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남 방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이동명 ( Dong Myung Lee ),임수현 ( Su Hyeon 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특히 경남 방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i, I, u, U/에 대한 인지 및 대응(mapping)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3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혼돈하기 쉬운 영어 고모음을 실험 모음으로 선정하여 인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인지 실험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영어 고모음들을 한국어의 어떤 모음으로 인지하여 대응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들이 영어의 고모음들을 한국어 모음들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 실험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설 긴장 고모음(high front tense vowel) /i/에 대한 한국어 모음 /이/의 대응률이 97.2%로 가장 높았고, 후설 이완 고모음(high back lax vowel) /U/에 대한 한국어 모음 /우/의 대응률이 42.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유사도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3∼4 정도의 유사도(Likert 7점 Scale 사용)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 한국어(경남 방언 화자) 피실험자들은 영어 모음 소리와 한국어 모음 소리 간에 중간 정도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방언을 구사하는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의 긴장 모음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한국어 모음체계가 긴장성(tenseness)과 이완성(laxness)이라는 특징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어 모음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에 더 가깝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모음체계의 인지 및 대응에서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는 긴장 모음을 더 잘 인지하여 이를 한국어 모음에 대응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mapping) of English high vowels /i, I, u, U/ of Korean EFL learner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35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born and have lived in South Kyungsang Korea. English high vowels are easy to be conf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us these vowels were chosen a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perception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perceive these English high vowels and match them to what Korean vowels by carrying out the perception experi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implemented the test to look into the Korean subjec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English high vowels which they listened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high front tense vowel /i/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이/ in 97.1% which is the highest mapping rate. The English high back lax vowel /U/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우/ in 42.5% which is the lowest mapping rate of this experiment. Second,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nglish and Korean vowels, most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arked number 3 or 4 out of 1 (same as Korean) to 7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Likert Scale. Thus, the subjects seemed to recognize only som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different vowel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have perceived and corresponded English high tense vowels better than English high lax vowels. That is, Korean vowel system does not distinguish tenseness and laxness distinctively, but the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ostly perceived English high tense vowels as Korean high tense vowels (97.1%) and they think the English vowels are somewhat similar to Korean vowels (3∼4 out of 7) even though they do not think Korean and English vowels are exactly the same. Therefore,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seem to perceive and match the English high tense vowels more easily than the lax vowels in the case of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and their mapping to Korean vowel system. This implie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FL learners need to understand more accurately the vowel system of a target language when they learn the language.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does not seem to need a separate pronunciation education system fo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Howeve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to be educ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 (L1) and a second language (L2). Especially, it seem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a focused and intensive education for the acquisition of English lax vowels.

      • KCI등재

        경남 방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이동명,임수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mapping) of English high vowels /i, I, u, U/ of Korean EFL learner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35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born and have lived in South Kyungsang Korea. English high vowels are easy to be conf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us these vowels were chosen a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perception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perceive these English high vowels and match them to what Korean vowels by carrying out the perception experi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implemented the test to look into the Korean subjec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English high vowels which they listened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high front tense vowel /i/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이/ in 97.1% which is the highest mapping rate. The English high back lax vowel /U/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우/ in 42.5% which is the lowest mapping rate of this experiment. Second,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nglish and Korean vowels, most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arked number 3 or 4 out of 1 (same as Korean) to 7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Likert Scale. Thus, the subjects seemed to recognize only som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different vowel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have perceived and corresponded English high tense vowels better than English high lax vowels. That is, Korean vowel system does not distinguish tenseness and laxness distinctively, but the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ostly perceived English high tense vowels as Korean high tense vowels (97.1%) and they think the English vowels are somewhat similar to Korean vowels (3∼4 out of 7) even though they do not think Korean and English vowels are exactly the same. Therefore,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seem to perceive and match the English high tense vowels more easily than the lax vowels in the case of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and their mapping to Korean vowel system. This implie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FL learners need to understand more accurately the vowel system of a target language when they learn the language.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does not seem to need a separate pronunciation education system fo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Howeve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to be educ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 (L1) and a second language (L2). Especially, it seem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a focused and intensive education for the acquisition of English lax vowel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특히 경남 방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i, I, u, U/에 대한 인지 및 대응(mapping)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3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혼돈하기 쉬운 영어 고모음을 실험 모음으로 선정하여 인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인지 실험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영어 고모음들을 한국어의 어떤 모음으로 인지하여 대응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들이 영어의 고모음들을 한국어 모음들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 실험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설 긴장 고모음(high front tense vowel) /i/에 대한 한국어 모음 /이/의 대응률이 97.2%로 가장 높았고, 후설 이완 고모음(high back lax vowel) /U/에 대한 한국어 모음 /우/의 대응률이 42.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유사도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3∼4 정도의 유사도(Likert 7점 Scale 사용)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 한국어(경남 방언 화자) 피실험자들은 영어 모음 소리와 한국어 모음 소리 간에 중간 정도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방언을 구사하는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의 긴장 모음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한국어 모음체계가 긴장성(tenseness)과 이완성(laxness)이라는 특징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어 모음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에 더 가깝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모음체계의 인지 및 대응에서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는 긴장 모음을 더 잘 인지하여 이를 한국어 모음에 대응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인들과 영어원어민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에 관한 사건관련 뇌전위 연구

        윤영도(Yun, Yungdo),박명관(Myung-Kwan Park),정원일(Wonil Chung) 언어과학회 2018 언어과학연구 Vol.0 No.86

        This study examined English and Korean speakers" brain responses to English high vowels. An ERP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synthesized vowels to obtain brain waves and find their differences called mismatch negativity (MMN).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both English and Korean speakers" brain waves had negative peaks around the same time after they heard the stimuli. However, the MMN peak of the English speakers was higher during longer periods than that of the Korean speakers. This is assumed to be a typical pattern for native speakers when they involuntarily hear phonemes of their mother tongu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speakers" brain responses based on English proficiency levels.

      • KCI등재

        경남방언 남·여 화자의 영어 고모음 발화에 관한 연구

        명윤미,이동명 한국언어과학회 2014 언어과학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nglish high vowels produced by South Kyungsang(SK) Korean (Busan dialect) speakers. The 10 SK Korean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5 male and 5 female university student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experiment, /i/-/ɪ/ and /u/-/ʊ/, were acous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formant frequencies of the vowels using Praat speech analysis program. In order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SK Korean single vowels and standard Korean single vowels, the formant frequencies of 7 Korean single vowels /ㅏ/, /ㅔ/, /ㅣ/, /ㅗ/, /ㅜ/, /ㅡ/, /ㅓ/ were also measured using Praat. The collected data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compared to the formant frequencie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K Korean speakers hav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English tense and lax pairs regardless of gende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English high vowels, /i/, /ʊ/, /u/ between SK Korean speakers and standard Korean speakers. Third, in the case of Korean high vowels, the difference of F2 values between SK Korean speakers and standard Korean speakers is more than 100 Hz, especially in the Korean high back vowel /ㅜ/. These results show that each Korean dialect causes variance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and Korean vow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