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화로부터 본 일한 오노마토피아(어) 비교 연구 - 만화 도라에몽을 예로 -

        김철준,최미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4 No.-

        일본어와 한국어의 오노마토피아(어)는 다른 나라 언어에 비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일상 회화 중 오노마토피아(어)를 듣는 경우도 많고, 오노마토피아(어)는 동사나 형용사만으 로 나타내기 어려운 동작이나 상태를 생동하게 나타낼 수 있어 어린 아이들이 많이 접하는 만화나 그림책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일본어의 오노마토피아(어)에 관한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그 러나 일본어와 한국어의 오노마토피아(어) 비교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또한 일본어와 한국어의 오노마토피아(어)를 '만화'를 통해 고찰한 선행연구는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같은 제목, 같은 내용의 일본판, 한국판 만화 「도라에몽」을 이용해 오 노마토피아(어) 사용에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지 형태적 특징과 의미적 특징으로 나누어 분석 하려한다. 그결과, 형태적 특징의 경우, 가장 출현빈도가 많은 형태는 일본어와 한국어 모두 2음절이 었다. 또한, 일본어도 한국어도 1음절어나 2음절어 같은 순간적인 음을 나타내는 단어가 압도 적으로 많이 존재하였다. 의미적 특징의 경우, 일대일 대응, 설명식 대응, 대체식 대응, 추가식 대응이라는 네 가지 형태가 존재하였다.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are rich in onomatopoeia compared to other languages. In daily conversation, we can often hear onomatopoeia, which cannot be expressed by verbs or adjectives. As onomatopoeia can express actions and states very well, it is very practical. Whether in Japanese or Korean, “onomatopoeia” is a good representation of sound, and it is easily found in the cartoons that many children are exposed to at an early age. There exists an abundance of previous research on Japanese onomatopoeia. However, the comparative research on Japanese and Korean “onomatopoeia” is rare. In addition, any research on Japanese and Korean “onomatopoeia” found in “manga” is almost nonexistence.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different uses of onomatopoeia in the phonological and semantic forms in Japanese and Korean laguages through “Doraemon”, a cartoon with the same title and the same content in both Japanese and Korean. In terms of phonological features, the highest frequency in Japanese and Korean is 2 syllables. In both Japanese and Korean, the number of words that represent an instant sound, like one or two syllables, is overwhelming. In the case of semantic features, there were four forms such as one on one response, explanatory response, substitutive response, and additive response.

      • KCI등재

        上古時代에 나타난 오노마토피아의 一考察

        黃圭三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6

        上代의 固有 日本語 音韻에 있어서 構造的인 特質로서 잘 알려진 「語頭에 濁音과 ラ行音이 오지 않는다」고 하는 「語音配列則」은 上代의 一般語彙에 있어서는 이 法 則이 적용되었지만 오노마토피아 語彙群에 있어서는 이 法則이 適用되지않고 「ビシビシ」등과 같이 語頭에 濁音이 옴으로써 마이너스(-)印象을 주는 表現効果를 살리 고 있다. 上古時代의 文法的인 特徴을 살펴 보면 助詞 「と」와 「に」를 동반하는 現象이 나 타났으나 「と」를 동반하는 오노마토피아 보다 「に」를 동반하는 用例가 많았으며 時代가 내려감에 따라 「に」의 語尾는 서서히 「と」에 吸収․統合되어가는 傾向이 보여 지는데 「と」나 「に」를 동반하지 않는 오노마토피아도 이미 이 時代에 出現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用法에 있어서는 오노마토피아 語幹에 붙어 「~답다(~らしくなる)」의미를 가 진 動詞化 接尾語 「-めく」의 発達이 보여 지며 語末에 오는 「ラ行音」이 語基의 母 音과 調和해서 「ラ」또는 「ロ」에 限定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도 이 時代의 特徵으로 說明할 수 있다. 万葉集에 나타난 「そよ」는 바람소리의 擬声表現과 사람 등을 부르는 代名詞 表現의 連語 「其よ(=そうだよ)、其よ」와 서로 共感을 意味하는 表現으로 이 「そよ 」는 単純하게 옷깃이나 나뭇잎이 스치는 소리를 표현한 擬音語가 아니라 벼의 잎 (稲葉)이 바람에 살랑거리는 소리 「そよ」에 맞장구를 치거나 무엇인가가 생각이 났을 때 내는 感動詞 「そう(其)よ」가 내포되어 「가케고토바(掛詞)式擬音語」라는 본 래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노마토피아를 통하여 당시의 「ハ行子音」의 音價를 추정해 볼 수가 있는 데 말(馬)의 울음소리나 사슴의 울음소리인 「比々ひひ」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아 音価는 摩擦音의 「ɸiɸi」또는 破裂音의 「pipi」이였을 가능성도 있겠지만 上代 에도 口語性이 강한 오노마토피아에는 「P音」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破裂音이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 語音結合型으로는 上代에는 「AB型」 「ABロ(ラ)型」 「ABロ(ラ)へ型」등 다양하지 는 않지만 현대어까지 이어지는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中古時代가 되면 오노마토피아의 代表的인 形態인 「ABAB型」등 매우 다양한 형태가 설화집 등 일 반 서민들의 언어생활이 스며든 작품 속에서 나타나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The phonetic structure of Onomatope compared to general vocabulary is rather unique. The principle of “never placing a voiced sound or 「ら」line sound at the beginning of a word” is a well known fact that makes up the peculiar structural trait of Japanese phonetics. While this principle applied to the general vocabulary during the Sango era. It did not apply to the words in the onomatope group, and voiced sounds at the beginning of onomatopes added a negative effect to the expressions. Moreover, in terms of grammatical traits, the postpositional particles 「と」and 「に」came together but there are more cases of Onomatopes being accompanied by 「に」rather than 「と」. As time passed, the suffix 「と」 tendeds to be absorbed and integrated into 「に」. It can also be seen that Onomatope that were not accompanied by a 「と」or 「に」 also occur during this era. In terms of usage, a noticeable change is the development of a suffix 「~らしくな る」 that has the meaning “ to be worthy of” ’ when attached to the root of the Onomatope. Another characteristic of Onomatopes during this era is that the 「ら」line sound that comes at the end of a word is combined with the vowels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is limited to 「ら」or 「と」. In terms of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e phenomenon of bringing together the postpositional particles 「と」and 「に」, the development of a suffix that turns the world into a verb, the development of the descriptive complement and the use of modifiers are also notable, but the usage of the Onomatope i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during the middle ag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aid that most Onomatope had formed by the middle ages and established the forms we use today in the modern time. The Onomatope has a sense of life within it. While there are vocabulary item that were born during the early ages and have survived or prospered throughout the middle ages to contemporary times, there are also vocabulary items that enjoyed only a brief life. It is only natural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language that some onomatopes only existed for a brief period of time and disappeared thereafter.

      • KCI등재

        한자의 차용(借用)과 오노마토피아의 차자(借字)표기

        황규삼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From the ancient times even to the modern times, the Chinese language has spread huge amount of vocabulary to Korean and Japanese. During the Edo period in Japan, application of Chinese enriched phonetic forms of Japanese people and atejinotation of onomatopoeia was applied to design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language. As time went by, this ateji notation was a way to combine Chinese and Japanese, which had great influence on phonetic features and phonetic forms. Onomatopoeia with unique Chinese characters spread in a fast speed. In the end of modern times, as the first country among Asian empires, Japan concentrated on accepting Western cultures, which came to have quite good achievement until the Meiji period. The modernization of Japan moved forward interlocked with the modernization of the Japanese language. The Meiji period was an important time of great change in terms of language system and application, such as notation of vocabulary, style of writing, ateji notation of onomatopoeia, etc. Atejinotation of onomatopoeia used in Japanese is considered as a reasonable idea to save ideographic function of Chinese by giving a definite meaning to even the same character or the same word. In the other words, it is said that Ateji notation of onomatopoeia saved the characteristics of ideograph and secured the function of the language form in case of notation of Chinese and it was aimed for the expressive effect as a wordplay. For these reasons, Chinese notationof onomatopoeia created new phonetic forms by combining sounds of Chinese which were not considered as the original Japanese. It can be said that it had a new function of onomatopoeia as vocabulary which left sounds and had no trace of Chinese by way of Kana notation. 일본의 에도(江戸)시대의 한어활용은 일본인의 언어음형을 풍부하게 하고 오노마토피아의 차자(借字)표기를 활용하여 색다른 일본어만의 특색을 고안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차자표기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한어와 일본어를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새롭게 고안된 한자를 붙인 오노마토피아 차자표기가 음감(音感), 음형(音形)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독특한 한자를 붙인 오노마토피아가 급속하게 증가했다. 근대말, 일본의 근대화는 곧 일본어의 근대화와 맞물려 진행되었다. 메이지(明治)시대는 어휘와 표기, 문체, 오노마토피아의 차자표기 등 언어 체계와 운용면에 있어서도 크게 변화한 중요한 시기이다. 일본어 오노마토피아에 쓰여 진 차자표기는 같은 글자 같은 단어라고 하더라도 문자에 명확한 의미를 부여해서 한자의 표의기능을 살리고자 하는 합리적인 생각이 차자표기에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한자로 표기 할 때 표의성(表意性)도 살리면서 어형을 명시하는 기능을 확보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더욱이 언어유희(言語遊戱)로써 표현효과도 노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오노마토피아 한자표현은 본래 일본어라고 생각할 수 없었던 한자이지만 음의 조합에 의해 오노마토피아의 음형을 새로 만들어 냈으며 가나(仮名)표기에 의해 音만 남고 한자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는 어휘로서 오노마토피아라는 새로운 기능도 갖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오노마토피아의 차자표기는 오노마토피아에 해당하는 한자는 표의성(表意性)을 갖고 오노마토피아는 표음부분을 담당한다고 하는 역할분담 기능과 함께 새로운 하나의 표기수단으로 재탄생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자의 차용(借用)과 오노마토피아의 차자(借字)표기

        황규삼 ( Kyu Sam Hw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일본의 에도(江戶)시대의 한어활용은 일본인의 언어음형을 풍부하게하고 오노마토피아의 차자(借字)표기를 활용하여 색다른 일본어만의특색을 고안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차자표기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한어와 일본어를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새롭게 고안된 한자를 붙인 오노마토피아 차자표기가 음감(音感), 음형(音形)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독특한 한자를 붙인 오노마토피아가 급속하게 증가했다. 근대말, 일본의 근대화는 곧 일본어의 근대화와 맞물려 진행되었다. 메이지(明治)시대는 어휘와 표기, 문체, 오노마토피아의 차자표기 등언어 체계와 운용면에 있어서도 크게 변화한 중요한 시기이다. 일본어 오노마토피아에 쓰여 진 차자표기는 같은 글자 같은 단어라고 하더라도 문자에 명확한 의미를 부여해서 한자의 표의기능을 살리고자 하는 합리적인 생각이 차자표기에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한자로 표기 할 때 표의성(表意性)도 살리면서 어형을 명시하는 기능을 확보한 것이 라 할 수 있으며 더욱이 언어유희(言語遊戱)로써 표현효과도 노린 것이 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오노마토피아 한자표현은 본래 일본 어라고 생각할 수 없었던 한자이지만 음의 조합에 의해 오노마토피아의 음형을 새로 만들어 냈으며 가나(가名)표기에 의해 音만 남고 한자의 흔 적은 찾아볼 수 없는 어휘로서 오노마토피아라는 새로운 기능도 갖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오노마토피아의 차자표기는 오노마토피 아에 해당하는 한자는 표의성(表意性)을 갖고 오노마토피아는 표음부분을 담당한다고 하는 역할분담 기능과 함께 새로운 하나의 표기수단으로 재탄생하였다고 할 수 있다. From the ancient times even to the modern times, the Chinese language has spread huge amount of vocabulary to Korean and Japanese. During the Edo period in Japan, application of Chinese enriched phonetic forms of Japanese people and atejinotation of onomatopoeia was applied to design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language. As time went by, this ateji notation was a way to combine Chinese and Japanese, which had great influence on phonetic features and phonetic forms. Onomatopoeia with unique Chinese characters spread in a fast speed. In the end of modern times, as the first country among Asian empires, Japan concentrated on accepting Western cultures, which came to have quite good achievement until the Meiji period. The modernization of Japan moved forward interlocked with the modernization of the Japanese language. The Meiji period was an important time of great change in terms of language system and application, such as notation of vocabulary, style of writing, ateji notation of onomatopoeia, etc. Atejinotation of onomatopoeia used in Japanese is considered as a reasonable idea to save ideographic function of Chinese by giving a definite meaning to even the same character or the same word. In the other words, it is said that Ateji notation of onomatopoeia saved the characteristics of ideograph and secured the function of the language form in case of notation of Chinese and it was aimed for the expressive effect as a wordplay. For these reasons, Chinese notation of onomatopoeia created new phonetic forms by combining sounds of Chinese which were not considered as the original Japanese. It can be said that it had a new function of onomatopoeia as vocabulary which left sounds and had no trace of Chinese by way of Kana notation.

      • KCI등재
      • KCI등재

        言語運用 實態로 본 오노마토피아의 硏究-『かたこと』를 中心으로-

        黃圭三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6 일본언어문화 Vol.35 No.-

        In terms of 『KATAKOTO(かたこと)』, there are total 22 vocabulary combination types among. As for the contract between Soku-on type and Hatsu-on type, 「AツB」・「AツBリ」 Soku-on type was far more frequently used than 「AンB」・「AンBリ」 Hatsu-on type. It seems because he recorded actual examples of onomatopoeia having more oral characteristics of ordinary people. And, like 「onomatopoeia+リ」 when 「り」 is attached to form various types, if 「onomatopoeia」 is added with 「リ」 ending, it forms grammatical particle with most onomatopoeia. Just like「AンBリ」・「AツBリ」, 「Soku-on(促音)+リ」・「Hatsu-on(撥音)+リ」 type shows frequency of use in a 4 beat stable style like the contemporary onomatopoeia. Sadamuro discussed sense of clear voice and sonant by means of 15 examples based on his intuition. In terms of onomatopoeia, the contrast between clear voice and sonant take important factor in expressing sense of voice. Thus, Sadamuro negated the abuse of Soku-on type and Hatsu-on type and the use of sonant with a sense of alert. His book is very valuable in that various vocabularies in 『KATAKOTO』 provided useful information on language operation of ordinary people as well as reality of language of the time, and it also objectively verifies the idea of Japanese that language change began in the later middle ages to the early modern period.

      • KCI등재

        어휘기능으로써의 오노마토피아 연구 - 『片言』·『雅語音声考』·『日葡辞書』를 중심으로 -

        黃圭三 ( Hwang Kyu-sam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7 No.-

        今までオノマトペについて幅広く研究されているが『かたこと』·『雅語音声考』·『日葡辞書』という三つの著書について一つに結んでいっしょに考察してきた研究はあまり見当たらない。本考察では、室町時代から江戸時代に至るまでオノマトペを記錄した『かたこと(片言)』·『雅語音声考』·『日葡辞書』などの貴重な三つの資料を比較·考察することにする。『かたこと』に表われている多様な語彙は、中世末から近世初にかけて言語変化が起こり始めたという日本語史上において客観的な事実を物語っている点で貴重な資料であると言えよう。また、『雅語音声考』において言語と音声との関係に関する鈴木朗の立論と擬音語·擬態語の語彙を幅広く見つめて明確な口語の実例を裏付けていること、さらに「オノマトペ語基+接尾語」という語構成や派生語などを記述していることなどは、言語に関する鈴木朗の鋭い洞察力と感覚を見せていると言える。『日葡辞書』に現われている「ぱらつく」「ぱりぱり」などの「パ行子音」の語は見出し語には見られないが、語彙の説明の中で探し出した貴重なオノマトペの語例である。このように三つの資料は、約200年の間、一般庶民たちが生活の中で愛用し、生き動いている語彙群であるオノマトペの生成と消滅、語音結合及び語源などについて言語運用の實態を把握し、全體的な語彙體系を構築するのに有益な情報を提供している。さらにこの三つの資料はオノマトペから由来したと考えられる語源と語彙、共通的に現われている音と意味との由縁性について考察してみる機会を与えていると言えよう。 For more than 200 years, Yasuhara(安原貞室) and Suzuki(鈴木朗) have written books of high historical value, and as it is noted, Onomatopia is used in everyday life in a variety of ways, and is rarely recorded except for old stories. It is fortunate that these vocabulary groups can compare and reflect on the onomatopia's vocabulary used by ordinary people at the time of each era through 『Katakoto(片言)』 and 『Gagoonzyouko-(雅語音声考)』 and the study of both data also provides very useful information in terms of building a new onomatopia vocabulary. It is also intended to compare the Muromatimakki(室町末期) to the Edosyoki(江戸初期) in 『Nippojisyo(日葡辞書)』(1603)writtenoverKatakoto(片言)』and 『Gagoonzyouko-(雅語音声考)』, and to use fi at that time.?. Accordingly, This study, which is never neglected in making 『Katakoto(片言)』 and 『Gagoonzyouko-(雅語音声考)』 and 『Nippojisyo(日葡辞書)』, which are written by foreign missionaries in a normative manner, is intended to compare and examine the creation, extinction, bond, and etymology of Onomatopia.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language management for the generation and extinction of Onomatopia, the combination of notes, and etymology, as well as establishing an overall vocabulary system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good information to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十訓抄』에 나타난 오노마토피아의 연구

        황규삼(黃圭三) 일본어문학회 2014 일본어문학 Vol.64 No.-

        『十訓抄』に現れているオノマトペの全体用例数は「副詞型オノマトペ」が 25例、「動詞型オノマトペ」が14例、合わせて総39例である。その中で異なり語数は「副詞型オノマトペ」が13例(52%)、「動詞型オノマトペ」が8例で54%に至っている。オノマトペの出現が第1編の「人に恵みを施すべき事」と第7編の「ひたすら思慮深くあるべき事」に多く見られるのは他編に比べ、話の数が多く、口語体の形式で教訓を説いたからである。 「副詞型オノマトペ」の場合、オノマトペの語音結合型は総4種類で、そ の中でも典型的な語音結合型である「ABAB」型は19例(76%)で『沙石集』の61例(80%)とは等しいが、『古今著聞集』の35例(39%)、『今昔物語集』の30例(55%)に比べ、高い割合である。 「動詞型オノマトペ」の場合、「オノマトペ語基+めく」型は「うめくㆍそ そめく」のように1音節ㆍ2音節のオノマトペ語基に結び付いて動詞化になったものであり、細かく言い分けられない状態の表現部分はオノマトペが補うという点で有用な言葉である。『十訓抄』に使われているオノマトペのほとんどの用例は、「ト」を伴って實質的な意義を持っている用言(動詞)に接続している。また、『十訓抄』には音象徴性を帯びている動詞を用いた表現が多く現れている。「わななく」「ののしりける」「よろぼひ」などの一般動詞が文章の中で意味的には音象徴性を帯びた生動感のある表現に用いられ、オノマトペの役割を充実に遂行している。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언어문화 속의 오노마토피아의 기능

        황규삼 ( Hwang Kyu-sa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6 No.-

        언어문화 속에서 한국어와 일본어 운용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미묘한 의미전달을 위해 어감(語感)을 구분하고자 음운체계(音韻體系)를 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언어의 보편성과 정합성(整合性)이 오노마토피아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잘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오노마토피아에서 한국어와 일본어는 동음반복형(同音反復形)의 첩어(疊語)가 발달되어 있으며 접미어가 결합하여 다양한 이형태(異形態)와 의미를 생산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주된 역할에 있어서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일본어의 특징 중 하나로 어두(語頭)에 탁음(濁音)이 오지 않는다는 「語音配列則」이 있지만 오노마토피아의 경우는 어두(語頭)에 탁음(濁音)을 오게 함으로써 단어의 의미만이 아니라 음상징적(音象徵的)인 인상(印象)과 표현가치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쳐 표현의 다양성과 적합성을 부여할 수 있었기 때문에 현재에도 그 기능은 잘 유지되어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노마토피아에 있어서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주된 역할은 일본어는 모음교체(母音交替)보다 어두(語頭)의 청음(淸音)· 탁음(濁音)의 교체 즉, 자음교체(子音交替)에 의해 어감의 차이가 보다 명확하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자음(子音)이 모음(母音)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뚜렷한 어감(語感)의 차이를 나타내거나 변화를 흡수해서 유사한 어감(語感)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한국어의 경우는 자음교체(子音交替)보다도 모음교체(母音交替)에 의해 어감(語感)의 차이가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즉, 모음(母音)이 「강세(强勢)와 대소(大小)·경중(輕重)·명암(明暗)·정밀성(精密性)」등 자음(子音)의 어감변화(語感變化)를 흡수, 통합하거나 유사한 어감(語感)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일상생활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애용되고 있는 오노마토피아가 주변적인 그룹으로 취급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는 문화속의 언어라는 관점에서 독자적 어휘체계(語彙體系)로 자리매김할 방법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 한다. 언어에 본질적으로 결여되어 있는 사태를 추상화하고 객관화하는 언어활동에 대해 언어의 기능원리를 이해하고 감성을 움직여서 인간의 감정과 감각을 직감적으로 변함없이 표현할 수 있는 생명력을 가진 오노마토피아야말로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소중한 자산이며 이 기능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언어문화활동을 윤택하게 하는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Consonant replacement in Korean and Japanese. The difference of vocabulary by vowel change was examined. In Onomatopia, Korean and Japanese have the same pronounced repetitive forms and have a common meaning that they produce various forms and meanings by combining the suffixes. However, in the main role of difference in the sense of the word, Respectively. One of the special features of the Japanese language is that there are no voices in the head of the word, but in the case of Onomatopia, the voiced sound comes to the head of the word, thereby affecting not only the meaning of the word but also the phonetic impression and expression value It can be said that the functions are maintained well and are operated efficiently. In addition, since th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 operators in the language culture are operating the phonemic system which seeks to distinguish the word sense for subtle meaning propagation in everyday life, the universality and consistency of the language is more effective for Onomatopia As shown in Fig. The main role of onomatopia is to show the difference of vocabulary by vocabulary substitution, vocabulary substitution, or consonant substitu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onsonants play a dominant role over the vowels and show a similar word sense by showing a difference of a clear word sense or absorbing a change. On the other hand, Korean language shows systematic and effective difference of vocabulary by vowel replacement than consonant replacement. In other words, the vowels are "strong and large. Light, darkness, and precision ",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sonants.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not considered that onomatopia which is unconsciously used in everyday life is regarded as peripheral group, but it is considered in the viewpoint of how it is positioned as an independent vocabulary system in future, I think it should be done. Onomatopia, which has the vitality to express the emotions and feelings of the human being unchanged by understanding the function principle of language and moving the sensibility about the language activity that abstains the situation which is essentially lacking in language, It is a valuable asset possessed by human beings, and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is function is one way to enrich language culture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