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마 제국과 영 제국의 제국주의 비교 -영토 팽창과 식민지 통치를 중심으로-

        김효진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8 No.-

        기원전 3세기부터 지중해를 중심으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를 지배했던 로마와 19세기에 세계 곳곳에 식민지를 개척한 영국은 고대와 근대의 대표적인 두 제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영토팽창의 요인과 식민지 정책을 통해서 두 나라의 제국주의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로마의 영토 팽창의 요인에 관해서는 크게 세 가지 주장이 있다. 첫째, 로마의 제국주의를 ‘방어론’ 또는 ‘방어적 제국주의’로 보는 시각으로, 이는 인근 지역이 먼저 로마를 침략했기 때문에 이들을 막기 위해 시작된 전쟁이 영토팽창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둘째, 몇몇 학자들은 로마가 오로지 방어를 위해 영토를 팽창했다고 볼 수 없으며, 영토를 팽창했던 이유는 경제적 이익 때문이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은 경제적 이익과 함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에 관심을 두었던 학자들이 있다. 세 가지 주장에서 알 수 있듯이 로마의 팽창 요인이 단 하나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당시 전리품이나 배상금 문제, 이후 속주에서의 징세와 곡물 징발에 관한 것을 살펴보면, 경제적 이유는 로마의 영토 팽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로마는 포에니 전쟁 전후와 제정 시기를 전후하여 속주 지배 체제가 변했다. 포에니 전쟁 이전에 로마는 속주를 건설하지 않았다. 점령한 후 그들과 동맹을 맺고 자치를 허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로마가 본격적으로 속주를 건설하고 그 지역을 지배한 것은 포에니 전쟁 이후부터였다. 로마는 이때부터 속주에 총독을 파견했고, 이들의 권한은 매우 컸다. 이후 제정기로 접어들면서 속주 지배는 다시 한 번 변화했다. 속주 총독들의 잦은 교체와 비전문성으로 속주에는 총독들의 착취가 심했고, 이는 속주 지배에 큰 골칫거리였다. 황제는 이를 개선하고 속주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일련의 정책을 시행했다. 인구조사와 조세를 개혁하고, 규모가 큰 속주를 분할함으로써 행정상의 효율성을 높였다. 이로써 속주는 점차 로마화되는 경향이 강해졌다. 영국의 영토 팽창 요인으로 거론되던 것은 이주, 종교적, 군사적, 그리고 경제적 이유로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영국의 영토 팽창 요인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이 경제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홉슨은 영국이 해외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안정적인 시장의 확보와 금융업자들의 이익을 위해서였다고 주장했다. 케인과 홉킨스는 당시 영국의 국내 자본이 증대되면서 이를 투자할 곳이 필요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신사적 자본가들’은 국내에서 소비되지 않는 자본을 해외에 투자함으로써 이익을 얻으려 했는데, 이들의 행동이 영국의 해외 팽창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갤러거와 로빈슨은 ‘간접제국’ 이론을 통해 영국과 식민지 사이의 경제적 협력의 중요성이 영국 팽창 요인임을 지적했다. 영국의 식민지 지배는 한 가지 원칙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매번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국은 자유무역의 원칙에 따라 식민지 지역의 정치적 통제에는 관심이 없었다. 단지 경제적 부분을 자신들의 영향력 아래 두는 것에 집중했다. 더욱이 영국은 ‘최소한의 경비주의’라는 원칙을 가지고 있었으며, 당시 적은 인원으로 넓은 지역을 다스려야 했던 상황이었다. 여기에 더해 식민지가 영국과 너무나도 먼 거리에 존재했기 때문에 통신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원활한 통치가 ... Rome started to rule around the Mediterranean regions from the third century BC and developed into an empire. Britain established their colonies all over the world in the 19th century. In this paper, we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he two empires focusing on the aspect of territorial expansion in relation to their colonial policy. Many scholars named Roman imperialism 'the defensive imperialism'. However, this view was challenged by some scholars, who argued that the defensive imperialism cannot be the only explanation, because Romans could gain a great deal of economic profits after war by demanding reparation, levying taxes, or taking booties. These scholars contended that the main motivation of their territorial expansion was the economy. Some scholars asserted that Romans expanded territories because of multiple factors relating to economic gains. In other hand, economic benefits were very important factor in Rome. Rome underwent a change in their colonial governing after the Punic war and through the transition to monarchic system. Before the Punic war, Rome allowed self-governing of the colony, but after the war, Rome put more restraint on their colonial policy, dispatching a governor to their colony. Turning into the monarchical system, additional change was made. During the monarchic system, provinces became more romanized, and the practice of worshipping emperors accelerated direct governing of provinces.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motivation of British empire's territorial expansion was economic profit. Hobson argued that, when domestic industry produced more capital than it could be profitably reinvested in the domestic economy, financiers sought overseas outlets for their money. As Cain and Hopkins argued, for Britain, it was the time to seek places to invest their increased domestic capital. In other words, 'gentlemanly capitalists' emerged who wanted to gain profits by investing to overseas the capitals that were not consumable in the domestic industry. Gallagher and Robinson insisted that expansion factor of British empire was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British empire and colonies by 'informal empire' This indicates that economic motiv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Britain's overseas expansion. Britain's colonial ruling does not show any aspect of being planned or intensional. Nevertheless, there was one principle that was maintained by British empire, which was the idea of 'minimum expense' and free trade. Additionally, British colonies were geographically so far away from Britain, hindering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colonies. Britain's preference for indirect ruling over their colonies was from this principle, even though direct ruling was exercised for the case of India. To sum up, the two empires started their territorial expansion for the economic reason. Rome's interest was in the profits from the colony such as reparation, booties, and the levy of taxes. On the other hand, for Britain, it was their domestic economy that made them turn their attention to the overseas. As the domestic economy grew active, they needed a place to export their products and to invest their surplus they gained. In this view, we can say that it was economic reason that drove the two empires. With a closer look, however, we also saw some clear differences. The differences in their colonial government seems to lie in racial issue. Roman empire ruled mainly the Mediterranean regions centering on the Italian peninsula. The empire granted Roman citizenship to the members of their provinces, accepting them as Romans, and tried to rule the provinces through them; in other words, through 'Romanization, and solidifying their tie with the emperor. On the other hand, Britain had their colonies in Africa, America, and India. It seems plausible that this geographical diversity may have brought racial discrimination.

      • KCI등재

        미국의 영토 형성과 독도 고유영토론에 대한 인식

        최장근 대한일어일문학회 2014 일어일문학 Vol.62 No.-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territory of the United States was acquired. This also analyzes the definition of the territory that the United States has possessed.The concept that Americans hold is very important in solving the Dokdo issue which will be discussed in the future. First, the U.S. has been built by imperialistswho came from Europe in the 18th century. American territory was originally the Indians" territory. So there is no recognition that the United States should have original territory. Second, the current international law was made by imperialists. Third, strictly speaking, the United States created the Dokdo issue in the past and then indirectly supported Japan. The reason is that the United States had the imperialistic territory recognition. Fourth, today the United States holds hegemon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Dokdo issue,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is significantly important. There is no spirit on original territory in current theories of international law. Fifth, now we don"t have any factors of imperial legacy. Thus, the current perception of international law should be revised. This is how to solve the Dokdo issue. It is an urgent task on earth. Finally, because the United States takes the initiativ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the United States has a great influence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U.S. territory.

      • KCI등재

        동북아시아 영토분쟁의 양상에 대한 고찰 : 문학적 관점에서 표출된 한일 간 내재적 갈등과 한국의 집단적 인식을 중심으로

        이진우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4

        글로벌 시대 동북아시아에서는 19세기 촉발된 영토분쟁(territorial dispute)의 미해결로 정치적 및 외교적으로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 다수 영토분쟁에 대한 연구는 역사적 맥락과 정치경제적, 국제법적 해결방안 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런 연구는 영토분쟁의 근원적인 차원에서 영토분쟁을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미해결 영토분 쟁에 대한 힘의 논리에 근거한 정치군사적 대결 분석도 중요하겠지만 정 치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분석해보는 것은 영토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을 이해하고 집단적 심리를 이해하는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일본의 강제병합에 의한 주권상실과 분단을 경험하고, 오늘날까지 한일관계 정상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독도를 둘러싼 영토문제와 역사 문제에 대해 내재된 한국인의 집단적 심리와 갈등을 분석하기 위해서 당 대의 문화와 언어가 반영되어 있는 근현대사를 다룬 문학작품을 고찰하 였다. 한반도와 만주지역을 중심으로 식민주의와 영토팽창과 분단으로 인해 이념·경제·문화·민족주의적 대립이 반복되면서 교차된 가해와 피해 의 기억은 분쟁이 지속되는 주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In Northeast Asia, political and diplomatic disputes have continued given the unresolved territorial disputes which arose during the 19th century under the Global Era.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unresolved territorial disputes based on the literary view from a humanistic approach based on a polit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a confrontation based on the logic of power. In particular,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ive psychology and conflict of the Koreans who experienced the loss of sovereignty and division due to Japan’s forced annexation, and the territorial expansion and historical issues surrounding the Island of Dokdo, which has been an obstacle to the normalization of the Korea-Japan relations to this day, the culture of the time literature works dealing with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at reflect the culture and language have been considered.

      • KCI등재후보

        베네치아 공화국과 날개달린 사자

        남종국(Nam, Jong Kuk) 도시사학회 2016 도시연구 Vol.- No.16

        이 논문은 날개달린 사자가 베네치아 공화국을 대변하는 제일의 상징물이 되는 역사적 과정을 밝히는 글이다. 어떤 연유로 날개달린 사자가 베네치아를 대표하는 상징물이 되었을까? 본 논문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날개달린 사자와 산마르코의 불가분의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날개달린 사자가 산마르코의 수호신물이 되어 운명을 같이 하게 된 근거는 성경에 있다. 기독교 초기 4복음서의 저자와 성경에 나오는 4가지 동물이 한 쌍을 이루게 되었는데 날개달린 사자가 산마르코의 수호신물이 되었던 것이다. 날개달린 사자가 베네치아와 운명 공동체가 된 결정적인 계기는 산마르코의 유해가 베네치아로 옮겨오면서부터였다. 9세기 초 두 명의 베네치아 상인이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산마르코의 유해를 몰래 훔쳐 베네치아로 가져왔고 이후 산마르코는 기존의 베네치아 수호성인이었던 그리스 전사 출신의 테오도르를 대신해 새로운 수호성인으로 되었다. 유해의 이전만으로 모든 것이 종결된 것은 아니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산마르코의 유해에 대한 정당한 소유주임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기 위해 신화와 전설을 창조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설이 바로 예정 이야기(Praedestinatio)와 출현(Apparitio)이었다. 예정설에 따르면 마르코가 아퀼레이아 지방에 복음을 전하는 임무를 마치고 배를 타고 돌아오는 도중에 폭풍우를 만나 베네치아로 떠밀려오게 되었다. 그 와중에 마르코의 꿈에 나타난 천사는 마르코에게 너의 육신이 여기서 안식을 취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이 새로운 전설은 알렉산드리아에서 순교했던 마르코의 유해가 최종적으로 베네치아로 옮겨오게 된 것을 사후에 승인하는 문구였다. 이 이송은 천사의 계시를 통해 미리 예정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베네치아 공화국의 수호성인으로서 확고한 지위를 확보한 산마르코는 점차 자신의 분신인 날개달린 사자에게 주도권을 내주게 되었다. 산마르코 대신 날개달린 사자가 베네치아 공화국을 대표하는 상징물로 부상한 것은 13세기부터 본격화된 해외로의 영토 팽창 때문이었다. 4차 십자군 이후 본격적인 영토 팽창의 길로 접어든 베네치아 공화국은 성스러운 이미지의 산마르코보다는 동물의 왕 사자를 활용해 베네치아의 힘을 대외적으로 과시하려고 했다. 사자는 여러모로 이런 용도에 적합했다. 이렇게 해서 15세기 날개달린 사자는 바다와 육지에 넓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는 제국 베네치아를 대내외적으로 대표하는 상징이 되었던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winged Lion to become the most prominent symbol of the republic of Venice. How did the winged Lion come to represent a medieval maritime republic? This article makes effort to give a plausible answer to i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inevitable relatedness between St. Mark and the winged Lion. The reason that the winged Lion became the attribute of St. Mark derives from the biblical story. The Lion was among the four living animals described in the Ezekiel and the Revelations. Since St. Jerome has assigned the Lion to St. Mark, the Lion became the symbol of Mark the evangelist. Two Venetian merchants, Buono and Rustico stole the relic of St. Mark in Alexandria and brought it to Venice by sea. This translation from Alexandria to Venice of the body of St. Mark in 828 made the Lion associated with the Venetian republic. Therefore St. Mark became the patron saint of the Venetian republic replacing St. Theodore. To show that the Venetian republic should have the just right to possess the body of St. Mark, it fabricated two episodes: the praedestinatio and the apparitio. According to the praedstinatio, an angel came down from the heaven and said to St. Mark resting at Rialto after having finished his missionary work in Aquileia: “Pax tibi, Marce, evangelista meus. Hic requiescat corpus tuum”. This angelic proclamation ordained that St. Mark should remain in Venice forever, justifying the translation of the body of St. Mark. Since the thirteenth century, St. Mark has gradually given his way to his attribute of the winged Lion as the principal symbol of the Venetian republic. The likeness of the lion was depicted more frequently than that of the St. Mark. The rise of the winged Lion had a great deal to do with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the Venetian republic which had started with the fourth Crusades. The Lion, the animal king, was more suitable than the saint for Venice eager for the territorial expansion. The Lion with half of the body on land and half on water became to symbolize a Venetian empire having the stato da mar and the stato da terra in the fifteen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시베리아 횡단철도

        윤영미(Yun Yeongmi) 21세기정치학회 200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5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historical background and strategic importance of the Trans-Siberian Railroad (hereafter TSR) which had become the center of the industrial policy and development in Siberia and Northeast Asia under Tsarist Russia(hereafter Russia). Since the mid-16th century Russia's territorial expansionist policies toward Siberia and Northeast Asia were caused by military expansion and pursuit of economic profits. In the process of these aims, Russia brought up the necessity transport by railroad in order to revitalize development policies in this region. In 1891 Nicholas II and Secretary of the Treasury, Witte embarked on construction the TSR on the basis of the foreign loan from France. The TSR became the driving force of Russians' movement, settlement, development and military expansion. In addition, in 1903 Russia raised the efficiency of economy and military through bypass route, East-China Railroad of North Manchuria. However, after Russia was defeated by Russo-Japanese War(1904-1905) and was lost the influence in Manchuria, it took decisive action to complete the TSR which passed throughout Russian territory under its financial difficulties. On the other hand, the TSR was contributed the center of the Russian transport and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n particular, it was played an important role of the industrialization of Siberia and Northeast Asia in terms of population movements and freight transport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자유와 평등의 국경 넘기: 산토도밍고 합병과 미국 노예제폐지론자들의 딜레마, 1869~1871

        하아랑 역사학회 2023 역사학보 Vol.- No.258

        이 글은 산토도밍고 합병에 대한 노예제폐지론자들의 상반된 입장을 분석하면서, 이들 사이의 단층선이 미국의 자유와 평등을 해외로 전파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왔다고 주장한다. 노예제 폐지를 위해 자유와 평등이라는 공동의 이상 아래에서 함께 싸웠던 이들은 미국의 해외팽창이라는 새로운 역사적 맥락 아래에서 ‘반노예제 국가’ 미국의 국제적 역할에 대해 보다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 이들 사이의 심대한 차이를 드러낸 것은 대통령 그랜트의 산토도밍고 합병 계획이었다. 합병의 반대자들은 산토도밍고 합병이 흑인의 자치정부 수립 가능성을 압살하는 제국주의적 침탈이라고 비난했다. 자유와 평등의 전파는 영토 합병이 아닌 약소국과의 평등한 관계 맺음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반면 옹호자들은 미국이 ‘자유의 제국’이 되어 내전과 노예제 폐지를 통해 성취한 자유와 평등을 해외에 이식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믿었다. 이 글은 산토도밍고 합병 논쟁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그 찬반 논리가 모두 반노예제라는 공동의 대의에서 분기했다는 점을 밝히고, 이를 통해 후일 반제국주의와 팽창주의로 분화될 두 개의 상충하는 운동의 뿌리가 하나였음을 드러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