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이 각기 고유한 영역특수성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전반적 욕구충족으로 수렴되는 위계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욕구충족의 연속체를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초등학생 427명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측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CFA, ESEM, B-CFA 모형에 비해 B-ESEM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각각 일반요인으로 상정한 이중 일반요인 모형에 비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포괄하는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단일 일반요인 모형이 자료에 더 부합하여 욕구만족과 좌절의 단일 연속체 가설을 지지하였다. 유능성만족과 유능성좌절이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중심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반면, 자율성좌절은 가장 높은 영역특수성을 나타냈다. 욕구충족 일반요인은 본 연구에서 살펴본 모든 적응변인(수업참여, 친사회적 행동, 긍정정서, 내재동기와 동일시조절) 및 부적응변인(수업이탈, 공격성, 부정정서, 외적조절, 내사조절, 무동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각 욕구별 영역특수요인은 욕구충족 일반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각기 다른 결과변인들과 여전히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각 욕구만족 및 욕구좌절의 고유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서로 독립적이고 구별되는 개념이지만 동시에 단일 연속체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의미와 요인구조, 및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dimensionality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bifactor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ESEM) framework.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ere better represented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or as two distinct constructs. Using a sample of 427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upported the multidimensional B-ESEM representation including on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and six specific factors as the combination of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dicators of both competence satisfac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loaded strongly on the general factor, suggesting that competence was crucial for students’ global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ulfillment. Most items dropped into meaningful specificity once the global factor was accounted for, while autonomy frustration showed the highest specificity. Furthermore, global need fulfillment significantly explained all 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engagement,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s,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ll mal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disengagement, aggression, negative emotions, introjected 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Specific factors explained the variance in certain outcome variables over and above the variance already explained by th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or specific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factors in addition to the global level of need fulfill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uld be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rather than as two distinct constru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