparing soils to shape onggi. The transmitting knowledge regarding onggi glazing and drying is comprised of the knowledge of glaze materials and the method of onggi drying. The transmitting knowledge of making kiln is to pile up onggi horizontally. Besides, another transmitting knowledge of making kiln is to pile up onggi separately for not latching onto another onggi, and to pile smaller onggi into large onggi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The transmitting knowledge of firing kiln can be the space of kiln and the properties of fire; state change of onggi; the nature of fuel; the influence of external environment and so forth. The transmitting knowledge of onggi production is technically systemized, and intrinsic transmitting knowledge exists in every steps of onggi making. These transmitting knowledge can be seen as the knowledge system which is accumulated by sensible learning of various experiences for a long period. The transmitting knowledge, like as scientific knowledge, is a rational knowledge for whom transmit and practice, thus it would be the standard of decision to carry out onggi production skills. In addition, body senses are considered for knowledge system of onggijang (onggi maker). Since sight and hearing are used while making onggi, there are several transmitting knowledge concerning these senses.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tting knowledge of onggi production is quite technically systemized. Onggijang (Korean earthenware maker) begins to produce onggi considering the final process of onggi making. Suitable onggi soil is selected for shaping and deformation, and shaping skills of onggi making are designed by piling up and firing onggi. Thus, transmitting knowledges inherent in each production process co-exist with mutual connectivity, not as individually.

      • KCI등재

        한국전쟁 이후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

        이한승 실천민속학회 2022 실천민속학연구 Vol.40 No.-

        This study deals with changes in the participation and roles of women in Onggi (earthenware) workshops after the Korean War. Concerning the production of Onggi, only men have been examined so far, and women’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 it have not been paid attention to. Here, for a broader understanding of Onggi production culture, this researcher has examined how women participated and worked in it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production of Onggi. Regarding women’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 Onggi workshops until the 1980’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how they participated in Onggi production directly and also what roles they played in it comprehensively. During that period, the roles of women in Onggi produc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Onggi workshops by region, but it is the same that they took on auxiliary roles aside from the tasks that demanded professional skills or a lot of muscle strength. Meanwhile,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society, women coped with the situations flexibl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household activities such as childcare and housework and occupational activities, for instance, Onggi production or sales. Since the 1990’s, there have been changes in women’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 Onggi workshops. In recent years, women are playing central roles in the operation of Onggi workshops carrying on the family business.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the times, women are attempting to transform an Onggi workshop into cultural space and seek their ways out. Also, in this period, women who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Onggi production have come to show interest in Onggi culture and begun to acquire techniques to make Onggi. In fact, a variety of participations and activities can be observed as they are playing main roles in the reproduction of Onggi culture in the region. Although we cannot say that the roles of women in all Onggi workshops have changed from before, the boundary of roles between women and men in Onggi production is no longer solid. 이 글은 한국전쟁 이후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참여와 역할의 변화에 대해서 다룬 것이다. 지금까지 옹기 생산에 대해서는 남성만을 중심으로 다루어 왔고, 여성의 참여와 활동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여기에서는 옹기 생산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서 옹기 생산과 관련하여 여성이 직간접적으로 어떠한 참여와 활동을 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980년대까지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참여와 활동에 대해서는 옹기 생산에 직접적인 참여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포괄적인 여성의 역할을 아울러 보고자 하였다. 이 시기에 옹기 생산과정에서 여성의 역할은 지역별 옹기공방의 상황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전문적인 기술이나 많은 근력을 필요로 하는 일을 제외한 보조적인 역할을 맡았다는 점은 동일하다. 한편 가부장제 사회체제 아래에서 여성은 육아나 집안일과 같은 가사활동 영역과 옹기 생산이나 판매와 같은 생업활동 영역의 경계를 넘나들며, 상황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대응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참여와 활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근래에는 가업을 계승하면서 옹기공방 운영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시대 변화에 대응하여 옹기공방을 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킴으로써 활로를 모색하는 여성이 나타났다. 또한 이 시기에는 옹기 생산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던 여성이 옹기문화에 대한 관심을 계기로 전문적인 옹기 제작기술을 익히거나 지역 옹기문화 재현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등의 다양한 참여와 활동이 포착된다. 모든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역할이 기존과 달라졌다고 볼 수는 없지만, 옹기 생산에서 여성과 남성의 역할 구분의 경계는 더 이상 공고하지 않다.

      • KCI등재

        옹기 명칭의 인지적 분류 체계

        안귀남(An Kwi Nam) 역사문화학회 200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안동 지역의 옹기 제작자 및 소비자를 중심으로 옹기 명칭의 인지적 분류 체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범위는 옹기의 형태별 유형- 독, 동이, 식기, 병, 뚜껑 등 -으로 한정된다. 이 연구의 방법론적 기초는 의미장 이론과 인지적 관점이다. 이 연구의 결론은 옹기 명칭의 인지적 분류체계가 옹기의 생산자 및 소비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옹기 생산자의 분화 기제는 기본적으로‘자리- 옹기 크기의 단위 -’에 따라 결정되지만 기타 요인- 가마의 재임 위치, 옹기 아구리의 형태, 줄의 수, 제작 방법 및 제작 기술 등 -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둘째, 소비자의 분화기제는 옹기의 쓰임새와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This paper tries to study the cognitive classified system of Ong-gi lexical items, focusing on the consumer and the producer of Ong-gi lexical items. The boundary of the study is confined to the Andong area. The scope of the study is the kinds according to the Ong-i type; the Dok, the Dong-i, instruments for food, the bottle, the covering of the Ong-gi.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semantic field theory and the cognitive view-point. The cognitive classified system of the Ong-gi lexical items differs from the type of the consumer and producer of the Ong-gi. The study suggests, first, that the classified mechanism classification of the producer is bas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Jari’(坐), which means a unit of Ong-gi size, and, also according to the location in the production cave, the type of edge of the Ong-gi, the number of line, the production technology and method of the Ong-gi, and so on. The study suggests, secondly, that the classified mechanism classification of the consumer is different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for consumption and the capacity of the Ong-gi.

      • KCI등재

        옹기 제작 전통의 재창조와 무형문화재 가치 논의 -경기지역 한 옹기공방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한승(Lee, Han-seung)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6 No.-

        이 연구에서는 경기지역의 한 옹기공방에서 거의 단절될 위기에 처했던 옹기류 가운데 하나인 푸레도기를 재현하여 옹기 제작 전통을 재창조한 사례를 살펴보고, 그 무형문화재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우선 옹기장인이 어떠한 방식으로 옹기 제작 전통을 재창조하였으며, 그러한 전통 재창조의 계기와 목적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옹기 제작 전통 재창조와 관련하여 옹기장인의 생각과 제도적 측면에서 그 무형문화재적 가치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해 보았다. 조사대상자인 공작옹기 공방의 방연석 씨는 미국 방문을 계기로 소박하게 실용성만 강조되던 기존 옹기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사람들이 소장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고급화된 푸레도기를 재창조하였다. 공작옹기 공방에서 제작되는 푸레도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양산체제를 지양하고 소량 생산을 통해서 푸레도기의 완성도와 작품성을 높이며, 둘째, 옹기 제작에서 부차적으로 여기는 미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장식성을 높이며, 셋째, 오지그릇보다도 높은 온도에서 소성하여 재래식 푸레도기보다 품질을 향상시켰으며, 넷째, 기존에 옹기를 제작하던 방식만 고수하지 않고, 다른 공예 종목의 기술을 응용하여 제작하며, 다섯째, 균등한 형태의 옹기를 제작하려는 기존 옹기 제작 방식과 다르게 낱낱의 푸레도기마다 개별적인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하였다. 이러한 공작옹기 공방의 푸레도기 제작은 재래식 푸레도기 제작기술과 자기 제작기술이 융합되어 새로운 옹기 제작 문화로 재창조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문화융합적 전형으로서 가치를 가진다고 보았다. 또한 앞으로 전승 활성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통 재창조의 경우에는 무형문화재 내에서도 병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bserves cases in which pottery-making traditions have been recreated by reproducing puredogi (bluish pottery), which is a type of pottery of which production was almost discontinued at a pottery workshop in the Gyeonggi area and discussions were made regarding its value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First of all, observations were made of how pottery masters recreated pottery-making traditions and of what reasons and purposes lie behind the recreations of tradition and discussions were made of the thoughts of pottery masters with regard to the recreation of pottery-making traditions and of its value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from institutional aspects. After his visit to America, the research subject Bang Yeon Suk of the Craft Pottery Workshop recreated a more enhanced form of puredogi that people would want to possess, breaking away from the image of existing pottery that simply emphasized practicality. Puredogi made in the Craft Pottery Workshop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rejects a mass production system and increases the degree of completion and work quality of the puredogi through small quantity production, second, it heightens decorativeness by placing importance on aesthetic elements that are considered to be secondary in pottery-making, third, it is burn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earthenware to have quality that is higher than conventional puredogi, fourth, existing methods used to make pottery are not held to and techniques of other craft types are applied for production, and fifth, unlike existing production methods used to make pottery of even form, each puredogi is made to have its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puredogi production of the Craft Pottery Workshop fuses conventional puredogi production techniques with porcelain production techniques to recreate a new form of pottery production culture and this has value as a new culture fusion model. Also, in the case of recreations of tradition that can provide positive effects from aspects of future transmission vitalization, opinions were presented that plans should be made for them to coexist with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 KCI등재

        울주지역 옹기가마 분포와 수습유물

        배보늬 ( Bae Bo Ni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1 文物硏究 Vol.- No.19

        옹기는 우리 민중이 오랫동안 사용해온 기물로써 민중생활과 항상 함께한 용기 중의 하나이다. 옹기는 일반 반상기용의 자기류와 함께 식품을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용기로써 최근까지 가장 널리 사용된 도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동안 관계연구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면서 그 시원을 비롯한 전파과정, 용도, 기종 등의 구체적인 연구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는 울주군 내 분포하는 조선시대 옹기가마에 관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총 12곳의 유적을 확인하고 이를 정리한 결과이다. 울주군 내에는 16세기~17세기에 해당하는 동천리 옹기가마를 비롯해서 조선시대 중후반기에 주로 옹기조업이 이루어졌고, 온양읍 외고산 마을 주변에는 현재까지도 옹기조업이 행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잿물이 시유된 옹기가 확인된 가장 이른 시기의 유적은 15세기~16세기경에 해당하는 청도 순지리와 나주 우산리유적으로 확인되어 조선전기부터 옹기소성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국에서 약 20여곳의 옹기가마 유적이 발굴조사되었다. 울주군은 지금까지 확인된 12곳 가운데 16세기~17세기에 해당하는 것이 1곳, 17세기~18세기에 해당하는 것이 1곳, 18세기~19세기에 해당하는 것이 10곳으로 파악되어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옹기조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이미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17~18세기경의 덕현리유적과 18~19세기경의 천전리 및 방리유적의 조사성과에서 울주군 내 옹기생산 현황이 확인되고, <蔚山邑誌>에 보이는 ‘?營店’, ‘內基店’ 등의 문헌기록을 이번 조사를 통해 그 실체 파악이 가능하여 19세기 이후의 옹기생산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울주군 내 옹기가마의 분포현황을 확인한 부분적인 성과에 지나지 않는다. 추후 이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좀 더 이루어진다면 울주군은 물론, 인접한 경상도지역 옹기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울주 옹기의 생산과 공급에 관한 사실들도 점차 규명될 것으로 기대된다. Onggi is one of the vessels the people used that is deeply related with their everyday life. It is kind of pottery widely used for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s until the modern age with ceramics for tableware but it was very far from pottery studies and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for its origin, types, uses and a process of spread. This study was promoted by Ulju-gun and Onggi from the Joseon Dynasty was investigated about its characteristics and time era through 12 remains in Ulju. In Ulju-gun, Onggi operation was mainly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including Dongcheon-ri Onggi klin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he work is still in operation around Oegosan village in Onyang-eup. The earliest grazed Onggi in Korea is from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equivalent to Sunji-ri in Cheongdo and Usan-ri in Naju. Therefore we could know the origin of Onggi is from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are about 20 relics in this period all over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Ulju-gun research, 1 is for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1 is for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nd 10 are for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among the 12 sites. The findings ascertain that Onggi operation was conducted continuously during the entire Joseon Dynasty. Ulju Onggi production history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as been verified through results already studied about Duckhyun-ri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Cheonjeon-ri and Banri historical sites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Futhermore we do know the substance from literature of 'Guyoungjeom' and 'Naegijeom' in ??Ulsaneupji?? and it is helpful for the study of Onggi production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This time the research was limited to remains' indexes confirming their status of distribution but more archaeological studies are expected to find out about production and supply of Ulju Onggi by comparions with an adjacent region, Gyeongsang-do's Ongg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