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급사증후군 예방교육의 효과연구

        김일옥(Il-Ok Kim),박현정(Park Hyun J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게 영아급사증후군 예방 교육을 적용하여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영아급사증후군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영아급사증후군 위험요인, 물리적 환경관리, 응급처치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의 교육매체로 영아급사증후군 예방 교육 교재 및 동영상, 강의용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개발하였다. 영아급사증후군 예방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보육교사 35명에게 2회에 걸쳐 총 6시간 동영상을 활용한 강의와 실습교육을 제공한 후, 교육을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 40명과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 실천정도를 비교하였다. 교육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t = -2.051, p< .05), 자기효능감(t = -2.644, p < .001), 실천(t = -2.279, p < .05)정도가 높아져 영아급사증후군 예방 교육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은 추후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건강관련 직무교육 및 보수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어린이집에서의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SIDS)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on the levels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actice of SIDS. The SIDS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three domains: the risk factors of SIDS, physical environment management, and first aid. Educational media modules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ed educational materials, videos, and power point slides for the SIDS prevention education. The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wice for a total of 6 hours for the experimental group (n =35), while no education was provided for the control group (n = 40). After taking part in the education program, the levels of knowledge (t =-2.051, p < .05), self-efficacy (t =-2.644, p <.001) and practice (t =-2.279, p <.05) of SIDS preven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each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SIDS prevention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i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of and skills for SIDS prevention. Therefore, this education program for SIDS prevention can be utilized as a training course for in-service education to reduce SIDS occurrences at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실천

        김일옥,박현희,박현정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영아급사증후군 관리 실태와 보육교사의 영아급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및 실천행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아반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국공립, 민간 및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 212명이었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교사의 영아급사증후군과 예방가능성에 대한 인지정도는 낮았으며, 교육 기회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어린이집에서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관리는 물리적 환경 관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지식에 있어서는 ‘영아급사증후군의 정의’가 가장 높았으나 ‘환경과 관련된 위험요인’에 대한 지식이 낮아 구체적인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기효능감에 있어서는 환경과 관련된 위험요인 예방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상황 발생 시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가장 낮았다. 교육 요구에 있어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급사증후군 교육프로그램 개발에는 구체적인 예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며, 실제상황에서 자기효능감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영아심폐소생술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child care centers and the knowledge, confidence and practice about sudden infant death syndrome(SID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212 child care teachers running infant classes at public, private and home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elf-completed questionnare. the result were as follow: the subjects' recognition of SIDS and its preventability was low. the subjects recognized the insufficient opportunities of education about SIDS. the best management of SIDS at child care center is physical environment management. In knowledge, the highest was 'the definition of SIDS' and the lowest was 'the risk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 In confidence, the highest was 'confidence of prevention against risk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 and the lowest was 'confidence of doing infant CPR in an emergency. In the need of education, there was the highest in infant CPR.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SIDS education program for child care teachers must contain the concrete content of SIDS prevention and infant CP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