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영재를 위한 판별과 교육

        성은현(Eun-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7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2

        2003년 68만 여명에 불구하던 다문화 인구는 2015년 174만 여명으로 10여년 사이 두 배 반이나 급속히 증가하며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예고하였다. 이에 대한 대비로 정부에서는 다문화 학생을 위해 한국어 교육지원, 가족관계 증진 지원, 부모교육 제공, 다문화 학생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 지원, 학업성취 지원 등 다각도의 지원을 하고 있지만 아직도 풀어야할 과제가 남아 있다. 그 중 하나가 다문화 영재학생을 어떻게 판별하고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다문화 영재학생은 언어능력과 문화수 준에서 일반학생들과 다르기 때문에 판별과 교육은 그들에게 적절한 맞춤형 도구와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영재교육을 실시할 때 고려해야할 다원성, 포괄성, 공평성원칙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다원성과 포괄성의 원칙에 근거하여 다문화 영재판별에 사용되는 지능검사, 성취도검사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검사로 창의성검사, 교사, 부모, 동료 추천 검사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판별 매트릭스에 기초한 판별방법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성공한 다문화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요소를 조사하여 다문화 영재교육의 성공을 위해 고려해야할 요소가 무엇인지 제시하고, 공평성의 원칙에 따라 문화적 다원주의 관점에서 다문화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Korean society is becoming rapidly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about two and half times over the last twelve years from 680,000 in 2003 to 1.74 million in 2015. While the Korean government is providing various programs to support multicultural students, such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family relationship, parent education,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support. there are still many issues to be explored. One of them is th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of multicultural gifted students. Because multicultural gifted students are different from other students in language and cultural levels, tailored tools and programs are needed for the selection of multicultural gifted students and their education. In this study, I proposed three principles (inclusiveness, of plurality, of equity) to be considered for multicultural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inclusiveness and plurality, I examined also the tests which are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multicultural gifted students, including intelligence test, achievement test, creativity test, and evaluation scale of the teacher, the parent, and the peer. In addition, I examined the success factors of multicultural gifted education programs from the viewpoint of pluralism.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기관장과 교사들의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유영희(Young-Hee),유미현(Yoo, Mi-Hyun),전유영(Joen, Yoo-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기관장과 교사들의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여 유아영재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장은 유아영재프로그램을 위한 가장 적절한 수업방식으로 실험을 통한 원리 이해교육을, 접근방식으로 유아들의 자연스러운 발달을 돕는 전인적 통합 교육을, 그리고 운영형태로 유아교육기관의 일과가 끝난 후 외부기관에서 방문 또는 별도로 운영하는 것으로 답하였다. 유아영재교육 교사 연수시 유아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한 이해관련 내용이 가장 필요하며 체계적인 영재교육제도의 미흡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영재교육에 대해서는 낙관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은 영재 판별 방법으로 해당 분야의 우수재능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유아영재학급 구성 인원은 5명 이하이며 능력별로 편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재교육의 전망에 대해 교사들도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유아들의 영재성이나 재능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점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기관장과 교사의 유아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 결과 유아영재 개념에서는 모두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아동을 영재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관장과 교사가 유아영재교육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 효율적인 유아영재교육 운영횟수, 유아영재학급 지도교사 선발 방식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asic investigation of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on administrator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e and to suggest ways for improvements in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by looking for solutions of these issue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dministrators perceive that appropriate methods for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are making them understand principles through appropriate experiments and educate for the whole man. And the issue that administrator deems to be the most urgent in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is a lack of systematic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They take an optimistic view of gifted educa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standard that teachers perceive when choosing gifted children is an outstanding ability. Teachers also take an optimistic view of gifted education and have difficulties in grasping children’s giftedness or abilities.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n reasons of agreement with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gifted education frequency, and recognition of selection of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teacher(p<.05).

      • KCI등재

        영재 교육과정 모형 탐색과 현장적용

        이경화(Lee Kyung Hwa) 한국영재교육학회 2004 영재와 영재교육 Vol.3 No.2

          Over the last twenty years, general principles about appropriat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have been delineated. Meeker used the Guilford"s SOI and Renzulli focused on a differentiated curriculum model. And VanTassel-Baska have stressed a confluent approach to differentiated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that includes both acceleration and enrichment strategies. There were various basic Paradigm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fostering higher thinking process.<BR>  The contents of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cludes the activities fostering higher thinking process, detect main idea and theme, basic important principles.<BR>  The development of our gifted education is cling to the level and role of teachers an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Now, their are the program for gifted that was developed KEDI from 2002 to 2003. But it was not appropriate apply equally to all the region in the country. So a suitable curriculum is needed.<BR>  Gifted education is the basic stage in Korea, therefore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are the tasks of the our nation.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발전은 영재담당 교사의 수준 및 역할과 더불어 어떤 교육과정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적용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재교육프로그램으로는 2002년과 2003년에 시ㆍ도교육청이 공동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원에 의뢰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이 있으나 지역 실정에 부합되지 못하여 교사가 재구성해야 하는 부담과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지역 실정에 따라서, 학교 학습자 수준과 환경을 고려한 적합한 영재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BR>  영재교육의 많은 부분은 학교, 가정, 사회에서 영재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평가되며, 영재아의 학습욕구에 부응하여야 한다.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정규학교에서 일상적으로 제공되는 것 그 이상의 차별적 교육프로그램으로, 속진과 심화의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영재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며, 일선 현장의 교사에게 위임하는 것은 시기상조일 것이다. 아직은 영재교육 시행 초기임을 감안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영재교육과정이 구성되고 프로그램일 개발되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특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인식 및 개선요구

        정정인,김남균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3

        According to KOFAC, special programs are differentiated programs operated by financial resource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al programs and needs of the institutes for improvement,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managing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Reports from 27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pecial program operation,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The survey examined the directors' perception of the special programs and their need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pecial programs presented in the reports, the special programs were recognized 1) as the same as the specialization, or 2) Special programs were recognized as part of specialization or as non-regular programs with specialization, or 3) as various and differentiated programs other than mathematics and science unit programs. Second, as a result of finding out the perceptions of the directors of the 13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as in the report, directors were perceived differently as follows: the special programs are 1) a part of programs of the regular and non-regular curriculum, 2) a part programs of the non-regular curriculum, 3) all other programs except for regular curriculum, and 4) programs for students who are not affiliated with the gifted institutes, such as projects related to the underprivileged or associated with regional offices. Third, as a plan to improve special programs, the directors of the 13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demanded 1) clear terms for special programs, 2) support for independent specialization, 3) improvement of annual evaluation and 4) securing appropriate budge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se results. The KOFAC needs to present the evaluation guidelines more clearly,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clarify the definition of specialization and special programs through communication and exchange, so that each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manages its own unique curriculum and educational activities. 현재 전국적으로 27개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이 설치되어 각 영재교육원 별로 고유의 장점을 살려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원마다 과학영재교육원의 특성화를 목적으로 만든 ‘재원별로 운영되는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인 특별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27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보고서를 분석하여 특별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을 통해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들의 인식 및 개선요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고서에 제시된 특별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을 알아본 결과 특별 프로그램을 특성화 프로그램과 같다고 인식하거나, 특별 프로그램을 특성화의 일부 혹은 특성화를 포함하는 비정규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학·과학 단위 프로그램 외 다양하고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는 등 매우 다양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설문에 답한 1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원장들의 특별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특별 프로그램을 정규와 비정규 교육과정의 일부 프로그램으로, 비정규 교육과정의 일부 프로그램으로, 정규 교육과정 외에 진행하는 모든 프로그램으로, 소외계층 사업이나 지역청 연계 사업과 같이 재원생이 아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각각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특별프로그램 운영 개선 방안으로 1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원장들은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명확한 용어의 정의, 독자적인 특성화 지원, 연차평가의 개선과 적절한 예산 확보를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재단에서는 평가 지침을 더 명확히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들은 소통과 교류를 통해 특성화 및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여 각 과학영재교육원의 고유의 독자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활동에 집중하여 영재교육의 내실을 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통무용영재교육 현황 및 현장 분석

        정윤경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8 No.-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pecific Education for Brilliant Children” was enacted in order to unearth talented people early and educate them accordingly to their ability and qualities so that they could develop their potential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society. Even though many gifted students in various fields are being fostered through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Gifted Education Promotion,” the field of traditional dance, among other traditional arts, seems to be in the blind spot of gifted education. Traditional dance gifted education is conducted by a small number of people, but it seems like its reaching only a minimal national level. In order to activate the education field, research should be based on continuous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and field of traditional dance gif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y 0.4 % of the total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0.19% of total gifted education recipients are related to traditional arts and only 0.6% of total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0.23% of total gifted education recipients are related to dance. These statistics prove the poor environment for the previously mentioned field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only institution that provides traditional dance gifted education was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in Arts, and only four traditional dance 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for education as of August 2017. Third, it is necessary to receive active support at the school, society, and the national level in order to activate the traditional dance gifted.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field through research such as talent-searching and identification,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 presentation for traditional dance gifted. These kinds of discussions should lead to the level of suggesting “Standards for Traditional Arts Gifted Education Program.”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leading various research for traditional dance gifted education and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to cause a virtuous circle structure that connects to the base expansion of the traditional dance gifted. 「영재교육진흥법」은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 개인의 잠재력을 계발하여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동법시행령과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영재가 육성되고 있으나, 전통예술 그 중에서도 전통무용분야는 영재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 전통무용영재 교육이 소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최소한의 국가차원이라고 보여진다. 교육현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속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연구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무용영재교육 현황 및 현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예술 영재교육 기관은 전체의 0.4%, 영재교육대상자는 전체의 0.1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 영재교육 기관은 전체의 0.6%, 영재교육대상자는 전체의 0.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열악한 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통무용분야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은 단 한 개원, 국가지정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이었으며, 2017년 8월 기준 4명의 전통무용영재만이 선발되어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무용영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교 및 사회,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전통무용영재성의 탐색, 판별 및 평가도구 개발, 교수방법 제시 등의 연구로 현장을 뒷받침해야 하며, 이와 같은 다양한 논의들이 ‘표준 전통예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는 수준까지 이어져야 한다. 전통무용영재교육의 대상자와 교육기관이 타 예술분야에 비해 부족한 것은 통계적 수치로 볼 때 수요가 낮기 때문에 부족한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이해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통예술과 전통무용의 의미를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다. 전통예술은 사회적 지지와 국가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가 전통무용영재교육 논의의 시발점이 되어 다양한 연구들을 이끌어 내고,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유의미한 연구결과들이 나오길 기대한다. 또 이러한 연구가 전통무용영재 교육현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쳐 저변 확대까지 이어지는 선순환적 구조가 형성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SW영재학급 현황 분석을 통한 SW영재교육의 개선 방안 탐색

        심재권,김용천,권대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6

        SW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SW분야에 재능이 뛰어난 학생들을 조기에 발굴하여 SW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SW영재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2016년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SW영재학급 30곳이 설치되어 SW영재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영재학급이 선발 방법, 교육과정, 환경 등의 조건들이 모두 달라서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기관에 따른 SW영재학급의 편차를 줄이고, 효과적인 SW영재교육 수행을 위해서는 현황 조사를 통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향 도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학급의 설치운영계획서 와 현장 방문을 통해 SW영재학급의 교육과정, 환경, 선발 내용을 조사하여 현재 SW영재학급의 전반적인 현황 분석하 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계점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SW education increases, the necessity of SW gifted education is being required that early discovery of talented children in SW fields. In 2016, thirty SW gifted classes were set up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SW gifted education began. However, SW gifted education could not be carried out with consistency in detail because each class had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selection methods of gifted students, curriculum and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ituation of SW gifted classes in order to decrease the gap of the SW gifted class. In this research, all the SW gifted classes were investigated in the view of the curriculum, environment, student selection and contents through reviewing the installation-performance reports and on-site visits of all classes. Also,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SW gifted classes were described and improvement methods were discussed.

      • KCI등재

        서울시 영재교육기관의 공간적 분포특성 분석

        김성연,이선영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the regions in Seoul that lack gifted education units by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unit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unit locations. The gifted education units are divided into the three following types: the first type is a gifted class at a school, the second type is a gifted education center at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third type is a gifted education center at a university. The results of using a GIS-based spati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 buffering analysis showed that even though there were gifted educational blind spots in Jongno-gu and in parts of the outskirts of Seou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ifted education units in Seoul seemed homogeneous because they were too small. Second, a special quotien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hub unit of gifted education in Guro-gu. Third, an analysis of local Moran’s Index showed that Jung-gu was a cold spot and Songa-gu was a hot spot. Fourth, a correlation analysis investigated that the number of gifted education units had general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conomic factors. These results will help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quity of the management of the gifted education units in Seoul that will be established or expanded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기관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분석하여 서울시에서 영재교육기관이 부족한 지역을 도출하고, 영재교육기관 입지 변인과 관련 있는 변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영 재학급은 1차, 교육청 영재교육원은 2차, 그리고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은 3차 영재교육기 관으로 구분하여 GIS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을 수행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버퍼 링 분석 결과 일부 서울 주변부와 종로구에서 영재교육 공급에 있어 사각지역이 나타났지만, 그 면적이 작아 서울시 영재교육기관의 공간적 분포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화도 분석 결과 구로구에 공간상의 허브 영재교육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지 적 공간집중도 분석 결과 중구는 콜드스팟으로, 송파구는 핫스팟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관분 석 결과 서울시 영재교육기관은 대체로 그 지역의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경제 변인과 무관하 게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향후 서울시 영재교육기 관을 신설 또는 확장하는 경우에 영재교육기관 운영의 공간적 효율성과 형평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영재 교육과정의 법적 규정에 대한 교육법학적 검토

        박창언(Park, Chang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2

        본 연구는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법적 규정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 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논의된 내용은 첫째, 영재교육의 본질과 ‘영재교육진흥법’의 특별법적 성격과 교육의 자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의 본질은 인간의 성장에 대한 것이고, 이는 영재교육의 본질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인간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에 적절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학교의 자율성이 요청되었다. 둘째, 영재 교육과정의 법규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영재교육진흥법’과 동법 시행령에 제시된 사항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해 현행교육과정 법규에 대한 문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법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여기서는 ‘초․중등교육법’ 전체 조문과의 관계, 법과 시행령에 제시된 교육과정 관련 용어 사용의 부정확성, 교육과정 결정자로서 교장과 학교의 관계,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지원체제, 영재 교육과정 규정의 종합적 검토를 행하였다. 논의 결과 영재 교육과정의 규정에서 ‘영재교육진흥법시행령’에 제시된 규정은 삭제하고, ‘영재교육진흥법’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사항을 영재 교육기관이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legal issues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nature of the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and autonomy of education were discussed. The nature of the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helped the grow of individuals and demanded autonomy in education place. Second, Legal status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ducation was analysed. Legal regulation associated with curriculum in gifted ducation 'Act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ppeared to be superior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order to ensure the right of the gifted to receive proper education. In consequence, regulations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should require to obtain autonomy. But it was found the right to decide the curriculum, inconsistency of curriculum between 'Act of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nd 'Enforcement Decree Act of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tc. Third, It was discussed legal examination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Article 23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choice of words about curriculum, the right to decide curriculum, expertise of the implementation and organization for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ere examined. In conclusion, further attentions to legal imperatives in gifted education need to reconstruct regulations related to curriculum.

      • KCI등재

        서울시교육청 제3차 영재교육발전계획에서 영재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청의 역할 탐색

        홍경희(Hong Kyung Hee)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5 Global Creative Leader Vol.5 No.2

        서울시교육청에서는 2013년 제3차 영재교육발전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은 교육부에서 발표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을 토대로 수립되었다. 제3차 계획에서는 영재교육의 기회 확대와 더불어 영재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 및 영재교육의 효과성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 예산확보, 영재교육기관의 개편과 더불어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중요한 추진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3차 계획에서 제시된 방안들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예산과 제도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둘째, 영재운영교사에 대한 실현 가능한 지원책을 수립하고 실천해야 한다. 셋째, 법과 예산의 제약이 없더라도 교육청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넷째, 영재교원의 전문성의 신장을 위해서는 영재교사의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nounced the 3rd gifted education development plan in 2013. This pla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3rd Gifted Development Master Plan(2013-2017)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plan emphasizes that expanding the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It has presented a plan for gifted educ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major task for this purpose. Specifically, look at it is as follows. First, the budget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essential. Second, it is need to develop and practice a possible aid package for the gifted teacher. Third, to be carried out to find the appropriate policy level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Fourth, it must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motivation of gifted teachers.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에서 통일교육의 의미와 방향연구

        김현정(Kim, Hyun-Jung),박선화(Park, Sun-Hwa)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영재교육에서 통일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강조하고 영재교육에서 통일교육이 확대되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영재교육, 특히 수학과 과학영역에서 통일교육은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미래사회의 국가경쟁력은 영재교육의 성패에 달려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에 영재들이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리더로서 성장하기 위해 통일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그 방향은 교과 간 융합으로 자기주도적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는 창의 · 인성 교육이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 보편적 차원의 사회교과 내 통일교육의 일관된 추진과 더불어 통일교육의 질적 내실화를 높이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향하며,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교육의 객체이자 학습의 주체인 영재교육 대상에게 적합한 영재통일교육 콘텐츠 및 교수학습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unity in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and provide direction that unification-education is expanding in gifted education. It is hard to find a unification-education in gifted education. The competitiveness of future society depends on the gifted education. Because gifted student is growing as a global leader shall conduct a unification-education. It should be the basis of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The integrated approach is needed to unification-education as a subjec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gifted students in a study of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