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감놀이>의 심리치료극적 구조와 성격

        김진영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4 탐라문화 Vol.0 No.45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Yeonggamnori in the aspect of psychodrama. First after surveying of the playing basis and dramatic aspect of Yeonggamnori, its process of treatment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drama’s stage. On the basis of this, the relation of Yeonggamnori and psychodrama is examined. The main conten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eonggamnori is the play shamanism-song that aim at a cure effect by old man who possessed patient is isolated. But this play could be possible for Yeonggamnori that is treated a origin of old man and its function. Yeonggamnori’s structure is the same that play’s structure, introduction, peak and ending. and the detailed contents are similar to folk drama. Second, Yeonggamnori’s process of treatment is examined. Yeonggamnori is consist of introduction, peak and ending. As a checking to fit with performance situation, it can say that introduction is a spirit ceremony, peak is a performance ceremony, and ending is a sending god ceremony. So Yeonggamnori is making playing stage to three structures. And most of all the performance ceremony can be Yeonggamnori’s core. Third, the relation of Yeonggamnori and psychodrama is examined. Psychodrama’s elements are stage and audience, main character and producer, and supplementary ego etc. Over organically connection with these, patient’s psychology could be cured. But the Yeonggamnori’s elements are equal as mentioned above. Which is why Yeonggamnori is our traditional psychodrama. Only it is different with psychodrama that the main character, patient doesn’t play actively, and doesn’t reveal his problem. And these role can act as old man which can be a supplementary ego. 이 논문은 심리치료극의 측면에서 <영감놀이>를 살핀 것이다. 먼저 <영감놀이>의 연행근거와 연극적 양상을 개관한 다음, 연극의 단계별로 치료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영감놀이>의 심리치료극적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첫째, <영감놀이>의 연행근거를 검토한 후 연극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영감놀이>는 환자에게 빙의한 영감을 격리시킴으로써 치병의 효과를 노린 희곡무가이다. 그런데 이러한 공연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영감의 유래와 직능을 다룬 <영감본풀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영감놀이>는 전체적인 구조가 연극의 도입-절정-종결부와 동일하고, 세부적인 내용이 민속극과 유사하다. 둘째, <영감놀이>의 치료과정을 살펴보았다. <영감놀이>는 도입-절정-종결부로 나눌 수 있다. 이를 공연상황에 맞게 살펴보면 도입은 청신의례, 절정은 치유의례, 종결은 송신의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영감놀이>는 연극적 단계를 삼단구조로 밟아나간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본극(本劇)인 치유의례가 <영감놀이>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영감놀이>의 심리치료극적 성격을 확인해 보았다. 심리치료극의 구성요소로 크게 무대와 관객, 주인공과 연출자, 그리고 보조자아 등을 든다. 이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면서 환자의 심리를 치유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감놀이>의 구성요소가 위에서 언급한 내용과 대등하다는 점이다. <영감놀이>를 우리의 전통적인 심리치료극으로 볼 수 있는 이유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영감놀이>의 심리치료극적 구조와 성격

        김진영 ( Jin Youn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5

        이 논문은 심리치료극의 측면에서 <영감놀이>를 살핀 것이다.먼저 <영감놀이>의 연행근거와 연극적 양상을 개관한 다음,연극의 단계별로 치료과정을 살펴보았다.이를 바탕으로 <영감놀이>의 심리치료극적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첫째,<영감놀이>의 연행근거를 검토한 후 연극적 양상을 살펴보았다.<영감놀이>는 환자에게 빙의한 영감을 격리시킴으로써 치병의 효과를 노린 희곡무가이다.그런데 이러한 공연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영감의 유래와 직능을 다룬 <영감본풀이>가 있었기 때문이다.<영감놀이>는 전체적인 구조가 연극의 도입-절정-종결부와 동일하고,세부적인 내용이 민속극과 유사하다. 둘째,<영감놀이>의 치료과정을 살펴보았다.<영감놀이>는 도입-절정- 종결부로 나눌 수 있다.이를 공연상황에 맞게 살펴보면 도입은 청신의례,절정은 치유의례,종결은 송신의례라 할 수 있다.따라서 <영감놀이>는 연극적 단계를 삼단구조로 밟아나간다고 할 수 있다.그 중에서 본극(本劇)인 치유의례가 <영감놀이>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셋째,<영감놀이>의 심리치료극적 성격을 확인해 보았다.심리치료극의 구성요소로 크게 무대와 관객,주인공과 연출자,그리고 보조자아 등을 든다.이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면서 환자의 심리를 치유하기 때문이다.그런데 <영감놀이>의 구성요소가 위에서 언급한 내용과 대등하다는 점이다.<영감놀이>를 우리의 전통적인 심리치료극으로 볼 수 있는 이유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Yeonggamnori in the aspect of psychodrama. First after surveying of the playing basis and dramatic aspect of Yeonggamnori, its process of treatment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drama`s stage. On the basis of this, the relation of Yeonggamnori and psychodrama is examined. The main conten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eonggamnori is the play shamanism-song that aim at a cure effect by old man who possessed patient is isolated. But this play could be possible for Yeonggamnori that is treated a origin of old man and its function. Yeonggamnori`s structure is the same that play`s structure, introduction, peak and ending. and the detailed contents are similar to folk drama. Second, Yeonggamnori`s process of treatment is examined. Yeonggamnori is consist of introduction, peak and ending. As a checking to fit with performance situation, it can say that introduction is a spirit ceremony, peak is a performance ceremony, and ending is a sending god ceremony. So Yeonggamnori is making playing stage to three structures. And most of all the performance ceremony can be Yeonggamnori`s core. Third, the relation of Yeonggamnori and psychodrama is examined. Psychodrama`s elements are stage and audience, main character and producer, and supplementary ego etc. Over organically connection with these, patient`s psychology could be cured. But the Yeonggamnori`s elements are equal as mentioned above. Which is why Yeonggamnori is our traditional psychodrama. Only it is different with psychodrama that the main character, patient doesn`t play actively, and doesn`t reveal his problem. And these role can act as old man which can be a supplementary ego.

      • KCI등재후보

        『조선어독본』의 ‘혹부리 영감’설화와 근대 아동문학의 영향 관계 고찰

        張貞姬(Jang, jeung-he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0

        본고는 『조선어독본』에 수록된 ‘혹부리 영감’ 설화와 우리 근대 아동문학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이다. 이 논문은 ‘혹부리 영감’ 설화가 일본으로부터 유입되어 전파되었다는 설을 부정하고, 두 나라 간의 ‘혹부리 영감’을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 고유 ‘혹부리 영감’ 설화의 가능성을 텍스트 분석을 통해 제시했다. 그 첫째는 ‘춤(日):노래(韓)’라는 매우 변별적인 요소이며, 둘째는 인간에 대한 도깨비와 오니가 매우 상반된 태도를 보인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본고는, 『조선어독본』에 수록된 ‘혹부리 영감’과 방정환의 동화극 「노래 주머니」의 영향 관계를 논의했다. 제4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어독본』(1933~35)의 ‘혹부리 영감’ 개작 내용 가운데, ‘아름다운 목소리가 혹에서 나온다는 것을 노인이 말하지 않고 도깨비가 말하게 한 점’, ‘노인이 부른 노래로 시조 및 동요의 삽입’ 등의 미세한 사실에서, 방정환의 「노래 주머니」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논의했다. 끝으로 본고는 ‘혹부리 영감/노래 주머니’ 설화가 우리 아동문학에 어떻게 전승되어 왔는지 살폈다. 1960년대 이후 아동문학의 ‘혹부리 영감’ 수용 양상에서 이원수의 「노래 주머니」가 크게 영향을 미쳐 온 것과 일본형 ‘혹부리 영감’ 설화가 침투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tudies influence relation between our modern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fairy-tale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which is included in『The language reading book of the Joseon Dynasty』. First, this study denies the theory that the fairy-tale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was flowed in from Japan and was spread into Korea. Comparing each fairy-tale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of Japan and Korea, i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our own fairy-tale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by analyzing their texts. First, it finds a quite distinctive element, namely, ‘dance(Japan) : song(Korea)’. Second, it finds that Dokkaebi(Korean goblin) and Oni(Japanese goblin) have a fairly conflicting attitude for human. Second, this study discusses influence relation between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which is included in『The language reading book of the Joseon Dynasty』and「a pocket of songs」, the fairy-tale drama which is written by Bang Jung Hwan. Examining the adapted contents of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which is included in『The language reading book of the Joseon Dynasty』of the fourth Joseon educational law period(1933~1935), it finds quite minute facts such as ‘the fact that a pretty voice was come out from a lump was said not by a geezer, but by a dokkaebi.’ And ‘as the songs which were sung by the geezer, sijoes (*sijo :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or children’s songs were included in them’, and so on. From these minute facts, it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Bang Jung Hwan’s「a pocket of songs」had an effect on the fairy tale. Finall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airy tales such as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and ‘a pocket of songs’ have been handed down to our children’s literature. Looking aspects which our Children’s literature had accepted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since 1960’s, it finds that Lee Won Soo’s 「a pocket of songs had a great influence on our children’s literature and Japanese’s ‘a geezer with a lump on his cheek’ had penetrated our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

        성경영감론에 비추어 본 한경직의 설교

        김회권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3

        한국교회의 위기를 촉발한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설교의 위기 또한 한국교회를 쇠락의 길로 몰아가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국교회의 강단에서는 성경의 권계적이고 경책적인 목소리가 사라지고 그 대신 과도한 자기격려적 설교, 성공간증, 그리고 대중영합적인 설교들이 대세를 이룬다. 본 논문은 디모데후서 3:15-17이 말하는 영감받은 성경의 권계적, 경책적, 교정 사역을 배제하는 오늘날 한국교회 강단을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기준으로 한경직의 설교들을 주목한다. 이 논문이 설교학이 성서학과 조직신학과 분리된 채 연구되는 오늘날의 신학분야의 파편화를 극복하고 성서학과 설교학의 건강한 대화와 협업의 길을 여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이 논문은 18권으로 된 한경직 목사 설교전집(1946-1992년)에 들어있는 다양한 설교들을 목적과 기능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이 글의 중심논지는 한경직의 설교들은 성경영감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잘 예증하는 설교라는 주장이다. 한경직의 설교집에 실려있는 1, 145편의 설교들은 단지 성경강해 설교는 아니지만 성경본문의 교리적 차원을 잘 드러내 청중들의 삶에 효과적으로 상관시키는 설교들이다. 이 글은 한경직의 설교들을 세 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그것들이 각각 어떤 점에서 성경의 영감성을 잘 예해하는지를 밝혔다. (1)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믿음의 지혜를 알게 하는 성경; (2) 교훈하고, 책망하며, 바르게 하고,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한 성경; (3)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케 하는 성경. 이 논문의 결론은 한경직의 설교들은 성경영감설에 바탕을 두며 개혁교회의 중심교리(인간타락과 신앙고백에 의한 구원, 삶과 윤리를 통한 복음증거, 사회변혁적 공공 신앙)를 주일예배 설교강단을 통해 가르치는 데 투신되었다는 것이다. While there are many factors that have caused the decline of the Korean Church, one could point out the failure of Korean pastors to confront their audience with the inspired Word of God that is supposed to teach, rebuke, and correct them. The rebuking and correcting voice has disappeared from the pulpits of the Korean Church and has been superceded by self-cheering sermons, success testimony, and entertaining sermons. The present essay undertakes an examination of Rev. Han Kyung Chik’s sermons, collected in the 18 volumes that compile nearly all the sermons delivered at the Sunday morning services of Young Nak Presbyterian Church from 1946 to 1992, with attention to their goals and functions. The central thesis of the present article is that Rev. Han’s sermons offer a good illustration of the doctrine of biblical inspiration. His 1, 145 sermons succeed in making the biblical texts and their embedded doctrines bear on the concrete life setting of his audience, simply beyond being expository sermons. This essay analyzes how well his sermons demonstrate the doctrinal meaning of sermon texts, categorizing them under three themes: (1) the Bible that makes its readers wise for salvation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2) the Bible that is useful for teaching, rebuking, correcting, and training in righteousness (correcting, rebuking, and encouraging); (3) the Bible that sanctifies the people of God so as to be thoroughly equipped for any good work.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present essay reaches the conclusion that the sermons of Han Kyung Chik are committed to instructing the central tenets of the Reformed Church: confession of human depravity followed by salvation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witness of the Gospel through ethical life, and public faith seeking social transformation. It is hoped that the present essay will contribute to paving the way for a mutually edifying dialogue and cooperation between homiletics and biblical studies, overcoming the compartmentalization of various disciplines of Christian theology.

      • KCI등재

        프루스트에서 예술적 영감의 문제

        김주원 ( Kim Joowo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21 불어불문학연구 Vol.- No.126

        이 논문은 마르셀 프루스트에게서 예술 창작의 과정이라는 문제를 이해하기 위하여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난 예술적 영감의 의미와 위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루스트는 문학사에서 영감의 주요 원천으로 간주되었던 두 요소인 자연과 사랑을 소설의 소재로 삼아 전통적인 영감 개념에 대한 해체를 시도하였다. 자연 풍경이 주는 영감이 언어 구조물로 직접 표현되는 자발적인 창작은 불가능하며, 미적 대상이자 예술 작품의 현현으로 간주된 여성이 예술가의 창작을 유도한다는 뮤즈의 관념은 환상으로 판명된다. 한편 프루스트는 19세기 예술의 영감 개념에 대해 양가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영감의 신화적 성격을 극복하면서도 영감 담론에 축적된 이론적 자원을 활용하기 위함이었다. 『되찾은 시간』에서 영감은 대상의 부재앞으로 작가를 이끄는 힘으로 묘사되며, 고통과 꿈이라는 두 가지 형상을 통해 구체화된다. 프루스트에게서 예술적 영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낭만적 영감 개념의 갱신을 향하며, 이후 현대적 영감 담론의 원천이 되었다. Cette étude a pour but d’éclairer la signification et la place de l’inspiration artistique dans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de Marcel Proust, pour aborder la question du processus de la création artistique chez le romancier. En représentant dans son roman deux éléments considérés comme sources majeures de l’inspiration créatrice, l’écrivain a tenté de déconstruire la conception traditionnelle de celle-ci. D’une part, la création spontanée, au cours de laquelle l’inspiration procurée par le paysage naturel se transforme directement en une construction linguistique, est impossible ; d’autre part, l’idée de la muse inspiratrice qui guide la création, considérée elle-même comme un objet esthétique et comme l’incarnation d’une oeuvre d’art, s’avère être illusoire. Par une ambivalence vis-à-vis de la notion de l’inspiration dans l’art du XIXe siècle, Proust cherche à critiquer le caractère mythique du discours autour de cette notion, tout en utilisant la richesse théorique de ce même discours. Dans Le Temps retrouvé, l’inspiration se décrit comme une force qui guide l’écrivain vers l’absence de l’objet, et se concrétise dans deux figures : la souffrance et le rêve. En conclusion, la réflexion proustienne sur l’inspiration vise un renouvellement de la notion de l’inspiration romantique, pour être la source d’un discours moderne sur ce sujet.

      • KCI등재

        민속예능을 통해 본 한일 예능의 원상(原像) -탈춤과 하쿠산 예능에 보이는 영감,함미 모티프의 비교 비교 고찰을 통하여-

        김난주 ( Nan Ju Kim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4 일본연구 Vol.22 No.-

        일본의 하쿠산(白山) 지역과 하쿠산 신앙권은 고대시대 한국 문화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동시에 오키나(翁) 가면의 일대 산지이자 노가쿠(能樂) 성립기의 비밀을 간직한 곳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하쿠산 신앙 지역의 유서 깊은 민속 예능에서 영감·할미 모티프를 찾아내고 이것을 한국 탈춤의 「영감·할미마당」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탈춤과 오키나(翁) 예능의 原像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한국 탈춤과 하쿠산 민속예능에 등장하는 영감, 할미는 공히 지역 공동체의 재앙을 물리치고 풍요를 기원하는 수호신적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을 나타내는 극적인 퍼포먼스의 양상에는 차이를 드러낸다· 즉, 한국 탈춤의 모든 영감과 할미는 노골적인 성 행위 퍼포먼스를 통하여 마을의 풍요와 번영을 기원하는데 비해, 하쿠산 예능의 오키나와 老女는 神佛이나 하쿠산 신을 경배하며 지역 공동체에 신의 축복을 전하는 사제의 역할을 연기한다· 이러한 비교 고찰을 통하여 본고에서는 현행 탈춤의 노골적인 성행위 퍼포먼스가 후대에 강화된 현상이며, 그 原像은 하쿠산 민속예능에서 보듯 성행위 묘사가 제의적 엄숙성을 담보하는 측면에서 보다 절제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한편, 하쿠산 예능의 오키나와 노녀는 각각 따로 등장하며 극적 갈등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비해 한국 탈춤의 모든 영감 할미는 부부로 등장한다· 그러나 극중에서 이들은 별거 상태로 등장하고 어렵게 재회한 후에도 할미의 가출 혹은 죽음으로 인해 파국을 맞이한다· 이렇게 모든 탈춤의 영감 할미가 부부로 등장하면서도 함께 하지 못하는 것은 애초에 이들 부부관계가 원래의 모습이 아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실린 神話 傳承에서도 할미신은 오랫동안 영감신에게 독립된 개체로 존재했고 할미와 영감신이 함께 등장하는 것은 후대에 이르러서이다· 이러한 점에서 성적 파트너십이 희박하고 각자 독립된 영역에서 등장하는 하쿠산 민속예능의 오키나와 노녀는 탈춤 「영감·할미 마당」의 원형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후대로 내려오면서 한국 탈춤의 세계에서 할미신은 영감신의 처로 완전히 전락한다· 또한 일본 민속 의례의 세계에서 각기 따로 양립하던 오키나와 노녀신은 오바사마 마쓰리에서 보듯 영토를 차지하기 위한 싸움 끝에 오키나의 승리로 귀결되는 역사를 보여준다· 이렇게 영락한 할미신들의 말로는 한국 탈춤의 경우 할미의 죽음으로 나타나고, 일본 오키나 계통 예능의 경우에는 노녀신의 神體가 검은 영감신, 즉 삼바소로 교체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The Hakusan area and the religious sphere of Hakusan are related to the Korean culture of the ancient period, and at the same time are remarkable for producing the Okina mask· In addition, they are the secret place where the Noh play was established· It aimed to explore the original figure of mask drama and Okina (elderly man) sarugaku by finding the motif of elderly men and aged women in time-honored folk performing arts of the religious area of Hakusan and by comparing this with ``the yard of elderly man, aged woman`` of Korean mask dramas· The elderly man and aged woman that appear in Korean mask dramas and folk performing arts of Hakusan have a patron saint character who overcomes disasters and prays for the richness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is in the aspect of their dramatic performance· Namely, all elderly men and aged women in Korean mask dramas hope for the richness and prosperity of the village through the explicit performance of sex acts· In comparison, the aged woman in Okinawa`s Hakusan artistic performances worships God and Buddha or the God of Hakusan and performs the role of a priest conveying the blessing of the patron saint of the local community· This paper posits that the explicit sex act performance of current mask dramas intensified in future generations; its original figure as seen in the folk artistic talents of Hakusan from the aspect that the description of sex acts guarantees the ritualistic seriousness that has been restrained through this comparison· Meanwhile, the aged woman, the performing arts of Okinawa`s Hakusan appears separately, and in most cases is unaccompanied by dramatic conflict· In comparison with this, all elderly men and aged women in Korean mask dramas appear as husband and wife· But they do so in a state of separation and are confronted by difficulties such as a disappearance from home or the death of an aged woman after reuniting· This is because it is fate that the elderly man and aged woman cannot be together; the relationship of this husband and wife is not the original figure that the elderly man and aged woman in all mask dramas cannot be together in spite of the appearance as the husband and wife· The Goddess of the aged woman exists as the individual from the God of the elderly man in the transmission of myth published in "Samguksagi" and "Samgukyusa"; it is not until later that the God of the elderly man and aged woman appear together· In this respect, the sexual partnership is thin, and it may be said that the aged woman, Okinawa of Hakusan appears in the independent area to represent the original figure of the mask drama, ``the yard of elderly man, aged woman``· However, the Goddess of the aged woman in the history of Korean mask dramas is degenerated as the wife of the God of the elderly man as time passes· Also, the Goddess of grandma, Okina that stands together by taking possession of indigenous territory in the world of Japanese folk rituals as seen in the Obasama-mtsuri, fights to take possession of territory, and in conclusion, shows the history resulting in the victory of Okina·

      • KCI등재후보

        영감의 연기를 위한 미하일 체홉 테크닉의 고찰

        김규진,이영석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영감의 연기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미하일 체홉이 고안한 다양한 테크닉들과그 속에 작동하는 영감의 요인들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영감은 인물의 내·외적 삶을 창조하도록 이끄는 창의적 자극이자 몸과 마음의 습관에서 벗어나 다채로운 역할을 살아내도록 이끄는 원동력이다. 하지만 영감은 잠재의식 속에서 작동하여 결코 인위적으로 통제할 수없기에, 체홉은 간접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영감을 불러 일으킬 다양한 테크닉들을 고안한다. 본 연구는 ‘영감의 연기를 위한 도표’를 중심으로 미하일 체홉 테크닉의 원리와 세부 요소들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체홉의 모든 저서와 더불어 데이비드 진더, 레너드 페티, 리사 달튼, 말라 파워스, 프랑 체임벌린 등 여러 체홉 전문가들의 글을 참고하였고, 국립 미하일 체홉 협회의 교사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테크닉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심리·신체적 훈련’, ‘성질’, ‘네 형제(편안함, 미, 형태, 전체의 감각)’, ‘진실함과 스타일’, ‘구성’, ‘심리제스처’, ‘가상의 중심과 신체’, ‘분위 기’, ‘목표’, ‘초점’, ‘즉흥과 앙상블’, ‘발산과 수용’, ‘상상 력’은 모두 몸과 마음의 연결됨을 기반으로 제각기 다른 요소를 자극하여 어떠한 인위적 강요도 없이 효과적으로 영감의 연기에 이르게 한다. 또한, 이들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테크닉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다른 모든 테크닉을 연쇄적으로 작동시킨다. 체홉은 위테크닉들 이외에도 새로운 테크닉 및 훈련법들을 꾸준히 개발하였다. 이는 영감의 문을 여는 열쇠가 도표에 나와 있는 테크닉들로 제한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새로운 테크닉이 추가될 수도, 세부 훈련법이 발전될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 KCI등재

        <녹두영감>과 <팥죽할멈> 설화의 문화사적 이해

        신연우 한국구비문학회 2015 口碑文學硏究 Vol.0 No.41

        “Mung-bean Codger”, one of the Korean Folktales, describe the fight between the codger and hares who intrude into the mung-bean field. And it was cultivated by the codger. The codger, who wanted to punish the hares, was fooled inversely. It is shocking to find the codger boiled his own grandson and set his house afire. The antagonistic relations between them centers in farming or agriculture. We can understand it as the fight between man and nature-animal in the age of the beginning of agriculture. The more man cultivated farmland, he more the other animals resisted as they were to be submit to threats by the mankind. The codger did not take a compromising attitude, but tried to do away with hares. He draw ruin upon himself. "Red-bean Soup Grandma" is the antithetic to “Mung-bean Codger.” A grandma was sawing red-bean when a tiger came and threat her to vorant. The grandma beat him out with the help of straw-mat, needle, an A-frame carrier pole etc. Why did she win the fight when the codger lost? The grandma differ from the codger used the manmade and human-friendly tools. She was helped by the tools for life. She showed us how she formed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the nature-animal. She won by arranging compromise measure and tried to present the female principle seeking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Now we can cast a new light upon the Korean folktale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Moon." It also is a tale of the past, which shows the strife between man and nature, the response to the agriculture of humankind. Originally the kids in the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Moon" seemed to be killed by the tiger like the codger’s grandchild. That might be the real situation. And some of the versions of “The Brother and Sister” and “The Red-bean Soup Grandma” are resembling in repelling tigers using some tools. <녹두영감> 설화는 농사를 방해하는 토끼와 영감의 싸움을 그리고 있다. 토끼를 혼내려던 영감이 오히려 토끼에게 속아 손자를 삶아먹고 집은 화재로 잃는다는 충격적인 내용이다. 영감과 토끼의 적대적 관계는 농사를 두고 벌어진다. 이를 농경시기에 접어든 인간이 자연-동물과의 적대적 싸움을 벌이던 모습으로 이해해볼 수 있다. 토끼는 인간이 자연을 점령할수록 삶의 위협을 받아 저항하며, 노인은 타협이 아니라 토끼를 처치하려는 악수를 두다가 파멸하고 말았다. 이와 대조되는 것이 <팥죽할멈> 설화이다. 할머니가 혼자 팥농사를 하고 있는데 호랑이가 와서 잡아먹겠다고 위협한다. 할머니는 멍석, 바늘 등 살림살이 도구들의 도움을 받아 호랑이를 물리친다. 영감은 졌던 싸움에 왜 할머니는 이기는 것일까? 영감과 달리 팥죽할멈은 인공적 도구, 인간친화적 도구들을 이용한다. 주변 생활도구들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도구의 도움이 없던 영감의 시대와 달리 도구를 통해 자연과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모습을 반영한다. 녹두영감이 자연을 적대시하고 파멸하는 남성적 모습을 보여주는 것과 달리 팥죽할멈은 자연과 타협을 시도하고 주변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여성적 원리를 제시한다고 이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를 다시 조망해볼 수 있다. 이 설화에는 도구를 이용해 호랑이를 물리치는 오누이의 모습이 팥죽할멈과 닮은 면이 있다. 그러나 그 결말은 원래 호랑이에게 아이들이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나 몽고 설화에는 해와 달이 되는 결말이 없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는 인간이 호랑이 앞에서 죽음을 피할 수 없었던 과거의 상태를 담고 있는 설화이다. 이 설화는 <녹두영감>이나 <팥죽할멈>과 마찬가지로 인간과 동물의 갈등, 농경과 자연에 대한 인간의 대응과 변화를 보여주던 설화로 이해할 수 있다. 원래 호랑이에게 희생되는 것으로 끝났던 그 설화는 그 자체로 끝나는 각편도 많지만, 다른 결말이 추가된 것들이 두 종류 있다. 오누이가 해와 달이 되는 결말은 아이들이 호랑이에게 희생된 것을 신화적으로 처리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결말과 달리 <팥죽할멈>설화와 연결되는 것은 도구를 이용해 동물을 제압해 문명을 일구어나가던 단계의 인간의 모습을 그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칼빈의 성경 영감에 대한 이해

        양신혜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3 조직신학연구 Vol.18 No.-

        한국장로교회는 박형룡과 김재준의 성경영감에 대한 논쟁으로 수많은 장로교교단 분열을 경험하였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중요한 신학적 과제로서 장로교단의 신학근원인 칼빈의 성경영감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영감의 라틴어 인스피라레 또는 인스피라치오의 사용 용레를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칼빈은 성령의 역할로서 ‘영감’을 뜻하는 단어를 드물게 사용하였다는 점을 발견하고 성령의 역할을 사용하는 다른 다양한 단어들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 『기독교 강요』I.6.2에 기술된 성경의 전승 과정에서 영감이 어떤 역할을 하욨는지, 칼빈의 관심이 어디에 있는 살펴보았다. 셋쨰, 성령의 역할로서 영감 이해의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는 성경 구절 디모데후서 3장13-17절에 대한 칼빈의 주석을 분석하여 영감에 대한 그의 이해에 접근하였다. 칼빈이 성령의 역할로서 영감을 성경의 신적 본질을 보증하는 증거로 사용하였는지에 주목하여 그의 주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칼빈의 관심은 하나님의 역사적 과정을 통해서 해석되어 전수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성셩이 지닌 신적 본질로서의 독트리나를 하나님께서 성령의 도구로서 제사장, 선지자 그리고 사도들과 인격적 관계를 통해서 해석 적용하는 과정을 직접 이끄셨다는 점을 부각시켜 칼빈에게 있어서 성경과 영감의 관계는 하나님의 섭리의 역사임을 밝혔다. The argument about the inspiration of the Bible bet between Hyeong yong Park and Jaejun Kim in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caused the division of denominations. So,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Calvin`s inspiration as an important subject. To reach this purpose, I analyze the term inspirare/inspiration in Institutio, but I get to know that Calvin doesn`t use securely this term as the function of the Holy Spirit, so I try to further analyze other terms gubernare, dictare etw. From this, I attain an effect that Calvin used these terms as a work of the Holy Spirit in relation to the authors of the Scripture. Secondly, I look over, I.6.2 in Institute, where Calvin described the historical process, how the author of the Bible the revelation of God hands over the generation to generation. I go through it and try to reveal the function of the Holy Spirit in transmission of the Bible. Thirdly, I analyze II Time3,16-17, because this paragraph provides a basisfor the understanding of the inspiration of the Bible. I pay attention, on Calvin comments the inspiration as an evidence of the divine revelation of the Bible in this text. From this, I show that Calvin expresses doctrina as divine evelation is conveyed in the Bible, he uses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in personal relation to the authors of the Bible and the emphasizes the providence of God, in other words, God works as the author of the Bible through the Holy Spirit.

      • KCI등재

        박용철 시론의 내적 논리

        이상옥(Lee, Sang-ok)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5 No.-

        이 글은 박용철 시론의 내적 논리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박용철의 시론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지만, 그의 비평 및 시론 전반의 내적인 흐름을 규명하기보다는 특정 개념에 의거하여 시론 전반을 규정해왔다. 이로 인해 박용철의 시론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의 내적 연관성이 제대로 해명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그의 시론 및 비평을 다시 읽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박용철의 시창작론적 사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시작(詩作)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난점에 대한 해명의 논리가 바로 박용철의 시론을 구성하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용철은 ?시문학? 창간 이전 습작기를 거치면서 시와 시작에 관한 기본적인 관점을 정립하게 되는데, 이 시기에 두드러지는 특징은 “기교”에 대한 자기반성과 “속에 덩어리”의 자각 그리고 시적 형상화의 문제에 대한 고민이었다. 이후 박용철은 “존재”와 “고처”로 시를 정의하면서, 영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하나의 자율적 존재인 시가 감상자에게 고처가 되기 위해서는 강렬한 영감에서 시작이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나아가 박용철은 영감 차원의 “고처”가 시적 형태를 가진 표현 차원의 “고처”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여기에서 영감의 시적 변용에 관한 사유가 나타나게 된다. 박용철은 시인을 천부적인 영감의 소유자로 여기지도, 영감을 외부로부터 주어진 변용 불가능한 것으로 여기지도 않았다. 그는 영감을 시인의 “전생리”에서 오는 일시적이고 우연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영감 그 자체보다 그것을 포착하기 위한 시인의 감각과 그 감각을 기르기 위한 체험과 인내를 보다 강조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박용철은 시인이 감각한 “최초의 발념”이 실제 작품에서 그대로 재현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된다. 그리고 그는 그러한 “표현과 생각과의 간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해 시어와 기술을 통한 “비판적 발전”을 모색하게 된다. 백석의 토착어 지향에 대한 고평은 그러한 사유의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poetics and criticism of Park yong-chul in terms of Poetry writing. Specifically will be discussed that focusing on difficulties of Poetry writing. To do this, we must consider that his poetic vision or awareness of issues has been forme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Because the poetics of park yong-chul can not be derived without feeling as a poet. He felt the need of inspiration to influence the reader"s image. But he did not consider inspiration that is essence of poem. He had just given importance as a "starting point" of poetry writing. He did not tues divine inspiration unlike lyric poets of former. He was recognized as important qualities of a poet in which experience or poetic sensation for the growth of inspiration. And park yong-chul had also deeply worried about the distance between inspiration and expression. This is a problem that occurs in the process poetic transformation of inspiration. Through this process, he will be recognized the autonomy of the language "the synthesis of the meaning and sound" rather than cling to inspire. And he will argue that "critical developments in the production process". Finally he will be found contacts between inspiration and expression in local dialect of Baek seok and Kim young-rang. It can be said practical implementation of poetry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