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도자에 나타난 연극성 (theatricality) 연구

        이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3 陶藝硏究 Vol.- No.32

        최근 여러 예술이 통합되고 설치, 미디어등 표현의 방식이 전례 없이 다양해지고 있다. 현대 미술이다양해지고 각 장르들의 통합으로 발전하는 양상은 시대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사에서 미술이분리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18-19세기를 지나며 미술은 공간예술로 정의되며 시간예술인문학이나 연극과 엄격히 구분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각 매체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점점 구분이 모호해졌고 모더니스트들로부터 배격 당해 온 연극성이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에는 강조되었다. 이는 미술에 대한 지각을 정적이고 시각적인 것에서 유동적이고 체험적인 것으로 나아가게 하였다.본 연구는 현대미술 안에서 연극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현대도자 안에서 발견되는 연극성에 대해 연구하여, 현대도자의 표현의 다양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Ⅱ장 1절에서 미술사적맥락에서 미술과 연극성의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천되었는지 고대 그리스, 르네상스, 바로크, 모더니즘을 거처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연극성을 고찰한다. 2절에서 현대의 작가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연극성에 대해 전개해나가는지 알아보았다. Ⅲ장에서 연극성을 통한 주요 도예가들의 표현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현대도자에서 어떻게 작가들이 연극성을 이해하고 있으며 그를 통해 어떤 의미를 창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고대부터 지금까지 연극성의 개념은 연극과 미술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의미가 변하고 또한 다양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7세기 바로크 미술에 나타났던 연극성은환영적인 면모를 뜻하였으나 현대 미술에서의 연극성은 실제 시・공간을 인지하는 것을 뜻하는 것에 가까워졌다.조각과 연극의 관계는 점점 통합적으로 변하고 있다. 조각이 연극의 배우들처럼 연출되기도 하고 연극의 배우들이 조각처럼 연출되기도 하는 등 밀접한 관계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과거의 연극과 미술의 시・공간은 뚜렷이 구분이 되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미술과 연극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예술장르가 점차 통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공간 안에서 구성되는 조각은 관람자에게 시간적, 신체적 경험을 부여함으로써 조각의 영역을 확장시킨다. 도자예술로 재해석된 연극성은 현대에 맞게 연출방식을 표현하여 새로운 연극성을 완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대조각에서의 연극성을 적용한다면 현대도자의 의미와 표현방법은 더욱 다양해지고 확장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리고 현대미술은 점점 관람자와의 심미적이고 관계적인 시・공간이 중요해지고있다. 앞으로 전시연출에 있어 기존의 형식에 벗어나 작품과 관람자 사이의 시・공간에 대해 생각해보아야할 것이다. Recently, various forms of art have been converging and diversifying in unprecedented ways, incorporating installation, media, and other modes of expression. The trend of contemporary art diversifying and evolving through the integration of various genres can be considered a reflection of the spirit of the times. The separation of art from other forms of expression is a relatively recent development in art history. It was not until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at art began to be defined primarily as a spatial medium, distinct from the temporal arts such as literature and theater, marking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m. However, starting from the mid-20th century, various artistic mediums began to establish clos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gradually became more ambiguous. The theatricality that had been marginalized by modernists gained prominence during the postmodernist era. This shift transformed the perception of art from something static and visual to something dynamic and experiential. Therefore,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o examine the theatrical tendencies that arise during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boundaries between genres and integration. By exploring the artistic concept of "theatricality" and researching the presence of theatricality within contemporary ceramics it becomes possible to look at contemporary ceramics from a new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In Section 1 of Chapter Ⅱ,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concepts of art and theatricality within the art historical context is examined, tracing their development from ancient Greece through the Renaissance, Baroque period, and Modernism, ultimately reaching the contemporary era. In Section 2,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to the methods contemporary arts employ to develop and expand upon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In Chapter Ⅲ, an analysis of the expressions of theatricality by prominent ceramic artists was conducted. The goal was to understand how contemporary ceramic artists comprehend theatricality in the current context and to examine the meanings generated through their artistic expressions within the realm of modern ceramics. Through the research procedures outlined abov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has undergone a trans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influenced by and influencing both theater and visual arts. The theatricality evident in Baroque art of the 17th century, for instance, conveyed a welcoming aspect, whereas in contemporary art, theatricality has become closer to signifying the perception of actual time and space.The relationship between sculpture and theater is progressively evolving towards greater integration. Sculpture is sometimes directed like actors in a play, and actors in theater productions are also directed in ways akin to sculpture, highlighting a close and interrelated dynamic. Furthermore, while in the past, the realms of time and space between theater and visual art were distinctly separated,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has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leading to the gradual integration of artistic genres. Sculptures constructed within a given space extend the realm of sculpture by endowing viewers with temporal and physical experiences within that space.Reinterpreted theatricality through ceramic art can be seen as a way to express contemporary directing methods, thereby creating a new form of theatricality. Applying theatricality from contemporary sculpture to ceramics is expected to diversify and expand the meaning and expression methods within contemporary ceramics. Furthermore, in contemporary art, the aesthetic and relational aspects of time and space with the audience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future, when curating exhibitions, it will be necessary to think beyond traditional formats and consider the temporal and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twork and the viewer.

      • KCI등재

        연극성 성격장애의 심층적 원인으로서의 연극성서사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1 No.-

        이 논문은 그 동안 심리학이나 상담학의 범주 안에서만 진행되어 오던 연극성 성격장애에 대한 논의가 문학치료학의 범주에서도 논의되고 있는 최근의 연구 동향을 이어받아 연극성 성격장애의 심층적 원인으로서의 연극성서사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인간의 심리적 현상보다는 그러한 현상을 일으키게 하는 심층적 원인으로서의 자기서사에 관심을 기울이고, 더 나아가 자기서사의 개선을 추구하는 문학치료학의 근본 취지를 생각할 때, 연극성 성격장애의 심층적 원인으로서의 연극성서사에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탐색하는 일은 결코 회피할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먼저 연극성 성격장애의 원인론이라는 맥락 속에서 연극성서사를 고찰하였다. 정신역동 이론에 의거한 원인론의 경우 모성의 결핍으로 말미암아 내적인 자기체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라고 보았다. 인지행동 이론에 의거한 원인론의 경우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학습된 잘못된 인지도식에 의해서 생기는 문제라고 보았다. 밀론의 생물사회학습 이론 및 진화 이론에 의거한 원인론의 경우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과잉자극이나 비일관적인 양육방식에 노출되어서 생기는 문제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원인론들은 나름대로의 장점이 있으면서도 좀 더 심층적인 원인에 대해서 유보하고 있거나 모든 경우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점도 보이고 있었다. 문학치료학에서는 작품의 내면에서 작품이라는 현상의 원천이면서 원동력인 작품서사를 상정하고, 같은 방식으로 인생의 내면에 인생이라는 현상의 원천이면서 원동력인 자기서사를 상정하는데, 같은 방식으로 연극성 성격장애라는 현상의 내면에는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원천과 원동력으로 연극성서사가 있다고 상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연극성서사의 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극성서사는 서사영역별로 연극성자녀서사, 연극성남녀서사, 연극성부부서사, 연극성부모서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연극성자녀서사에 속할 수 있는 설화로는 <미인계로 재산과 벼슬 얻은 남자>, <깎은 쌀로 허세 부려 부잣집 사위 된 남자>, <목신 도움으로 과거 급제한 사람>, <주모 아들 칭찬하여 공짜 술 먹은 정만서>, <쥐에게 존대한 꿩과 하대한 메추리>, <이성계에게 음식 대접하고 목숨 구한 왕씨> 등이 있다. 연극성남녀서사에 속할 수 있는 설화로는 <머리에 쓰면 미인으로 둔갑하는 해골>, <유부녀와 동침하고 꿈이라고 둘러댄 남자>, <삼정승 딸을 만나 목숨 구한 총각>, <구멍 내주고 사온 반찬>, <동침 안 돼서 아내 둘 얻은 남자>, <부자 과부 찾아간 금시발복>, <밤마다 옷 벗고 불 밝힌 머슴>, <정절부인 얻은 가짜 정절남자> 등이 있다. 연극성부부서사에 속할 수 있는 설화로는 <첫날밤에 아기 낳고 신랑 붙잡은 신부>, <전생의 인연으로 부부가 된 중과 이와 돼지>, <천 냥짜리 그림 속의 여자>, <구렁덩덩 신선비>, <부자 된 뒤 말 피로 도깨비 떼어낸 사람> 등이 있다. 연극성부모서사에 속할 수 있는 설화로는 <밥 먹여 키운 뱀과 왕이 된 아이>, <백정 당숙 어사 조카>, <무식한 고을의 현명한 원님> 등이 있다. 이러한 논의는 한편으로는 연극성 성격장애의 원인론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연극성 성격장애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진단과 치료의 체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istrionic epic as the depth cause of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established etiology of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are based on psychodynamics theory, cognitive behavior theory, biosocial-learning theory, and evolution theory. Second, histrionic epic is the cause of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in literary therapeutic etiology. Third, < A Badger Game and a Government Post > and < Carved Rice and a Bluff > are histrionic son and daughter epic. Forth, < A Naked Farm Servant Who is Lighting a Candle Every Night > and < A Faithful Woman and A Man Who Pretends to be Faithful > are histrionic man and woman epic. Fifth, < A Bride Who Has a Baby on the Wedding Night and A Tempted Bridegroom > and < Snake Bridegroom > are histrionic husband and wife epic. Sixth, < A Brought-Up Snake and A Boy Who Becomes a King > and < A Wise Magistrate of the Ignorant District > are histrionic father and mother epic.

      • KCI등재

        모노드라마 『어느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의 연극성에 관한 연구 - ‘빨간 피터의 고백’, ‘이원승이 원숭이’를 중심으로 -

        이원승 한국연기예술학회 2018 연기예술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모노드라마를 통해 드러나는 기호적 연극성에 대해 문헌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1917년에 발표된 카프카의 단편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가 극예술의 중심에 ‘기호의 기호’인 배우 혼 자서 연극적 실천을 재현 하는 모노드라마 형식으로 <빠알간 피터의 고백>, <이원승이 원숭이>로 해석된 상이한 공연 텍스트를 기호적 관점에서 양면적 연극성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를 나타난 결과를 정리 하면, 첫째, 모노드라마는 배우 혼자서 공연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을 배우삼아 공연되는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 연극성 기호는 사건이 기호로 발화되어 상징성과 은유성을 내포하게 되며, 인간의 삶에서 상징 성은 절대성으로, 은유성은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공연에서 양면적 연극성의 동일성은 공통 텍스트의 골격을 바탕으로 두 공연 텍스트가 재해석된다. 원숭이가 인간적 언어 습득의 동기화로 변화된 삶의 환경과 추구성에 관련된 자기 고백적 보고 내용이 기본 골격이다. 상이성은 공통 텍스트가 연출 관점, 구성의 접근 방법, 연기의 해석 양식에 따라 상이하게 무대화 된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추송웅과 이원승이 동일 텍스트인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의 공연에서 추구한 동일성과 상이성의 연극성 발견을 목적으로 한다. The study examines both-sided theatricality of the two different monodramas, <Confession of Red Peter> and <Lee Won-seung is a Monkey>, created by dramatizing Kafka’s short story 「Report to an Academy」 published in 1917, in terms of sign. The mono drama means that a stage actor, ‘sign of signs’ in the center of the dramatic art, plays alone. Same point in both-sided theatricality is that two drama texts are reinterpreted based on the same text skeleton. In other words, the main frame is that a monkey narrates, in the form of the report, one’s story of trying to adapt oneself to changed environment while learning a human language. Different point in both-side theatricality is that two drama texts are differently enacted depending on viewpoint of direction, approaching way in a plot and interpretation style of acting. The drama texts is worth studying in that the actor imitates gestures of a monkey, not a human, which is more dramatic, and stage symbolization of one actor is an unique style. The researcher looks into stage acting expression and environment of the monodrama. Theatricality of two performance texts is complicated with symbolized deformation and is explained with sign system such as indicator on the map and symbol. Based on this,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 of the two performance texts including the sameness and difference. By widely expanding the monodrama, drama style of one actor, the study analyzes the stage symbolization process of the actor as theatricality.

      • KCI등재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텍스트연극성과 공연의 연극성 관계 연구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레히니츠(절멸의 천사)>를 중심으로-

        김정섭 ( Kim Jeong Sub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8

        본 논문은 연극텍스트의 텍스트연극성을 중심으로 텍스트가 공연의 연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연극공연을 위해 쓰여진 연극텍스트의 중요 특징은 등장인물 간의 대화체계 붕괴와 서사구조의 불분명함이다. 이러한 특징은 독특한 글쓰기 형식, 즉 탈기의화된 언어형식으로 인한 자기지시성을 가지는 텍스트연극성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과 궁극에 포스트 드라마 연극의 비재현성을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연극텍스트의 형식과 텍스트연극성은 포스트드라마 연극 공연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스트드라마 연극텍스는 텍스트의 재현이 아니라 텍스트와 공연 간의 상호작용과 공동 작업에서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고찰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엘프리데 옐리네크(Elfreide Jelinek)의 연극텍스트 < 레히니츠(절멸의 천사) Rechnitz(der Würgeengel) >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현대 사회의 매체 기능과 그 역할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질문은 포스트드라마적으로 재기능화된 사자와 그들의 비재현적 보고형식으로 형상화된다. 결과적으로 비재현적인 연극텍스트의 텍스트연극성은 공연에서 재현될 수 없는 것을 역설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하는 현존성(감)을 강화한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텍스트연극성과 공연의 연극성 관계를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ow the text affects the theatricality of the play, focusing on the theatricality of the text of the play text.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atrical texts is the collapse of the dialogue system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ambiguity of the narrative structure. It was eventually found that these characteristics reinforce the unreproducibility of post-drama play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form of theatrical text and the theatricality of tex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making post-drama theatrical performances. Post-drama theater texts have meaning not in the reproduction of texts, but in the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exts and performan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more concretely, this paper analyzed Elfreide Jelinek's play text Rechnitz(der Würgeengel). This work raises essential questions regarding the function and role of media in modern society. These questions are embodied in the post-dramatically re-functionalized Envoy and their non-representative reporting forma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representative text theatricality reinforces the presence (feeling) that allows us to experience something that cannot be reproduced in the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연극성 성향이 있는 대학생을 위한 강박서사의 순기능

        강미정 ( Kang Mi-je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21 No.-

        우리들은 이상심리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그래서 항상 이상심리를 어떻게 다스려야할 지 고민해야 한다. 이 글은 이런 고민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글에서 관심을 둔 것은 연극적인 인물에게 강박서사가 얼마나 적절할지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이글에서는 연극성 성향이 있는 사례자가 선택한 강박서사의 순기능에 대하여 분석했다. 지금까지 심리학에서는 공존병리증상 때문에 원래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를 연구해왔다. 그런데 공존병리증상이 악화를 불렀다면, 역으로 공존병리증상이 완화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글은 공존병리증상이 완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사례를 통해 입증하고자 했다. 이 글은 연극성 성향이 있는 한 사례자의 예를 통하여, 그가 소망하는 진정한 관계를 현실적으로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소의 개입이 필요한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시작한 것이었다. 실제 사례자의 서사검사결과에서 연극성 이외에 높은 점수가 나온 강박서사와 우울서사의 결과를 토대로 사례자에게 필요한 서사가 무엇인지를 고민하였다. 그리하여 우울서사와 강박서사가 모두 7개씩의 선택이 이루어졌지만, 그 중에서도 전체 문항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강박서사가 사례자가 연극성 다음으로 많은 선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연극성 성향을 지닌 사례자에게 자칫 부족해질 수 있는 것이 신중함과 충동의 통제라는 것에 착안하여 강박서사가 유의미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 생각에 따라 사례자의 연극성향을 중화시키고 특정 기질에 편중되지 않을 가능성을 강박서사의 보강으로부터 가능해질 것이라 전망하였다. 물론 이러한 전망은 연극성이라는 성격장애로 옮겨갈 수 있는 기질적 속성의 건강성을 바람직하다고 판정되는 서사로부터 보장받지 않고, 강박서사라는 또 다른 병리적일 수 있는 성격장애와 관련된 서사로부터 자극받는다는 점에서 아직 불충분한 지점이 있다. 그러나 단숨에 어떤 완전히 건강한 고지로 올라설 수 있다는 것은 그 자체가 무리수를 갖고 있는 것이라고 본다. 오히려 우리 내면에 있는 여러 가지 특질들의 조화를 천천히 이루어나가면서 연극성 서사가 갖고 있는 장점을 유지하고, 강박서사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는 것이 건강성을 지속하고 다져 나갈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We are not totally free from abnormal disorders. So we should always be concerned about how abnormal disorders are controlled by us.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critical mind how to make this concern. Main interest in this article was to clarify how Obsessive-Compulsive Epic is suitable for Histrionic person. For this, we analyzed the good effect of Obsessive-Compulsive Epic chosen by experienced person having Histrionic Tendency. Till now psychology have been studied for deteriorating case from Comorbid Personality Pathology. Now, if Comorbid Personality Pathology has caused deterioration, it will be able to relieve something in reverse. And this article is trying to prove for some case that relieving condition could be brought by Comorbid Personality Pathology. So we developed discussions on the experienced person who carried out the examination of the epic of self and psychology, The character of this experienced person was to be the choice of Obsessive-Compulsive Epic with Histrionic Tendency. What we want to say here is Obsessive-Compulsive Epic indicates the result from the examination of the epic of self developed by Epic and Literary Therapy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the experienced person who had Histrionic Tendency needed to manage Obsessive-Compulsive Epic for his hope to the pursuit of authenticity. In that point, this article is a step forward following the recent trend of literary therapy and psychology. Because this article explained about the display of good effect which is how Obsessive-Compulsive Epic operates to Histrionic person in good way. Of course, Obsessive-Compulsive Epic could operates the impulsive and irregular problem of Histrionic Tendency. But, this article has significance in the case study clarifying the predictable hypothesis.

      • KCI등재

        존 노이마이어(John Neumeier)의 「베니스에서의 죽음[Death in Venice]」에 내재된 연극성에 관한 연구

        김유미 ( Yoo Mi Kim ),김경희 ( Kyung Hee Kim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1

        연극성이란, 말이나 단어만으로 말해지지 않은 것들, 즉 행동, 어조, 거리, 조명, 음악 등을 통합적으로 인식하여 받아들이게 되는 것으로 20세기 이후 등장하여 사용되었으며, 현재에는 연극 뿐 아니라 시, 영화, 무용, 음악 등 연극을 넘어서 거의 모든 장르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연극성은 연극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특성이 아닌 무용과 다른 장르에서 나타나는 포괄적인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극성을 규정하는 본질적 요소는 크게 3가지 즉, 움직임, 시각적 요소 그리고 청각적 요소로 구분되어 진다고 할수 있다. 발레와 연극의 결합으로 주목받고 있는 존 노이마이어의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내재된 연극성을 살펴보면, 첫째, 움직임에서는 클래식 발레, 현대 춤 그리고 일상적 움직임까지 모든 장면에서 다양하고, 자연스럽게 연출하였으며. 특히 마임과 제스처의 사용으로 극의 연극적인 면을 강화하였다. 둘째, 시각적 요소는 의상으로 각 장면마다 인물의 심리적 내면의 표현으로 인물들의 의상을 변화하였으며, 일상적 옷차림 등을 사용하여 극의 현실감과 사실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다양한 소품과 무대장치 등은 주제와 상황을 암시하는 효과를 극대화 시켰으며, 극의 내용을 풍부하게 했을 뿐 아니라 신속한 극 전환을 이루어 내었다. 셋째, 극적이고도 강렬한 작품의 예술적 효과를 더하는 청각적 요소는 바흐와 바그너의 고전 음악을 사용하여 극적 내용과 상통하게 사용하였으며, 음악 이외에도 박수소리, 웃음소리 등을 삽입하여 이 작품에 내재된 연극성을 더욱 구체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atricality represented in John Neumeier`s ?Death in Venice? and to re-consider the value of the work. The methodology for the study is to analyze its relevant dance literatures, and video materials, released in 2003, performed by Hamburg Ballet. The intrinsic factors stipulating such theatricality can be said to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movements, visual factors, and audio factors. Based on these, many European, American, and Russian modern ballet choreographers designed many dance pieces where theatricality appears through the use of ordinary movements, costumes sensitive to reality, stage settings, and audio factors adding dramatic and artistic effects to the pieces. The theatricality in Neumeier`s ?Death in Venice? which combines ballet with play, shows diverse movements with classic ballet, modern dance, and even ordinary movements. All scenes of the work were produced naturally-especially intensifying the theatrical aspect of the play and using mimes & gestures. Visual factors, through garments, changed the characters` attire in each scene as an expression of their inner psychological statement, while imposing the reality and truthfulness of the play by using everyday clothing. Moreover, diverse stage equipments and settings maximized the effect to clarify the theme and situations, while it not only enriched the contents of the play but also accomplished swift conversions of the contents. Audio factors which bring out the artistic effects of the dramatic and intense work came to be connected to the contents of the play through the use of classical music by Bach and Wagner. They further specified the theatricality in this play by inserting soundtracks of clapping and laughing along with the music.

      • KCI등재

        황동규 시의 연극성

        이승규(Lee, Seung-Gyu)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2

        황동규의 시에 연극성이 내재해 있으며 그것은 시세계의 역동적인 진화와 관련된다. 그의 시에는 연극 대사와 같은 대화 및 독백의 표현, 괄호를 비롯해 문장부호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다채로운 어조의 구사가 연극성으로 조성되었다. 이는 그가 서정시의 한계를 넘어 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장인적 고투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러 시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며 특히 중기시의 <바다로 가는 자전거들>과 <악어를 조심하라고?>에서부터 그러한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들 작품에서 단순히 대사 표현이 구사되는 것이 아니라 주고받는 말과 말의 생략과 비약, 응축이 비상한 긴장을 일으키고 극적 장면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연극성이 구현되었다. 특히 여행을 소재로 하는 작품에서 현장의 구조가 화자의 행위와 맞물리면서 무대화가 실현되기도 하였다. 시에서의 현장의 대상과 지형이 기호학적 의미장을 형성하면서 그것이 살아움직이는 장면의 전환과 의미화를 통해 극적 구조가 획득되었다. <청령포>와 <다산초당>에서는 시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억압과 해방의 역전 현상이, 갈등하던 화자의 깨달음과 거듭남이라는 구도적 행위로 달성되었다. 그러한 극적 변화는 <죽음의 골을 찾아서>에서 더욱 진지하고 성찰적인 면모를 더하였으며 죽음과 삶의 무대로서의 데스 밸리에서 화자가 생명을 새롭게 발견하는 인식의 대장면으로 주조되었다. 황동규 시의 연극성은 시적 갱신을 위한 시인의 치열한 탐색에서 촉발된 창작 방법론이면서 자연스럽게 정착된 시적 개성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Theatricality is inherent in Hwang Dong-gyu"s poetry, and it is related to the dynamic evolution of the poetic world. In his poetry, dialogues and monologues such as theatrical lines, and expressions of various tones through active use of parentheses and punctuation marks were created in a theatrical style. This stems from his craftsman"s struggle to transcend the limits of lyric poetry and express his poetry in a new and vivid way, and this phenomenon appears in several poems, especially in the middle poems 〈Bicycles to the Sea〉 and 〈Watch out for crocodiles?〉. appears strongly. n these works, theatricality was realized in such a way that the words exchanged and omissions, leaps, and condensations created extraordinary tension and created a dramatic scene, rather than simply using lines of expression in these works. In particular, in works with travel as the subject, stageization was realized as the structure of the scene interlocked with the actions of the narrator. As the subject and topography of the scene in the poem form a semiotic field of meaning, a dramatic structure is acquir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and signification of the scene in which it is alive. In 〈Cheongnyeongpo〉 and 〈Dasanchodang〉, the reversal of oppression and liberation in the field of poetry was achieved through the narrator"s structured act of realization and rebirth. Such a dramatic change added a more serious and reflective aspect to 〈In Search of the Valley of Death〉, and was cast as a great scene of awareness in which the narrator discovers life anew in Death Valley as the stage of death and life. The theatricality of Hwang Dong-gyu"s poetry can be said to be a means of creative method triggered by the poet"s fierce search for poetic renewal and a product of a naturally established poetic personality.

      • KCI등재

        The Theatricality of Oh Taesok's Romeo and Juliet and Macbeth

        Young-Joo Choi(최영주)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9 셰익스피어 비평 Vol.45 No.4

        이 논문은 먼저 한국 현대 연극사에서 주요한 연출가이면 극작가인 오태석의 연극이 그간의 학문적, 비평론 담론에 갇혀 단순화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한다. 즉, 오태석은 한국인의 근원적 심성을 탐색하여왔다거나, 전통문화를 현대화시키는 데 성공하였으며, 논리를 초월하고 있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하기도 하고, 한국인의 생활 태도를 온전히 수용한 독자적인 연기법을 실천해왔다는 등의 몇 가지 특징을 통해 논의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극단 ‘목화’와 오태석의 셰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과 『맥베스』를 통해 보여준 그만의 독자적인 공연 방식을 연극성의 개념과 결부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즉, 연극성을 연출가가 원작을 해석하며 보여주고자 한 ‘가시적 행위’, ‘의도적인 행위’, ‘구현 행위’로 본 사우터의 개념에 기대어 오태석이 두 공연 작품을 분석하였다. 〈로미오와 줄리엣〉에서는 오태석이 한국의 전통 문화를 시노그라피에 적극 수용하여 새롭게 번안하는 면모를 주요 장면을 통해 살펴보았다. 파비스가 공연에서의 번역은 시각적인 문화 번역을 통해 비로소 완성된다고 말한 것처럼 오태석은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원전의 장면을 한국 전통 문화로 번안하여 새로운 시노그라피를 창출해낸다. 또한 칼슨이 공연은 원전을 완성하고 보완하여 새로운 의미를 성취한다고 주장한 것처럼 오태석은 〈로미오와 줄리엣〉을 통해 분단과 이데올로기의 갈등이라는 한국 사회의 정치 현실을 암시한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원전의 비극이 오태석의 연극성을 통해 즐거운 연극적 체험이자 지금 이곳의 체험으로 가시화되고, 의도되며, 구현된 무대라고 할 수 있다. 〈로미오와 줄리엣〉이 시노그라피에 전통 미학을 적극 수용하였다면, 〈맥베스〉에서는 한국이라는 지역을 너머 좀 더 동양적인 색과 이미지를 선호하는 한편 스페인의 투우 문화를 혼성하여 문화의 상호 소통을 시도한 공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마구간을 연상시키는 무대, 의상의 붉은 색, 투우의 뿔로 만들어진 왕관은 맥베스의 야심과 그의 비극을 투우의 맹목적인 숙명성과 함께 패로디한다. 이처럼 오태석은 무대, 배우들의 의상의 색, 왕관을 통해 공연에 새로운 의미를 부연하는 동시에, 배우들의 일상적인 연기는 한국인의 일상적 몸짓과 유사하여 관객들은 맥베스와 레이드 맥베스의 비극을 지금 이곳의 필부필부의 이야기로 각성하게 된다. 셰익스피어의 『맥베스』가 한국 문화와 스페인의 문화를 가로질러 관객의 일상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요컨대, 〈로미오와 줄리엣〉과 〈맥베스〉를 통해 오태석은 문화 상호주의 공연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로미오와 줄리엣〉에서처럼 전통문화란 무릇 지역 역사를 통해 전승되어왔기에 의도와 그 형상화가 맥락 속에서 파악되지 않고 미학적인 면만 가시화될 경우 문화 소통의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맥베스〉에서 배우들의 연기가 한국인의 삶의 일상적 제스처와 유사한 경우 문화의 경계를 넘어 그 의도가 소통되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때문에 연극성의 요소로 ‘가시화된 행위’, ‘의도된 행위’, ‘형상화된 행위’가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다. 때문에 연극성이란 특히 문화소통을 위한 공연에서 공연실천가들이 공연 속에서 성취해야 할 부분이며 동시에 관객과 소통되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 KCI등재

        포스트미니멀 조각에서의 시간 체험과 신체 개입

        오원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An understanding of postminimal sculpture is usually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ist sculpture. That’s why postminimal sculpture is primarily marked by its work’s experiential time and physical involvement, not the work’s own form itself. Empirical temporality is a fundamental element in an understanding of postminimal sculpture in that it enables the viewer to have an open experience as a forum for presence with double layers of the past and future and the viewer generates differences in form and meaning while mutually interacting with a work of art through their corporeality. This thesis aims to analyze and interpret empirical temporality and phenomenological corporeality, crucial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sculpture, the hallmarks of postminimal sculpture that are manifested by absorption and theatricality in discourse on contemporary art. First, this study considers Michael Fried’s concepts of absorption and theatricality through that of Maurice Merleau-Ponty’s temporality. Fried considered corporeality to be excluded from a work of art that can be reinterpreted as the viewer’s corporeality that brings about the meaning of an artwork, namely the concept of a new theatricality. Second,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firm that an actual temporality the viewer experiences of an artwork is changed into theatricality which is a perceptual experience through discussions by Rosalind E. Krauss. Any work by James Turrell has become extremely obsessive with its medium feature while it is based on empirical temporality and corporeality. In contrast, any work by Anish Kapoor stresses a theatrical communion with the viewer whose corporeality is alive rather than any obsession in which the viewer falls completely into a work of art in real time, focusing primarily on physical perception, not medium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any work of postminimal sculpture is usually completed by physical experience to perceive something. It means the coexistence of empirical temporality and corporeality that arises in a mutual communion between physical perception and artwork. 포스트미니멀 조각의 이해는 전통적인 모더니즘 조각의 이해와는 다른 성격을 갖는다. 포스트미니멀조각은 작품 자체의 형식보다는 작품의 외적인 체험적 시간과 신체의 개입을 주요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체험적 시간성은 과거와 미래의 이중 지평을 가진 현전의 장으로서 열린 체험을 가능하게 하며, 관람객은 신체성을 통해 작품과 상호교감하는 가운데 형식과 의미의 차이화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포스트미니멀 조각의 이해에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현대미술 담론에서 몰입과 연극성으로 발현되는 포스트미니멀 조각의 특성인 체험적 시간성과 현상학적 신체성을 분석하고 해석하려는데 목적이있다. 본 연구는 첫째, 마이클 프리드의 몰입과 연극성 개념을 메를로 퐁티의 시간성을 경유하여 고찰했다. 현대미술의 담론에서 프리드가 예술작품에서 배제해야 할 것으로 보았던 신체성은 미니멀리즘작품에서는 작품의 의미를 발생시키는 관람객의 신체성, 즉 새로운 연극성 개념으로 재해석 될 수 있다. 둘째, 크라우스의 논의를 통해 관람자의 신체가 작품을 경험하는 실제적 시간성이 지각적 체험인‘연극성’으로 전환됨을 확인했다. 제임스 터렐의 작품은 체험된 시간성과 신체성을 기반으로 하지만매체적인 특성으로 인해 지극히 몰입적인 작업이 된다. 반면 애니쉬 카푸어의 작품은 매체적 특성이아니라 신체적 지각에 중점을 두며, 실제적 시간 속에서 작품에 몰입한다기보다는 신체성이 살아있는관람자와의 연극적인 교감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포스트미니멀 조각에서는 공간과 시간 속에서 변화무쌍하게 지각하는 신체적 체험이 주요한 요소로써 작품을 완성한다. 이것은 신체 지각과 작품이 상호교감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체험적 시간성과 신체성의 공존을 의미한다.

      • KCI등재

        ‘환상’모티프의 연극성에서 본 관객의 전이체험 양상 연구

        김현정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7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udience's transition experience patterns when constructing from the general fantasy attribute of the illusion's motif to the concept of theatricality and illusion by applying the chronotope research methodology of drama shape and image ventilation. This paper seeks to find the meaning of theatricality in the performance of <FUERZA BRUTA WAYRA IN SEOUL>, which is an immersive theater with a prominent fantasy motif and has secured popularity. The above play produced various fantasy motifs in an attempt to maximize the audience's impression and implement an interactive theater that leads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actors and audiences actively reproduced the meaning of fantasy by reproducing the fantasy motif in the work in a theatrical sense. Specifically, the medium of performance was used as a theatrical device throughout the performance of Fuerzaburta as an immersive play. The above effect can be confirmed from a meaningful perspective through synesthetic image elements, including theatrical fantasy, to the audience's transfer experience. Audience participation can be seen as the core goal and driving force of an immersive play. This intention can produce theatrical meaning when the audience's breathing appears as the subject of active expression, as well as the acting of an actor who is a performer on stage. From the above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the audience in the immersive play corresponds to the actor on stage. In addition, in terms of stage implementation, visual presentation forms the atmosphere of the play and at the same time establishes itself as a major factor that can add to the audience's immersion. In other words, it focuses on effective storytelling of the play while expanding to the area of the shape and mental image evoked by space-time, which can be seen from the concept of chronotope. Therefore, this paper uses the concept of chronotope to understand the theatricality of the Illusion motif in the performance of Puerto Rico, and to examine the specific aspects of the audience and actors' transi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immersion in the play. 이 연구는 ‘환상’모티프가 갖는 일반적인 판타지(fantasy) 속성에서 나아가 하나의 예술적 관점인 연극성, 일루전(illusion)의 개념으로 구축할 때 나타나는 관객의 전이 체험 양상을 극의 형상(figure)과 이미지 환기의 크로노토프(chronotope)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논자는 환상 모티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머시브 연극(Immersive Theatre)이자 대중성을 확보한 <푸에르자부르타 웨이라 인 서울 2019> 공연 속에서 연극성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위 공연은 관객의 이머전(immersion)을 극대화 시키고, 관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주도하는 인터랙티브 씨어터(Interactive Theatre)를 구현하기 위한 시도로 다양한 환상 모티브를 연출하였다. 즉 작품 내 환상 모티프를 연극적 의미로 재생산해냄으로서 환상의 의미를 배우와 관객으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재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 이머시브 극으로서의 푸에르자부르타 공연 곳곳에서 퍼포먼스의 매개체를 연극적 장치로 활용했다는 점이다. 위의 효과는 연극적 환상에서 비롯한 공감각적 이미지 요소를 통해 관객의 전이 체험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유의미한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관객 참여는 이머시브 연극의 핵심 목표이자 원동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도는 연극이 무대 위 퍼포머인 배우의 연기로만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관객의 호흡이 능동적인 표현의 주체로 나타날 때, 연극적 의미를 생산해 낼 수 있다. 위의 관점에서 볼 때 이머시브 극에서의 관객은 무대 위 배우와 상응하는 존재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무대 구현의 측면에서 볼 때, 시각적 제시는 극의 분위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관객의 몰입을 더할 수 있는 주요 요소로 자리매김한다. 즉 크로노토프 개념에서 볼 수 있는 시공간이 불러일으키는 형상, 정신적 이미지(mental image)까지의 영역으로 확대하면서 극의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논자는 크로노토프 개념을 사용하여 푸에르자부르타 공연에 나타난 환상 모티프가 지니는 연극성을 파악하고, 극 중 몰입에 따른 관객과 배우의 전이 체험에 이르기까지의 구체적인 양상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