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 사회학의 사회학

        지주형(Joo Hyoung Ji)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8

        이 글은 영국 사회학의 지적ㆍ제도적 특성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영국 사회학의 성과와 한계를 밝히고 이로부터 한국 사회학 및 사회학 일반의 독특한 지식체제에 대한 교훈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글은 ① 역사적으로 기반이 취약한데도 제도적ㆍ내용적으로 성공한 영국 사회학의 현황을 개괄하고, ② 그 독특한 지적ㆍ제도적 특성과 성공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검토하며 ③ 영국 사회학의 사례가 한국 사회학과 사회학적 지식 생산에 주는 몇 가지 교훈에 대해 성찰한다. 영국 사회학은 주변성과 늦은 제도화로 인해 사회학 분과경계와 정체성이 분명히 규정되지 않았고, 사회학 전통의 결여로 인해 외국의 이론을 수입해야 했으며, 자원부족과 ‘반양방’ 문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연구의 범위가 제한되었다.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영국 사회학의 독특한 특징이자 성과인 탈분과적 접근, 새로운 연구영역의 개척과 이론적 혁신이 가능해졌고, 여러 다양한 이론들과 방법론이 접합될 수 있었으며, 이론에 의해 가이드된 경험연구가 추구될 수 있었다. 그 결과 영국 사회학은 확립된 사회학 분과가 규정하는 이론과 방법론에 따른 분과학문의 주요 주제에 대한 연구보다는 분과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이론을 사용하는 테마 중심적 연구라는 특징을 띠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탈분과적 접근은 사회학자 집단의 전문(직)화와 결합하여 영국 사회학의 상대적인 제도적 건전성과 학문적 독자성과 우수성을 낳았다. 이러한 영국 사회학의 사례는 비록 모든 답을 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학의 위기, 특히 한국 사회학의 위기에 대한 몇 가지 진단 및 그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검토할 수 있는 하나의 준거점이 될 수 있다. 영국 사회학은 한국 사회학의 위기를 이제까지와 같이 신자유주의, 비실용성, 모호한 분과학문적 정체성, 독자적 이론의 부재와 외국이론의 수입, 대중성(또는 전문성)의 부재에서 찾는 것이 과연 올바른가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llect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British sociology in order to examine its contributions and limits and derive some lessons for Korean sociology in particular and sociology as a discipline in general.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① overviews the present status of British sociology that can be considered successful in institutional and intellectual terms; ② examines possible factors that can explain its particular institutional 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and success; and ③ reflects upon some lessons from the case of British sociology for Korean sociology in particular and sociological knowledge production in general. Due to its peripheral status and late institutionalization, British sociology has had no clear disciplinary identities or boundaries, has been importing foreign theories as a result of the lack of its own sociological tradition, and has been limited in the scope of research by the lack of resources and the ‘anti-quant’ culture. However, thanks to the very same reason, British sociology could acquire its own distinct qualities, i.e. post- or pre-disciplinary approach, new frontiers of research, articulations of plural theories and methodologies, theoretical innovations, and theoretically-informed empirical studies. As a result, British sociology is characterized by theme-oriented research that transcends narrow disciplinary boundaries and articulates various theories, rather than mainstream research as defined by the narrowly defined disciplinary boundaries, theories, methods, and topics. Such post-disciplinary approaches, combined with the professionalization of sociologists, contributed to the relative institutional health as well as academic distinctiveness and excellence of British sociology. The case of British sociology cannot answer everything, but may well function as a reference point in examining some diagnoses and prescriptions for the crisis of Korean sociology, i.e. in reflecting upon the attribution of the crisis to neoliberalism, impracticality, vague disciplinary identity, the absence of distinctively Korean sociological theories, and the lack of popularization (or speciality).

      • KCI등재후보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주제 확대를 위한 영국교육정책사회학의 시사

        손흥숙 한국교육사회학회 2004 교육사회학연구 Vol.14 No.1

        This study analyzes the British teacher education courses and the British sociology of education policy at three phases. At the first phase during 1950s-the early 1970s, the demand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in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increased and the sociology of education researches provided theoretical base for education policy-making. At the second phase during the late 1970s-the early 1980s, the sociology of education from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was removed, but theoretical base and research subject were diversified. At the third phase since the late 1980s, the British sociologists of education developed the sociology of education policy, while identity crisis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was under debate. Specially, making an analysis of disputes about the legitimacy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since the late 1980s, we confirm the possibilities of the Korean sociology of education policy and keep in mind importance of consolidating the sociological base. 이 글에서는 영국교사교육과정과 영국교육정책사회학의 발전과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1950~1970년대 초반까지의 교사교육과정의 도입과 교육정책의 이론의 제공 단계, 둘째,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까지의 교사교육과정의 쇠퇴와 연구주제와 관점의 다양화 단계, 셋째, 1980년대 후반 이후의 영국교육정책사회학의 발달과 영국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쟁 단계이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 영국교육사회학의 논쟁적 흐름의 분석을 통해, 한국교육정책사회학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사회학 이론을 계발하고 발전시키는 일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숙지하게 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영국 마르크스주의 법사회학에 있어서의 법의 상대적 자율성

        이동희 ( Lee Dong-he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8 No.1

        가치가 다원화되고 권리가 세분화된 규범적 상황에서 법은 다원적이고 중층적이다. 다원적 가치와 권리를 둘러싼 갈등은 규범적 정당화의 문제로 이어지며, 이는 국가와 법의 자율성이라는 문제로 귀결된다. 따라서 다원적 사회에서 법의 자율성을 인정하면서 법과 국가 지배 권력의 상호 작용과 상호 의존관계 밝히는 법이론을 구성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법을 국가 지배의 도구로 보아 법에 대한 국가의 압도적 우위를 주장하는 도구주의 이론이나 법과 국가를 같은 것으로 보아 국가를 오로지 법으로 인식하는 법-국가 동일성 이론은 법과 국가의 상호 관계를 설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국가 또는 법 일 변도의 관점에서 벗어나 국가와 법을 독립적인 것으로 인정하면서 양자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의 구성이 필요하다. 영국의 법사회학, 특히 네오 마르크스주의 법학은 사회 통제의 여러 수단 중에서 왜 국가와 법제도가 우월한 힘을 가지는가라는 문제 관심과 법과 그것을 지지하는 법이론이 지배적인 권력을 억제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지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만약 법이 국가 권력이나 지배적인 경제 권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율적이라면, 그것은 사회의 어떠한 특징에 기초하는 것인가라는 시각에서 법의 상대적 자율성의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영국의 법사회학은 법과 국가의 상호 관계를 밝힘으로써 마르크스주의의 경제결정론과 법도구주의 이론이 오류임을 밝히고, 국가와 법이 경제구조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율성을 갖는다는 것과 그것이 토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다만, 그들은 실증의 불철저함으로 구체적 상황에서의 법의 다양한 기능과 마르크스적 계급의 범주를 활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철학적 사회인식론에 입각하여 법과 국가를 고찰하는 태도를 거부하고 법과 국가이론에 대한 내재적 비판에 치중하는 것에서 벗어나 법과 국가의 복합적 관계를 경험적으로 탐구하는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을 통해, 법과 국가의 기능적 관련성을 넘어 복합적 상호작용을 탐구함으로써 경험적으로 재구성되어 지평이 확대된 다원적 법존재론을 발전시키고 다양한 법적 실천의 모습을 발견하여야 할 것이다. In normative perspective where values are diversified and rights are subdivided, the law is pluralistic and multi layered. Conflicts over the value and rights of pluralism lead to the issue of prescriptive justification, which are concluded to the question of autonomy of the state and law.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matter to form a legal theory that recognizes the autonomy of law in a pluralistic society while revealing the interaction and interdependence of law and state ruling power. The problem is that the theory that claims the nation's overwhelming dominance over the law by viewing the law as a tool of national domination, or the theory that recognizes the nation as a law itself by assuming law and state as the same thing, canno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st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a theory that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hile recognizing the state and the law as independent subject. British sociology of law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y the state and the legal system have superior power among the various means of social control, and the question of wether laws and legal theory which support of it have the character of suppressing the dominant power or not.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ve autonomy of law rather than rule of law in the point of view which social characteristics is based on when the law is relatively autonomous from national power or from the dominant economic power with British sociology of law, especially the theory of Marxism. Finally, this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state, and discusses how the interaction of law and state is achieved. British sociology of law has reveal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w and state, revealing that Marxism's theory of economic determinism and instumentalism is an error, and explored the relative autonomy of state and law from its economic structure and its impact on the foundation. However, they are limited by the thoroughness of empirical evidence that they have not utilized the various functions of law and the categories of Marxism in specific situ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a methodology to empirically explor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state, rejecting the attitude of considering law and state based on philosophical social awareness and focusing on inherent criticism of law and state theory. By exploring complex interactions beyond the functional relations between law and the state, empirical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horizons in plural legal ontology should be developed and various legal practices should be discover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