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도에 따른 난지형 마늘 ‘남도’의 생육과 수확기 구생체중 모델 개발

        위승환(Seung Hwan Wi),문경환(Kyung Hwan Moon),송은영(Eun Young Song),손인창(In Chang Son),오순자(Soon Ja Oh),조영열(Young Yeol Ch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 ‘남도’의 적정 생육 온도 구명과 일 평균온도를 이용한 구중 예측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온도처리는 주간 16시간 야간 8시간 처리로 11/7℃, 14/10℃, 17/12℃, 20/15℃, 23/18℃, 28/23℃ 로 설정하였다. 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20℃/15℃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온이나 저온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엽수와 총엽면적은 저온인 처리구가 고온처리구보다 생장이 느렸으나, 최종적으로는 최고온도인 28/23℃을 제외하고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구의 생체중으로 6종의 함수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남도’ 마늘의 적정 생육온도와 한계온도, 온도에 따른 구생장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남도’ 마늘의 적정 생육온도는 18~20℃이며 GDD 기본온도와 한계온도는 7.1℃와 31.7℃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일 평균온도를 이용한 수확기 기준 구생체중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온도구배터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선형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79.0~95.0%, 2차 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77.2~92.3%, 로지스틱분포 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80.0~95.8% 예측도를 보였다. 이중 가장 예측력이 좋은 함수는 로지스틱분포함수이며 생육적정온도와 한계온도도 잘 표현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ptimal temperature of garlic and develop bulb weight model in harvest time. Day and night temperature in chambers was set to 11/7℃, 14/10℃, 17/12℃, 20/15℃, 23/18℃, 28/23℃(16/8h). Bulb fresh and dry weight was heaviest on 20/15℃. In 11/7℃ and 14/10℃, leaf number and total leaf area increased slowly. But in the harvest, leaf number and total leaf area were not significant, except 28/23℃. Models were developed with fresh bulb weigh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l, 18~20℃ certified optimal mean temperature. And the growing degree day base temperature estimated 7.1℃, upper temperature threshold estimated 31.7℃. To verify the model, mean temperature on temperature gradient tunnel applied to the growth rate model. Lineal function model, quadric model, and logistic distribution model showed 79.0~95.0%, 77.2~92.3% and 85.0~95.8% accuracy, respectively. Logistic distribution model has the highest accuracy and good for explaining moderate temperature, growing degree day base temperature and upper temperature threshold.

      • KCI등재

        온도와 변위 데이터를 이용한 사장교의 온도신축거동 평가

        박종칠,Park, Jong Chil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4

        케이블교량은 교량길이가 길고 규모가 크기 때문에 온도에 의한 이동량과 형상변화는 일반교량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공용 중 온도영향을 분석,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온도영향은 온도변화에 따라 교량 상부구조계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온도신축거동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다. 이에 공용 중인 사장교에서 장기간 계측된 온도와 이종 변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적인 온도신축거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변위 데이터는 기존 신축변위계와 함께 새롭게 도입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기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먼저 외기온도, 개별온도, 평균온도, 유효온도의 다양한 온도 조합에 대한 신축거동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부재의 평균온도나 유효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임을 확인하였다. 부재 유효온도와 신축량의 선형회귀분석으로부터 단위온도신축량을 산정하고, 추가적으로 신축길이와 계측 단위온도 신축량의 선형회귀분석으로부터 선팽창계수와 중립점의 위치를 산정할 수 있었다. 이를 이론과 해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케이블교량의 실제 온도신축거동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Because cable-supported bridges have long spans and large members, their movements and geometrical changes by temperatures tend to be bigger than those of small or medium-sized bridge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maintenance engineers to monitor and assess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able-supported bridges. To evaluate how much the superstructure expands or contracts when subjected to changes in temperature is the first step for the maintenance. Thermal movements of a cable-stayed bridge in service are evaluated by using long-term temperatures and displacements data. Displacements data are obtained from extensometers and newly installed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eceivers on the bridge.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such as air temperatures, each sensor's temperatures, average temperatures and effective temperatur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emperatures and displacements has been performed. Average temperatures or effective temperatures are most suitable for the evaluation of thermal movements. From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ffective temperatures and displacements, the variation rate's of displacement to temperature have been calculated. From additiona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xpansion length's and variation rate's of displacement to temperature,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neutral point have been estimated. Comparing these parameters with theoretical and analytical results, a practical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real thermal behaviors of the cable-supported bridges is proposed.

      • KCI등재

        혈액분석 시 대기온도에 의한 혈중지질 성분과 젖산 농도의 변화

        강성기 ( Seoung Ki Kang ),김종규 ( Jong Kyu Kim ),엄한주 ( Han Joo Eo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환경적인 요소로 통제되어야 할 대기 온도가 혈중지질과 젖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DT 60 혈액 분석기로 네 가지의 온도(18˚, 22˚, 26˚, 30˚)와 각 온도별로 3번 반복 측정된 TC, HDL-C, TG 그리고 Lactic acid의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모든 혈액분석은 6명의 피험자에서 채취된 동일한 혈액에 대한 온도에 따른 재생성과 반복된 결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 11.0 Program을 통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각 온도에서 측정한 3회의 자료에 대한 변동계수(CV)를 산출하고, 온도와 분석시기에 따른 TG, TC, HDL-C, Lactic acid 항목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wo-way(4×3) RM on both ANOVA를 실시하였고, G-이론 모형을 이용하여 피험자(p), 온도(c), 분석시기(t)를 국면으로 설정한 교차 설계로 분산성분 추정치를 통해 각 오차원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산출하였다. TC, HDL-C, TG 그리고 Lactic acid 항목은 동일한 온도에서 3번 반복 측정된 결과가 높은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었지만, 다른 온도에서 측정된 결과는 안정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온도에서 측정된 종속변인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HDL-C, TC, TG 그리고 Lactic acid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분산성분 추정치는 피험자로 인해 발생된 변량을 제외한 오차요인 중 온도가 차지하는 비율에서 HDL-C(48.29%), TC(30.92%), TG(49.24%) 그리고 Lactic acid(31.96%)로 나타났다. 분산성분 추정치의 결과에 의하면, 모든 측정의 오차에 근원이 피험자와 온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동일한 온도에서 측정하지 못한 TC, HDL-C, TG 그리고 Lactic acid는 같은 결과를 주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various Ambient temperatures on the measures of blood lipid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 DT 60 blood analyzer, four different degrees of Ambient temperature (18˚, 22˚, 26˚, 30˚) were used to compute the values of TC, HDL-C, and TG. Also,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repeatedly obtained. In all analyses, the same blood samples from each of 6 subjects were used to examine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values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1.0 to compute coefficient of variations (CV) and variance components with two-way (4×3) RM ANOVAs and various descriptive statistics. HDL-C, TC, TG and Lactic acid values obtained by the same degrees of Ambient temperature for the 3 repeated samples from the same person under each condition were highly consistent. However, values were inconsistent when measured in different Ambient temperature degrees. The proportion of Subjects Variance components in each variable were HDL-C (65.54%), TC (50.05%), TG (96.70%) and Lactic acid (82.54%). And those for different Ambient temperature were HDL-C (16.64%), TC (15.44%), TG (1.61%) and Lactic acid (5.58%). The analyses of variance component revealed that the main source of error variances were mostly due to the differences in Ambient temperature.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t degrees of Ambient temperature do not produce the same results in blood lipid and Lactic acid.

      • 작물의 적정 환경조절을 위한 온도차하우스 내부환경 해석

        정지훈 ( Gihun Chung ),양헌용 ( Heon-yong Yang ),서일환 ( Il-hwan Seo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온실 내부의 적정 온도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은 작물 생장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온실은 환기시스템의 종류에 따라서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나눌 수 있다. 개방형은 자연환기에 의존하는 반면, 밀폐형은 적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한다. 온도차하우스란, 입기구 및 배기구를 조절하여 개방형과 밀폐형의 특징을 조합하여 온실내부의 일정한 온도차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 온실이다. 이를 통하여 적정 생장온도가 다른 다양한 작물을 동시에 재배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른 생장속도의 차이를 하나의 온실에서 실험할 수 있다. 특히 공학적인 접근에서는 작물생장을 위한 최적 온도를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열 환경조건에 따른 성장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차하우스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내부의 열환경분포를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설치된 온도차하우스의 열환경에 대한 실내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정밀한 해석을 위하여 동일한 환기, 난방, 외부환경, 내부구조를 적용한 CFD 모델을 설계하였다. 사용된 온실은 3m*25m*2.5m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8.8도의 3.8m/s와 1.4m/s의 팬의 가동유무와 양쪽 파이프에서 유입되는 1.8m/s, 온도 30도의 공기로 일정한 온도 차이를 만들어낸다. 모델의 총 격자개수는 약 212만 개이며 유동학적인 해석이 중요한 배기구, 덕트의 열이 나오는 구멍의 격자는 더 조밀하게 생성하여 유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모델링 수행 결과, 온도차 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약 5.5도의 온도차이가 발생하였다. 향후 이를 통하여 온도차에 따른 작물의 생장 변화 정도를 분석 할 수 있다.

      • 형광온도계를 사용한 초음속 연소기 표면온도 가시화 기술 개발

        이석환(Seok Hwan Lee),김용규(Yong-Gyoo Kim),강웅(Woong Kang),김성훈(Sunghun Kim),이승훈(Seunghoon Lee),양인영(Inyoung Yang) 한국추진공학회 2019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5

        본 연구에서는 스크램제트 엔진에서 재생냉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형광체 온도계를 사용하여 연소기의 벽면 온도를 가시화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YAG:DY 형광체를 초음속 연소기 벽면에 코팅하여 온도를 측정하게 하였다. 355 nm 의 파장을 가진 Nd:YAG 레이저를 사용하여 형광체를 여기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형광신호를 분광기 및 ICCD 카메라로 측정하였다. 형광체에서 발생되는 두 개의 신호 (450 nm, 480 nm) 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직선형으로 증가하였다. 교정로의 온도를 200 도에서 800 도 까지 바꾸면서 온도장을 측정하였고 각 온도에서 균일한 온도장을 획득하였다. 스크램젯 연소기 표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연소기 벽면 내부에 유로를 설치하여 연료를 주입하고. 벽면의 온도장을 가시화 하였다. 그래서 연료의 주입량에 따른 벽면 냉각특성이 형광온도계로 측정된 온도장을 통해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regenerative cooling performance in the scramjet combustor, the surface temperature on the combustor wall was visualized. YAG:Dy phosphor was coated on the wall of the supersonic combustor to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Nd:YAG laser with a wavelength of 355 nm was used to excite the phosphor, and the fluorescence signal generated. The fluorescence signal was measured with a spectroscopy and an ICCD camera. The ratio of the two signals (450 nm, 480 nm) generated in the phosphor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uniform temperature was visualized at the specific set temperatures (2000, 400, 600 and 800℃) in the furnace. In order to cool the surface of the scramjet combustor, a flow path was installed inside the combustor wall and the fuel injected through the flow path. Therefore, the wall cooling characteristics of the injected amount of fuel were analyzed through a temperature field measured by a phosphor thermometry.

      • 발육영점온도에서 파밤나방의 발현유전체

        김용균,최봉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기후변화는 해충의 발생량 및 발생 시기에 변동을 유발시키고 있다. 변온동물인 곤충은 온도 변화에 따라 발육 및 행동에 변화를 보이면서, 이를 기반으로 이론 추 정치인 발육영점온도를 통해 알로부터 성충에 이르기까지 발육에 유효한 적산온 도 산출로 특정 해충의 연중 세대수 및 발생 최성기를 추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발 육영점온도에 대한 생리 및 생화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발육영점온도의 생리적 본체를 찾는 데 궁극적 목표를 두고 수행되었다. 이 를 위해 파밤나방 5령충의 발육영점온도(15℃)를 기반으로 온도 증가(20, 25, 3 0℃)에 따라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집단을 25℃에서 사육시키고 얻은 갓 탈피한 4령충을 상기의 4 가지 서로 다른 온도로 처리하였다. 이후 발육하 여 5령으로 탈피한 유충을 동일 개체수로 임의 선발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고, 다 시 각 온도별로 상이한 염기서열 표지를 말단에 연결하였다. 이후 전체 처리 RNA 를 혼합한 시료를 대상으로 Illumina-HiSeq2000으로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 다. 이후 각 말단 표지를 바탕으로 처리 별 전사체를 구분하고 비교 발현 유전체 연 구를 실시하였다. 총 분석된 전사체의 염기서열은 각 처리가 유사한 전사체량(9.7 - 11.8 Gb)으로 구성되면서 전체 약 40 Gb의 양으로 분석되었다. 이들을 de novo assembly 한 결과 전체적으로 82,642 개의 contig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가운데 4 처 리 모두에서 발현된 contig는 27,700 개 이며, 시료에 따라 RNA 추출량에 대한 보 정을 하여 상호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FPKM (fragments per kilobase of exon per million fragments mapped)으로 유전자 발현량을 표준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전자별 전체 발현패턴을 군집분석한 결과, 15℃에서 성장된 파밤나방은 다른 발 육 온도에서 성장된 파밤나방과 유전체 발현 양상에서 현격하게 구분되었다. 흥미 로운 현상은 발육영점온도인 15℃에 비해 성장 온도에서 오히려 발현량이 줄어드 는 전사체 종류가 증가하는 전사체 수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4 배 이 상의 유전자 발현량을 주는 대표적 유전자들을 선발하였다. 발육영점온도에 비해 증가하는 전사체는 라이보좀 관련 단백질이 포함된 반면, 감소하는 전사체는 휴면 특이적 펩타이드와 유충표피층단백질을 포함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발육영점온 도는 성장유기온도에 비해 파밤나방 5령충의 성장 관련 유전체 발현을 억제하는 특이적 발현유전체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IoT 기반 용탕온도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방법연구: 중소 주강 기업 중심으로

        옥운석,권기항,이용희 한국품질경영학회 2018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주강업종은 금속 소재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업종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혁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고온의 열악하고 위험한 작업환경 및 환경문제에 대하여 인력, 자금의 부족 때문에 소극적 기술투자로 이어져 주강업종에서 가장 중요한 용해공정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용해공정에서 용탕온도 측정은 현재 대다수 사업장에서 용탕 온도측정을 침적식 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작업자가 합부판정을 내리고 수기로 기록을 관리하고 있다. 여기서 용탕은 금속 성분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존재하며 재질별 용탕 온도 기준이 상이하다. 작업자가 합부판정을 부적합하게 하여 출탕을 할 경우 부적합한 용탕온도 측정으로 인해 용탕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때 산화소모가 심하고 용탕주입시 조형물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용탕온도가 낮을 경우는 용탕이 용해가 제대로 안되거나 주입시 용탕이 굳어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수기 기록 관리는 온도 측정결과의 신뢰성확보가 어려우며 전산화를 요구하는 고객의 Needs를 충족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IoT를 이용하여 용탕온도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방법과 기존의 용탕온도 측정방식에서 변화시킨 온도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방법은 먼저 작업자가 침적식 온도계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경우 측정된 데이터를 IoT를 이용하여 서버에 전송한다. 다음에 시스템에서 재질별 온도의 합부판정을 하여 작업자에게 통보하고 서버에 전송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렇게 도출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빅데이터 분석 및 통계 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용탕온도 측정에서 스마트팩토리 기초단계를 구성하고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및 고객의 Needs를 충족하고 기존에 용탕온도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생기는 문제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환경온도가 비육우의 직장온도, 체표면 온도 및 음수량에 미치 는 영향

        전중환 ( Jung Hwan Jeon ),권경석 ( Kyeong Seok Kwon ),우샘이 ( Saem Ee Woo ),이동현 ( Dong Hyeon Lee ),이준엽 ( Jun Yeob Lee ),김종복 ( Jong Bok Kim ),양가영 ( Ga Yeong Yang ),전상곤 ( Sang Gon Jeo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최근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내의 혹서기 폭염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폭염은 가축의 생산성 저하와 더불어 동물복지적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온도의 변화가 비육우의 체표면 온도, 직장온도 및 음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비육우 8두를 공시하였으며, 온습도를 제어할 수 있는 챔버(temperature-humidity controlled chamber)를 활용하여 각 4두씩 2개의 처리구(18℃와 23℃)에 구분하여 배치하였다. 챔버 내의 상대습도는 50%로 설정하였으며, 비육우의 목부위 체표면 온도, 직장온도 및 음수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체표면 온도, 직장온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하지만 23℃ 처리구에서의 일일 음수량(3.22± 0.08kg)이 18℃ 처리구에서의 일일 음수량(2.59 ± 0.13 kg)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향후 온도처리를 더욱 다변화하여 체표면 온도, 직장온도의 변화를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전온도 센서 교정기술 개발

        정욱철,김용규,이경재,김춘택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항공기의 운항정보 획득을 위한 대기 정온도의 측정은 비행제어 및 예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항공기로부터 직접적인 대기 정온도의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항공기의 전온도를 측정하고 개별센서의 회복계수를 적용하여 정온도로 계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전온도 센서의 교정은 일반적인 정적 상태에서의 교정에 더해 온도계의 회복계수 측정 및 해당 불확도 추정이 포함되어야 하나, 소급성을 유지하며 회복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의 부재로 인해 정확한 전온도 센서의 교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 온도의 소급성을 유지하며 전온도 센서의 회복계수를 측정할 수있는 기술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도계의 회복계수 측정 및 불확도 추정을 통한 전온도 센서의 교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Measurement of a static air temperature (SAT) is an important task for accurate flight control and planning. However, as direct measurement of the SAT is impossible, a correction to the measured total air temperature (TAT) is made from the adiabatic temperature rise and a recovery factor of a specific TAT sensor. Thus, a calibration of the TAT sensor should be done in terms of the measured recovery factor and its uncertainty.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SAT and the TAT which are traceable to ITS-90, it has technically been difficult to measure the recovery factor and to assess its uncertainty. In this work, a traceable method of the recovery factor measurement is propos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complete analysis and the assessment of the uncertainty of the measured recovery factor, it is attempted to establish a calibration method of a TAT sensor.

      • KCI등재

        전구 대양의 극저 해수면온도 공간 분포와 지구과학교과서 데이터 시각화 분석

        박경애,손유미 한국지구과학회 202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1 No.6

        Sea-surface temperature (S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ceanic variables for understanding air-sea interactions, heat flux variations, and oceanic circulation in the global ocean. Extremely low SSTs from 0oC down to −2oC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normal temperatures because of their notable roles in inducing and regulating global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such extremely low SSTs in the global ocean, the long-term SST climatology was calculated using the daily SST database of satellites observed for the period from 1982 to 2018. In addition, the locations of regions with extremely low surface temperatures of less than 0oC and monthly variations of isothermal lines of 0oC were investigated using World Ocean Atlas (WOA) climatology based on in-situ oceanic measurements. As a result, extremely low temperatures occupied considerable areas in polar regions such as the Arctic Ocean and Antarctic Ocean, and marginal seas at high latitudes. Six earth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how these extremely low temperatures were visualized. In most textbooks, illustrations of SSTs began not from extremely low temperatures below 0o C but from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f 0oC or higher, which prevented students from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roles of the low SSTs. As data visualization is one of the key elements of data literacy,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ensure that SST data are adequately visualized in the textbooks. This study emphasized that oceanic literacy and data literacy could be cultivated and strengthened simultaneously through visualizations of oceanic big data by using satellite SST data and oceanic in-situmeasurements. 해수면온도는 해양-대기 상호작용, 열속 변화, 대양의 해양 순환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해양 변수들 중의 하나이다. 0oC 이하 −2oC까지 극저 해수면온도는 기후변화 및 지구환경 변화를 유도하고 조절하기 때문에 다른 범위의 해수면온도보다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전구 대양에서 이러한 극저 해수면온도의 시간적 공간적 변동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1982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간 동안 관측된 인공위성 일별 해수면온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평균 기후장을 산출하였다. 또한 장기간의 해양 실측 자료에 기반하여 생산된 표층 수온의 기후 평균장을 활용하여 극저 해수면온도가 전구 대양에서 존재하는 해역과 0oC 등온선의 월별 공간 변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극저 해수면온도는 북극해와 남극해와 같은 극지 해역과 고위도의 연해에서 상당한 해양의 표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극저 해수면 온도가 어떻게 시각화되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6종 지구과학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해수면온도 삽화는 0oC 혹은 그 이상 수온에서 부터 도시하여 학생들이 극저 해수면온도에 대한 개념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획득하는 것을 저해하고 있었다. 데이터 시각화는 데이터 리터러시의 주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므로 위성 해수면온도 자료가 교과서에 적절하게 시각화되도록 교과서 삽화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자료와 해양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해양 데이터의 시각화를 통하여 해양학적 소양과 데이터 리터러시가 동시에 함양되고 강화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