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가 주도 젠트리피케이션의 신화 -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로서 예술가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강지선 ( Kang Chis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1 예술과 미디어 Vol.20 No.1

        일반적으로 예술가는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pioneer)로서 인식되었다. 집값이 싸고, 쇠퇴한 동네에 들어온 예술가들이 지역을 창의적인 명소(名所)로 전환하는 선구자 역할을 함으로써 부동산 가격을 높이고 기존 거주자들의 전치(displacement)를 촉발하였기 때문이다. 예술가가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 혹은 선구자로서 묘사되는 ‘예술가 주도 젠트리피케이션(artist-led gentrification)’은 젠트리피케이션의 지배적인 유형이자 자연스럽고, 당위적인 ‘신화’로서 작용해왔다. 그러나 젠트리피케이션 담론에서 예술가의 역할은 논쟁 중에 있으며, 예술가의 개척자 이미지에 대한 의문에도 불구하고 개척자 신화는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젠트리피케이션에 있어서 예술가의 역할에 대해 재고함으로써 예술가주도 젠트리피케이션의 신화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젠트리피케이션의 주요 문헌들에서 예술가 이미지의 재현과 맥락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는 만연한 개척자 이미지에 의해 묻혔던 젠트리피케이션의 공모자, 희생자로서의 예술가뿐만 아니라 저항가로서 예술가에 관한 연구들을 재발굴하려 한다. 요약하자면, 예술가의 역할과 맥락의 복합성을 고찰하는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의 개척자로서 예술가에 대한 탈신화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젠트리피케이션 문헌 속 예술가들은 개척자 외에 공모자, 희생자, 저항가로서 다층적이며, 양가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도시 이데올로기는 예술가를 개척자로서 신화함으로써, 의도적인 젠트리피케이션을 예술가에 의한 자연스러운 도시화의 과정으로 대체하려 한다. 예술가의 개척자 신화는 공간의 고유한 이미지와 정체성을 구축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을 정당화하기 위한 시장 중심의 도시 정책과 깊은 연관이 있다. 반면 저항가로서의 예술가들은 안티-젠트리피케이션 행동주의에 참여함으로써 개척자신화와 젠트리피케이션의 당위성, 지배적인 도시 공간과 사회질서에 도전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변화의 동력으로서 예술적 저항과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에 있어 예술가의 복잡하고, 다변적인 역할을 드러내는 동시에 대항-헤게모니적 예술 실천의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가간의 일반화된 신화적 관계를 전복하는데 있다. Generally, artist is perceived as a pioneer of gentrification; The incoming artist in a cheap and decline neighborhood has played the role as a frontier to transform the area into a creative attraction. This has caused the property price rises and the displacement of previous residents. Artist-led gentrification, which describes artist as a pioneer or frontier, has been a dominant gentrification form; It works as a natural and an inevitable ‘myth’. However, the roles of artists in the gentrification discourse are in contestation. And the artist’s image as a pioneer is in questions as well. But the myth of the artist as a pioneer has persist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myth of artists-led gentrification by reconsidering artist’s role in gentrification process. This study explores the representation of the images of artists and their contexts from the major gentrification literature. Especially, this study revisits the literatures on artist as a complicit, a victim as well as a protester. These images of artists are buried due to the prevalent image of artist as a frontier. Briefly, this paper that examines the complex roles of artists and contexts, is an attempt to demystify the artist role as a pioneer of gentrification. In the literature, artists are represented playing complex and ambivalent role as a complicit, a victim, a protester as well as pioneer. Nevertheless, capitalist ideology mystify artist as a pioneer to replace an intended gentrification by a natural urbanization process. The myth of artist as a pioneer is deeply related with market centered urban planning to construct the authentic image and identity of a place. On the contrary, artists as protesters challenge the myth of the artist as a pioneer, the inevitability of gentrification, the dominant order of urban space and society by participating anti-gentrification activism. Therefore, we need to focus on artistic resistance and it’s possibility as an agent of social change. The signification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mplex and changing roles of artists in the gentrification process. This paper also provides a way to subvert the perceived myth of gentrification and artist’s relationship by discovering the implications of counter-hegemonic art practices.

      • KCI등재

        무라카미 타카시의 미술계 구조개혁: 예술가의 생존 문제를 중심으로

        박소현 미술사학연구회 2022 美術史學報 Vol.- No.59

        The existing evaluation of Takashi Murakami was formed around two axes: commercial success and critical/artistic value, and these two axes have been regarded as sharply opposed. However, Murakami himself did not see the two as conflicting or incompatible. As he entered the art world as an artist, the speculative nature of the art market accelerated, and the Japanese art world was in crisis as the Japanese bubble economy collapsed under the power of globalization, which forced Murakami and contemporary artists to experience an unprecedented survival crisis. Although the issue of artist’s survival become a critical one penetrating the art market and artistic value, the mainstream art world in Japan was almost indifferent to it. As such, even in criticism or research on artists like Murakami, the artist’s survival was rarely mention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examine Murakami’s thoughts and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Murakami’s commercial success or artistic achievement without discussing the artist’s survival problem. Rather than hastily condemning Murakami as a commercial artist, I wanted to scrutinize more carefully how the global art market changed the conditions of artist’s survival and commercialized art world, and how artists thouhgt and acted in such a market. To this end, I examined more extended artistic activities rather than analyzing Murakami’s works. This encompasses Murakami’s omnidirectional activities, that is, as an artist, curator, writer, critic, art educator, entrepreneur, etc., and includes Murakami’s remarks made through various media. By doing this, I tried to reveal that he has seriously questioned the survival of the artist as a collective subject, not as an individual, and practiced structural reform the art world in multifaceted ways under the conditions of globalization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art market. 무라카미 타카시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예술적 가치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이 두 축은 첨예하게 대립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정작 무라카미 본인에게 이 양자는 상충하거나 양립불가능한 것이 아니었다. 그가 예술가로서 현대미술계에 진입하는 시점에 미술시장의 투기적 속성은 더욱 심화되고, 세계화의 위력 하에 일본 버블경제가 붕괴하면서 일본 미술계도 위기에 봉착해 있었으며, 그로 인해 무라카미와 동세대 예술가들은 전례 없는 예술가의 생존 위기를 경험해야 했다. 그러나 예술가의 생존 문제가 미술시장과 예술적 가치를 관통하는 중대한 사안이 될 수밖에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주류 미술계는 예술가의 생존 문제에 무관심했다. 그런 만큼 무라카미와 같은 예술가들에 대한 비평이나 연구에서도 예술가의 생존은 거의 거론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가의 생존 문제를 논하지 않고 무라카미의 상업적 성공이나 예술적 성취를 평가할 수 없다는 관점에서, 무라카미의 생각과 활동의 궤적을 새롭게 살펴보려 했다. 이는 무라카미라는 예술가 개인을 상업적 예술가라는 평가로 성급히 단죄하기보다, 글로벌 미술시장이 예술가의 생존 조건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어떻게 미술을 상품화하고 착취하면서 성장하는지, 그러한 시장 내에서 예술가들은 어떠한 입장을 갖고 활동하지를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무라카미의 작품분석보다는 보다 확장된 예술활동을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무라카미의 전방위적 활동, 즉 작가, 큐레이터, 저술가, 비평가, 미술교육자, 기업가 등으로서의 활동반경을 아우르고,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진 무라카미의 발언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무라카미가 ‘현대미술계에서 예술가는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라는 질문과 해법에 줄곧 몰두해 왔으며, 무라카미가 예술가 개인을 넘어 예술가 일반이라는 집단적・집합적 주체의 생존을 본격적으로 문제화하고, 미술계의 구조개혁을 다방면으로 실천한 예술가였음을 밝히고자 했다.

      • KCI등재

        천재 신화의 풍자 -존 폰 뒤펠의『괴테가 전화하다』

        함수옥 ( Su Ok Ham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0 No.-

        Novel of the artist (Kunstlerroman) has long been one of beloved genres in the German literature since its heyday in the Romantic period. Readers are attracted to the novels of the artist with their curiosity over the creative individual and secrets of his or her works while authors are attracted by the possibility of being able to reflect on their own problems as writers by using artists as main characters in their novels. Goethe ruft an, a newly published novel by John von Duffel who is one of the most active authors in the German literary circle, may be categorized as a novel of the artist as it has an author as its main character and brings up the issue of ``secrets of creative writing,`` but at the same time, it takes a critical stance against traditional novels of the artist by making a caricature of motifs carved in the images of artists since the Romantic period such as genius, inspiration, depth of inner self, and masterpieces. This thesis analyzes Duffel``s novel as a parodic novel of the artist in the Post-Modern era and aims to find that Duffel``s satirical critique over traditional images of artists and esthetic views is relevant to his unique poetics that considers creative writing a physical as well as mental labor. 독일문학에서 예술가소설은 그 융성기였던 낭만주의 시대를 거쳐 현재까지도 꾸준히 사랑받는 장르이다. 작가들이 예술가 주인공을 매개로 하여 창작자로서의 자신의 문제를 성찰할수 있는 가능성에 끌린다면 독자는 창조적 개인과 그의 작품의 비밀에 대한 호기심으로 인해 예술가소설에 매료된다. 현재 독일문단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는 작가 중 한 사람인존 폰 뒤펠의 신작 소설 『괴테가 전화하다』는 작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창작의 비밀’이중요한 화두라는 점에서 예술가소설의 범주에 포함되지만 낭만주의 시대이래 예술가 상(이미지)을 각인해온 모티프들 천재, 영감, 내면의 깊이, 명작 등을 희화화함으로써 전통적 예술가소 설과는 비판적 거리를 취하고 있다. 본고는 뒤펠의 작품을 포스트모던 시대의 패러디적 예술가소설이라는 범주에서 분석하고 풍자를 통한 전통적 예술가 상 및 미학관에 대한 작가의 비판이 예술가는 노동자이며 창작은 정신 뿐 아니라 육체를 기반으로 한 노동이라는 그의독특한 시학과 연결되어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현업작가 3인의 예술노동과 직업 인식에 대한 연구

        백미현(Paek Mih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이 연구는 3인의 시각예술분야의 작가를 대상으로 예술가 직업정체성과 예술노동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사회적으로 직업을 밝혀야 할 때 예술가 대신 작가, ‘강사’라고 하거나 적당히 둘러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예술가가 사회적으로 직업으로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며, 대학에서 취업도 잡히지 않는‘무직’으로 취급받기 때문이다. 또한 참여자들은 각기 예술노동에 대해 인식이 달랐다. 예술노동이 노동처럼 보상받아야 한다는 생각은 C가 가장 강했고 현실적으로 자신의 독자성과 시장수요를 맞춰가며 작품 판매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전업작가인 A는 작품을 적게 팔아도 그 액수에 맞게 간소하게 살고 있다. B는 예술노동을 사회적으로 ‘지원’받는 방식을 비판하고 예술가가 예술의 가치로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존중’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예술가들이 예술의 공공성을 실현하고자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erception of artist occupational identity and art labor for threewriter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As results of the study, they were found to be “creator” or “instructor” instead of identifyingthemselves as “artist” when they had to reveal their jobs socially. The reason is that artists arenot socially accepted as jobs, and they are treated as “unemployed” who do not get a job incollege. In addition, each participant had a different perception of art labor. The idea that artlabor should be compensated like labor was the strongest in C, and in reality, C is activelystriving to sell works by matching her own uniqueness and market demands. Full-time creator Alives simply according to the amount even if she sells a small number of works. B criticizes theway art labor is socially “supported” and believes that artists should be “respectful” by contributingto society as the value of art. B saw that to this end, artists should try to realize the publicity ofart.

      • KCI등재

        이미지, 텍스트, 그리고 신화

        이혜원(Lee Hyewo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08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19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growth of Auguste Rodin’s phenomenal acclaim in East Asia, where he became established, in large part, through printed materials before actual works by the sculptor were seldom exhibited in the region. Examining pictures and textual accounts of Rodin published before the first major exhibition of his works in Japan, Korea, and China held in 1959, 1985, and 1993, respectively, this study argues that wide circulation of images and written texts of the sculptor’s works created a powerful version of Rodin myth in each country and questions Walter Benjamin’s claim that by being widely disseminated through reproductions, original works of art lose some of their authority.

      • 문학에 대한 기대와 르상띠망

        이은주(Lee, Eun-Ju) 관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學硏究 Vol.19 No.-

        김동리는 문단과 제도교육에서 영향력이 큰 문학인이다. 그런데 연구대상이 되었을 때 연구자들의 불만, 반감 등이 감정적으로 서술되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에서는, 그 이유를 문학 연구자들이 기대하고 있는 문학(개념)에서 비롯된 르상띠망(ressentiment)으로 보고, 그것의 내용을 구체화했다. 첫 번째는 김동리의 순수문학론이 체계를 갖춘 이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도적으로 신화화되었다는 것에 대한 불만이 드러났다. 신화화되면서 한국에서 문학이 역사 · 사회문제를 배제한, 한정된 소재를 다루는 영역으로 굳어졌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김동리가 지배담론(친일, 반공이데올로기)에 동조하거나 내면화하는 방식으로 문학론이나 작품을 구성해 나갔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청산되지 못 한 역사의 일부를 단죄하는 성격을 지닌다. 마지막으로 보수우익의 정치지향을 보인 김동리를 전략가, 문단정치가, 매체 장악력이 뛰어난 사람 등으로 평가하여, 지식인이자 예술가라기보다 정치적 인간에 가까웠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를 통해 문학연구자들은, 근대문학의 종언이 이야기되는 이 시대에도 여전히, 문학(가)이 현실에 문제제기를 하고, 진리와 정의를 옹호하는 것으로 역사를 이끌며, 국가(권력)와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편파적이지 않은 영역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ong-ri Kim is a prominent figure in the Korean Literary circle as well as in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t is interesting, however, to find that when he becomes a subject of study, scholars express their discomfort and animosity towards Kim. This research explains that such hostility stems from the ressentiment which is the result of the disparity between what the scholars ask of literature and Kim"s failure to fulfill their expectations. Firstly, scholars express their discontent concerning Dong-ri Kim"s Pure Literary Theory (Soonsoomunhakron: 순수문학론) arguing that it was institutionally mythicized although it was not a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ory. Its mythicization process involved Korean literature to become a field in which limited materials, excluding historical or social issues, are dealt with. Secondly, critics emphasize how Kim"s work and theory internalizes and aligns itself with the dominant discourse(pro-Japanese, anti-communist ideology). By drawing our attention to this fact, the scholars wish to partially redress an unsettled historical injustice. Lastly, judging the right wing conservative Kim as a strategist, literary politician, and a powerful media controller, critics portray him more as a political person than as an artist or an intellectual. Thus, this research discovers that the literary scholars still expect literature/writers to take on a critical role and pose questions, lead the historical progress by advocating verity and justice, and uphold an unbiased stance by maintaining a proper distance from the state (power) even to this day.

      • KCI등재
      • KCI등재

        권진규의 조각, 마네킹, 영화미술 - ‘조각(가)’의 경계에 대한 비판적 재고

        박소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3 No.-

        조각가 권진규는 왜 마네킹을 만들고, 왜 영화 세트를 제작했을까? 그의 마네킹 제작과 영화미술은 ‘조각가’ 권진규에게 어떤 의미였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했다. 기존의 권진규에 대한 평가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어렵다. 특히 자살로 생을 마감한 비운의 천재 조각가라는 신화화된 예술가상으로는 그 답을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대적 ‘조각’ 개념 자체가 근대화의 역동과 맞물리는 역사성을 띤 구성물이라는 관점에서 권진규가 예술가로서 첫걸음을 내딛고 활발한 활동을 벌였던 일본 미술계와의 관계 속에서 권진규의 ‘조각’을 재검토해 보고자 했다. 그럼으로써 그가 일본에서 조각, 마네킹 제작, 영화의 특수촬영용 미니어처 제작을 병행한 이력을 보다 확장된 ‘조각가’로서의 실천으로 포착하고자 했다. 즉 근대화 초기에 형성된 ‘조각’이라는 장르 개념이 대량생산·대량소비 사회, 대중문화 사회로의 변모 속에서 새롭게 재편되는 과정 속에서 마네킹 제작 및 영화미술이 조각가의 일로 새롭게 활기를 띠게 되었으며, 권진규가 이러한 미술사적 장면을 누구보다 생생하게 체현하고 있었음을 논했다. 그러나 일본에서의 귀국은 이러한 횡단적이고 역동적인 ‘조각(가)’의 장르 개념과의 단절을 의미했다. 영화계에서는 그를 일본에서 온 특촬 기술 전문가로만 호출해냈고, 미술계에서는 한동안 동시대적 흐름과 이질적인 조각가로 바라보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는 영화사에서는 잊혀진 존재로, 미술사에서는 한없이 숭고하고 비장한 ‘조각가’로만 신화화되었다. 이는 미술과 비미술, 순수예술과 문화산업, 예술과 기술 등을 가르는 뿌리 깊은 경계인식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귀국 후 권진규의 영화미술 활동을 미술사의 유의미한 장면으로 복원하는 작업까지를 포함하였으며, 이러한 확장된 관점을 통해서 권진규라는 ‘조각가’가 던지고 있는 ‘조각’이라는 장르 개념 또는 경계인식에 대한 질문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려 했다. Why did sculptor Kwon Jin-kyu make mannequins and why did he make a movie set? What did his mannequins and miniatures for film mean to the sculptor Kwon Jin-Kyu? This paper started with these questions. The existing evaluation of Kwon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In particular, it is more difficult to find the answer with the mythical artist image of a genius sculptor of misfortune who died by suicid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Kwon’s “sculpture” in his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art world, where he took his first step as an artist and vigorously engaged in artistic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modern concept of “sculpture” itself is a historical composition. By doing so, I tried to capture his sculptures, mannequins, and miniatures for films in Japan as a more expanded practice of “sculptor.” In other words, in the society of mass production, mass consumption, and popular culture, mannequin production and special effects in film became new jobs for sculptors, and Kwon was an sculptor who experienced and expressed such an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paper included restoring Kwon’s filmography as a meaningful activities in art history, and through this expanded perspective, I tried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question of the genre concept of sculpture by a sculptor Kwon Jin-kyu.

      • KCI등재

        자유주제 : 신성의 추구와 반역사주의의 논리 -정찬의 소설가 소설-

        황경 ( Kyeong Hw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1

        정찬의 소설가소설은 문학이 어떻게 신성 회복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관념적 탐색의 서사이다. 정찬 소설의 신성 추구는 현대 문명과 자본의 물신성에 대한 비판과 부정에서 비롯된다. 궁극적으로 그의 소설은 문학의 언어로 구축하는, 인류 역사가 근대 이성과 문명의 이름으로 퇴출시킨 원초적이고 우주적인 신화적 세계의 가치를 지향한다. 그에 의하면 역사는 언제나 끝없는 권력 욕망의 연쇄 과정이다. 정찬은 권력 쟁투의 역사를 부정하고 초역사적인 신성의 세계로 회귀함으로써, 훼손되고 타락한 현실을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문학(가)과 예술(가)이 이러한 초월의 주체로 호명된다. Jeong Chan`s novelist novels present a narrative of conceptual investigation into how literature can be the subject of divinity recovery. In his novels, his quest for divinity starts with his criticism and denial of fetishism of modern civilization and capital. His novels ultimately yearn for the primitive and cosmic mythical world liquidated by human history in the name of modern reason and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author, history is a chain process of power desire that never ends. He argues that man can escape from the damaged and degraded reality by denying the history of power struggle and returning to the ultra-historic world of divinity. Literature(literary figures) and art(artists) are called the subjects of such transcendence.

      • KCI등재

        기악음악으로부터 디오니소스적 음악 고찰

        허현숙 한국니체학회 2018 니체연구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니체의『비극의 탄생 Die Geburt der Tragödie』에서 나타난 주요 미적(美的) 의문들 중 하나인 ‘음악으로부터?(Aus der Musik?)’를 고찰하고 자한다. 니체는 음악이 다른 예술 분야와 달리 모든 예술을 뛰어넘는 근원적인성격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니체에 따르면 디오니소스적 예술로서 음악은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직시하여 이를 통해서 현상들 전체를 다시 살아나게 하는영원하고도 근원적인 힘*이다. 따라서 니체는 인간의 근원적 모순과 고통을 드러내주고 창조적인 삶으로 연결시켜주는 ‘디오니소스적 음악’의 부활을 꿈꾸었다. 니체는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이중성을 그리스 음악의 대표적 악기인 아울로스(Aulos)와 키타라(Kithara)에서 찾았다. 그리스 신화에서 아 폴로의 악기는 현악기의 일종인 키타라로 이성적인 것이고, 디오니소스의 악기는 관악기의 일종인 아울로스로 감성적인 것이다. 논자는 그리스 악기인 키타라와 아울로스로부터 나타나는 불협화음이 합주와 변주를 통해 화음으로 발전하는 것처럼 음악이 삶의 근원적인 고통과 부조리함으로부터 인간을 구원할 수 있는 삶의 절대긍정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will consider “From music?”, that is one of the major aesthetic issues of Nietzsche’s Die Geburt der Tragödie. Nietzsche knew that music was different from all other arts, but it had a character and an origin beyond them. According to Nietzsche, as a Dionysian art, music represents the eternal and original artistic power that revolves the whole world of phenomena, through which it can face without disturbing pain. Therefore, Nietzsche dreamed of the resurrection of ‘Dionysian music’, which reveals the fundamental contradictions and sufferings of human beings and connects them to a dynamic and creative life. Nietzsche was able to find the duality of Apollo and Dionysian in Aulos and Kithata, the representative instruments of Greek music. Because kithata, a kind of stringed instrument in Greek mythology, was an instrument of Apollo, and aulos, a kind of wind instrument, was an emotional instrument of Dionysus. Now the author the writer hope to show that the dissonance found in the imitation form of Greek music, Kithara and Aulos instruments, is transformed into a harmonious sound through mutation and reconciliation 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