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형성을 위한 비판적 고찰

        오채선(Chae Sun Oh),염지숙(Ji Sook Yeo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선행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의 기저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 가정이나 개념들로부터, 향후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논쟁점을 이끌어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하는데 있어서 전문성 소유의 주체를 1982년 이후부터 유아교사라는 더 광범위한 대상에 포함시켜 논의하다가 2003년 이후 영아보육교사를 고유의 전문성 주체로서 다루어 연구하였다. 이때 영아보육교사를 전문성 소유 주체로서 구분한 것은 의미가 있었으나, 영아보육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성의 개념이나 실체에 대한 담론이 더 많이 형성될 필요가 있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도구에서 용어만을 변경한 것으로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하는 데 있어서, 영아보육교사에 대한 전문성 인식의 책임이 개인에게 있으며, 학력과 지식이 실천과 당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기계론적인 논리가 내포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ceding research in the area of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assumptions which were carried by these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fant teachers as agencies have appeared in research since 2003. However, the concept of the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should have been more established. Secondly, the measurement instruments for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Lastly, these studies contained the mechanistic logic; infant teachers’ academic backgrounds and their knowledge were closely related to practice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s the personal responsibility.

      • KCI등재후보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근주(Lee Geun 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n recognition of specialty by infant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he objects of study were 207 infant teachers in southern area of Gyeonggi-do. A method of the study wa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a difference level of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t shows the older infant teachers are higher in development standard, health, knowledge. And the more work experience of HR teacher in infant class has more developmental principles knowledge. And the infant teachers who has work experience in a infant nursery or corporation child care center has more knowledge of health and safe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ve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lso, infant teachers are older than normal childcare teachers. Second, a difference of a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are Social needs, special organization, professional ethics, level of expertise, community service tendency, fairness, autonomy, socioeconomical status order. Many infants go childcare centers because of nuclear family and female workers. The results of study show infant teachers are socially needed. On the other hand, infant teachers think they are low socioeconomical status themselves. That’s because a long working hours and low salary of infant teachers. Third, a result of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erarchy that exclude background variable and include recognition of specialty variable is follow. The infant teachers who has the higher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have higher recognition of special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s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nd age, reeducation, job training. Also,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nfluences to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본 연구는 영아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남부지역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중 영아발달지식 수준의 차이는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발달기준, 건강안전, 양육 지식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담임경력이 많을수록 발달원리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영아전담(가정어린이집)과 법인에 근무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건강안전 지식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생활경험과 현장경험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한다고 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영아전담어린이집 교사 연령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차이는 사회적 필요성, 전문직단체, 직업윤리, 전문적 지식기술, 사회봉사성, 공정성, 자율성, 사회경제적 지위 순으로 사회적필요성이 가장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낮았다. 핵가족화 및 취업모의 증가로 영아들의 어린이집 이용수가 많아지면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반대로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긴 시간 근무환경과 낮은 급여체계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전문성 인식 변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영아발달지식이 높을수록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연령과 경력, 재교육 등 생활경험, 현장연수 등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하게 되며 영아발달 지식이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 KCI등재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 조직몰입의 다중매개효과

        황혁(Hwang, Huyk),문혁준(Mun, Hyuk-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는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대전 지역의 영아보육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3.0으로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PRCSESS macro 3.3을 이용하여 매개분석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은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었으며,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은 역할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넷째, 영아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관계에서 매개역할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주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은 다중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인정해주고 보육교사들의 의사를 자유롭게 발휘할 수 있는 어린이집 조직 문화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ulti-path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and role-performance of the Infant child care teacher.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80 teachers who were Infant child care teacher in the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Daejeon.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23.0. Data analysis in this study included verifi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ignificance of mediated pathways using PROCESS macro 3.3.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s on Infant child care teacher s role-performance. also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s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Infant child care teacher 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positive effects on the role-performance. Thirdly, empowerment does serve a mediation effects in relation with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and Infant child care teacher s role-performance. Fourthly,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serve a mediation Effects in relation with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and Infant child care teacher s role-performance. Lastly,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s multi-path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teacher s emotional leadership and Infant child care teacher s role-performance. In particular, it suggests the need for a culture of organizing day care centers to recognize the expertise and autonomy of Infant child care teachers and to freely express the will of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의 행복감 경험에 대한 탐구

        안선미,박희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세 영아반에서 보육교사가 역할을 수행하면서 느끼는 행복감에 대한 경험을 탐구하여 영아교사에게 필요한 교육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K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만 1세 영아반에서 팀티칭을 담당하고 있는 H교사이다. 연구 자료는 2023 년 4월 3일부터 6월 2일까지 총 3회기 심층면담을 실시한 전사본을 수집하였으며 질적으로 주제어를 코딩하여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가 역할을 수행하며 느끼는 행복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는 자신에게서 전문성의 실현, 사회적 인정, 자기계발의 기회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는 영아에게서 적응하는모습, 영아의 기질과 특성의 파악, 영아의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면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는 동료 교사들과의 업무협력, 유사한 경력과 연령 등의 동질감과 유대감으로 행복감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는 학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밝은 표정을 보면서, 지지와 격려를 받으면서, 보육 동반자로서 학부모와 함께 협력하면서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는 보육과정 운영을 하면서 자신과 영아, 동료교사, 학부모에게 느끼는 행복감은 역할을 수행하는데원동력이 되었다. 따라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행복감을 느끼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관과 정책 차원에서 구성원 간의 소통과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육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necessary educational environment for infant teacher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happiness felt by childcare teachers while performing role in a 1-year-old infant class. Methods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is teacher H, who is in charge of team teaching in the 1-year-old class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K-si, Gyeonggi-do.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transcripts of a total of three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from April 3 to June 2, 2023, and analyzed qualitatively by coding and categorizing key words. Results The happiness that a 1-year-old childcare teacher feels while performing role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daycare teachers in one-year-old infant classes felt happy due to the realization of their expertise, social recogni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daycare teachers in the 1-year-old infant class felt happy while seeing the infant adapt, understanding the infant's temperament and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ing the infant's change and growth. Third, the one-year-old child care teacher felt happy due to the sense of homogeneity and solidarity with her fellow teachers, such as cooperation in work and similar experience and age. Fourth, it was found that daycare teachers in the 1-year-old infant class felt happy as she cooperated with parents as childcare partners, receiving support and encouragement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eing bright facial expressions. Conclusions The 1-year-old child care teacher became the driving force in performing his role due to the happiness she felt for herself, the infant, fellow teachers, and parents while running the child care progra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hildcare environment so that communication and support among members can continue to occur at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level so that childcare teachers in infant classes can perform their roles with a sense of happiness.

      • KCI등재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기철(Kim Ki Cheol),신애선(Shin Ae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G시, I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71곳에 재원중인 만 0, 1, 2세 영아교사 307명과 그들의 영아 307명이며,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 영아발달에 대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은 영아발달과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보육신념은 부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영아발달 전체에 대한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의 수업전략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영아발달 증진을 위한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효능감 및 보육신념의 관계를 밝히고,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아 영아발달을 증진시키는 데 의미 있는 정보를 제시하여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and child-care belief on infant developmen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307 teachers for infants aged 0, 1, and 2, and their 307 infants of 71 day-care centers located in J, G, and I cities, Jeollabukdo. Rating scale for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child-care belief, and infant development was utilized to infant teachers. Date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and teacher-efficacy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ant development, while child-care belief did in part. Second,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and child-care belief on infant development in general showed that the teaching strategy of teacher-efficacy had the greatest influence. The study can be said to be very suggestive, in that it revealed the connection of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and child-care belief with infant development and suggested effective and valuable information in improving infant development by finding out the factors affecting infant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강이슬,김민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보육교사 및 보육시설 특징에 따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이미란,홍순옥 인지발달중재학회 201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살펴봄으로서 보육기관의 질적으로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함에 목적으로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지역의 보육시설 영 아반 보육교사 213명었다. 연구도구는 신인균(2006) 과 김현미(2005)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도를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 경향은 보수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았고, 후생복지, 사회인식, 인간관계 순으로 높게, 직무자체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학력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교사 학력이 대졸 인 교사의 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고졸인 경우 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 다. 그리고 교사의 학력이 대학원 이상인 경우 사회인식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고졸인 교사는 사회인식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넷째, 영아반 교사의 경력에 따 른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아반 교사의 시설유형에 따른 직 무만족도는 후생복지, 인간관계, 보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 는 교사가 후생복지, 보수에서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국․공립보육시설에서 인간관계에 대 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이 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순선,김진선 한국비전학회 2020 한국비전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과 직무 만족이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함으로써, 교사와 영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영아의 건전한 성장발달과 보육의 질을 향상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독립변수는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과 직무 만족, 종속변수는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이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결과, 보육 효능감과 직무 만족은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은 직무 만족을 통해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 수준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car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infant teachers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and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the quality of childcare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hild car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infant teacher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showed that childcar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childcare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can improve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rough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 대상 컨설팅이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교사의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안소영(An, So 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 대상 컨설팅이 교사의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컨설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6월∼12월까지 6개월간 전문 컨설턴트 3인이 252명의 영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컨설팅은 영아보육교사의 영아-교사 상호작용 하위 범주중 허용적 태도와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컨설팅을 통한 영아보육교사의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민감성에서의 변화 양상은 개입하기보다는 지켜보기, 영아 입장에서 생각하기, 부모와 협력하기, 계획-실행-평가 연계하기의 네 가지 양상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컨설팅은 첫째, 교사의 수업 기술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교사가 영아에게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둘째, 컨설팅 과정에서 교사가 영아 뿐 아니라 교사 자신을 살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셋째, 교사 역할의 이유와 목적에 대해 고민함으로서 교사 역할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rection of consult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fant care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nsulting for infant care teachers on sensitivity of teachers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To this end, 3 professional consultants performed on 252 infant care teachers for 6 months from Jun∼Dec 2016 and analyzed the effec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consulting has effect on improving sensitivity of infant care teachers and permissive attitude among subcategories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There were 4 changes in interaction between the infant-teacher and the sensibility of the infant daycare teacher through consulting; observing rather than interrupting, thinking from the infant’s point of view, cooperating with parents, and connecting planning-practicing-evalu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study concluded with 3 proposals for consulting targeting infant daycare teachers. First, the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to concentrate on infant rather than focusing on education technique. Second, the teachers must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not just infant in the consulting. Third, the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to by giving meaning to their role as teachers through considering the reason and purpose of the teacher’s role.

      • KCI등재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만 0-2세 영아반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이미화,정주영,엄지원 육아정책연구소 2014 육아정책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의 보급, 확산, 실행 실태와 만 0-2세 영아반 담당 보육교사들의 요구사항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을 6개 권역으로 구분하였고, 총 652명의 영아반 담당 보육교사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시점인 2014년 5월말 현재 54.5%가 해설서 및 지침서를 보유하고 있었고, 특히 읍면지역에 있는 어린이집의 영아반 보육교사가 해설서 및 지침서를 미소지한 비율이 높았고, 민간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중 29%는 보유여부 자체를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해설서 및 지침서를 소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보육교사는 적용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이해도는 비교적 높게 도출되었으나, 영아반 경력 1년 미만인 교사의 평균값이 1년 이상 경력교사에 비해 낮게 도출되었다. 그리고 다른 기관유형에 비해 민간어린이집 영아반 보육 교사들의 적용이 덜 충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아평가의 결과 활용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담당교사의 처우 개선, 다양한 활동자료의 개발 및 보급, 보조인력 지원 강화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oddler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for toddler classes' curriculum. We divided the country into six districts, and sampled a total of 652 teachers. Our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toddler teachers who had the handbook and guideline was low. Even if teachers had the handbook and guideline, most toddler teachers had difficulties following them. Second, on average the comprehension rate of The third Standard Curriculum for Childcare Centers in Korea was high, however, toddler teacher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had a lower comprehension rate. Also, the application rate of teachers in the private sector was lower than teachers in other institutions. Third, toddler teachers requested an improved treatment of teachers,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curricular activities and an increase of assistant staff to reinforce the standar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