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수와 서수 비교의 거리 효과 간 상관 및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이하영,조수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1

        최근 수의 순서 정보가 어떻게 표상되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상징적 숫자와 비상징적 선분을 사용한 순서 비교(Order Comparison, OC) 및 크기 비교(Magnitude Comparison, MC)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과제에서 측정한 거리 효과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 거리 효과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숫자 OC 과제에서 자극 간 거리가 작을 때 더 효율적인 수행이 관찰되는 역 거리 효과가 나타난 반면, 길이 OC 및 MC 과제에서는 자극 간 거리가 클 때 더 효율적인 수행이 나타나는 고전적 거리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숫자 OC 과제와 숫자 MC 과제, 길이 OC 과제와 길이 MC 과제, 숫자 OC 과제와 길이 MC 과제의 거리 효과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여러 거리 효과 중에서 숫자 OC 과제의 역 거리 효과만이 수학 성취도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선행 연구와 함께 고려하면, 서수와 기수 표상 간에 부분적으로 공유되는 체계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발달 단계 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ordinal representa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mathematical cognition. The present study measured distance effects based on magnitude/order comparison (MC/OC, respectively) tasks using symbolic numbers and non-symbolic lines as stimuli. We examined whether distance or reverse distance effects from these tasks a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s well as with math achievement. A reverse distance effect (i.e., better performance when the distance between stimuli is smaller) was observed from the Number OC task, while canonical distance effects were observed from the Length OC and MC tasks.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distance effects from Number OC and MC tasks, between Length OC and MC tasks and between Number OC and Length MC tasks. Among all, only the reverse distance effect from the Number OC task predicted math achievement scores in a linear regression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dinal and ordinal representations may depend on partially shared mechanisms, yet they may independently contribute to math achievement during distinct phases of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공포소구를 이용한 음주운전방지캠페인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연구

        차동필(Dong-Pil Cha)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3

        본 연구는 공포소구를 사용한 음주운전방지캠페인 광고가 수용자의 성별과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제3자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주운전방지캠페인 광고를 접하고 난 후 남성은 제3자 효과를, 여성은 역3자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3자 효과는 남성의 경우 사회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증대될 것이며, 여성의 경우 역3자 효과가 감소될 것이라는 가설을 추가로 수립하였다. 분석결과 가설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남성은 음주운전방지캠페인 광고를 접하고 난 후 제3자 효과를, 여성은 역3자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남성 집단에서는 사회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제3자 효과가 증대되었지만, 여성 집단에서는 사회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역3자 효과가 감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역할 가설이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적 근거로 사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hird-person effects of anti-drink driving advertising which uses fear appeal strategy. Specifically, it was examined how the third-person effect was varied with the gender difference and the social distance of participants(N=62).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established four hypotheses. The first hypothesis predicted the third-person effects will happen for male participants after they viewed the anti-drink driving advertisement. The second hypothesis predicted reverse third-person effects will occur for female participants when they watched the anti-drink driving advertisement. The third hypothesis expected the third-person effects for male participants will increase as the social distance increases. And the last hypothesis expected reverse third-person effects for female participants will decrease as the social distance increases. All the hypotheses except the last were supported. Gender role hypothesis was taken to expl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숫자와 글자 순서 판단 수행의 역 거리 효과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이하영,조수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a reverse distance effect (RDE) is consistently observed for ordinality judgment using numbers, Korean letters and the alphabet. RDE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better performance is observed for judgment on stimuli that are closer to each other. We examined whether performance on these tasks are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math, Korean and English domains. Indeed, RDEs were observed from all three tasks. This result reveals that the order of numbers and letters are similarly processed and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porting RDE. Performance was better for order judgment of numbers compared to Korean letters, and for Korean letters compared to the alphabet. This reveals that ordinality judgment of letters are less efficient compared to numbers and that ordinality judgment in the native language is more efficient compared to a foreign languag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ordinality judgment performance using numbers and Korean letters significantly predicted math achievement. All three ordinality judgment performance predicted achievement in Korean and English doma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dinality judgment of numbers and letters is related to achievement in not only math but also languag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dinality judgment performance and language achievement. We hereby propose that ordinal representations may be more domain-general than previously conceived, going beyond their presupposed numerical nature. 역 거리 효과란, 비교 과제에서 자극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 좋은 수행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숫자, 한글 자음/모음, 영어 알파벳을 사용한 순서 판단 시 역 거리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각 과제의 수행과 수학, 국어, 영어 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순서 판단 과제에서 역 거리 효과가 나타나 숫자와 글자의 순서 정보가 유사하게 처리됨을 확인하였다. 참가자들은 숫자 과제를 한글 과제보다, 한글 과제를 영어 과제보다 더 우수하게 수행하였다. 이는 숫자와 비교할 때 글자 순서 판단은 상대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과제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를 통해 외국어와 비교할 때 모국어 글자 판단이 더 수월하였음을 알 수 있다. 회귀분석 결과, 숫자, 한글, 알파벳 순서 판단 과제의 수행이 수학, 국어, 영어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숫자와 글자 순서 판단 과제의 수행이 수학만이 아닌 언어 영역의 학업 성취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순서 판단 과제의 수행과 언어 영역 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최초의 연구로서, 순서 판단 능력이 수학 및 수학 외 언어 영역의 성취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