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 유럽 문장과 연금술 상징의 관련성 연구

        김경화(Kim, Kyung Hwa),고봉만(Ko, Bong Man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이 논문은 연구논문과 단행본 조사에 기초하여 중세유럽 문장과 연금술 상징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W. J. T. 미첼의 이미지텍스트 개념은 이 관계를 밝히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 중세문장과 연금술 도판들이 다양한 이미지텍스트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미첼의 이미지텍스트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대립을 화해시켜, 다학제적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본 연구가 궁극적 목표로 하는 인문학과 그래픽 디자인의 접목에도 유효한 방법론이다. 문장 상징은 십자군 전쟁을 통해 중동에서 수입된 점성학과 연금술의 영향을 받았다. 십자군 전쟁을 치르면서 유럽 문장은 집단상징에서 개인식별 수단으로 정착된다. 유럽 병사들 역시 친숙한 짐승을 자신들의 무구에 그리는 대신, 쌍두독수리와 유니콘 같은 이국적 동물들을 그려 넣었다. 이러한 상상동물들은 비잔틴 예술과 연금술 텍스트에 공통되게 나타나는 요소다. 따라서 문장 상징의 의미를 제대로 규명하려면 연금술 전통을 연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연금술의 세계관이 문장의 기하학 문양뿐 아니라 색채 사용 규칙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르네상스에 출판된 연금술 저작은 연금술 엠블럼과 문장 상징 사이에 놀라운 유사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점을 연금술의 위대한 작업 4단계에 등장하는 동물들의 상징적 재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독일 마이센 도자기의 제작 과정과 스위스 네슬레 로고 디자인의 변천을 통해 연금술이 문장에 끼친 영향을 입증하고자 한다. 현대 로고의 기원은 중세 유럽 문장에 있다. 문장은 고대에 태어난 고정된 상징이 아니라 상징체계의 살아있는 흔적이다. 그래픽 전문가들이 중세 문장을 활용한 창조적인 디자인을 하는 데 이 논문이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lchemical symbols and medieval heraldic emblems based on research papers and books concerned. Especially W. J. T. Mitchell`s notion of imagetext helps this paper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cause both medieval heraldry and alchemical illustrations consist of various imagetexts. Mitchell synthesizes the opposition between image and text in the concept of the imagetext. His theory offers the methodological frame work to carry out interdisciplinary studie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that links humanities and graphic design. Heraldic symbolism was highly influenced by astrology and alchemy imported from the Middle East during the Crusades. European soldiers, rather than painting domestic beasts on their armor, favored exotic creatures like lions, double-headed eagles, and unicorns. It was not until the Crusade that Europeans used heraldry as symbol of personal identification. Fabulous animals of heraldic charges were common in Byzantine art and alchemy text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hermetic tradition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heraldic symbols. I argue that the philosophy of alchemy had impact not only on geometric heraldic charges but also on heraldic rules controlling color combinations. Alchemy texts published in the Renaissance period show that there were surprising similarities between alchemical emblems and heraldic symbols. I focus on symbolic representation of animals expressed during the four stages of the Great Work(magnum opus) in alchemy. Finally, I prove that alchemy influenced on heraldry by explaining production process of Meissen porcelain and the Nestlé logo evolution. The origins of the trademarks are in heraldry. Heraldry is not a fixed marker of ancient birth but a living vestige of symbolic system. I wan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graphic designers to develop creative modern design utilizing medieval heraldry.

      • KCI등재

        서양 연금술에 대한 융의 종교철학적 고찰

        김성민(Seong-Minne Kim)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3 No.-

        서양 연금술은 기원전 2-3세기 경 헬레니즘 사회에서 시작되어 17세기에 이르기까지 발전했는데, 분석심리학자 C.G.융은 진정한 연금술사들은 흔히 알려진 것처럼 물질로서의 금을 얻으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물질 속에 있는 세계의 혼(anima mundi)을 추출하여 물질을 구원하려고 했던 정신작업이었다고 주장하였다. 그것은 연금술의 비방(秘方)에 나타난 물질들이 실제의 그 물질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상징들인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연금술사들은 각각의 물질에 그들의 무의식을 투사하여 물질로서의 금이 아니라 현자의 돌을 얻으려고 했던 것이다. 융은 연금술에 나타난 상징들이 그가 정신과 환자들과 했던 정신치료 작업과 많은 부분에서 일치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연금술사들이 얻으려고 했던 금인 현자의 돌은 정신치료 과정에서 궁극적으로 얻어지는 자기(self)의 투사임을 확인하였다. 연금술은 자연과학이라는 옷을 입고 있지만, 사실은 전인(全人)에 도달하려는 인류의 노력이 중세라는 시대에 보호막을 입고 나타난 것이라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것은 연금술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상징이나 연금술의 과정이 많은 부분에서 융이 말하는 정신치료 과정인 개성화 과정과 유비적인 관계에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The western alchemy began with the background of Greek philosophy and Egyptian techniques in the Hellenistic world of the 2-3 century BC. The Greek philosophy was interested in the examination of the essence of materials, whereas the Egyptian pursued the immortality of human being making mummies. The alchemy developed by mixing these two together. The alchemists worked with strong confidence, and they initiated very few people into the mysteries. The alchemy has been known, in general, as an occult art which makes an elixir of life or gold by some plain metals. But Analytical Psychologist C.G. Jung convinced that the work of alchemy didn’t aim to get gold but to reach the totality of the psyche. As the materials used in the alchemy didn’t indicate that materials as such but they were the symbols which the alchemists projected. The alchemists thought that the Christianity is so standardized and obsessed with its tenet that it cannot satisfy the internalized unconscious desire of human beings, especially the introverted ones. They believed they would be able to observe a mysterious metamorphosis if they project these internal process onto a substance. Therefore, for them, a substance was not merely an inanimate thing but a living creature with a soul, and the essence of these subjects was gold. For this reason, C.G. Jung said the work of alchemy can liberate the anima mundi and save the world of material. The very last phase of the alchemy is the lapis philosophorum that is also called as the filius philosophorum, homo primordial, anthropos. The alchemists called them like this as they wanted to highlight all significances in these names. The individuation process, which C.G. Jung thought as the goal of all psyche, is to actualize the Self which is the most powerful archetype in the collective unconscious. It is also a way to reach totality of psyche, and it has been tried for thousands of years through numerous symbols, and the alchemy is one of them.

      • KCI등재

        일반논문 : 『주역』과 분석심리학의 연금술(鍊金術)- 곤(困),정(井),혁(革),정(鼎)괘를 중심으로-

        이현구 ( Sung Soo Shin ),신성수 ( Hyun Gu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6 No.-

        『주역』은 동양의 여러 경전 중에서 비교적 초기에 형성된 형태를 갖고 있다. 이후 해설서인 「역전」이 생기면서 점서에서 철학서로 확대되고 심화되었다. 그 결과 『주역』은 생활에 필요한 점괘를 얻는 도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적인 수양의 방편으로도 활용이 되었다. 『주역』과 도가(道家)와의 만남은 수양의 결정판을 형성하게 된다. 그래서 인간을 중심으로 안과 밖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통합의 관점을 만들어가게 된다. 서양에서는 일찍이 연금술의 개념이 있었다. 영지주의(靈知主義)와 맥을 같이하면서 상징적으로 물질에서 금을 축출하려는 욕구에서 비롯한 연금술은 상당 기간 서양 사상계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다. 현대에 이르러융(C. G. Jung)에 의해 연금술은 새로운 조명을 받게 된다. 융은 연금술사들의 작업의 결실이 물질적인 금(金)일 수도 있겠지만 정신적인 궁극의 목적물을 추구하는 면도 있음을 발견한다. 서양의 연금술도 동양의 『주역』과 같이 외적인 현상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적인 면을 반영한다. 동양의 『주역』과 서양의 연금술은 각자의 자리에서 오랜 역사를 인류와 함께 하면서 모든 정신적 내용물들을 안에 담아오고 승화시켜 왔다. 이런 관점에서 분석심리학의 연금술을 통하여 『주역』 곤(困)·정(井)·혁(革)·정(鼎)괘를 이해하여 보았다. 연금술의 흑화(nigredo)-백화(albedo)-적화(rubedo)의 과정은 『주역』 곤괘(困卦)의 흑화, 정괘(井卦)의 백화, 그리고 혁괘(革卦)와 정괘(鼎卦)의 적화로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주역』과 연금술은 정신적으로 불변하는 영원한 금(金)을 지향한다. 그 금은 동서양의 차이를 뛰어 넘어 보편적 인간 심성안에서 꽃으로 피워지기를 기다린다. I-Ching has formed earlier among the Asian Scriptures. Afterwards Ten Wings (十翼傳) was made, it has changed from the fortunetelling book to the philosophical one as being extended and deepen. Consequently I-Ching becomes not only the instrument of divinatory sign for actual life but also the means for cultivating of inner life. Encountering between I-Ching and Taoism makes the culminative form about the cultivating mind. Then the integrating aspect of man-centered can be made as harmony through the outer and inner realm. Europe has developed the alchemy. It has been connected with the gnoticism. Alchemy has been started from the desire of alchemist which extracts the gold from the matter symbolically. It has been the base of European thought for a long time. It is focused newly by C. G. Jung in modern times. Jung discovered that the result of alchemist’s work is not only the actual gold but also the final object of psyche. European alchemy also does not limit at the outer phenomenon as Asian I-Ching. They reflect the aspect of human being’s psyche. They have been put and sublimated the psychic contents at their own place through the long history with human. At this view point this paper tries to approach the K``un-Opression(困卦), Ching-The Well(井卦) and Ko-Revolution(革卦), Ting-The Caldron(鼎卦) of I-Ching through the alchemical aspect of the analytic psychology. As this paper written the process of alchemy(nigredo-albedo-rubedo) can be related K``un-Opression (困卦):nigredo, Ching-The Well(井卦):albedo and Ko-Revolution(革卦), Ting-The Caldron(鼎卦):rubedo. I-Ching and alchemy search for the eternal gold which is unchanging psyche. This gold has been waited for being blossomed as the flower in the universal human psyche as rising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East and West.

      • KCI등재

        발효음식과 연금술적 상상력

        최인령(Choi In-Ryeong),오정호(O Jeong-Ho)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한국인의 일상적 식생활은 발효음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발효식품을 소재로 한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영상콘텐츠들이 방영되고 있다. 이렇듯 발효음식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문화콘텐츠적 가치 창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오랜 역사적 흐름 속에서 한국인의 문화코드로 자리 잡은 발효음식과 우리의 정신문화적 원형인 음양오행사상과의 관련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나아가 ‘감칠맛’이란 언어표현의 분석을 통해 그속에 담겨있는 발효음식의 문화적 가치를 발견하여, 향후 발효문화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발효문화라는 새로운 연구 영역의 개척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발효문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그 연구 범주를 규정하는 발효문화의 연구모형을 제시한다. 둘째, 발효음식은 ‘썩힘’과 ‘삭힘’, 곧 부패와 발효 사이의 아슬아슬한 한계를 유지해야 하는 특수한 방식의 저장식품이다. 또한 인류의 음식문화사적 관점에서 볼 때 발효음식은 익힌 음식보다 진일보 발전한 단계이다. 이러한 발효음식의 제조과정에서 나타나는 발효의 원리는 무엇이며 그것이 연금술의 원리 및 음양오행사상과는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 살펴본 후에, 김치와 장류의 발효식품 속에 반영된 음양오행사상과 연금술적 상상력을 분석한다. 이 발효식품들은 그 속에 음양오행의 색과 맛, 변화가 반영된 연금술적 상상력의 창조물들임에 주목한다. 끝으로, 발효음식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감칠맛’의 어휘 및 다양한 비유 표현 속에 함축된 음양의 이미지(태극도)와 연금술적 상상력을 논할 것이다. 우리는 감칠맛이란 단맛, 신맛, 짠맛, 쓴맛과 구별되는 제5의 맛으로서, 삭힘의 시간을 거친 발효식품의 숙성된 맛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보고, 그 속에 반영된 한국 (발효)문화의 정체성을 고찰한다. 혀끝에 감돌듯 여운을 남기는 감칠맛의 독특한 이미지는 한국인의 문화전통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한옥 및 한복, 그리고 태극도의 곡선미와 맞닿는 연금술적 상상력의 미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금술사의 솥단지-『단경요결(丹經要訣)』에서 읽어낸 연금술의 실제-

        정우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선도문화 Vol.17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thods and instruments used in ancient chinese alchemy. The Tan ching yao chueh, ascribed to the great seventh-century physician-alchemist Sun Ssu-mo(孫思邈), is such a key. It provide substantial specifications for, and instructions in the use of, alchemical laboratory equipment. Sun Su-mo as a craftsman carefully tested the explanations made by previous practitioners, not just following such explanations. In this point, Tan ching yao chueh is an outstanding scripts that gives exact informations about the method and equipments used in manufacturing elixir. This scripts consists of three parts; 1) a preface with catalog of another name of important elixirs. 2)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equipments of elixir. 3) example of alchemical operations. The equipments of alchemists contain six-one lute, reaction vessels, and furnace. The six-one lute is a symbol of sky and earth. It is traditionally made with seven materials, the number of which is symbolic, 6+1. But Sun Su-mo use just two materials. He changed the tradition through his experiments. Reaction vessels are consist of two part, the lower vessel and upper vessel. Sun Su-mo had tried many vessels, ultimately knew Two vessels are adequate for manufacturing of elixirs. The two-part reaction vessel containing materials for elixir must be plastered with six-one lute. Then, careful and steadfast burning is needed to get elixir. The operation process must be repeated again and again to get good elixir. Tan ching yao chueh shows us the lucid operation process of elixir. It is one of the best scripts to study chinese alchemy. 중국연금술연구의 의의로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도교내단사상의 토대가 되었다. 내단의 용어는 외단에서 빌려온 것이다. 둘째, 중국과학사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소재다. 니덤은 연금술을 원시화학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했지만, 시빈은 그런 태도에 반대하고 구체적인 시대문화적 토대위에서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연구태도는 그간 충분히 규명되지 않았던 중국과학사상의 일단을 보여줄 것이다. 셋째 연금술에는 도교의 종교성과 철학이 들어 있다. 연금술에 대한 연구는 고대 중국인의 과학에 대한 태도, 세계관 등을 알려준다. 뿐만 아니라 그 배후에서 삶과 죽음 그리고 수양론의 태도를 읽어내는 것도 어렵지 않다. 그러나 연금술연구에는 적지 않은 장애가 있다. 연금술 관련 문헌은 비전의 전통 때문에, 은유로 가득 차있기 때문이다. 『주역참동계』의 난해성은 바로 이런 표현법에서 연유한다. 그러므로 연금술 연구에 있어서는 문헌의 선택이 중요하다. 『단경요결』은 다른 문헌과 달리 연금술의 실제를 여실하게 보여준다. 이 문헌의 저자로 추정되는 손사막은 의사이자 연금술사였다. 그러나 그 이전에 그는 경험합리적 태도를 지니고 있는 기술자였다. 기술자로서 손사막은 단순히 이전의 전통을 답습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계승했다. 그는 육일니라는 상징적 소요물을 과감하게 재해석했다. 그래서 육일이라는 이름이 함축하고 있는 것처럼 일곱 가지의 재료가 쓰여야 할 이 진흙에는 겨우 두 개의 재료만 쓰이고 있다. 손사막은 반응기의 선택에 있어서도 자신의 경험을 중시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철로 만든 솥을 사용했다. 육일니는 위아래로 맞댄 솥의 틈을 봉하는데 사용된 것이다. 반응기에 내용물을 넣은 후에는 오랫동안 가열해야 한다. 가열을 통해 얻은 것들은 다시 재 가열해야 한다. 그뒤에도 반복적인 가공과정을 거쳐야 한다. 손사막은 기존의 연금술을 경험합리적 태도로 재해석했다. 그러나 수양의 과정이라는 특색을 저버리지 않았다. 『단경요결』에서 묘사하고 있는 연금술은 중국과학의 경험합리적 태도와 문화상징적 요인 그리고 종교철학적 태도를 모두 보여주고 있다.

      • 모래놀이에 나타난 연금술적 변환과정

        김덕규 ( Dukkyu Kim ) 한국분석심리학회 2024 心性硏究 Vol.39 No.1

        연금술은 화학적 변환 과정에서 무가치한 물질을 최고의 물질로 만드는 작업이다. 외견상 연금술사의 수많은 실험은 물질의 변환 작업이라 할 수 있지만, 실상 연금술사의 결과물은 무의식의 산물이다. 본 연구는 마카엘 마이어의 ≪달아나는 아탈란타(Atalanta Fugiens)≫를 통하여 연금술의 세 국면인 니그레도, 알베도, 루베도를 설명하고, 내담자들의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난 모래사진으로 연금술적 변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시도한 것이다. 먼저 무의식의 심리학 기반으로 연금술이 왜 심상을 다루는 모래놀이치료에서 중요한지를 다루었다. 이어서 연금술의 변환 과정의 첫 번째 국면인 니그레도(흑화)를 기술하고, 니그레도에서 드러나는 혼돈, 용해, 분리, 분할, 부패, 죽음, 하소 등의 내용이 모래놀이치료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두번째 국면인 알베도(백화)를 기술하고, 정화, 승화, 증류, 분리, 하강, 응고의 형태로 등장하는 알베도의 대표적 이미지인 물과 불의 상이 어떻게 모래놀이에서 나타나는지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루베도(적화)의 상태를 기술하고, 융합과 재탄생의 형태로 등장하는 루베도에서 결합과 만다라 형태가 어떤 식으로 모래놀이에서 나타나는지 제시하였다. 이 연금술에 드러난 상징은 모래놀이 치료나 꿈분석에서 드러난 심상을 확충하는데 유용한 가치가 있다. 특히 연금술에서 나타나는 절차는 인격의 변환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Alchemy is the process of producing worthless substances into the best substances through chemical opus(work). On the surface, many of the alchemist’s experiments can be depicted as work on transforming substances, but in reality, the alchemist’s result is a product of the Unconscious.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three phases of alchemy, Nigredo, Albedo, and Rubedo, through Michael Mayer’s alchemical text, Atalanta Fugiens, and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by utilizing images that appeared from clients’ sand play therapy. This study first described why alchemy, as the foundation for the psychology of the Unconscious, is important in sand play that deals with images. Next, Nigredo (blackening), the first phase of the alchemical process, is briefly described, and how the contents of Nigredo, such as chaos, dissolution, separation, division, corruption, death, and calcination, appear in sand play therapy. Next, the second phase, albedo (whitening), is described, and how the images of water and fire, which are representative images of albedo in the form of purification, sublimation, distillation, separation, descension, and coagulation, are revealed in sand play. Lastly, the phase of rubedo (reddening) in alchemy is described, and how the form of union (mandala or central image) in rubedo, which appears in the form of conjunction and rebirth, is revealed in sand play. The symbols revealed in alchemy are very valuable in amplifying the images that appeared in sand play therapy or dream analysis. In particular, the procedures found in alchemical opus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personality.

      • KCI등재

        육아 과정에 나타난 연금술 상징에 대한 분석적 자문화기술지

        김세희,전순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3

        In the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those are same processes that an alchemist can achieve psychological insight through projection towards the material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that extends consciousness through an acknowledged projection. Therefore, this study hypothesizes how the transition of a parent’s projection towards a child and the transformation of a material in alchemy are identical. It represents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Jungian psychology required one’s own experiences for a deeper understanding. Hence, this study analyzed a researcher using the method of autoethnography with a personal experiences from parenting, own recorded dream and drawing. The paragraph is divided into researcher’s depression period, early parenting period, identifying with own child and then accepting separation. Meanwhile, these experiences were compared with Medieval alchemy processes such as stages of Nigredo, Viriditas and Albedo. Essential affection and dynamics of each stage were also interpreted through the symbols in alchemical works such as dissolve, death, descent, coagulation, combustion and separation. Consequently, the substance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experiences of parenting could be expanding as part of Individuation.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연금술사들이 물질에 대한 투사를 통해 정신적 통찰을 얻은 것은 심리치료에서 피분석자가 투사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것과 동일한 과정이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는 아이에 대한 부모의 투사 변화와 연금술의 질료 변환과정이 일치함을 확인하고, 융 심리학의 치료목표인 개성화 과정과 부합되는 부분을 찾아보았다. 분석심리학과 연금술은 학문적인 이해를 위한 개인의 경험이 필요하며, 따라서 본 연구는 자문화기술지의 방식으로 육아의 체험에서 얻은 내적 변화를 기술하였고, 연구자의 꿈, 10년간 그려온 그림들을 분석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내적 상실의 청년기 삶, 모성 역할을 대행한 육아 초기, 남성성의 해체 이후 아이와의 동일시와 분리의 모든 과정을 흑화, 녹화, 백화, 적화의 중세 연금술 과정과 비교하고 각 단계의 정동과 역동의 변화를 용해, 죽음, 하강, 응고, 연소, 분리 등의 연금술 작업의 상징을 통해 해석하였다. 연금술의 변화 과정과 아이와의 관계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의 대상이 된 연구자는 개인의 육아 과정 안에서 개성화 과정을 발견하였으며 나아가 육아의 과정이 부모에게 주는 보편적 인격 성장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모래상자치료와 연금술의 관계

        김경희(Kim Kyung Hee)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2019 모래상자치료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모래상자치료과정과 연금술의 작업과정의 관계를 알아보고, 모래상자치료사와 연금술사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모래상자치료와 연금술은 개성화과정으로 이끄는 작업이다. 개성화과정의 목적은 자기(Self)와 의식의 관계를 성취하는 것이다. 연금술 과정의 목적은 대부분이 철학자의 돌을 발견해내는 것이다. 철학자의 돌은 자기(Self)의 상징이다. 모래상자치료는 내담자가 자기를 발견하고 통합하는 과정이다. 상담사와 내담자의 일체성이 영향을 주므로 상담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모래상자치료와 연금술은 세계의 혼을 발견한다. 모래상자치료에서 상담자의 자기성찰이 중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ndtray therapy process and the alchemy working process, the sandtray therapist and the alchemist. Sandtray therapy and alchemy lead to individualization. The purpose of the individualization is to achiev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e alchemy process is to discover the philosopher s stone. The philosopher s stone is a symbol of Self. Sandtray therapy is the process by which a client discovers Self. The role of the counselor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he unity of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Sandtray therapy and alchemy discover anima mundi. Sandtray therapy is important of counselor s self awareness.

      • KCI등재

        모래상자치료과정에 나타난 해석학적 연금술 분석연구

        윤혜향,이미나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1

        In order to reveal the counseling performance of the changes in the sandtray treatment process,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relief of symptoms of psychological behavior problems and adaptation to daily life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three stages and seven work processes of alchem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G students located in G city, and from January 26, 2022 to March 29, 2022, a total of 12 sandtray therapy were performed twice a week. The discussion on the actual and research of sandtray treat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andtray counseling phase, the initial stage is a stage of chaos, with sessions 1 to 3, and it expresses difficulties in facing a confused self. The middle period is a stage of struggle from the 4th to the 10th period, and the thoughts of wanting to be healed, the anxiety and frustration of not knowing when the light in the tunnel will disappear, and difficulties in expressing emotions appeared. The latter stage is the stage of adaptation and challenge, from the 11th to the 12th session, and it appeared that he made an effort to resolve the uncomfortable feelings in the relationship with his mother. Second, as a result of the alchemical analysis shown in the sandtray treatment process, the three stages of black, white, and red of alchemy showed a spiral cycle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The result in this study is that the counselor cannot induce the client's consciousness as a result that the client's psychological changes must be made through the client's own work process. The role of the counselor is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lient can promote consciousness development through support, encouragement, and waiting as a companion on the client's inner journey. 본 연구는 모래상자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상담 성과를 연금술의 3단계와 7가지 작업 과정의 틀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학교 4학년 여학생으로 G 대학교 모래상자치료 상담실에서 2022년 1월 26일∼2022년 3월 29일까지 주 2회, 1시간씩 총 12회기의 모래상자치료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적 행동 문제 증상의 완화와 일상생활의 적응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모래상자치료 분석 결과와 연금술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상자치료 분석 결과, 초기는 1회기~3회기로 혼돈의 단계, 중기는 4회기~10회기로 투쟁의 단계, 후기는 11회기~12회기로 적응과 도전의 단계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는 모래 상자 안에서 안개에 갇혀있는 답답한 상황을 의식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길을 가기 위해 도전하며 억눌린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외부로 향하는 세계관을 보여주고 집합체의 한 구성원으로 자아를 표현했다. 둘째, 연금술적 분석 결과, 연금술의 3단계는 1차와 2차로 나선형의 순환과정이 나타났고 연금술의 7가지 작업 과정은 개인에 따라 작업 과정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보면 연금술의 변환과정은 검정, 하양, 빨강 순서대로 발달이 진행되다가 다시 퇴행하는 과정을 겪는다. 의식의 변환과정의 특징은 직선적이 아니라 나선형으로 발달하는 과정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는 내담자 스스로의 작업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과로 상담사는 내담자의 의식을 유도할 수 없다는 결과이다. 상담사의 역할은 내담자의 내적 여행을 함께하는 동반자로서 지지와 격려 그리고 기다림으로 내담자가 의식 발달의 변환을 이룰 수 있도록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KCI등재후보

        『주역』과 분석심리학의 鍊金術— 곤(困)⋅정(井)⋅혁(革)⋅정(鼎)괘를 중심으로 —

        이현구,신성수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6 No.-

        I-Ching has formed earlier among the Asian Scriptures. Afterwards Ten Wings (十翼傳) was made, it has changed from the fortunetelling book to the philosophical one as being extended and deepen. Consequently I-Ching becomes not only the instrument of divinatory sign for actual life but also the means for cultivating of inner life. Encountering between I-Ching and Taoism makes the culminative form about the cultivating mind. Then the integrating aspect of man-centered can be made as harmony through the outer and inner realm. Europe has developed the alchemy. It has been connected with the gnoticism. Alchemy has been started from the desire of alchemist which extracts the gold from the matter symbolically. It has been the base of European thought for a long time. It is focused newly by C. G. Jung in modern times. Jung discovered that the result of alchemist’s work is not only the actual gold but also the final object of psyche. European alchemy also does not limit at the outer phenomenon as Asian I-Ching. They reflect the aspect of human being’s psyche. They have been put and sublimated the psychic contents at their own place through the long history with human. At this view point this paper tries to approach the K'un-Opression(困卦), Ching-The Well(井卦) and Ko-Revolution(革卦), Ting-The Caldron(鼎卦) of I-Ching through the alchemical aspect of the analytic psychology. As this paper written the process of alchemy(nigredo-albedo-rubedo) can be related K'un-Opression (困卦):nigredo, Ching-The Well(井卦):albedo and Ko-Revolution(革卦), Ting-The Caldron(鼎卦):rubedo. I-Ching and alchemy search for the eternal gold which is unchanging psyche. This gold has been waited for being blossomed as the flower in the universal human psyche as rising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East and West. 주역은 동양의 여러 경전 중에서 비교적 초기에 형성된 형태를 갖고 있다. 이후 해설서인 「역전」이 생기면서 점서에서 철학서로 확대되고 심 화되었다. 그 결과 주역은 생활에 필요한 점괘를 얻는 도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적인 수양의 방편으로도 활용이 되었다. 주역과 도가(道家)와의 만남은 수양의 결정판을 형성하게 된다. 그래서 인간을 중 심으로 안과 밖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통합의 관점을 만들어가게 된다. 서양에서는 일찍이 연금술의 개념이 있었다. 영지주의(靈知主義)와 맥 을 같이하면서 상징적으로 물질에서 금을 축출하려는 욕구에서 비롯한 연금술은 상당 기간 서양 사상계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다. 현대에 이르러 융(C. G. Jung)에 의해 연금술은 새로운 조명을 받게 된다. 융은 연금술사 들의 작업의 결실이 물질적인 금(金)일 수도 있겠지만 정신적인 궁극의 목적물을 추구하는 면도 있음을 발견한다. 서양의 연금술도 동양의 주역과 같이 외적인 현상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적인 면을 반영한다. 동양의 주역과 서양의 연금술 은 각자의 자리에서 오랜 역사를 인류와 함께 하면서 모든 정신적 내용물 들을 안에 담아오고 승화시켜 왔다. 이런 관점에서 분석심리학의 연금술 을 통하여 주역 곤(困)⋅정(井)⋅혁(革)⋅정(鼎)괘를 이해하여 보았다. 연 금술의 흑화(nigredo)-백화(albedo)-적화(rubedo)의 과정은 주역 곤괘(困卦) 의 흑화, 정괘(井卦)의 백화, 그리고 혁괘(革卦)와 정괘(鼎卦)의 적화로 연 결됨을 알 수 있다. 주역과 연금술은 정신적으로 불변하는 영원한 금 (金)을 지향한다. 그 금은 동서양의 차이를 뛰어 넘어 보편적 인간 심성 안에서 꽃으로 피워지기를 기다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