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샨하드 유적과 몽골 동부의 이른 시기 돌날석기 공작

        이선복(Seon-bok Yi) 한국구석기학회 2013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8

        라샨하드 유적은 몽골 동부지역의 대표적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이곳에서는 특히 1980년을 전후해 그 주요 부분이 조사되었으나,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지극히 간략한 내용만이 알려졌다. 따라서 몽골 동부지역의 구석기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는 형편이다. 서울대학교 박물관과 몽골 과학원 고고학연구소가 합동으로 2010년과 2011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퇴적층의 상당한 부분이 동물에 의한 굴 파기 등의 생물학적 요인으로 심하게 교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수습 유물의 특징으로 미루 어볼 때 퇴적층이 긴 시간에 걸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지만, 이러한 교란으로 인해 문화층의 구별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물의 변화 양상은 판단하기 어렵다. 발굴은 지표에서 1.5m 내외까지 이루어졌고 퇴적층은 그 아래로도 이어지는데, 발굴 부분의 가장 아래에서는 낙반으로 후대에 동물이 훼손하지 못한 구역이 확인되었다. 이 파괴를 면한 퇴적층에서는 돌날 석기 공작의 특징을 보여주는 석기가 수습되었 고, 함께 발견된 동물 뼈에서는 약 4만 년 전의 방사성탄소연대가 얻어졌다. 이와 유사한 석기공작은 몽골 서북부 오르혼 강 유역 및 중국 내몽고와 영하에서도 발견되고 있는바, MIS 3 단계에 동북아시아 내륙 지방에서는 돌날석기 공작이 광범위하게 분포하였음을 시사해준다. Rashaan Khad is perhaps the only palaeolithic site so far known in eastern Mongolia, but we know little about its stratigraphy and lithic industry. In 2011 and 2012, a joint Mongolian-Korean team from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Mongolian Academy of Sciences and the Seoul Natonal University tested the site. It was revealed that the bulk of the deposit had been destroyed by various biological agents, particularly by burrowing animals. Only the small portion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excavated deposit escaped such wholesale destruction where stone tools made on blades were recovered. C-14 dates obtained from faunal remains suggest an age of ca. 40 ka. Artifacts of similar nature are known from the Orkhon River basin in northwestern Mongolia. Also, it may well be that the sites of Jinsitai in Inner Mongolia and Shuidonggou in Ningxia, China, also share similar materials. Reduction sequence related to blade production at these sites is not clear yet. However, when taken together, it appears that blade production had been widely adopted in inner parts of Northeast Asia prior to ca. 30 ka.

      • KCI등재

        한국어와 튀르키예어의 사동 범주 대조 연구(Ⅰ)-기본동사의 형태적 사동을 중심으로-

        김성주 국제언어문학회 2023 國際言語文學 Vol.- No.54

        This paper compares the types of causative constructions at the historical stage of Korean and Turkic languages with the derivative phenomena of the morphological causative of the 100 basic verbs of modern Korean and modern Turkish language. The types of modern Korean include lex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NPsiki- causatives, while the latter includes lexic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Looking at the morphological causative derivation of 100 basic verbs in modern Korean and Turkish language, 48 in Korean and 92 in Turkish can be formed as morphological causative verbs. Ancient Korean ha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Pre-modern Korean ha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and modern Korean has lex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NPsiki- causatives. In the case of Turkish language, ancient and Ottoman Turkic languages have only morphological causative, but modern Turkish has all lexical,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s, however the most powerful causative is still morphological one. 이 글은 한국어와 튀르키예어의 역사적 단계에서 사동문의 유형과 현대 한국어와 현대 튀르키예어의 기본 동사의 형태적 사동의 파생 상황을 비교한 논문이다. 현대 한국어 사동의 유형은 고유어 동사의 경우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이 있고, ‘하다’ 동사의 경우 어휘적 사동, 통사적 사동, ‘(-)시키다’ 사동이 있다. 현대 튀르키예어 사동의 유형은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이 있다. 현대 한국어와 현대 튀르키예어의 100개의 기본 동사의 형태적 사동 파생 상황을 살펴보면 한국어는 48개, 튀르키예어는 92개의 파생 사동소 형성이 가능하다. 고대 한국어는 형태적 사동, 중세한국어는 형태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 근대한국어는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 (-)시키다 사동이, 현대 한국어는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 ‘(-)시키다’ 사동이 있다. 튀르키예어의 경우 고대 튀르크어와 오스만 튀르크어는 형태적 사동만 있고, 현대 튀르키예어는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이 모두 존재하지만, 고대 튀르크어, 오스만 튀르크어, 현대 튀르키예어를 통틀어 가장 강력한 사동 형식은 여전히 형태적 사동이다.

      • KCI등재

        The Language of the Farmer Scythians

        Fatih ?ENGUL(파티 쉔귈) 국제언어문학회 2020 國際言語文學 Vol.- No.46

        기원전 11세기에서 13세기까지 드니에스터 강과 인근 지역에 존재했던 체르놀레스 고고학 유적지는 스키타이 이전 시대에 속한 문화였다. 학계의 초기 관점은 동쪽에서 이주한 스키타이인들은 위 언급 된 지역에 정착했다. 그러나 농업인 스키타이인의 지리적 위치에 대한 헤로도토스의 설명은 이러한 학계의 판단을 반박하며, 체르놀리스의 고고학 유적지가 사르마티아인의 침략까지 지속적으로 계속 존재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는 체르놀리스 고고학 유적지의 주역이자 드니에퍼 강에서 드니에스터 강까지 이어지는 토착공동체를 만들었던 농업인 스키타이인의 언어를 언어학 자료와 함께 입증하였다. Chernoles archaeological culture, which existed in the area between the rivers Dniester and Dnieper between from XIth until VIIIth centuries BC, was a culture belonging to Pre-Scythian period. According to the preaviling point of view in the scholarly milieu, the Scythians coming from east appeared in the mentioned area afterwards. However, Herodotos’ accounts in relation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farmer Scythians refutes the scholarly judgment of this kind and reveal the fact that the archaeological culture of Chernoles continued its existence uninterrupted until the Sarmatian invasion. In this paper, the language of the Farmer Scythians, who appear to be the creators of Chernoles archaeological culture and to be an indigenous community in the country streching from the Dniepr River to the Dniestr River, will be showed with linguistic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