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만과 편견』을 통해서 본 관계 상실과 회복에 대한 연구

        홍남주(Hong, Nam Ju) 한국독서치료학회 2020 독서치료연구 Vol.12 No.2

        본 논문은 인간이 관계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 대해 제인 오스틴(Jane Austen, 1775-1817)의 『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 속 두 인물이 관계에서 보인 정서와 상호작용에 의한 변별력의 상실과 회복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은 영국 시골 마을의 평범한 베넷가 집안 딸들의 이야기다. 당시 봉건적 귀족사회는 산업사회의 발달을 계기로 성장한 신흥계급들에 의해 점점 몰락하면서 평등사회로 변화되었다. 또한 사회적 배경은 남자 위주로 상속을 한정시키는 ‘한정상속제도’라는 전통적인 결혼풍습이 있었다. 두 주인공은 모두 변별력이 있다고 자부(Pride)하는 존재이다. 그들의 첫 만남은 자부심을 부끄럽게 여기면서 어떤 특정한 사회집단 및 그 집단에 속한 개인을 향한 부정적·비우호적·혐오적인 태도로 편견이 작동하고, 고정관념화된다. 두 인물은 이 사건으로 인해 자신들의 판단력이 흐려진 것을 자각하지 못하면서 오만에 빠져서 부정, 분노, 우울의 정서를 거친다. 두 주인공은 부정, 분노, 우울의 감정을 외현화시켜서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 관계의 손상과 상실에 이른다. 그 이후에 그들은 변별력이 편향, 오만, 편견에 의해 어리석은 판단을 했다고 통찰하며 객관화한다. 남녀 주인공은 서로의 잘잘못을 사과하는 과정에서 동등관계를 획득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사랑과 애정이 회복되며 급속도로 관계가 개선된다. 두 주인공은 관계 상실을 이끌게 된 왜곡된 사고와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수용하게 되면서 자부심과 변별력을 되찾는다. 그들은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로 그들을 신뢰하는 가족, 친구, 지인들의 관계회복에도 견고한 가교역할을 하게 된다. 게다가 적대적인 대상과의 관계에서도 지혜가 발휘되면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오만과 편견』의 인문 서사에서 두 주인공은 부정, 분노, 우울의 정서 단계와 객관화, 수용으로 변별력을 회복하고 조절하게 된다. 그들은 관계 상실과 회복을 통해 자부심을 되찾아 동등관계를 형성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관계의 개선과 유연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otional aspect of the relationship loss and recovery and the role of discernment in the interaction through the two characters in 『Pride and Prejudice』 by Jane Austin(1775-1817) regarding the difficulties suffered by human in the relationship.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is the story of the daughters of an ordinary Bennet family in the rural countryside. At that time, Britain’s feudal aristocracy bagan to decline and turned into an egalitarian societ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ization era. This novel also has a social background of conditions at that time, when the inheritance system influenced the traditional wedding customs. Moreover, both of the main characters also display pride in self-esteem and discernment. Their first encounter was suffered shame from self-esteem as they prejudice each other toward a particular social group and individuals belonging to that group. The two characters are unaware that their judgment has been clouded by this incident that leads them to fall into arrogance and go through feelings of denial, anger, and depression. They externally express and interact with their feelings that have changed into negative emotions that lead to damage and loss of relations. Since then The bias, pride and prejudice are then objectified by the discernment that they have made each other did foolish judgment. In the process of apologizing for each other’s mistakes, the main characters acquire equal relationships, recover love and affection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and quickly improve relationships. They regain self-esteem and discrimination as they take responsibility for the distorted thinking and behavior that led to the loss of relationships. The two main characters are active and self-reliant, playing the role of connection in restoring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members, friends, and acquaintances who trust them. Furthermore, they show wisdom and flexible in responding to their enemies. Through the humanities narrative of Pride and prejudice, The two main characters regain and control their discernment through emotional stages of denial, anger, depression, objectification and acceptance. They regain their pride through loss and recovery of relationships, form and equal relationship, and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it is possible to improve and flexible in responding relationship.

      • KCI등재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각색 영화 분석 - <신부와 편견 (2004)>을 중심으로

        전미경,한희정 한국영상학회 2020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8 No.3

        The article compares Jane Austen’s British novel, Pride and Prejudice, and the Indian film adaptation of the novel, Bride and Prejudice, and does so from a feminist perspective.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ride and Prejudice starkly reveals the reality of women in a patriarchal society, whereas Bride and Prejudice fails fully to present the feminist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of women in Indian society, which may correspond to women’s reality in the original novel. Additionally, unlike the original novel, Bride and Prejudice strengthens the theme of romantic love and the spiritual union in marriage. This article analyzes Bride and Prejudice using feminist sociologist Eva Illouz's view of love, focusing on its narrative aspects and key characters, revealing that the fantasy of romantic love in the modern era is growing in popularity. According to Illouz, this movie's narrative and images reinforce a fantasy about love, creat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magination,” which suggests a model for what people should desire. This allows audiences to indulge in a consumer culture, which induces them to consume merely for the fulfillment of their emotions. Thus, audiences become slaves to consumption and are manipulated to feel certain emotions and may not be aware of the true nature of love. 이 글은 제인 오스틴의 영국소설 <오만과 편견>과 각색 영화 <신부와 편견>(2004)을 여성주의적 관점에 서 비교 분석했다. <오만과 편견>은 작가 당대의 남성 주도 문단 현실에도 불구하고 아이러니 등의 간접 적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가부장적 사회와 이로 인한 여성의 종속적 현실을 드러냄으로써 진보적 가치를 지닌다. <신부와 편견>에도 가부장적 사회에서 비롯되는 여성의 현실, 민족주의 등 제반 문제의식이 제 기되기는 하나, 볼리우드 풍의 영화 기교 및 근대적 여성주의 인식으로 인해, 작품은 인도 전통사회로부 터 유래하는 여성 현실에 대한 진지한 문제의식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신부와 편견> 은 원전과는 달리 낭만적 사랑과 영적 결합의 숭고한 의미를 더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에 대해 이 글은 여성주의 사회학자 에바 일루즈의 사랑에 대한 관점을 활용하여 서사와 주요 캐릭터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작품이 현대의 낭만적 사랑의 판타지를 강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일루즈에 의하면 이러한 영화 상품의 이야기 전개와 이미지는 사랑에 관한 판타지를 심어주어 일정 틀을 자극하고 고무하는 상상 력의 제도화를 이루게 한다. 이로써 수용자들은 개인의 감정 충족을 상품 소비로 유도하는 소비문화에 빠지게 되어 특정 감정을 주문받는 소비 노예가 되므로 사랑의 진정한 본질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 KCI등재

        『오만과 편견』의 언어적 아이러니 번역 고찰

        김태훈 ( Kim Taehoon ),최희섭 ( Choi Hiesup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6 No.-

        제인 오스틴은 『오만과 편견』을 한편의 희극처럼 구성하여 당시 영국인들에게 만연한 물질주의와 그로 인해 생기는 사람에 대한 편견, 사랑보다 재물을 중요시하는 결혼관 등을 언어적 아이러니를 통하여 비판하고 있다. 번역은 원문의 내용을 살리면서 작가의 창작의도를 충실히 살려야 한다. 이 작품의 경우 아이러니 수법을 충실히 살려야 작가의 창작의도를 잘 번역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최근에도 매년 두 세 종의 번역본이 새로 출간될 만큼 수많은 번역본이 출간되었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원전에 대한 연구는 사회적 연구 및 시대상황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번역본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오역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아이러니의 번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최근 번역본 3종을 선택하여 오스틴의 언어적 아이러니를 어떻게 번역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나친 오역이나 변조 등은 거의 보이지 않아 내용의 충실성은 어느 정도 담보된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언어적 아이러니를 잘 살리지 못하였다. 이는 『오만과 편견』이 대중성이 높은 소설이기 때문에 다양한 독자층을 만족시키기 위해 가독성 높은 번역 전략을 택하면서 언어적 아이러니의 번역에 특별한 전략을 수립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lation of verbal irony in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and identify the translation strategy used in translating verbal irony. Austen used irony in her Pride and Prejudice as a way of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haracters and satirizing her contemporary society, focusing on the duality and vulgarity of common people. This novel deals with love stories between men and women at the age of marriage. Austen criticizes materialistic view of life of her contemporary people and their prejudice in the way of irony. In this paper, three of Korean translated versions of Pride and Prejudice are examined with emphasis on the translation of verbal irony. The examination shows that the source text was most translated into target text in word-for-word translation method. There were few mistranslations in spite of some omission to enhance the readability of target language readers. But we can conclude that the translators exerted no special strategy of irony translation, though a special strategy was needed. We can surmise that’s because the translators worked without deep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verbal irony in 『Pride and Prejudice』. In addition, as this novel is very popular to Korean readers of various ages from teenagers to adults, the translators may have focused on readability-first translation strategy ignoring the importance of verbal irony. We cannot find any special translation strategy in translating verbal irony in the translated three versions.

      • KCI등재

        19세기 남자의 결혼이야기 : 『오만과 편견』과 『어니스트 놀이』를 중심으로

        윤소영(Yoon, Soyoung)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2 스토리&이미지텔링 Vol.3 No.-

        19세기의 시대적 상황을 결혼이라는 주제에 입각해 살펴보는 것은 대체적으로 여성의 이야기로 경도되어 있었다. 하지만 결혼이야기는 마치 여성의 이야기로만 국한된 듯 남성의 결혼이야기는 극히 드물어서 남성에게 있어 결혼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와 어떠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흥미롭다. 이에 빅토리아 조의 결혼이야기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과 오스카 와일드의 『어니스트 놀이』를 통해 남성의 결혼이야기는 어떻게 펼쳐지고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특히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개념을 도입해 젠트리 계층에게 있어 결혼이 갖는 의미를 여성뿐 아닌 남성에게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등장인물을 살펴보았는데, 이상적인 남편감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다아시의 경우 엘리자베스의 결혼관이 다른 여성과 다르다는 점이 다아시를 선택하는 시각을 갖게 하였고, 다아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남성에게 놓인 결혼이라는 결정이 어떤 의미인가를 파악하고자 했다. 한편 『어니스트 놀이』의 경우는 상류층 남자들의 댄디에 대한 추구가 그 당시 시대상과 어떻게 작동하는가와 그들에게 있어 자신이 좋아하는 상대와 결혼한다는 것은 어떠한 자격을 요구당하는가를 보여준다. 그 당시의 남편감의 기준에 의거해 측정되고 있음에 대해 풍자하는 것은 이름을 어니스트로 요구하고 있다는 것으로, 잭과 알저논은 그 부분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구현함으로써 해결하게 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n the 19th century. For this theme,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and Oscar Wilde`s The Importance of Being Earnest are chosen for analysis. In this paper, unlike general concern on women`s marriage during the period, the meaning of men`s marriage is focused since as a meta text men`s marriage has not been spotlighted so far. This narrative is inclined to be buried because women are centered on marriage issues. In reality women are deprived the right to own property so that they play roles as economic exchange values between men at that time. That means they women have concerned about marriage. To put this, men who would marry women have concerned about marriage. The func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marriage in men will be investigated to show the role and meaning of marriage. First of all, in Pride and Prejudice Fitzwilliam Darcy plays as a Mr. Right for Elizabeth who can choose her ideal husband according to her own independent way of thinking. In comparison with other marriage partners, Darcy shows what men should equip for marriage. Also he experienced various situations and overcame himself, to get married in the end. Second, Oscar Wilde`s The Importance of Being Earnest explores the reason why would-be husbands should have names of E(a)rnest as well as be E(a)rnest in the Victorian Era. For this they struggle to acquire the name Ernest by being baptized with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marrying their women, they can find their genuine identities. In conclusion, in the Victorian Era, marriage is important for men as well as for women because men who cannot marry will not belong to their habitus, thus being classified as economically incompetent. Therefore, men`s marriage is as important as women`s in that men should live in accordance with their class and habitus.

      • KCI등재

        크리티컬 리터러시 기반의 영문학 강의 콘텐츠 개발: 오만과 편견 과 패러디 텍스트를 중심으로

        조지현(Ji Hyun Cho),조희정(Heejeong Cho)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6 영미문학교육 Vol.20 No.3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specific teaching methods and practic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nglish literature classroom, using theories based on critical pedagogy. Critical literacy, which applies the important concepts of critical pedagogy to literary eduction, provides specific questions for delving into literary texts. In a classroom that educates critical literacy, students no longer remain as merely passive recipients of the teacher’s instruction; rather, students perform an active role in a discussion-oriented classroom and foster the ability to read texts in critical and creative ways. Especially, parody texts can function as effective material in teaching students to attain critical literacy. Parody texts tend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original text, as their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text raise interesting issues that can be addressed in relation to social/historical contexts. For example, Pride and Prejudice and Zombies and Bridget Jones’s Diary both re-write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in their own ways and reveal important points in revisiting central themes and problems of the original text. Among those, this paper focus on gender roles,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nd social class, suggesting the ways in which the teacher can lead student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texts. Students are expected to approach critically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al woman, the meaning of marriage, and socially constructed tast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lso, they may further develop their understanding by producing their own re-writes of Pride and Prejudice in diverse ways, responding actively to the social problems that surround their lives.

      • KCI등재

        A Narrative Adaptation between Novel and Film: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조미원,베로니끄 라우찬와 미래영어영문학회 2014 영어영문학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인 오스틴의 원작 『오만과 편견』을 조 라이트 감독이 2005년 영화로 만든 『오만과 편견』과의 서사적 기법에 있어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보는데 있다. 장르상의 문제로 영화의 서사와 소설의 서사를 같은 맥락에서 다루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서사의 관점이 둘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다시 말해 원작 소설의 경우는 익명의 전지전능한 ‘내적인 관객’ 이 영화에서는 ‘외적인 관객’으로 바뀐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것은 19세기 여류작가와 21세기 영화감독이 의도한 주요 메시지에 큰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텍스트의 형식에 있어서도 원작의 텍스트가 영화에서는 필요에 따라 구체적인 이미지로 때로는 오스틴적인 대사로 또 어떤 경우에는 생략되어 원작의 서사를 완전히 재분배시키고 있는 점이 분석되었다. 이렇게 소설을 바탕으로 재생산된 영화는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제공 될 수 있다는 면에서 긍정적인 반면, 서사적인 측면에서의 상당한 차이는 많은 기본적인 유사성을 가진 두 개의 상당히 서로 다른 이야기를 제공하게 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겠다.

      • KCI등재

        스피노자-들뢰즈적 배움과 성장 서사

        이혜수(Hye-Soo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1

        이 글에서는 들뢰즈의 ‘배움’ 개념이 스피노자의 ‘공통개념’이 함축하는 이성과 상상의 형성적 측면을 발전시킨 것임을 살펴보고, 19세기 영국의 대표적 교양소설인 제인 오스틴의『오만과 편견』을 ‘스피노자-들뢰즈적 배움’을 담지하는 성장 서사로 읽는다. 스피노자-들뢰즈적 배움은, ‘문제적 개인의 성숙’ 그리고 ‘개인과 사회의 화해’를 강조하는 루카치적 교양소설과는 조금 다른 맥락에서, 한 개인이 배움을 통해 성장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이며 왜 성장 서사가 지금 여기에도 여전히 중요한지를 상기시킨다. 스피노자의 『윤리학』에서 배움과 성장의 문제는 예속을 벗어난 자유로운 삶이라는 그의 윤리적 기획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며, 여기에서 그의 경험적, 실천적 사유가 배어있는 ‘공통개념’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들뢰즈의 ‘배움’ 논의는 이러한 스피노자의 공통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는 스피노자의 ‘공통개념’과 데카르트의 ‘대상-관념의 일치로서 진리’를 ‘배움’과 ‘앎’으로 재공식화하면서, 두 개념 사이의 본질적 차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움이 ‘문제(제기)’라면, 앎은 ‘해(解)’이다. 배움을 통해 앎으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문제와 해의 차이만큼이나 다른 것이다. 『오만과 편견』은 엘리자베스와 다시가 마주침의 사건들을 통해 합성의 비/관계 즉 공통개념을 형성해나가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오만을 깨우치고 긍정을 배워나간다는 점에서 스피노자-들뢰즈적 배움의 서사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작품 내에서 인물들이 형성하는 공통개념뿐 아니라, 독자가 작품의 인물이나 화자를 통해 형성해가는 공통개념 역시 스피노자-들뢰즈적 배움이며, 감정이입이나 동일시와는 구별되는 소설 읽기의 중요한 기제다. 소설은 스피노자가 말한바 인간 인식의 조건이자 한계인 상상(1종인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동시에 그것이 상상인 줄 아는 정신의 덕(훌륭함)이 탁월하게 구현된 가상공간이다. I examine how Gilles Deleuze’s discussion of “learning” is predicated on Spinoza’s “common notion,” and how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a representative classical Bildungsroman in Britain, also works as a narrative of “Spinozist-Deleuzian learning.” Deviating from Lukacs’s definition of Bildungsroman as the maturation of “a problematic individual” and his/her “reconciliation” with the society, narratives of Spinozist-Deleuzian learning remind us of the importance of learning (apprenticeship) as an indispensable part of our lives even in the 21st century. Spinoza’s Ethics presents learning or apprenticeship as a crucial facet of his ethical project of active liberty where common notion as “a strange harmony of reason and imagination” plays a decisive role. Deleuze’s account of “learning” reformulates the differences between Spinozist common notion and Cartesian concept of truth (i.e. correspondence of an object with the mind’s representation of it) into the distinction of “learning” and “knowledge.” Simply put, while learning is a problem or a problematic field, knowledge is a solution; they are as distant as possible in nature. Pride and Prejudice exemplifies a process of learning in Spinozist-Deleuzian sense where Elizabeth and Mr. Darcy encounter to realize passive affects like pride as the core part of their selves and proceed to joy and affirm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common notions. Furthermore, Austen’s novel evidences that the novel reader’s forrmation of common notions with characters and also with the narrator through sympathy and distancing is the mechanism of novel reading more pivotal than identification or sympathy. The novel is a singular space where imagination as the necessary condition of human knowledge is unfolded as well as what Spinoza calls the virtue (eminence) of the mind, i.e. the mind’s meta-power of being aware that it imagines as it imagines.

      • KCI등재

        근대의 사회화에 대한 문학적 대응 - 교양소설과 사회소설

        서은주 ( Suh Eun Ju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7 독일어문학 Vol.77 No.-

        본고는 근대에 이르러 대두된 개인의 사회화 담론을 교양소설과 사회소설이라는 문학적 형식을 통해 다양하게 변주하였던 근대 주체의 미학적 대응에 관해 논구하고자 한다. 프랑스 혁명 이후 영국과 독일에서는 시대 규범을 내면화한 문학적 제스처로서 교양소설이라는 장르가 양식화되었다. 교양소설의 전범이라 할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과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에서 엘리자베스 베넷과 빌헬름 마이스터는 교양의 도정을 통한 자신의 행위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개인성과 사회성의 내적인 연관성을 기반으로 하여 근대 주체의 사회화라는 시대적 규준을 적극적으로 포섭하고 있다. 영국과 독일의 교양소설은 각 주인공의 상이한 사회적 진폭에도 불구하고 개인과 사회의 조화라는 동연한 핵심적 음조를 일관되게 창출해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프랑스의 사회소설은 증폭된 사회적 유동성으로 인해 개인과 사회의 반목이 불가피해져 버린 시대에 봉착한 근대 주체의 사회화 논제를 문학적으로 세공하고 있다. 사실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스탕달의 『적과 흑』, 발자크의 『인간 희극』 그리고 플로베르의 『감정교육』에서 쥘리엥 소렐과 으젠 드 라스티냐크, 뤼시앙 드뤼방프레 그리고 프레데릭 모로는 양립 불가능한 개인적 자유와 사회적 통합 사이에서 행위의 의미가 탈각된 채 부표함으로써 교양의 이념에 위배되는 행보를 감행하게 된다. 스탕달의 은밀한 모반과 발자크의 확고한 승인 그리고 플로베르의 단호한 부인은 개인의 사회화라는 논제에 대한 각기 다른 문학적 대응이었으며, 이는 곧 시대가 부과한 주조음을 각각의 문학 텍스트 속에서 치열하게 형상화하고자 하였던 근대 주체의 미학적 분투에 다름 아니라 할 것이다.

      • KCI등재

        『오만과 편견』 영한 번역서 간 There 존재구문 양상차이와 구문의 교육 제언

        신소나(Sona Shin)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21 영미문학교육 Vol.25 No.1

        This study is to see how English there existential sentences with negative words and quantifiers are translated into Korean, focusing on end-focus realiz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Target texts are three versions of English-Korean translation texts of Pride and Prejudice by Jane Austen. After the study, it is found that there are 80 expletives with negatives and 78 cases with quantifiers among 277 existential sentences, which account of 57% of all there sentences. This clearly shows negative words and quantifiers play a pivotal role in there sentences. Also, the study finds out that the existential sentences with quantifiers are more precisely end-focus realized than the other ones with negatives in all the three target texts and the result is proved statistically meaningful. One of the main reasons is that there is more possibility of different versions of verb translation than noun in English-Korean translation. English negative words in there sentences go with more verbs than nouns in Korean. English uses there sentences to stress the absence or the quantity of a specific noun and this purpose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both translation and education.

      • KCI등재

        『오만과 편견』에 나타난 아이러니의 양상

        강평순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8 영어영문학연구 Vol.50 No.4

        This article examines aspects of irony in Pride and Prejudice, especially analyzing Elizabeth’s judgment on various characters and their dialogue. In fact, Pride and Prejudice is the novel in which irony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among Austen’s six novels. And Austen uses irony not as a skill but a means of revealing her serious and intense moral interest. In the first chapter, Austen shows the materialistic basis of society and the marriage market theme. So, we can know that marriage is the main theme of this novel. Elizabeth, as a student of character, gives an exact judgment on the simple characters, such as Mrs. Bennet, Lydia and Collins. But she often gives a misjudgment on the intricate characters. In case of Charlotte, Wickham, and Darcy, she doesn’t understand economical hardship and social environment. And, in the process of Darcy and Elizabeth’s meeting, their pride and prejudice cause a lot of trouble and conflicts all the time. The irony of this novel, however, comes to light when we realize the reversal of their pride and prejudice. Like this, Austen enlightens us upon man’s lack of discretion, inconstancy, ignorance and stupidity through irony. She recognizes the contradictory double faces of human beings and society deeply, and shows the irony of life through the common subject matter of the relation between the sex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