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영화산업과 정책의 변화 추이에 따른 텍스트의 변모 양상 연구 : WTO 가입 이후를 중심으로

        김민희 ( Min Hee Kim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4 아시아영화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WTO 가입 이후 2001년부터 2013년까지의 중국정부가 영화에 미친 영향, 영화와 산업의 관계 및 정책의 변화를 상호 논증적으로 풀어나가는데 있다. 현재 중국시장은 2001년 이후부터 흥행수입 부문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4년에는 2만개가 넘는 스크린 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의 2~4선 도시까지 영화관이 생겨 문화 향유를 즐기는 인구의 증가 및 외국과의 공동제작 역시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은 현재 중국 영화시장의 주목할 만한 사항 중 하나이다. 이러한 산업적 성장에 더불어 현재 중국 영화시장은 제작자본의 다양화로 제작비규모 및 장르까지 다각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전부터 인기를 모았던 무협영화 뿐 아니라 코미디, 청춘영화, 애니메이션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스타일의 장르문화가 형성되고 있으며, 대규모 자본과 주선율 영화가 만나 블록버스터형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의 지원과 규제라는 정책의 이중성은 중국 영화산업을 논의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사항으로, 그중 정부주도의 검열은 규제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점차 검열의 절차가 간소화와 외국과의 공동제작에서 활기를 띄고 있다는 점, 그리고 유입되는 자본의 채널이 다양화되고 있다는 사실은 중국 정부가 시행하는 완화된 정책 중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국 정부의 양면성 아래에 놓인 영화산업 체제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이머우, 루추안, 닝하오와 같은 감독의 대표적인 텍스트를 분석함으로 중국 영화산업의 성장과 작품 간의 유사성 및 변화 양상, 그리고 감독의 세대별 변화 추이 등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본 연구를 통해 주선율 영화의 변화양상, 상업영화의 이원화 및 예술영화에 대한 중국정부의 인식변화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제작비 규모의 다양성과 장르영화를 발전시키는 바탕이 되어 주었다. 그리고 중국 영화시장의 개방 및 세계 영화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hinese film industry was changed by the policy transforma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between 2001 and 2013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uch changes on texts. When joining the WHO, China and the global film market expressed concern that the Chinese films might be encroached by Hollywood, and the Chinese government maintained the closed policies to protect their own films while allowing partially open-door policies from the perception that film is a field of industry. Due to the national policies, the Chinese film market became the only one where the films should be controlled by the national regulations. However, unlike the past focusing on producing propaganda films, films of various genres showing various themes had been produced since 2001 because of appeasement of the policies and since mid 2000s, the industrial index of films have increased geometrically.

      • KCI등재

        영화 <내 이름은 무엇인가> (Как меня зовут) 연구

        홍상우(Sang Woo H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1

        일반적으로 권위 있는 영화제 경쟁 부문 작품들이 순수 영화 미학적인 측면을 중시하고 전문적인 영화인들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것과는 달리, 니기나 사이풀라예바 감독의 <내 이름은 무엇인가> (Как меня зовут)는 관객의 입장을 우선적으로 염두에 둔 밝고 경쾌한 분위기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제 25회 키노타브르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전통적으로 사회 고발적 성격의 드라마, 혹은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를 계승한 순수 아트 하우스 영화들이 러시아 작가예술 영화 역사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 작품은 러시아 영화사에서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현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성취하려는 이 영화는 실제로 러시아에서 개봉된 후 일반 관객들로부터도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산 세바스찬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하는 등 국제 평단에서도 호의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한 번도 본적이 없는 친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크림 지방으로 떠나는 17살 소녀 올랴와 그녀의 친구 사샤의 여행기이기도 한 이 영화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역할 바꾸기'라는 주제와 '훔쳐보기'라는 형식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주제와 형식을 중심으로 이 영화를 분석해 보기로 한다. Olya and Sasha switch identities to meet the father Olya never knew in Nigina Sayfullaeva's adeptly played debut, "Name Me." Though the psychology turns facile, this intense drama about yearning for paternal affection, and the way teens use sex as a way of controlling (they think) situations around them, holds interest thanks largely to the dynamic cast and assured direction. With her sly sex-kitten aura and short shorts, Sasha (Alexandra Bortich) steals attention from anyone else in a room, including best friend Olya (Marina Vasilyeva). They've come down on the latter's initiative to the Crimean resort of Alupka, so that Olya can connect with Sergey (Konstantin Lavronenko), the father she's never known. Almost paralyzed with nerves, she pretends to be Sasha and vice versa, taking the immediate pressure off Olya as they size up the dad she's never seen before. Taciturn Sergey has little interest in being a father - Olya's mother was literally a roll on the beach - and he treats this planned encounter as something just to get through. Yet he feels a niggling responsibility, compounded by other, more troubling thoughts as Sasha, whom he thinks is his daughter, transgresses boundaries just to get a rise. The dynamic between the two becomes increasingly heated, with Sergey appalled at his presumed offspring's sluttish behavior and yet attracted by her physical charms. For Sasha, who never had a paternal figure in her life, this game of cat and mouse is a way of brazenly claiming superiority over what's really a wound in her psyche. She's used to working her sexuality to get what she wants, reveling in the power it brings, but the longer she stays at Sergey's, the less she understands her own motivations. Meanwhile, Olya feels increasingly marginalized, unhappily watching her reticent dad focus his attention on Sasha, and angry that her best friend has hijacked what was meant to be a cathartic meeting with a lost father. Sayfullaeva does a fine job of building tension, using glances and the actors' physicality to bring out the troubling undercurrents. The visuals have that observational, exploratory feel now de rigueur for most indie productions; while it generally works, the lensing could use a bit more modulation, so scenes with greater emotional instability could benefit from extra camera shakiness.

      • KCI등재

        칭기스 아이트마토프의 장편 소설 『하얀배』의 새로운 영상화, 영화 ≪샴발라≫ 연구

        홍상우 ( Hong Sangwoo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3 No.-

        키르기스스탄 출신의 소련 작가인 칭기스 아이트마토프(Чингиз Айтматов, 1928-2008)의 장편 소설 『하얀배(Белый пароход)』(1970)는 1975년 키르기스스탄 영화계의 거장 볼로트베크 샴시예프(Болотбек Шамшиев) 감독의 연출로 동명의 영화로 영화화된 바 있다. 2019년 칭기스 아이트마토프 탄생 100주년을 기리기 위해 제작된 영화 ≪샴발라(Шамбала)≫는 아르트이크파이 수윤두코프(Артыкпай Суюндуков) 감독이 연출하였다. 비교적 원작 소설을 충실하게 화면에 옮겼던 소련 영화 ≪하얀배≫와는 달리, ≪샴발라≫는 원작 소설의 서사 골격은 그대로 가져왔으나, 몇 가지 주요 모티프를 집중적으로 활용하여 서사를 단순하게 재구성했다. 이 영화가 원작에서 선택한 주제는 아버지를 찾아가고자 하는 소년의 소망이다. 영화의 서사와 형식은 이 주제를 영상화하기 위해 재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뿔 달린 엄마 사슴의 모티프, 할아버지와 소년, 그리고 그들의 가족이 처한 현실, 베케이 부부의 불임과 하얀배의 모티프 등이 이 작품의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영화 ≪샴발라≫가 원작에서 선택한 부분을 어떻게 영화 언어, 즉 시청각 언어로 옮겼는지에 대해서 사운드를 위주로 분석했다. 문학 작품의 영상화일지라도, 영상화된 순간 그 영화는 개별 작품으로 평가받아야 하며, 원작의 내용과 형식에 구속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we will only discuss which part of the film Shambhala brought for visualization and how it was depicted on the screen in cinematic language, that is, audiovisual language. In particular, most of this paper will be assigned to the latter. This is because even if it is an image of a literary work, the moment it is made into a film, the work must be evaluated as an individual work and must not be bound by the content and form of the original work. However, it will be inevitable that the evaluation of the completeness of the film is compared to that of the original. Unlike the film White Boat, in which the original novel was relatively faithfully transferred to the screen, Shambala retained the narrative framework of the original novel, but reorganized the narrative simply by intensively using several major motifs. The main motifs chosen by this film in the original work include a mother deer with horns and a legend about it, major characters including a boy, and a family affair, especially the infertility and white belly of the Becky couple.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ilm Shambhala is to embody the boy’s desire to visit his father.

      • KCI등재후보

        조선영화의 만주 유입― 만선일보의 순회영사를 중심으로

        김려실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한국문학연구 Vol.0 No.32

        Seven Chosun-yonghwa(early Korean Film)s discovered in China from 2005 through 2006, let us recognize that the study of Korean Film History nowadays can no longer kept inside the Korean Peninsula. There once lived in Manchuria 2.3 million Koreans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Man-ei(Manchurian Motion Picture Association) imported quite many Chosun-yonghwa films in the need of propagandism toward Korean Manchurians. However, there are few specific researches about it until now.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d Mansun-ilbo(Manchuria-Chosun Daily News), the only Korean newspaper published in Manchuria, to know how Chosun-yonghwa was spread and received all over Manchuria. It is revealed in that process that Mansun-ilbo took an important part, as Korean Manchurians' main ethnic media, in the screening tours for the people. In addition, it develop what was like the actual conditions of cinemas in Manchuria and also of Chosun-yonghwa films showed there through a careful look on cinema advertisements and cinema sections of Mansun-ilbo. Also this newspaper demonstrates the different spectatorships between Koreans in Chosun and Koreans in Manchuria through the articles about Story of Jang-hwa and Hong-ryeon(Janghwa Hongryeon Jeon) and Miles Away from Happiness(Bok-ji-man-li). Grounded my results above, I suggest the need of writing new Korean film history across the borders, which admits the existence of spectatorship(s) because no single understanding is enough for a film. 2005년과 2006년에 걸쳐 중국에서 발견된 조선영화 7편은 한국영화사 연구가 더 이상 한반도 내에만 머무를 수 없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해방 전까지 만주에는 230만의 조선인이 이주해 있었고 만주영화협회는 선전선무공작을 위해 조선영화를 다수 수입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일천하다.이 논문은 조선영화가 어떻게 만주국에 수출, 수용되었나를 밝히기 위해 만주국에서 발행된 조선어 신문 만선일보를 검토했다. 그 과정에서 이 신문이 재만조선인 사회의 구심점이었던 언론매체로서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순회영사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선일보의 영화광고와 영화란을 면밀히 조사함으로써 만주국 영화관의 실태와 만주에서 상영된 조선영화의 면모에 대해서도 밝혀낼 수 있었다. 그리고 ‘재조(在朝)’와 ‘재만(在滿)’이라는 차이가 관객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순회영사의 단골 래퍼토리였던 <장화홍련전>과 조만(朝滿)합작영화 <복지만리>를 예로 들어 논했다. 이상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영화(film)는 하나일지라도 영화의 의미는 결코 단일하지 않았으므로 국경과 경계를 넘어 복수의 관객성(들)의 존재를 인정하는 새로운 한국영화사 집필을 제안했다.

      • KCI등재

        일본 재난영화의 내셔널리즘적 변용 : 「고지라」와 「일본침몰」을 중심으로

        김려실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비평 Vol.- No.7

        이 글에서는 일본영화가 재해를 어떻게 포착/표상해 왔는가에 주목하여 재난영화의 내셔널리즘적 변용을 「고지라」 시리즈와 「일본 침몰」(1973, 2006), 「일본 이외 모두 침몰」(2006)을 중심으로 논한다. 특히 이 영화들은 현실에서 발생한 재해를 반영하면서 일본인의 근원적이며 일상적인 공포를 표상한다. 전후 일본의 괴수영화에는 표면화되 지 않은 경우라 해도 핵전쟁이라는 잠재적인 재앙에 대한 공포가 깔려 있다. 예를 들면 1954년 제5후쿠류호 사건을 반영한 「고지라」(1954)는 일본인에게 “생태학적 관점의 반핵영화”로 수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괴수가 퇴치시켜도 또 돌아온다는 것은 미국의 핵우산 아래 있는 일본인의 잠재적 공포가 그만큼 뿌리 깊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인 플레이션과 오일쇼크로 일본경제가 위기에 처한 70년대는 일본영화계의 스튜디오 시 스템이 몰락한 시기와 겹친다. 「일본 침몰」(1973)은 ‘침몰’이라는 비유를 통해 전후 체 제 아래 성립된 기존의 일본사회가 붕괴할 것으로 예견한 고마쓰 사쿄의 전설적인 베 스트셀러 SF를 원작으로 한다. 그러나 원작의 비판 의식은 영토와 민족을 본질적인 것 으로 상정함으로써 내셔널리즘의 회로에 갇히게 되고 뒤에 발표된 영화, 만화 버전 등 에서 원작은 위기 극복의 민족서사로 변형되고 만다. 「일본 침몰」은 일본인은 다른 민 족과 결정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어떤 위기도 극복할 수 있다는 논리로 서구화된 신세 대를 내셔널리즘의 회로 속에 포섭한다. 2006년에 리메이크된 「일본 침몰」과 패러디 「일본 이외 전부 침몰」(2006)은 일본의 우경화 현상과 맞물려 더 자폐적이며 적대적인 내셔널리즘을 보여 준다. 이들 영화에는 주변국가와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는 것에 대한 ‘공포’뿐만 아니라 일본정부에 대한 ‘불신’과 양극화 사회에 대한 ‘불안’이 뒤얽혀 있다. 3・11 동일본대지진의 1주기가 지난 시점에서 그것을 재현한 영화가 생산되는 가운데 이 국가적 위기가 일본영화를 어떻게 변모시킬 것인지 주목된다. In this paper, I examine nationalistic changes of Japanese disaster movies, Godzilla(1954), Japan Sinks(1973, 2006), and The World Sinks Except Japan(2006) focusing on how Japanese cinema has captured and represented disasters. These movies especially represent Japanese fundamental and ordinary fear reflecting actual disasters. Japanese monster film is involved with fear for the potential catastrophe, a nuclear war even if it does not come to surface. For example, Godzilla reflecting the Fifth Hukuryumaru incident of 1954, an incident of radiation exposure, is accepted as “anti-nuclear movie in the ecologic point of view.” However, the impossible eradication of Godzilla and its return mean that Japanese potential fear is deep-rooted under American nuclear umbrella. On the other hand, inflation and the first oil shock caused the economic crisis in 1970’s and it led to the crash of studio system. Japan Sinks is based on the bestselling science fiction written by Sakyo Komatsu, who predicted existing Japanese society established under the postwar system would be collapsed, by using “sinking” as a metaphor. However, by positing that the land and the people have the intrinsic value,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original is stuck in the nationalistic circuit. In the film version and comic version, the original is changed into an ethnic narrative of how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Japan Sinks turns westernized young people over to the nationalistic circuit through the logic that the Japanese can overcome whatever the crisis is because the Japanese is crucially different from other people. Remake version of Japan Sinks and The World Sinks Except Japan based on a parody of the original fiction, made in 2006, show more autistic and hostile nationalism. In the movies, ‘fear’ for being isolated from its neighbouring stat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 deep ‘distrust’ of the government, and ‘anxiety’ over the polarized society are interwoven. Since the first year anniversary of 3.11 the great east Japanese earthquake has passed by, we already have several films which reflect it. Now it is time to think over how this national crisis has changed and will change Japanese cinema.

      • KCI등재

        김정은 시대의 북한 ‘조선예술영화’ 분석

        한승호(Han, Seung H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9 No.-

        2012년 조선4.25예술영화촬영소에서 제작?방영한 영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선예술영화 <들꽃소녀>와 <폭발물처리대원>, <종군작곡가 김옥성>(제1, 2부)가 있다. 그중에서도 2012년 북한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영화는 조선예술영화 <들꽃소녀>이다. 특히 본 영화는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사망 이후 북한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조선예술영화라는데 상징적 의미가 있다. 북한 당국은 조선예술영화<들꽃소녀>를 “1996년 6월 김일성대원수님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을 안고 현지지도표식비에 정성껏 마련한 들꽃묶음을 놓아드려 김정일장군님의 마음속에 깊은 추억을 남긴 한 소녀를 원형으로 하여 영화를 만들었다”면서 감흥이 큰 영화로 소개하고 있다. 2012년 북한이 수많은 영웅들 중에서 김정일 시대의 영웅, 그중에서도 학생의 평범한 행동에 초점을 맞춘 것은 ‘선군시대의 영웅과 영웅적 행동이 거대하고 큰 것이 아니라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으로 볼 수 있다. 북한은 본 영화를 통하여 “선군시대의 일군들은 자기 사업에 대한 높은 책임감과 일욕심, 진취적인 사업태도를 가지고 최대의 마력을 내야 하며 당과 인민앞에 자기의 충실성과 실천력을 평가받아야” 한다는 진리를 대중들에게 말하고 있다. 결국 조선예술영화<들꽃소녀>는 김정일 사망 이후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 속에서도 최고지도자에 대한 지속적인 충성을 사회 전 구성원들에게 요구하기 위한 목적이 큰 영화로 볼 수 있다. Movies produced and released in 2012 by Chosun 4.25 Artistic Movies Studio were specifically <Wild Flower Girl>, <Explosive Disposal Unit>, and <War Composer Kim OkSung> (Part 1 and 2). Especially, <Wild Flower Girl> was the first movie in 2012 and had the symbolic meaning as the first Chosun artistic movie shown after death of Kim JungIl on Dec. 17, 2011. North Korean government described the Chosun artistic movie <Wild Flower Girl> as “this movie was made by inspiration of a girl who put deep recollection in the mind of General Kim JungIl by preparing a bundle of wild flowers with her utmost sincerity from her heart full of eager missing of Great Martial Kim IlSung and dedicating it in June of 1996 to a monument marking his local guidance” and introduced it as a very touching and interesting movie. The fact that in 2012 North Korea focused on a hero of the Kim JungIl era particularly an ordinary activity of a student out of many heros of North Korea may be interpreted as emphasizing ‘heros and heroic activities in the military-first era are not something great and big but just doing their best at the position of each person’. Through this movie, North Korea tells the principle of “workers in the military-first era should make the highest power with high responsibility, passion and forward-looking attitude for their tasks and be evaluated in terms of loyalty and power of execution before the party and people”. In the end, the Chosun artistic movie <Wild Flower Girl> may be viewed as a movie that intended to demand consistent loyalty of all members of the society for the highest leader even under the circumstance of uncertain future after death of Kim JungIl.

      • KCI등재

        식민지 조선영화 연구와 제국일본

        姜泰雄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100 No.-

        식민지 조선에서 만들어진 영화에 대한 연구가 문서자료에서 벗어나, 영화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영상텍스트 분석이라는 수단을 갖추게 된 지 만 10년이 되었다. 2004년부터 식민지 시대의 영화들이 발굴되어 직접 영상을 분석한 연구들이 나올 수 있게 된 것이다. 극영화의 연이은 발굴은 식민지 조선영화에 대한 연구자들의 지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10년이 지난 지금도 연구 열기는 식을 줄 모른다. 이에 비하면 같은 시대 만들어진 일본영화에 대한 한국에서의 연구는 그다지 눈에 띄지 않고, 연구자들의 관심도 크지 않다. 이 글의 목적은 단순하다. 식민지 조선영화에 대한 연구 성과 고찰을 통하여 일본영화 연구의 필요성을 끄집어내려는 것이다. 발굴된 영화들은 중일전쟁 이후 총동원체제가 공고해지면서 국가와 영화의 관계가 밀접해지는 시기의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당시 조선영화가 제국일본의 영향 하에 있었음은 당연한 사실이고, 이 시기에 들어서는 더욱 그 영향이 커졌다. 일본영화에 대한 연구가 식민지 조선영화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한 토대가 될 터이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그러한 토대에 대한 시각이 부족했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지적함으로써 일본영화 연구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켰다. It has been ten years since Korean film studies started obtaining the visual texts that would be the most relevant to that discipline. Since 2004, the movies that were made during the time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have been newly discovered. This caused a marked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earchers wishing to study those films and a resulting accumulation of academic outcomes. In the colonial period, Korean films were obviously influenced by Japanese films. Therefore, studying Japanese films would form the basis of researching the films produced in Korea, but until recently, that approach was not popular. This article aims to stimulate academic interest in Japanese film studies, by observing the achievements made by studying Korean films from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영화 《스탈린의 선물(Подарок к Сталину)》 연구

        홍상우(Hong Sang Woo) 한국노어노문학회 2008 노어노문학 Vol.20 No.4

        제 13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세계 최초로 공개된 카자흐스탄의 영화 《스탈린의 선물》이 내포하고 있는 주제는 마치 현대중앙아시아 영화사를 총정리라도 하듯이 이 지역의 영화들이 제기해왔던 여러 가지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영화의 서사는 훗날 성인이 된 화자가 과거를 회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개인의 과거를 회상하는 차원을 넘어서지만, 여전히 중앙아시아 영화가 지역의 현대사에 대한 상처에서 완전히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또한 이 영화는 다민족 국가의 특성을 나타내는 민족구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도 하다. 이 테마는 영화에서 유사가족의 형성이라는 모티프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종교로 대표되는 개인의 자유의지와 스탈린으로 상징되는 폭압적 정권과의 갈등을 다루는 정치적인 영화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이 영화는 중앙아시아 영화에서 특징적인 ‘자연’이 강조되는 작품으로 중앙아시아 영화역사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작품으로 평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중앙아시아 영화사의 전반적인 전통을 종합하는 이러한 특징들을 중심으로 제 13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인 영화 《스탈린의 선물》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영화가 공적토론에 미치는 영향

        김유례(Yu-Rye Kim),최윤정(Yun Jung Choi)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2

        이 연구는 사회고발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에 의해 촉발되는 영화 공론장을 연구하였다. 사회고발영화가 다루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관객들의 토론이 매우 중요하다. 성폭행을 다룬 세편의 영화 <도가니>, <소원>, <한공주>에 대한 토론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한 세 편의 영화는 각기 다른 표현 양식을 지니며, 이에 따른 토론의 내용 또한 달라질 것이라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론의 내용 측면에서 공공성, 영화 해독 방식, 사회적 참여, 토론의 합리성을 살펴보았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토론의 내용을 통해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영화의 표현 기법과 스토리 전개가 공론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직접적으로 사회 이슈를 다루며, 분명한 선과 악을 제시하고, 고발대상을 짚어주는 영화의 경우 영화 관객들이 사회 참여적 성격을 띄는 공중으로 발전되었다. 결과적으로 사회 고발 영화의 의미를 완성시키는 것은 관객이며 관객이 행하는 토론의 사회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discussions by the audience who watched investigative films dealing social issues on the Internet. This study conducted the content analysis on discussions about three films dealing with sexual assault including <Silenced>, <Hope> and <Han Gong-ju>. Three films have the same theme of sexual assault but different cinematic expressions. It was regarded that contents of discussions would vary as expression styles of films. Based on precedent arguments,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 interest, film interpretation mode, social participation, rationality of discussion in terms of contents of a discussion, verifying if movie related blogs played a role of a public sphere through such discussion contents. Findings of the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Cinematic expression technique and story development have an effect on formation of a public sphere. Besides, in case of films handling social issues directly, presenting the good and evil and specifying an object for criticism, helped audiences to develop into the socially engaging public. Consequently, it is the audience who completes the significance of investigative films and the social meaning of the movies.

      • KCI등재

        한국전쟁 영화와 공감(共感) 기획

        김기정(Kim, Ki-Jung)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5 문화와 정치 Vol.2 No.1

        영화와 국제정치학이 맺고 있는 관계는 크게 두 가지다. 국제정치적 현상의 복잡성을 이해함에 있어 영화는 중요한 정보와 통찰력을 제공하는 통로다. 두 번째는 구성주의적 측면이다. 문화상품으로서 영화는 국가라는 정치적 조직 내부에서의 인식과 담론의 형성/강화/재편성의 문화적 근원이 된다. 국제정치 현상을 소재로 한 영화 중 핵심소재의 하나는 전쟁 영화다. 전쟁 영화를 통해 감독은 관객들과 관계에서 형성되는 공감대 위에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석과 재해석도, 현재와 미래를 향한 메시지를 함축시켜 놓는다. 정치적 의미를 가진 가치를 재생산하거나 보편적 가치로 유도하려 할 때 영화는 정치적 의미를 가진다.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국전쟁 영화의 경우, 감독이 기획하는 관객과의 공감은 크게 세 가지다. (1) 헌신과 충성심, (2) 전쟁 광기와 잔혹성의 고발, 그리고 (3) 적대감의 해체와 화해의 기획이다. 이 글은 한국전쟁 영화들이 이 세 가지 요소들을 각각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본다. 반공을 앞세웠던 냉전기 한국전쟁 영화들은 헌신과 충성의 공감 코드를 전면에 드러내고 나머지 메시지는 영화 화면 뒤로 숨기려 했다. 80년대 후반 민주화와 탈냉전기 환경 속에서 제작된 한국 전쟁 영화의 경우, 감독들은 기존 냉전시기 형성되었던 남북한 간 적대감을 해체하려는 시도를 드러내고 있다. 전쟁의 핵심 키워드인 적대감을 해체함으로써 감독은 화해를 기획한다. 정치현실 영역에서는 화해협력으로의 이행이 사실상 결코 쉽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지만, 한국전쟁 영화들은 남북한 정권들이 주도해 왔던 정치적 대립을 넘어 적대감을 해체하고 화해와 평화로의 열망을 담고 있다. 이들 영화들은 화해가 평화에 이르는 길에 반드시 거쳐 지나가야 하는 과정임을 상기시키려 한다. The relations between films and IR studies are twofold. One is that films works as a tool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s well as insights for understanding complicated featur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other link is related to Constructivist explan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Films as cultural products are sources of shaping, strengthening, and restructuring of ideation and discourse inside the state. Among films dealing with international political feature, war films are essential. Directors aim to convey messages for interpretation and reinterpretation on history as well as those for present and future. Films are supposed to have political implications, when those try to reproduce values of political affairs and induce audiences to universal values. With regard to Korean War films produced by Korean directors, the designing for sympathy shows in three different themes: including devotion and loyalty, revealing insanity and cruelty of violence, and dismantling animosity and desire for reconciliation. This paper aims to explain how those three themes were expressed in the Korean War films. Most of the films made during the Cold War period show to emphasize the theme of devotion and loyalty, while other themes seem to be implied behind the scenes. Instead, most of the Korean War films produced in the age of democratization and post-Cold War environment seem to reveal explicitly the theme of dismantling animosity and desire for reconciliation. The directors seem to design hopes for reconciliation for the future by decisively dismantling the sentiment of animosity between North and South that has been sustained during the Cold War. Indeed in the real world of politics,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yet remained as uneasy tasks. The films instead show to reveal desires for reconciliation and peace beyond political antagonism that the regimes both in North and South have relied upon. These films try to remind audiences of the fact that reconciliation is positioned as a unavoidable process toward pe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