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대’와 ‘환영’ 사이 -‘예술가소설’로 읽는 서영은의 『그녀의 여자』

        오자은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1

        성공한 중년 여성 화가가 젊은 여성과 사랑에 빠지고 집착 끝에 자살한다는 내용의 그녀의 여자는 그동안 서영은이 그려 왔던 반도덕적 인물의 성향이 가장 집약적으로 나타나는 소설이다. 이 글에서는 주인공 현석화가 ‘예술가’라는 것을 고려했을때 그 위반의 의미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는 전제 하에 이 소설을 예술가소설로독해했다. 그녀의 여자는 남성 예술가가 오랫동안 독점해 온 자리에 중년 여성을자리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예술가소설과 다른 독특한 지점을 만든다. 이러한 분석을위해 2장에서는 완벽한 관계라고 믿었던 남편이 자살한 뒤 그간의 삶과 예술의 진실성에 대해서 의심하게 되는 현석화의 위기를 다루었다. 현석화는 타성과 무상함을 극복하기 위한 완벽한 가치를 찾는데 이는 소설 속에서 ‘절대’라는 말로 표현된다. 3장에서는 그 ‘절대’를 이룰 수 있는 대상으로서 현석화가 아들의 연인인 소연과 겪는 사랑의 의미와 그 사랑이 예술적 행위로 유비되고 있음을 살폈다. 이는 어린 여성을 영감의 대상인 뮤즈로 삼아왔던 전통적인 남성 예술가의 자리에 현석화가 자신의 예술적 자아를 넣어 본 것이라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절대’의 완성으로서의 죽음과 그아이러니를 살폈다. 현석화는 서로의 감정이 퇴색되기 전, 가장 아름답고 순수한 절정의 순간에 목숨을 끊는다. 이는 예술가로서 현석화가 그동안 도달하지 못했던 아름다움에 대한 자기실현이기도 하다. 그러나 ‘절대’가 실현된 순간, 즉 예술가로서 동경하던 가치를 실현한 순간 인간으로서의 예술가 자신은 파괴되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석화라는 인물형은 예술가의 본능, 예술과 삶의 딜레마를 그린 토마스 만의 소설 베니스에서의 죽음의 주인공 아셴바하를 상기시키지만, 욕망과 절대의 추구라는 면에서 아셴바하보다 훨씬 급진적인 태도를 취하며, 가공할 여성적 욕망의 신화적 형상 페드라의 재해석이 되기도 한다. 서영은은 예술가소설의 주인공으로 여성을 내세우고 예술가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는 오랜 딜레마, 생활과 예술의대립이라는 구도에서 '비타협적 절대'의 입장을 끝까지 밀고 나아감으로써 예술가소설의 장르를 갱신할 뿐만 아니라 가부장적 지배 속에서 부정적으로 채색되어온 여성의 욕망의 의미를 전도시킨다. "'Her Woman'" is a novel where Seo Young-eun's depiction of morally ambiguous characters is most intensely manifested. In this text, the assumption is made that the protagonist, Hyun Seok-hwa, being an 'artis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her transgressions, and the novel is analyzed as an artist novel under this premise. To facilitate this analysis, Chapter 2 delves into Hyun Seok-hwa's crisis of doubt regarding the truthfulness of her life and art after her husband, whom she believed had a perfect relationship with, commits suicide. Hyun Seok-hwa seeks the perfect value to overcome her otherness and innocence, a pursuit epitomized in the novel by the term 'absolute.' Chapter 3 explores the meaning of love between Hyun Seok-hwa and So-yeon, her son's lover, as a means to achieve this 'absolute,' and how that love becomes an artistic act. Chapter 4 examines the completion of the 'absolute' through death and its irony. The character of Hyun Seok-hwa demands attention, as she deviates from the archetype of the male artist in conventional artist novels, thereby acquiring a distinct significance. This is explored through a comparison with Ašenbaha from "Death in Venice," sharing the same motif, and a contrast with the myth of Phaedra.

      • KCI등재

        염상섭 소설의 예술가 표상 연구 -「사랑과 죄」,「모란꽃 필 때」를 중심으로-

        선민서 ( Min Seo Seon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사랑과 죄」, 「모란꽃 필 때」는 염상섭이 식민지 조선에서 예술가로 산다는 것의 정치·사회적 의미를 질문하는 식민지형 예술가소설이다. 「사랑과 죄」와 「모란꽃 필 때」에서 조일(朝日) 예술가의 관계는 사제(師弟) 관계의 형식으로 표상된다. 근대미술의 이식에 따른 식민화단의 형성은 제국 일본/식민지 조선의 불균형한 위계를 바탕으로 했다. 염상섭 소설의 조일(朝日) 예술가가 사제관계로 표상되는 저변에는 제국/식민지 예술 사이의 낙차가 존재한다. 염상섭의 소설 「사랑과 죄」는 식민지 조선에서 서양화단이 형성기에 있었던 시기에 발표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조일(朝日)의 예술가들은 낭만주의적 의미의 예술가(artist)가 아닌 문사(文士)의 형식으로 표상된다. 반면에 1930년대작 「모란꽃 필 때」에 이르러 조일(朝日)의 예술가는 낭만주의적 예술가(artist)의 형상으로 주조된다. 「모란꽃 필 때」에 이르러 미술가라는 직업은 가난이라는 기표와 연관을 맺으며, 무일푼의 상태로 자신의 예술 세계에 전념하는 낭만적 예술가 형상이 나타난다. 「사랑과 죄」와 「모란꽃 필 때」에 나타나는 예술에 대한 묘사에서 특징적인 점은 두 작품이 모두 ‘동경미술전람회’라는 기표를 소환하고 있다는 점이다. 염상섭은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들을 그려내며, 그들이 자신의 예술 세계를 인정받는 정점에 동경미술전람회를 배치한다. 이는 예술가로 서의 미적 성취를 인정받기 위한 최상의 선택지가 제국 미술계로의 진출일 수밖에 없었던 식민지 예술가들의 불우한 운명을 보여준다. 제국미술의 장(場)에 노출된다는 것은 제국 권력의 시선을 학습하고 내면화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피식민자를 검열하고 포섭하려는 제국/식민 권력의 작용 속에서도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들은 내파의 지점들을 마련해왔다. 염상섭의 장편소설 「사랑과 죄」, 「모란꽃 필 때」는 식민지 조선의 예술가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탐색한다. Yeom Sang-Seop``s novel Love and Sin, When the Peony Blooms which publish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named ``colonial artist novel`` which raised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does it mean living as an artist in colonial Joseon?``. In Love and Sin and When the Peony Blooms,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s artist is represented as master-pupil relations. The formation of Colonial art world which was driven by transplanting the western modern art on Joseon is based on unbalanced hierarchy between Empire Japan and Colonial Joseon. In Love and Sin the late 1920s artworks published in a formative period of western painting art system, artist in Joseon and Japan are both represented as a ``literary man`` rather than a romanic sense of ``artist``. However in When the peony blooms the early 1930s artworks published in the periods after the exhibition system is established, Japanese master Bang-Cheon-Chu-Su and Korean(Joseon) pupil Kim-Jin-Ho are represented as a romantic sense of artist. In When the peony blooms, a career visual artist is related to a signifier of ``poverty`` and finally ``a poor artist features`` are completed. Artists in Joseon were to fall into financial hardship and the only way they can get recognized as an career artist is to gain the official approval from the empire of Japan. However it meant that they should learn and internalize the point of view of the empire. Yeom Sang-seop``s artist novel shows us the following: To live as an artist in colonial Joseon, they had to consistently come up with point of implosion against the empire/the colonizer which try to oppress and sensor the colonial/colonized.

      • KCI등재

        자연사랑, 예술사랑 그리고 인간사랑 -헤르만 헤세의 자전적 예술가소설 『페터 카멘친트』

        노태한 ( Tae Han Noh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4 독일언어문학 Vol.0 No.63

        『자정 너머 한 시간 Eine Stunde hinter Mitternacht』과 『헤르만 라우셔의 유고 산문과 시 Hinterlassene Schriften und Gedichte von Hermann Lauscher』 등 헤세의 이전 작품들이 대체로 독일 낭만주의 전통을 계승하는 가운데 미와 꿈의 세계와 예술을 위한 예술, 정신세계 등을 지향하는 데 반해 그가 1904년 2월 발표한 데뷔소설 『페터 카멘친트 Peter Camenzind』는 보다 더 인간의 현실세계를 문제로 삼는다. 청년 작가 헤세의 관심이 자연과 예술에서 인간과 현실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이전 작품들에서 아웃사이더의 ‘내면으로의 길’이 주로 다루어졌다면 『페터 카멘친트』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주인공 카멘친트의 ‘밖으로의 길’이다. 한편『페터 카멘친트』는 『데미안』에서 『유리알유희』에 이르는 헤세의 이후 대표적인 소설 작품들의 여러 가지 주제들을 선취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전기적 요소·신화적 인물로서의 주인공·인물들 간의 우정-적대 관계·변증법적 사건 전개 등 서사 구조의 면에서도 후기 작품들의 선구가 된다. 감정이입적 자연묘사, 인간 심리의 깊이 있는 이해와 세밀한 묘사, 짜임새 있는 서사와 탁월한 언어구사가 돋보이는 『페터 카멘친트』는 젊은 시인 헤세의 소설가로서의 새로운 가능성과 면모를 보여준다. 작품 발표 당시 한 비평가의 평가에 의하면 『페터 카멘친트』는 헤세 문학 최초의 절정으로 “근래의 가장 아름다운 독일 산문 가운데 하나”이며 헤세가 독일의 “가장 뛰어난 작가들 가운데 하나”가 되는 길에 들어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후일 작가 스스로 작품을 회고하며 밝힌 대로 『페터 카멘친트』는 헤세의 “전 작품을 관류하는 핵심적인 내용의 출발점”이 되는 작품으로 작가 헤세의 “전 생애를 고찰하고 분석할 때 기초로 삼아야 할” 소설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페터 카멘친트』를 교양소설 또는 발전소설의 한 중요 장르인 ‘예술가소설’로 이해하고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예술가소설은 주로 예술가 개인과 그를 둘러싼 사회 간의 갈등을 문제로 삼지만 본 논문에서 필자는 농부 출신의 작가지망생인 주인공 페터 카멘친트의 예술가로서의 내적 변화와 발전, 특히 그의 문학관과 인생관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텍스트를 분석한다. 예술가 개인과 사회의 갈등보다는 개인의 정신과 영혼의 변화와 발전에 더 많은 비중을 두면서 카멘친트의 지향이 ‘신화적’인 문학, ‘자연’문학에서 ‘인간’의 문학, 인간을 위한 문학으로 변모해 가는 과정을 텍스트를 중심으로 추적해본다. 이와 함께 작가 헤세의 관심이 미와 꿈, 자연 등에서 현실과 인간, 휴머니즘의 방향으로 서서히 옮겨가고 있음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천재 신화의 풍자 -존 폰 뒤펠의『괴테가 전화하다』

        함수옥 ( Su Ok Ham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0 No.-

        Novel of the artist (Kunstlerroman) has long been one of beloved genres in the German literature since its heyday in the Romantic period. Readers are attracted to the novels of the artist with their curiosity over the creative individual and secrets of his or her works while authors are attracted by the possibility of being able to reflect on their own problems as writers by using artists as main characters in their novels. Goethe ruft an, a newly published novel by John von Duffel who is one of the most active authors in the German literary circle, may be categorized as a novel of the artist as it has an author as its main character and brings up the issue of ``secrets of creative writing,`` but at the same time, it takes a critical stance against traditional novels of the artist by making a caricature of motifs carved in the images of artists since the Romantic period such as genius, inspiration, depth of inner self, and masterpieces. This thesis analyzes Duffel``s novel as a parodic novel of the artist in the Post-Modern era and aims to find that Duffel``s satirical critique over traditional images of artists and esthetic views is relevant to his unique poetics that considers creative writing a physical as well as mental labor. 독일문학에서 예술가소설은 그 융성기였던 낭만주의 시대를 거쳐 현재까지도 꾸준히 사랑받는 장르이다. 작가들이 예술가 주인공을 매개로 하여 창작자로서의 자신의 문제를 성찰할수 있는 가능성에 끌린다면 독자는 창조적 개인과 그의 작품의 비밀에 대한 호기심으로 인해 예술가소설에 매료된다. 현재 독일문단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는 작가 중 한 사람인존 폰 뒤펠의 신작 소설 『괴테가 전화하다』는 작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창작의 비밀’이중요한 화두라는 점에서 예술가소설의 범주에 포함되지만 낭만주의 시대이래 예술가 상(이미지)을 각인해온 모티프들 천재, 영감, 내면의 깊이, 명작 등을 희화화함으로써 전통적 예술가소 설과는 비판적 거리를 취하고 있다. 본고는 뒤펠의 작품을 포스트모던 시대의 패러디적 예술가소설이라는 범주에서 분석하고 풍자를 통한 전통적 예술가 상 및 미학관에 대한 작가의 비판이 예술가는 노동자이며 창작은 정신 뿐 아니라 육체를 기반으로 한 노동이라는 그의독특한 시학과 연결되어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주의자소설의 멜로드라마적 특성과 실명(失明) 모티프

        노승욱(Roh, Seung-wook)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4

        이 논문은 지금까지 한국 현대소설연구사에서 개별작품론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는 현경준의 데뷔작 『마음의 太陽』에 대한 본격적인 작품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월북작가이자 재만조선인작가인 현경준은 카프에 대한 제2차 검거가 진행되고 있던 시기에 신문연재소설로 『마음의 太陽』을 발표했는데, 이는 일제의 감시와 검열을 피하면서 사회주의적 이념에 토대한 소설 창작을 수행하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은 표면적으로 멜로드라마적 애정소설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이념지향적 주의자소설의 특징을 함축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는 당시 유행하던 신문연재소설의 멜로드라마적 특성이 확연히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선명한 이분법적 대립구도, 주인공을 둘러싼 남녀 간의 삼각관계, 주인공이 역경을 극복하고 끝내 성취하게 되는 숭고한 결말 등은 이광수의 『無情』에서 발견할 수 있는 멜로드라마적 서사구조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소설창작 이력에 있어서 『無情』이 갖는 영향관계를 고백한 바 있는 현경준은 『마음의 太陽』에서 대중적인 신문연재소설에 걸맞는 멜로드라마적 서사구조를 수용했지만, 주의자소설로서의 독창적인 스토리와 주제의식 또한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에서는 음악과 미술에 천재적인 재능을 갖고 있는 주의자 주인공에게서 나타나는 실명(失明) 모티프가 나타나고 있다. 이 소설에서 다층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태양’이 상징하는 궁극적인 의미는 그 어떤 불구성도 극복할 수 있는 신념으로서의 예술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가소설의 면모도 나타내고 있는 이 소설에서 화가인 주인공은 실명이라는 불구적 상황을 음악이라는 또 다른 예술을 통해서 극복하고자 하는데, 이는 사회주의문학운동에 대한 사상적 억압을 문학의 예술정신을 통해서 극복하고자 했던 현경준의 작가의식을 상징적으로 유비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on Hyun Kyung-jun"s debut novel, Sun of Heart, which has not been studied as an individual piece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 research so far. As a writer who goes to North Korea and Korean writer in Manchuria, Hyun Kyung-jun published his serial novel in the newspaper, Sun of Heart at the time of the second arrest of KAPF, which means he, a member of Alliance of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intended to escape the vigilance and censorship under Japanese imperialism and also created his novels based on socialistic ideology. This novel has melodramatic characteristics of love novel on the surface, but impl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of Ideologist. The serial novel in the newspaper was popular at the time, and the melodramatic characteristics of love novel was clearly showed in this novel. Especially, the dichotomous composition of debate caused by discrimination or conflict class, love triangle surrounding the main characters, and the sublime ending through overcoming trials are similar to the melodramatic narrative structure found in Lee Kwang-soo"s The Heartless. Hyun Kyung-jun had confessed that he was influenced by Lee"s works before he created his novels. He accepted melodramatic narrative structure in his first debut novel as befits its popular serial novel in the newspaper. However, he displayed the aspect of the novel of ideologist on the theme of his novel. This novel showed the motif of blindness through the main character who has a genius for music and art. The layers meaning of "Sun" in this novel symbolizes the spirit of art as its faith that can overcome any disability. This novel has some aspects of the novel of artist, and the main character who tried to get over his disability, his blindness by another form of art, the music. That symbolically shows the consciousness of Hyun Kyung-jun who wanted to overcome ideological suppression through the sprit of art.

      • KCI등재

        위안의 서사와 불화의 서사: 1980년대 교양소설의 두 가지 문법 -이문열과 이인성의 소설을 중심으로

        오자은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6

        In spite of their significant differences in writing style and artistic and social attitude Yi Mun-yol's “Days of Youth” and Yi In-seong's “Into an Estranged Time” can be both regarded as the pioneering and the most successful works of Bildungsroman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nsofar as the struggle of a young man of artistic and literary interests with the world and his endeavour to find his own self stand at the center of both novels. This article carries out a tho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representative Korean Bildungsromans and examines the question why this old european genre get an actual meaning in the literary and social context of the Korean 1980s and what differences they show in concretizing the generic schema. In 1970s and 80s when the South Korean society was defin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and oppressive anti-communist dictatorship and the fre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was severely endangered, the key question of the genre about a young man’s finding and building his own independent self identity seemed to the young generation more than of literary concerns, especially to the college students with liberal minds and artistic sensitivities. It means that the Korean Bildungsroman of 1980s can be understood as a literary reaction to the social reality which made the question of the defence of self-identity an urgent issue. Though confronted with the same problems, the two writers let their heroes take different paths of self-realization. While Yi Mun-yol depoliticize the art and literature and tries to harmonize the youthful yearnings of his literary ambitious and rebellious hero Young-hun with the conformist middle-class life of his later self, Yi In-seong’s nameless hero sees the only way of self-realization in an endless negation of everything established and settled and denies to become any identifiable self. These two contrary attitudes of the novelists are reflected in their respective narrative styles. Yi Mun-yol narrates more realisticall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s ‘mature’ self, while Yi In-seong carries the avant-garde writing style which tends to the destruction of narrative coherence to its extreme. 80년대 초는 이후 한국 문학사에서 ‘교양소설’을 논의할 때, 지속적으로 호명될 걸출한 두 작가의 연작 소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과 이인성의 『낯선 시간 속으로』가 출간된 때이다. 우선 교양소설이 아직 완성에 이르지 못한 젊은이가 현실과 투쟁하면서 다양한 체험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고 이 세상에서의 자신의 사명을 어떻게 확신해 나가는가를 서사의 근본적 구조물로 삼는다면, 이 두 소설은 두 작가의 글쓰기 스타일과 지향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히 전형적인 교양소설의 문법을 충실히 따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본격적인 교양소설이 이 시기에 연이어 등장하고 모두 독자의 큰 반향을 얻은 것은, ‘어떻게 자기를 찾을 것인가’라는 교양소설 장르의 근본적 물음이 급격한 산업화와 억압적 정치 현실로 요약될 수 있는 80년대 초의 한국 현실 속에서 첨예한 의미를 획득하게 된 것과 밀접하게 관계된다. 그것은 특히 예민한 내면과 예술적이고 자유로운 성향을 가진 20대 초반의 문청 남자 대학생에게 절박하게 대답되어야 하는 문제였고, 젊은이의 ‘형성’ 과정, 즉 불안정하고 부정형 상태인 젊은이가 ‘자아와 세계의 불일치’에서 ‘조화’로 가는 성숙의 과정을 그리는 교양소설이라는 장르는 이러한 문제와 문학적으로 대결하기에 매우 적합한 틀을 제공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80년대 초반의 대표적인 교양소설 『젊은 날의 초상』과 『낯선 시간 속으로』가 당대 현실에 대한 장르적 대응이라는 전제 하에, 우선 이 두 편의 소설이 공유하고 있는 소설적 구조와 정서에 대해 검토한 다음, 두 소설이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교양소설이 제기하는 근본적 문제에 대하여 상이한 태도와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그것이 당시 현실에서 자아의 구원에 이를 수 있는 두 가지 대안적 가능성에 상응함을 밝히고자 했다. 2장에서는 『젊은 날의 초상』과 『낯선 시간 속으로』가 문청 대학생의 세계와의 대결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사한 줄거리 구성을 보인다는 점, 그리고 두 소설의 주인공의 활동 영역이 모두 ‘유배’의 시공간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배의 시공간이 자아의 구원을 위해 미적 가치를 추구하는 주인공들이 세계와 갈등 관계에 있음을 상징하는 동시에, 세계에 포섭되어버리지 않으면서 자아를 형성해갈 수 있는 실험적 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3장에서는 이문열의 소설에서 자아와 세계의 갈등과 긴장이 어떻게 해결되는지 서술하였다. 『젊은 날의 초상』의 주인공 영훈은 중산층의 평균적 삶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과 아름다움을 향한 문학적, 예술적 열망 사이에서 분열된 존재로서, 결국 미적 이상을 도달 불가능한 초월적 위치로 끌어올림으로써 평균치의 삶에의 안착을 정당화하고 분열에서 벗어나 결국 삶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 방황의 청산과 화해의 과정은 삶에 안착한 화자의 시선에서 젊은 날의 방황을 바라보는 회고적 형식을 통해 안정감 있는 위안의 서사로 완성된다. 4장에서는 이인성 소설의 주인공이 걸어가는 대조적 행로를 추적하였다. 교육자, 학자의 집안이라는 무게가 주는 중압감 속에서 성장한 주인공은 자신에게 외적으로 강요되는 모든 정체성을 거부하고 연극 속에서 고유한 자아를 찾고자 한다. 그러면서 진정한 연극, 진정한 자아는 끝없는 자기 부정과 변신, 다른 연극, 다 ...

      • KCI등재

        소설가 소설과 ‘구보형 소설’의 계보

        나은진(Rah, Eun Jean) 구보학회 2006 구보학보 Vol.1 No.-

        박태원의 소설 「小說家仇甫氏의 一日」은 소설가 소설이다. 소설가 소설은 소설과 현실의 경계선이나 소설의 존재의의, 문학 일반론, 작가의 삶 등의 주제에 쉽게 접근하도록 해 주므로, 소설의 자기반영성과 메타픽션적 특징을 통해 소설의 소통양식, 시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을 드러내기에 유리한 양식이라는 의미에서 우리 소설문학사에 독보적인 존재로서 자리매김 된다. 나아가 “구보형 소설”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소설가 소설의 계보에서 뚜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30년대 박태원의 소설에 뒤이어 1970년대 최인훈의 15편 연작소설 󰡔小說家丘甫氏의 一日󰡕과 1990년대 주인석의 5편 연작소설 󰡔검은 상처의 블루스: 소설가 구보씨의 하루󰡕가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 작품들은 소설가가 주인공으로서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여건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소설가의 역할 탐색과 소설쓰기의 의미를 진지하게 고찰하고 소설가의 정체성 확인과 자기반성을 소설쓰기의 형식을 통해 드러낸 작품들이다. 고현학으로서 시대의 인식을 창작기법화한 박태원, 시대에 대한 담론공간을 창작의 원리이자 정체성으로 확보했던 최인훈, 현실의 이면을 과거로부터 탐색하는 주인훈은 각각 소설가 ‘구보(仇甫)’와 ‘구보(丘甫)’, ‘구보’라는 소설속 인물인 소설가로부터 비롯된다. 박태원, 최인훈, 주인석 세 작가의 차이는 바로 그들이 위치했던 시대, 그 시공간성의 차이이며, 각각 자신의 시대에서 사회와 문학의 위기에 대한 문학적 응수이자 대안제시의 한 방법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적 예술가 소설의 하위갈래로서 구보형 소설가 소설은 박태원 이래 현재까지 맥을 이어 창작되고 하나의 계보를 형성할 힘을 얻을 수 있었다고 본다. 다른 소설가 소설들과 달리 한국 현대소설에서 ‘소설가 구보’형 소설들은 특정 시공간성에 대한 편력을 중심으로 자성적 자기반성과 소설가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 특유의 기법실험과 함께 새로운 소설 세계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특유의 소설작법과 서사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앞으로도 생산적인 소설 창작의 원형이 되어 창작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상호텍스트성의 근원이 됨과 동시에 능동적 힘을 지닌 모티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보형 소설가 소설들은 소설의 위기론에 대한 소설적 대안으로서 항상 한국 소설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해 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one of novels by Park Tae-Won, is a novelist novel. Since the novelist novel allows us to easily approach to the boundary between a novel and reality, existence meaning of a novel, general considerations on novel or life of the writer, it has been positioned as an unique existence of our history of novel literature in such a sense that it is an advantageous form to unveil communication style of novel and recognition on era and society through features of novel such as self-reflection and metafiction. Moreover, it has occupied a distinctive position in a genealogy of artist novel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as “Gubo-Style Novel”, since it has constituted a stream from a novel of Park Tae-Won in 1930s, to 15 volumes of novel cycle,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by Choi In-Hoon in 1970s and 5 volumes of novel cycle, 󰡔Blues of Black Wound: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by Joo In-Seok in 1990s. These literary works of which heros are novelists look for the roles of novelist, seriously consider the meaning of writing a novel based on their recognition on the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and unveil their identity confirmation and self-examina- tion through a form of writing a novel. The three novelists including Park Tae-Won who had made the recognition on the era with modernologie into a creation technique, Choi In-Hoon who had secure a discussion space on the era as a creation principle and identity, and Joo In-Seok who had searched the other side of reality from the past have arisen from the novelists ‘Gubo(仇甫)’, ‘Gubo(丘甫)’, and ‘Gubo’ respectively. The dif- ferences between these three novelists are exactly same as those from eras when they were located, so to speak space time differences, and also a kind of literary countermove against social and literary crisis at each own era and one of the methods to suggest alternatives. Hence, it is con- sidered that the Gubo-style novelist novel has been created with keeping up spirits from Park Tae-Won through the current and got the strength to form a genealogy as a subordinate branch of Korean artist novel. Contrary to the other novelist novels, the ‘Novelist Gubo’ style novels of the Korean modern novels have constituted an unique novel writing technique and epic structure in the respect that they have confirmed a reflective self- examination and own identity as a novelist laying stress on the pilgrimage for a certain time and space and sought a new world of novel with a peculiar technique experiment. This means that it may be a root of inter- text to be able to make effect on creation as an original form of produc- tive novel creation and a motive with an active power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hat the Gubo-style novelist novels have contributed to always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novels as the novel alternatives against crisis argument of novel.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드러난 금기와 용서의 아포리아

        최현주 ( Hyun Joo Cho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4

        언표화된 담론의 질서로서의 금기의 기원과 기능을 한국소설사에서 일찍부터 포착해낸 이가 바로 소설가 이청준이다. 이청준 소설의 주요한 탐구대상은 한국 현대사회에서 작동하는 금기의 생성과 조직, 배치와 재생산에 대한 것들이었다. 그는 현실 공간에서 당대의 지배 권력과의 직접적 투쟁의 형태가 아니라 간접화된 문화양식으로서의 소설쓰기를 선택하여 현실 권력과의 가시적인 대결이 아니라 보다 근원적인 언어혹은 예술의 장에서 치열하게 금기와의 싸움을 수행해나갔다. 이청준 문학이 금기에의 저항과 쟁투였다고 한다면 그러한 금기와의 싸움은 언어와 담론의 질서에 대한 치밀한 탐구로부터 출발하였다. 즉 그의 소설이 언어로부터 시작해서 언어로 끝난다는 발화는 이청준 소설의 경계와 지평을 제대로 표상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그의 언어에 대한 집요한 탐구는 언어사회학 연작뿐만 아니라 그의 모든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변주된다. 결국 이청준은 자본주의 사회의 폭력성을 극복할 대안으로 언어를 매개로 한 소설 혹은 예술을 상정하고 미적 근대성을 구현하려했다. 이청준의 예술가 소설이 지향한 것은 패배와 복수,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것의 궁극은 예술을 매개로 한 시대와의 화해와 용서였다. 그런 점에서 예술가소설에 나오는 패배한 예술가들은 타락한 시대에 대한 패배자로서의 복수를 지향한 것이 아니었다. 근대 사회의 금기 체계에 저항하기 위한 거점으로서 예술의 세계를 발견했던 이청준이 직접적인 대결과 저항이 아닌 화해와 용서로 나아간 점은 어떤 개념과 직관으로도 포착하기 어려운, 하나의 객관적인 총합으로 환원되지 않는다는점에서 아포리아적이다. It was the novelist Lee Cheong-jun that grasped the origin and functions of taboo as the order of locutionary discourse early in the novel history of Korea. In his novels, he focused his inquiry on the creation, organization, arrangement and reproduction of taboos that were working in modern Korean society. Instead of engaging in direct struggle with the ruling power of the times in real space, he chose to write a novel as an indirect style of culture and had fierce fights against taboos in the more fundamental linguistic or artistic venues rather than visible face-off with the real power. His literature presented his resistance and struggle with taboos, and his fights against taboos began with his minute inquiry into the orders of language and discourse. That is, the saying "Lee``s novels start and end with language" represents the boundaries and horizons of his works correctly. His persistent inquiry into language was in repeating variations across all of his works as well as the series Sociolinguistics. In the end, he introduced language-mediated novel or art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violence of capitalist society and tried to embody aesthetic modernity. In his artist novels, he was oriented toward a place beyond the dialectic between defeat and revenge and between the master and slave. Its ultimate point was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with an era via art. In that aspect, the failing artists in his artist novels did not seek evenge as losers in the degenerate days. Lee, who discovered the world of art as a base of resistance against the taboo system of modern society, moved toward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rather than direct confrontation and resistance, which is some sort of aporia in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with any concept and intuition and cannot be reduced to a single objective sum.

      • KCI등재

        공포와 운명 최인훈의 「하늘의 다리」 다시 읽기

        김영찬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동서인문학 Vol.- No.64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context of Choi In-hoon’s “Leg on the Sky” in his literary world. In this novel, In this novel, the sense of the time as a living person who has no choice but to watch the chaotic reality as a helpless bystander is inseparably combined with the reflection on what the novel should be like in such a situation. As such, “Leg on the Sky” is a self-reflective artist novel that dramatizes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his own writing in the middle of Korean reality in the form of novel theory written in fiction. There is a harmonious combination of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aspect of life and art theory, and thus this novel has become a literary embodiment of the novel theory with the realization of life. In that respect, this novel is a fictional version of “One Day of Novelist, Gu-Bo” which contains reflections on daily life and art as a living and artist living in the contemporary reality. The position of Choi In-hoon’s “Leg on the Sky” in his literary world is not irrelevant to the fact that the novel is a literary self-examination. At the same time, “Leg on the Sky” had a meaning as a literary turning point from “archaeology,” which explores the strata of the past, to “modernology,” which reflects on the present. Choi In-hoon plays the inevitable dilemma of his novel leaning toward methodical abstraction rather than the concreteness of customs in Korean situations by borrowing the mouth of an artist who suffers from the fear of methodological isolation that cannot be solved in “Leg on the Sky”. This novel questions the inevitable dilemma and asks the way the novel should go. 이 연구는 최인훈의 문학세계에서 「하늘의 다리」가 차지하는 의미와 맥락을 살펴본다. 「하늘의 다리」에는 어지러운 현실을 무력한 방관자로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생활인으로서의 당대적 감각과 그런 상황에서 소설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이 뗄 수 없이 결합해 있다. 그처럼 「하늘의 다리」는 당대적 현실의 한가운데서 자기 자신의 글쓰기가 안고 있는 문제 상황을 ‘소설로 쓴 소설론’의 형태로 극화(劇化)한 자기반영적인 예술가소설이다. 거기에는 생활의 면면에 대한 사실적 재현과 예술론이 조화롭게 결합해 있고, 그럼으로써 이 소설은 생활의 실감이 입혀진 소설론(예술론)의 문학적 체현이 되었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당대적 현실을 살아가는 생활인이자 예술가로서의 일상과 예술에 대한 성찰을 담아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의 허구적 버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최인훈의 문학세계에서 「하늘의 다리」가 갖는 위치는 이 소설이 그처럼 자기 소설에 대한 문학적 자기 점검이라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동시에 「하늘의 다리」는 과거의 지층을 탐구하는 ‘고고학’에서 현재를 성찰하는 ‘고현학’으로의 문학적 전환점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최인훈은 「하늘의 다리」에서 해결할 수 없는 방법적 고립의 공포를 겪는 화가의 입을 빌려 한국적 상황에서 풍속의 구체성보다 방법적 추상에 기울어진 자기 소설이 처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딜레마를 극화한다. 「하늘의 다리」는 그 불가피한 딜레마를 문제화하면서 소설이 가야 할 길을 묻는다.

      • KCI등재

        1930년대 모더니즘 텍스트의 알레고리적 양상 연구(1) - 이상과 박태원의 예술가적 자의식과 사소설적 연애담에 대한 일고찰

        김정현(Kim, Jung-Hyun)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2

        본고는 박태원의 ‘심경소설’에 대한 논의와 이상에 대한 김기림과 박태원의 회고를 교차적으로 검토하고, 이상과 박태원의 예술가적 자의식의 문제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날개」의 마지막 장면에서 드러난 알레고리적 친연성을 통해 논의했다. 앞으로도 이상과 박태원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겠지만, 중요한 맥락은 텍스트‘상’ 작가(인물)과 텍스트‘밖’ 작가(현실)의 차이와 간극에 있다. 이 측면에서 ‘예술운동’이자 ‘조선 문학의 신기축’을 추구했던 구인회 구성원들의 예술가적 자의식은 보다 명확하게 인식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박태원과 이상이 공유했고, 그리고 김기림이 이해했던 구인회 모더니즘의 예술가적 자의식은 30년대 모더니즘 텍스트이자 이상과 박태원의 사소설적 연애담을 해명하는데 유의미한 맥락을 지닌다. 즉 ‘위트와 페러독스’(이상) 및 “심경소설”의 맥락은 이들이 속물적 모더니티의 세계에 대해 어떻게 예술가적 자의식으로 맞서고 있었는지를 드러낸다. 이들의 텍스트에 등장하는 사소설적 연애담은 일종의 기호적 놀이이며, 또한 의도된 예술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좋은 소설”과 “인공의 날개”에 대한 알레고리처럼, ‘호령하여도 에코가 없는 조선문단’에서도 포기하지 않았던 그들의 “문학”은 30년대 구인회 모더니즘의 가장 핵심적 양상으로 이해되어야할 것이다. This study cross-examined discussions on Park’s “autobiographical novel(심경소설)” and Kim Ki-rim and Park Tae-won’s remembrance about Lee Sang. and The issue of Lee Sang and Park Tae-won’s artistic self-consciousness was discussed through the allergic aesthetics revealed in the last scenes of “A Day of The Novelist Gubo” and “Wings.” An important issue in this study lies in the difference and gap between the text’s”on” author and the text”outside” author. In particular, the artistic self-consciousness shared by Lee Rang and Park Tae-won, who pursued the “art movement” and the “newness of Joseon(Korean) literature(조선문학),” needs to be clearly recognized. The artistic self-consciousness shared by Park Tae-won and Lee Rang, and understood by Kim Ki-rim, is important in explaining Koeran modernist novels in the 30s. “Wit and Ferridox(Lee Rang)” and “autobiographical novel(심경소설, Park Tae-won)” show how artists were fought snobbish modernity with artistic self-consciousness. autobiographical novel and private love story in their text is a kind of symbolic play, and is also the intended art. Like Allegory on “Good Novels” and “Artificial Wings,” their “literature,” which never gave up, show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Korean modernism in the 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