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창의력 신장을 위한 오브제 활용 미술수업 지도방안 -중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김민정 ( Min Jung Kim ),김정혜 ( Jung Hye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교사교육연구 Vol.47 No.2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오브제를 활용한 수업 활동을 지도하여 창의신장의 효과를 배가시키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미술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적 인 형상 찾기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창의력 신창을 위한 오브제 활용 미술수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풍에 활용할 오브제를 직접 찾도록 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절약에 대한 올바른 사고와 흥미를 이끌어 내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참여도 또한 높다. 또 오브제라는 표현양식을 가지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문제를 참신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위하여 오브제의 이해를 바탕요로 미적, 11험, 표현, 강상 영역이 연계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오브제 활용 미술수업 지도과장에 있어 창의적 문제 해결 법을 적용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적 표현을 최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는 점은 주요한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는 오브제 활용 미술수업이 단순한 그리기나 만들기 위주의 편향적 수업 진행을 지양하고 다양한 물성체험을 통해 대상을 확대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Art education is one of core subjects that help students develop creativity and its key task is to present active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n the field of teaching. But, art education based on this idea has been neglected on the field of schooling due to factors of academic environment in curriculum and class hours.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is not merely in cultivation of esthetic emotion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artists but in cultivation of artistic gift, ability and creativity inherent in everyone. This research is aimed to double the effect of creativity development through the use of objects in art class for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focuses on seeking practical and concrete ways for them to participate in art class.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objects are as follows. For starters, the use of objects is very effective in drawing interests from students as it is linked directly with their daily lives. Moreover, it is possible to have students participate in art class by encouraging them to look for objects used in schooling for themselves, The use of objects in art education is principal media of schooling that provide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can conceive their own way of self-expression by accepting diversity and variabilit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promote creative thinking. They come to have a fresh approach to a problem on the basis of various information and ideas with the form of expression called the object. Through this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above effects, we find that art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objects can extend the activities from simple painting or making things to visual and tactual experience with objects. Besides, it offers concrete ways to maximize creative expression of learners through idea exploration and elaboration process by help of the method for creative solution for a problem.
오브제를 활용한 화예 디스플레이 작품 창작 연구 -My Wish List-
전경희 ( Jeon Kyung Hee ),이정섭 ( Lee Jeong Sup ),유택상 ( Yoo Taek S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작품은 화예디자인을 행함에 있어 식물 소재를 플라스틱, 철, 유리 등의 포괄적 디자인 소재나 오브제와 결합하여 특정한 메시지나 느낌을 주는 작품을 제작하려는 의도로 창작되었다. 오브제란 예술과는 아무런 관계없는 물건이나 그 한 부분을 본래의 용도에서 떼어내 절연함으로써 보는 사람에게 잠재된 욕망이나 환상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상징적 기능의 물체를 말한다.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정의한 12오브제에서 작가는 자연의 오브제(화훼)와 발견된 오브제(바이올린)를 해석된 오브제로 의미화 시켜보려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현대적 감각과 화예의 식물 소재를 결합하여 상호 충돌 내지는 융합되는 재미를 추구하는 동시에 무언가 이야기가 있는 작품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 또한 작가는 커머셜디자인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작가의 흥미를 끄는 표현적 디자인 사례를 키워드 리서치와 이미지리서치를 통해 수집 분석하였고 이미지 상에 나타난 세부적인 기법이나 부품을 추출 변형하고 이를 스케치를 통해 형상화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미지리서치를 통해 얻어진 다양한 모티브 가운데 작가의 관심을 끈 모티브는 흰색으로 칠해진 바이올린과 철제 와 이어로 구성된 간판이었다. 작가는 이 두 가지 모티브를 결합하고 여기에 식물 재료를 추가하여 화예디자인 창작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배경이 녹색의 ‘moss’이기에 명시성과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이올린을 흰색으로 선택하여 배경과 주제에 대한 대비효과를 높이고자 하여 중고 바이올린을 구해 화이트 락커로 칠을 해주었다. 와이어박스는 안에 바이올린을 넣을 수 있도록 위해 윗부분이 열리도록 주문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와이어박스 안에 바이올린을 삽입하고 위에서 낚시줄로 매달고 안쪽 뒷면에 미리 제작해 놓은 모스를 철사로 고정하였다. 아이비 잎 등 식물소재의 추가적인 연출을 통해 자연의 느낌의 강화를 시도하였다. 결과적 으로 화예 소재가 주는 자연스러운 느낌과 와이어박스의 직선과 흰 칼라가 주는 공업적 느낌, 거기에 바이올린의 곡선과 단색 컬러가 결합된 나름대로는 서로 다른 느낌의 충돌과 조화가 이루어진 작품이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이처럼 화예 작품에 공업적 재료나 오브제를 도입하여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탐구할 수 있었다. The researcher tried to make a floral art work to arouse specific mood or message by combining plants with other materials such as plastic, steel, glass as well as ready made objects. To be more specific the researcher intended to experiment the collision and fusion between contemporary touch and natural feeling of flowers and plants and the creation of funny and intersting storytelling. The researcher searched expressive design and art work cases by keyword research as well as image research and analyzed their components and techniques. Then she experimented her work by composing these elements into the sketches. She finally chose the motives of ``violin`` and ``steel mesh box`` and put a violin painted white into a steel mesh box decorated with ivy and moss. The final work was made into an art work in which the modern and industrial touch of steel mesh box, natural mood of plants and classical and cultural motif of violin were fused harmoniously.
오브제를 활용한 화예 디스플레이 작품 창작 연구 - My Wish List -
전경희,이정섭,유택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5 No.-
The researcher tried to make a floral art work to arouse specific mood or message by combining plants with other materials such as plastic, steel, glass as well as ready made objects. To be more specific the researcher intended to experiment the collision and fusion between contemporary touch and natural feeling of flowers and plants and the creation of funny and intersting storytelling. The researcher searched expressive design and art work cases by keyword research as well as image research and analyzed their components and techniques. Then she experimented her work by composing these elements into the sketches. She finally chose the motives of 'violin' and 'steel mesh box' and put a violin painted white into a steel mesh box decorated with ivy and moss. The final work was made into an art work in which the modern and industrial touch of steel mesh box, natural mood of plants and classical and cultural motif of violin were fused harmoniously 본 작품은 화예디자인을 행함에 있어 식물 소재를 플라스틱, 철, 유리등의 포괄적 디자인 소재나 오브제와 결합하여 특정한 메시지나 느낌을주는 작품을 제작하려는 의도로 창작되었다. 오브제란 예술과는 아무런관계없는 물건이나 그 한 부분을 본래의 용도에서 떼어내 절연함으로써보는 사람에게 잠재된 욕망이나 환상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상징적 기능의 물체를 말한다.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정의한 12오브제에서 작가는 자연의 오브제(화훼)와 발견된 오브제(바이올린)를 해석된 오브제로 의미화시켜보려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현대적 감각과 화예의 식물 소재를 결합하여 상호 충돌 내지는 융합되는 재미를 추구하는 동시에 무언가 이야기가 있는 작품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 또한 작가는 커머셜디자인에 관심158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제35집이 많았기 때문에 작가의 흥미를 끄는 표현적 디자인 사례를 키워드 리서치와 이미지리서치를 통해 수집 분석하였고 이미지 상에 나타난 세부적인 기법이나 부품을 추출 변형하고 이를 스케치를 통해 형상화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미지리서치를 통해 얻어진 다양한 모티브가운데 작가의 관심을 끈 모티브는 흰색으로 칠해진 바이올린과 철제 와이어로 구성된 간판이었다. 작가는 이 두 가지 모티브를 결합하고 여기에 식물 재료를 추가하여 화예디자인 창작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배경이녹색의 ’moss‘이기에 명시성과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이올린을 흰색으로 선택하여 배경과 주제에 대한 대비효과를 높이고자 하여 중고 바이올린을 구해 화이트 락커로 칠을 해주었다. 와이어박스는 안에 바이올린을 넣을 수 있도록 위해 윗부분이 열리도록 주문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와이어박스 안에 바이올린을 삽입하고 위에서 낚시줄로 매달고 안쪽 뒷면에 미리 제작해 놓은 모스를 철사로 고정하였다. 아이비 잎 등 식물소재의 추가적인 연출을 통해 자연의 느낌의 강화를 시도하였다. 결과적으로 화예 소재가 주는 자연스러운 느낌과 와이어박스의 직선과 흰 칼라가 주는 공업적 느낌, 거기에 바이올린의 곡선과 단색 컬러가 결합된 나름대로는 서로 다른 느낌의 충돌과 조화가 이루어진 작품이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이처럼 화예 작품에 공업적 재료나 오브제를 도입하여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탐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