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역설에 대한 전통적 분류

        손병홍 ( Byung Hong Son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6 No.-

        전통적으로 역설들은 집합 이론적 역설들과 의미론적 역설들로 구분되어왔다. 이러한 전통적 구분을 수용하는 철학자들에 따르면 집합 이론적 역설들은 ‘집합’과 같은 집합 이론 적 개념들이 사용되어 집합 이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의미론적 역설들은 ‘참이다’와 같은 의미론적 개념들이 사용되어 의미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역설에 대한 전통적인 구분 방식의 정당성 여부는 역설에 대한 해결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집합 이론적 특징 때문에 집합 이론적 역설이 발생하고 의미론적 특징 때문에 의미론적 역설이 발생한다면 역설에 대한 전통적인 구분은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만약 중요한 역설들이 이들 모두가 공유하는 보다 근본적인 이유 때문에 발생하거나 중요한 역설들 각각이 가진 고유한 특징 때문에 발생한다면 역설에 대한 전통적인 구분 방식은 역설의 해결책과 무관한 구분에 불과할 것이기 때문이다. 전통적 구분을 받아들인 많은 철학자들은 의미론적 특징에 근거하여 대표적인 의미론적 역설인 거짓말쟁이의 역설을 해결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들의 시도들은 모두 거짓말쟁이의 역설에 대한 만족할 만한 해결책으로 간주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외연적으로 보면, 의미론적 역설들은 일종의 집합 이론적 역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감안하면 역설에대한 전통적 구분의 정당성 여부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Traditionally, paradoxe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is set-theoretical paradoxes and the other is semantic paradoxes. However, it seems that whether this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paradoxes into two groups is justifiable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possible solutions to paradoxes. If some paradoxes arse because of some peculiarity of set-theoretical concepts and some other paradoxes arse because of some peculiarity of semantic concepts, this class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n acceptable one. But if every important paradox arises because of something common to all paradoxes this classification couldn``t be considered as a justifiable one. Many philosophers who follow this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paradoxes try to find the solutions to the liar paradox which belongs to semantic paradoxes. However it seems to me that all of them can not be considered as satisfactory solutions to the paradox. And also, it seems that the basic reason for this classification is not that certain. Because some of semantic paradoxes could be understood as a version of set-theoretical paradoxes.

      • KCI등재

        『尤庵易說』 연구

        김영우(金永友)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40

        본 논문은 조선 역학의 상수역 전통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위해 송시열의 저작으로 알려진 『易說』의 역 해석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역설』은 송시열의 저작이라는 점과 『주역』 경문 전체를 상수역학의 방법에 따라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저술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송시열의 저술로 받아들여져 온 『역설』이 실은 송시열의 저작이 아님이 본 연구를 통해 판명되었다. 우암의 저작으로 알려져 온 이 저술은 송시열 사후 오랜 시간이 지난 18세기 중반에야 만들어진 저술이었다. 그러나 이 책이 우암과 전혀 관계없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우암의 역 해석 정신을 서문에 내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관련성을 갖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역설』의 저자는 주희의 『주역본의』를 역 해석의 모범으로 삼는 송시열의 주장을 인용하여 역 해석이 의리에 앞서 괘효사의 상에 대한 해명을 우선해야 한다는 상수역학적 해석 원칙을 천명한다. 그런데 『역설』의 상수적 역 해석 방법은 한대 상수역학 이론의 수용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명대의 상수역학자인 來知德의 역 이론을 수용하여 이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역설』은 래지덕 역학의 핵심 역 이론인 錯綜說은 물론 爻變論, 中爻說 등을 적용하여 『주역』 괘효사를 주석하였다. 그러나 『역설』의 저자가 래지덕의 역설을 수용하였다고 하여 래지덕의 해석을 그대로 따른 것은 아니었으며, 래지덕의 역 이론을 수용하되 다시 자신의 해석 관점에 따라 독자적으로 해석하였다. 『역설』은 조선후기 상수역학 해석의 여러 흐름 가운데 래지덕의 역 해석을 수용하여 독자적인 상수역 해석을 이룬 사례로 그 의미가 크다. 래지덕 역학의 수용은 비슷한 시기 다른 학자들에게서도 나타났으나 이를 가장 깊이 받아들인 것은 『역설』이었다. 상수를 통해 의리를 밝힌다는 송시열의 역학적 입장을 따르면서도 래지덕의 역 해석을 참고하여 상수적 방법에 의해 『주역』 경문을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설』은 조선 상수역 해석의 한 특징을 보여주는 저술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本文是为了构建朝鲜时期周易哲学史的体系, 对『尤庵易說』的易学进行的研究。选择对尤庵宋时烈的易学进行研究的理由不光是宋时烈在朝鲜历史上拥有崇高的地位, 还因为宋时烈通过象数易学的注解方法将≪周易≫经文的整体译解成≪尤庵易说≫, 而通过研究≪尤庵易说≫可以了解朝鲜时期象数易学的传统。 ≪尤庵易说≫并不只是将≪周易≫经文的一两部分加以注释, 而是将≪周易≫的全部内容加以注解, 这在周易哲学史上具有重大的意义。因为在译本中, 作者本身对解析体系的思考和理解方式是做注的前提条件。想想周易学家们对≪周易≫注解方法的各种争论, 那么在退溪和栗谷以后, 通过新的注解方法来将≪周易≫经文注析的≪尤庵易说≫如何能不引起各方的关注呢? 由于在≪宋子大全≫中, 可以研究宋时烈易学的材料为数不多, 因此可以说≪尤庵易说≫是研究宋时烈易学最为重要的文稿。但是, 通过本次研究, 我发现, 一直以来被认为是宋时烈著作的≪尤庵易说≫实际上并非其所著。这就意味着, 以≪尤庵易说≫为基础所做的研究需要从根本上推翻, 从新开始。所以, 此次研究的意义在于提出了关于≪尤庵易说≫准确的再考证证据, 同时, 也从根基上撼动了通过≪尤庵易说≫来研究宋时烈象数易学注解方法的研究。 虽然≪尤庵易说≫并不是宋时烈所著, 但却继承了他的注解立场, 在这点上, 对≪尤庵易说≫的研究和对宋时烈易学的研究密切相关。这是因为, 在没有涵盖宋时烈易学思想文稿的当下, 对≪尤庵易说≫的研究实际上是对宋时烈易学的间接研究。≪尤庵易说≫的作者强调宋时烈所坚持的要通过朱熹的以象数易学来注解≪易经≫的立场, 同时也从始至终以象数易学来译解了易经。这样的译解虽不能立即明确地断定里面含有多少宋时烈对易经的注解, 却多多少少在研究宋时烈易学的整体过程中存在一定意义。 ≪尤庵易说≫的研究, 不仅仅对宋时烈易学的研究上具有重要意义, 对在宋时烈以后的畿湖学派的易经注解方法论的研究上也存在重要意义。特别是, ≪尤庵易说≫里不仅标榜宋时烈通过象数易学阐明義理的立场, 还借用了明代易学学者来知德的易学注解的具体内容。在对畿湖学派内部如何通过象数易学做注解和如何活用来知德易学的层面上, 具有重大意义。因此, 从象数易学阐明義理的宋时烈的立场出发, 参照来知德易学注解方法, 用象数易学法注解的≪周易≫经文≪尤庵易说≫是展示朝鲜象数易学注释特征的重要著作。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역설 구조 연구 -드러냄과 감춤 사이의 역설-

        이승준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4 No.-

        본 논문 목적은 역설의 측면에서 이청준 소설의 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용소고(龍沼考)>, <이어도>, <잃어버린 절>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용소고>는 백산 장강수라는 인물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무용담을 다룬 소설이다. 백산은 예산의 수인사라는 절의 절골 마을에서 ‘의인 털보 전설’을 남긴 인물이다. ‘의인 털보 전설’은 드러냄과 감춤 사이의 역설 구조 위에서 의미를 지닌다. ‘의인 털보’는 감추어져 있을 때만 의 미를 지니기 때문에, 존재가 드러나는 순간 그 의미는 사라진다. ‘진짜 털보’임을 드러내는 순 간, 백산은 ‘가짜 털보’가 될 운명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는 마치 용이 감추어져 있어야만 의 미를 드러내는 것과 같다. 이는 실재와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존재의 역설이라고 할 수 있 다. 백산이 가짜로 판명되자 새로운 ‘의인 털보’가 등장한다. ‘의인 털보’는 절골 마을 사람들에 게 사라지지 않는 소망의 표상이다. <이어도>는, 선우현이 천남석 기자 실종 사고의 진상을 추적하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다. 이 과정에서 선우현과 양주호는 천남석의 실종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쟁을 벌이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어도의 의미는 드러난다. 이어도는 제주도민에게 현실의 괴로움을 이길 수 있 는 전설의 섬이다. ‘이어도’는, 존재해서도 안 되고 부재해서도 안 되는, 미지의 상태에서만 의 미를 지닌다. 이런 점에서 그것은 보다 복잡한 존재의 역설 구조 위에서 의미를 지닌다. ‘의인 털보’가 절골 사람들의 소망을 표현하는 단순한 전설에 머물러 있다면, ‘이어도’는 이러한 소 망적 전설의 상태를 넘어 일종의 종교적 상징이 된다. <잃어버린 절>도 드러냄과 감춤 사이의 역설 구조를 지닌다. 이 소설은, 일인칭 서술자 ‘나’가 자기 고향 장흥의 ‘큰산’ 천관산에 있었다는 ‘큰절’, 탑산사의 실재 여부를 추적하는 과 정을 그린다. 탑산사는 전설로 남아 있을 때 이용 가치가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것이 현실 화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현실에서 진짜 탑산사는 들어설 자리가 없다. ‘나’는 『지제지』의 행방불명에 대해서 “차마 여기서 말할 수가 없”다고 말하지만, 작가 이청준은 소설 <잃어버린 절>를 통해서 그것을 다 드러낸다. 이 소설은 그 자체로 감추면서 드러내는 존재의 역설 구조를 지닌 셈이다. 이와 같은 존재의 역설은 <줄>, 『흐르지 않는 강』, <시간의 문>, <비화밀교>, 『자유의 문』, 『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 등에서도 나타난다. 이들 소설은 모두 전설, 허구, 예 술, 소설 등의 영역에서 다루어진 작품들이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on the paradox of the novels by Lee Cheong-jun. The paradox of the novels by Lee Cheong-jun works in structural aspect. It is the paradox between the revelation and the concealedness. <The study of the dragon> embodies the conditions the legend. As the dragon lose the mysterious sense, if it is reveled on the real-world, the legend is so. Therefore the sense of the righteous person legend disappears as soon as Beak-san reveal his real identity. Then he becomes the fake. <The I-eo island> embodies the conditions the religious legend. The I-eo island is the religious fantasy or the fantastic utopia to the people of Jeju island. The revelation of its existence and absence wake the people of Jeju island in the dream of the I-eo island. Therefore the I-eo is between the existence and the absence. <The lost temple> embodies the legendary temple between the revelation and the concealedness. The people make a profit according to the legendary temple in the fantasy. Therefore the legendary temple must not be reveled. The people mind its appearance. The paradox of the novels by Lee Cheong-jun works the paradox between the revelation and the concealedness. They are in the sphere of the legend, the fantasy, the art and the novel. Keyword

      • KCI등재

        언어와 세계 간의 역설(paradox) 구조

        김대수(Kim, Dae-Soo)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본 논문은 존재와 인식 사이에서 역설이 어떻게 발생하고 또 역설에 대해 동서양 철학이 어떤 태도를 지니는지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존재에 대한 인식은 그 사이에 반드시 언어가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언어학적 전회’(linguistic turn) 이후 현대 철학이 견지하고 있는 기본적인 입장이다. 그런데 언어의 개념 틀이 제시하는 세계상世界像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역설(paradox)을 만난다. 언어가 대상을 지시할 때, 다시 말해 대상에 대한 명명(Naming)과정에서 의미론적 역설이 불청객처럼 찾아온다. 문제는 대상과 명칭이 일치하느냐 하는 명名과 실實의 동이同異 과정에서 이율배반적 구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동일률, 모순율, 그리고 배중률을 기본 원리로 삼고 있는 형식 논리학에서는 역설은 분명히 골칫거리임에는 틀림없다. 먼저 역설 발생의 원인과 내적 구조를 소쉬르의 언어학과 지시 관계이론을 통해 접근한다. 물론 역설은 언어와 대상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의미론적 모순뿐만 아니라, 칸토어의 집합론과 프락탈 구조와 같은 자연계의 여러 현상에서도 상호 모순적인 구조가 확인되고 있다. 본고는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가진 이율배반적인 역설을 대하는 동서양 철학의 입장을 고찰한다. 특히 주목할 것은 동양철학은 역설에 대해 서양 형식 논리학과는 아주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역설에 대해 어떤 입장과 접근 방식을 가지는지를 언어의 지칭 문제를 중심으로 중국 고대 제자백가들의 논변과 도가와 불교언어관 그리고 주역의 사유체계를 차례로 논한다. 특히 우주 만물의 생성과정에서 일어나는 역설逆說적 구조를 어떻게 해명하고 있는지 태극과 음양 간의 관계를 통해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how paradox happens between being and recognition and to understand what the attitudes of East and West philosophies toward paradox are. The view that language plays a role of medium in course of the recognition on being has been the standpoint of modern philosophy since linguistic turn. And a paradox occurs in course of making clear a picture of the world presented by a concept frame of language. We come to meet a semantic paradox when language refers to an object,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naming on an object. A paradox must be a big trouble in the structure of formal logic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identity, the principle of contradiction, and the principle of excluded middle. First, this article is going to approach the cause and deep structure of a paradox occurrence in terms of Saussure"s linguistics and reference theory. A paradox is found not only in the semantic contradiction made between referent and referential object, but also in Cantor"s Theorem, Fractal structure, and various natural phenomena. This paper examines viewpoints of East and West philosophies on paradox which involves contradictional "yes" and "no" forms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there is also clear focus on that East philosophies have different viewpoints about paradox from those of West formal logic. The stance and method of ancient Confucianism, Taoism, and Buddism toward paradox are supposed to be inquired with respect to linguistic lexical reference. Lastly, this paper concentrates to clarify and verify the structure of paradox brought about by mea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eat entity(太極) and Yin-Yang(陰陽).

      • 역설의 구조와 시적 형상화

        박종영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2020 한남어문학 Vol.41 No.-

        시 창작에 있어 역설은 시가 가지는 특성 중 화자가 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기법 중 한 분야의 수사법이며 반어와 역설은 시 창작에서 자주 혼용 되어 쓰인다. 이것을 모순어법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역설이라는 용어 로 본고에서는 통일시켜 사용하였다. 역설은 표면적 진실을 반대의 문장을 통하여 독자에게 정확하게 알리고자 하기 위한 기법이다. 반대 표현을 써서 의미적 구조의 모순을 통한 낯설게 하기를 내용에 적절하게 부합되도록 활용한 시적 인식과 진실전달 체계를 본 과업에서 연구하였다. 서두에서 역설의 개념과 의미구조를 정의하였고 본론에서 시 창작의 전개를 통해 시적 형상화 과정과 역설의 창작 효과와 이율배반적 모순활용, 재미를 활용 한 시적 효과를 연구하여 활용도를 고찰하였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이미지와 반대의 개념을 통한 역설의 효과적 인식이 논리적 심리대상을 통해 강한 호소력으로 작용하였다. 역설과 반어 는 모순된 표현으로 성립되는 공통점이 있다. 생활 속의 범주에서 흔히 나 타나는 어원의 한 범주에서도 발견되며 철저한 문법의 규범 속에서 문장이 가지고 있는 역설의 효능과 절대가치가 시적 언어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 다. 문학에 있어 역설은 효과적으로 표현하려고 작가의 의도에 의해 서로 모순되는 어구를 활용하여 나열하기도 하며 서로의 의미가 상치되는 표현 방식을 적용하여 모순된 진리를 많이 활용하기도 한다. 두 어구를 조합하여 표현상의 효과를 노려 나름대로 진실을 말하기 위한 전달 체계인 것이다. 역설은 활용 비중에 따라 가치가 변화되는 전개 방식에 의한 효과를 3장 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역설은 지시하는 대상과의 관계에서 서로 반대 되는 의미를 내포하므로 독자가 혼돈에 빠질 우려가 있다는 모순이 있기에 모순을 통한 진리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함이다. 텍스트를 통해 총체적 의미를 구현해주고 대상과 관계성을 통한 서로 다른 상반된 개체로 의 전달이 묘사 대상에 스스로 의존하기보다는 대상에 인격을 부여하거나 대상을 화자로 불러와 함께 공감하는 방식이다. 역설의 이중성에 관계되는 의식체계를 인지하고 모순성 표현을 통한 실재의 이면을 토대로 활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고의 3장에서는 표면적 화자와 이면적 화자를 통한 비유 기표와 비유 기의 관계를 활용한 역설의 창작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표층적 역설과 심층 적 역설을 구분한 텍스트를 활용한 의미구조에서 모순을 통한 대립적인 관계성 결여를 통한 이율배반적 모순의 활용을 통한 결과치를 시를 통하여 표출해냈으며 괴리감을 통한 진실성이 배제되는 모순을 통한 역설의 활용 적 연구 결과를 보여주었다. 리얼리티를 통한 상징적인 표현이나 재미를 통한 극적 카타르시스를 텍스트에 접목하여 재미의 극치를 이루었다. 소통 을 통한 독자와 화자의 거리감을 좁혀 창작의 의미를 역설을 통하여 고취 시키고자 했다. 역설은 부조리한 현실의 구조적 단점을 모순을 통하여 보여 주려고 한다. 언어 진술의 의미론적, 인식론적 차원에서 실현되고 있다. 연극이나 문학처럼 관객과 독자 없이는 예술적 가치가 상실되기 때문에 몰입 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역설의 기법이 필요한 존재로 부각됨을 본 논고 를 통하여 밝힌다. Paradox in poetry creation is a rhetoric method of one of the techniques the speaker conveys to reader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irony and paradox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in poetry creation. This was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radictory language, and was unified in this paper as the term paradox. Paradox is a technique to accurately inform readers of the superficial truth through opposite sentences. In this project, a poetic recognition and truth delivery system that used opposing expressions to make them unfamiliar through the contradictions of the semantic structure appropriately fit the content was studied. At the beginning, the concept and meaning structure of the paradox were defined, and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oetry creation, the process of poetic shape, the creative effect of the paradox, the contradiction of interest, and the use of the poetic effect using fun were studied. The effective recognition of the paradox through the negative image and the concept of the opposite acted as a strong appeal through the logical psychological object. Paradox and iron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is established as contradictory expressions. This is because it is found in one category of etymology that is common in the category of life, and the efficacy and absolute value of the paradox of sentences are used as poetic language within the thorough norm of grammar. Paradoxes in literature are listed using phrases that contradict each other by the intention of the writer to effectively express them, and many use contradictory truths by applying expression methods in which the meanings of each other are contradictory. It is a delivery system for telling the truth in its own way by combining the two phrases for the effect of expression. The paradox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unfolding method in which th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use. The paradox is to effectively apply the manifestation of the truth through contradiction, since there is a contradiction that the reader may fall into confusion because it contains opposite meanings in relation to the object to which it is directed. It is a method of embodying the overall meaning through text and conveying it to different objects through relationality with the object by giving character to the object or by calling the object as a speaker rather than relying on itself. It shows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consciousness system related to the duality of the paradox and using it as a basis for the backside of real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contradictions. Chapter 3 of this paper examines the creative effect of the paradox that uti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aphorical signifier and the nonorganism through the superficial and the disparate speakers, and through contradiction in the semantic structure using the text that separates the superficial and deep paradox The results of the use of contradictory contradictions through the lack of confrontational relations were expressed through poetry, and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use of paradox through contradictions that exclude truth through a sense of dissension were shown. A symbolic expression through reality or dramatic catharsis through fun was grafted into the text to achieve the extreme of fun. By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ader and the speaker through communication, we tried to inspire the meaning of creation through a paradox. The paradox tries to show the structural shortcomings of the absurd reality through contradictions. It is realized in the semantic and epistemological dimensions of language statements. As in theater and literature, artistic value is lost without audiences and readers, so this article reveals that paradoxical techniques are needed to maximize immersion.

      • 하이데거 사상에서의 역설과 그 종교철학적 함의

        이관표 ( Lee Kan-pyo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하이데거 사상에서의 역설과 그 종교철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역설은 모순적으로 상호충돌하는 담론들이나 사유형태들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 의미와 달리, 세상 안에는 ‘삶과 죽음’, 그리고 ‘생성과 소멸’이 공존하는 보다 깊은 차원의 역설이 존재하며, 특별히 우리는 그것을 하이데거의 사상 안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발견할 수 있다: ‘인간의 역설’, ‘존재 자체의 역설’, 그리고 ‘인간과 존재 사이 관계의 역설’. 첫 번째, 인간의 역설이란 염려의 구조 안에서 각각 드러나는 현사실성에서의 ‘삶과 죽음의 공속의 역설’, 빠져있음에서의 ‘죽음의 실존론적 확실성의 역설’, 그리고 실존성에서의 ‘무성과 세계형성의 역설’을 의미하며, 각각은 인간의 유한성, 해방, 그리고 자유를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 존재 자체의 역설이란 존재와 무가 다르지 않다는 사실, 다시 말해 ‘존재와 무의 공속의 역설’을 의미하며, 우리는 그 안에서 존재 자체가 가진 ‘우상파괴의 힘’과 존재자를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스스로를 비우는 ‘자체로-삼감’을 발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의 두 가지 역설 안에 각각 놓여 있는 인간의 ‘무성’과 존재 자체의 ‘자체로-삼감’을 통해, 양자가 ‘자기 비움’으로부터 ‘충만함’에 이르는 종교철학적인 ‘인간과 존재 사이 관계의 역설’이 드러난다. 특별히 이 관계의 역설이 가능한 이유는 인간이 자신의 죽음을 통해 비워내고 있는 빈터에 존재 자체가 스스로를 ‘존재생기’로서 드러냄과 동시에 스스로를 ‘존재탈생기’ 로서 비우면서 인간과 존재자 전체를 자신들의 본질충만함에 이를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비움-충만’의 종교철학적 관계 안에서 이제 우리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어떤 구원을 숙고할 수 있을 것이다. Diese Arbeit behandelt das Paradox im Denken Heideggers und seine religionsphilosophische Implikation. Unter dem Begriff ‘Paradox’ werden heute meist Argumente oder Denkformen gemeint, die sich im Widerspruch anrennen lassen. Es ist uns jedoch erforderlich, zu erblicken: Nicht nur das Paradox befindet sich schon in der Welt, sondern ist es so die Logik des Lebens (bzw. Seins), in dem die Differenz oder der Unterschied zusammengehörend bleibt. Im Anschluss daran können wir besonders im Denken Heideggers das Paradox als die folgenden Dreifachen finden: ‘Paradox im Menschen’, ‘Paradox im Sein selbst’ und ‘Paradox in der Beziehung zwischen Menschen und Sein’. Zunächst tritt das menschliche Paradox als die drei Modi in der Sorge des Daseins zutage: Das erste menschliche Paradox im Sinn der Faktizität lässt sich als ‘Paradox der Zusammengehörigkeit von Leben und Tod’ freilegen, und es ist die existenzial-ontologische Basis der menschlichen ‘Endlichkeit’: Das zweite Paradox im Menschen lässt sich im Verfallensein als ‘Paradox der existenzialen Gewissheit des Todes’ freilegen, und dadurch wird die ‘Befreiung aus der Alltäglichkeit’ als eine daseinsmäßige Bedeutung erhalten: Das dritte menschliche Paradox lässt sich im Sinn der Existenzialität als ‘Paradox von Nichtigkeit und Weltbilden’ freilegen, begrifflich als ‘Freiheit’ formulieren. Was hier wichtiger wäre, ist gerade, dass die Art vom Paradox auch im Sein selbst gefunden wird. Dieses beruht insbesondere auf der seinsmäßigen Verbindung zwischen dem Sein als dem ‘Ereignis’ und dem Nichts, was ‘Enteignis’ genannt werden könnte. Es gilt daher: Die Erläuterung zum Nichts weist gerade auch auf die Erläuterung zum Sein selbst hin, aus der sich ‘das Paradox der Zusammengehörigkeit von Sein und Nichts’ zeigt. Zuletzt fuhrt uns die bisherige Diskussion dazu: Durch den in obigen zwei Paradoxen gefunden ‘Nichtigkeit’ und ‘Ansichhalten’ zeigt es sich, dass der Mensch und das Sein im religionsphilosophischen ‘Paradox der beiden Beziehung’ stehen, in dem sie durch ihr wechselseitiges Leeren das eigene Fullen erreichen. Der Grund dafur, dass das Paradox möglich ist, liegt insbesondere darin: Wo sich der Mensch durch seinen eigenen Tod leert, ereignet sich das Sein selbst, indem es alles Seiende zur Fulle des Anwesens bringt, zugleich sich paradox entzieht und ‘ausleert’. Und wir werden nun in dieser religionsphilosophischen Beziehung des ‘Leeren-Fullens’ uber eine noch unbekannte Rettung nachdenken können.

      • KCI등재

        들뢰즈와 『무문관』의 화두들

        박인성(Bak, In-Se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들뢰즈는 그의 저서 『의미의 논리』에서 신라 스님 파초혜청의 화두 “그대들에게 주장자가 있다면, 주장자를 주겠노라. 그대들에게 주장자가 없다면, 주장자를 빼앗겠노라.”에 담긴 부정의 의미를 말라르메와 크뤼시포스가 말하는 부정의 의미와 나란히 놓으면서 ‘의미의 논리’에 의거해서 풀어낸다. 파초혜청의 이 화두는 공안집 『무문관』제44칙이다. 이 파초혜청의 화두를 포함한 『무문관』의 화두들을 해명하고자 필자가 들뢰즈의『의미의 논리』에서 선택한 논제들은 의미의 역설들, 비의어와 혼성어, 무의미와 부조리이다. 각 논제에 대한 들뢰즈의 설명을 정리하고 나서, 이를『무문관』의 화두들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펼쳐가고, 최종적으로 파초혜청의 화두에 대한 들뢰즈의 생각을 밝혀보았다. 의미는 생성 중인 사건이기에 역설의 관점에서 이해될 때 가장 잘 포착될 수 있다. 들뢰즈는 의미가 계열화할 때 의미의 역설이 발생한다는 점을 간취하고 이 역설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계열화로부터 의미를 떼어내어 무한퇴행의 역설, 불모의 이중화의 역설, 중성의 역설, 부조리한 것의 역설을 찾아내고 단계별로 이를 규정해 간다. 화두도 또한 역설로 이루어져 있기에 들뢰즈가 전개하는 의미의 역설들에 맞추어 파악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서, 먼저 의미의 네 역설들을 들뢰즈가 서술하는 순서대로 이해해 가면서『무문관』의 화두들을 적용해보았다. 또, 의미가 역설로 파악될 때 가장 잘 이해되는 것은 의미가 무의미와 부조리에서 유래하고 또 이것들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음에 무의미와 부조리가 적용될 수 있는 화두들을『무문관』에서 찾아보았다. 『무문관』의 화두들을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에 의거해서 분석한 결과, 간화선 수행에 원용되는 모든 화두들을 학적 체계에 넣을 수 있는 실질적인 단서를 얻게 되었다. 무문관의 화두들은 전반적으로 역설적 심급x를 향해 있으면서도 이 심급의 어느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역설적 심급x만을 이야기하는 화두(제5칙 향엄상수), 역설적 심급x 중 말x를 이야기하는 화두(제18칙 동산삼근), 역설적 심급 중 사물x를 이야기하는 화두(제43칙 수산죽비)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또 여기서 더 나아가 무의미와 의미의 구조를 이야기하는 화두(제44칙 파초주장), 무의미와 부조리를 이야기하는 화두(제26칙 이승권렴) 등이 있다는 점도 알게 되었다. Deleuze, French modern philosopher tries to solve Pachohaecheong[芭蕉慧淸]s Hwadu [話頭] in his work Logic of Sense, saying that if you have a cane, I am giving you one; if you do not have one, I am taking it away. He succeeds in catching the correct meaning of negation involved in the hwadu, along with the meaning of negation involved in Mallareme words and Chrysipposs phrases. This hwadu is the forty-fourth hwadu of the Collections of Precedent Stories[公案集], No-Door to Gate[『無門關』]. When we try to solve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including Pachohaecheongs hwadu, we can use all the topics in Logic of Sense as guidelines on the interpretation on them. But the topics that I selected in this paper are the four paradoxes of sense, the esoteric words and the portmanteau words, and nonsense and absurdity. I summarize Deleuzes exposition on each topic, and then apply it to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and lastly elucidate Deleuzes interpretation on Pachohaecheongs hwadu. Since sense is the event that is becoming, we can apprehend it in terms of paradox. Deleuze find out that the paradox of sense occurs when sense is serializing. In order to make this paradox clear, he seperates the sense from serialization and discover the paradox of regress, the paradox of sterile division, the paradox of neutrality, and the paradox of the absurd. Since hwadu is composed of paradox, it can be grasped when grasped in accordance with the paradox of sense Deleuze is stating. Therefore, we can apply these four paradoxes to the hwadus of No-Door to Gate. The reason why sense is grasped as paradox is because sense is derived from, and dependent on nonsense and absurdity. So I try to find from No-Door to Gate hwadus that may be applied to nonsense and absurd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Deleuzes ‘logic of sense’, I was able to attain a substantial outcome, which is as in the following. Basically, all the hwadus from No-Door to Gate is directed toward nonsense and absurdity. Most of hwadus from No-Door to Gate tell stories about the paradoxical instances, but make differences according to which aspect they are emphasized on. That is, there are hwadus that tell a story about the paradoxical instance x alone(the 5th archetypal story), ones that tell a story about word x of the paradoxical instance x(the 18th archetypal story), and ones that tell a story about thing x of the paradoxical instance x(the 43th archetypal story). In addition, there are hwadus that tell a story about the structure of nonsense and sense(the 44th archetypal story), and about nonsense and absurdity(the 26the archetypal story).

      • KCI등재

        양상 역설의 해결 방법들

        선우환(Hwan Sunwoo)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4

        이 논문에서 필자는 챈들러와 살먼에 의해 제시된 이른바 “양상 역설”에 대해 기존에 제시된 두 가지 종류의 해결 방식인 살먼의 접근기능성 해결과 포브스의 상대역 이론적 해결을 검토하면서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 필자는 모호성에 기인하는 양상 역설에 초점을 맞추어서 두 해결 방식 중 어느 방식이 보다 더 적절하게 그런 역설을 해결할 수 있는지 우열을 가린다. 모호성을 양상 역설의 논증에서의 어떤 언어적 표현에 귀속시킬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살먼의 생각과는 달리 접근가능성 해결이 상대역 이론적 해결보다 더 우위에 있지 않으며 오히려 상대역 이론이 모호성의 진원지를 더 정확히 찾을 수 있다는 것을 필자는 보인다. 다른 한편 포브스는 상대역 이론이 모호성의 역설로서의 양상 역설의 두 정식화 방식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점과 무한치 논리가 역설에 대해 더 적절한 진단을 한다는 것을 지적하는데, 후자의 측면은 상대역 이론의 이론적 우위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필연성은 없지만 전자의 측면은 상대역 이론적 해결이 보다 더 낫다는 것을 잘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런 평가를 통해, 필자는 상대역 이론적 해결이 접근가능성 해결에 비해 양상 역설에 대한 적절한 해결로서 보다 이론적으로 받아들일 만 하다고 결론 내린다. In this paper, I examine two well-known solutions to modal paradoxes: Salmon's Accessibility Solution and Forbes's Counterpart-Theoretic Solution. I focus on sorites versions of modal paradoxes, and evaluate which of these two solutions is more successful in dealing with them. I show, contra Salmon, that Accessibility Solution is not more successful than Counterpart-Theoretic Solution in finding the source of vagueness in sorites versions of modal paradoxes. I also show that one of the points made by Forbes in favor of Counterpart-Theoretic Solution indeed makes a good case for it. I conclude that Counterpart-Theoretic Solution is more acceptable and more successful than Accessibility Solution.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역설 의식 연구

        이승규(Lee Seung Gyu)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김수영의 시에서 역설은 단순히 기법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 현상에 대한 관점이자 인식의 방법으로 작동한다. 사물의 본질이 단일하고 평면적인 모습으로 지각되기보다는 애매하고 복잡한 형태로 현시되기 때문에 시인의 체험을 종합하면서 시적 통일성을 이루는 데 역설이 긴요하게 기능할 수 있다. 김수영은 역설을 통해 자아와 현실의 갈등을 응시하고 시인으로서의 양심을 점검하면서 자신을 둘러싼 현실의 문제를 고발하였다. <도적>에서 집안에 든 도적과 시적 자아의 죄를 견주면서 손상된 양심에 대한 깨달음과 비판을 역설적으로 드러냈다. <거짓말의 여운 속에서>에서는 자신의 거짓말에 자신이 엮여 들게 된 아이러니를, 자유를 보장하지 않는 사회의 비판으로 확장하며 역설적 구도를 완성하였다. <이 韓國文學史>에서도 세속적이고 폭력적인 현실을 자각하고 그것을 뚫고 나아가기 위해 분투하는 시적 자아의 목소리를 역설적으로 구조화하였다. 그에 비해 <그 방을 생각하며>와 <現代式橋梁>에서는 역설을 통해 역사의 통찰을 수행하였다. <그 방을 생각하며>에서 혁명의 실패를 도리어 커다란 성취로 삼는 태도, 즉 잃음으로써 얻는 역설적 태도를 통해 역사에 대한 긍정적 신념을 표출하였다. 그 신념은 <現代式 橋梁>에서 상반된 가치를 결합하면서 혼란과 갈등을 끌어안고 나아가는 ‘사랑’으로 이어지는데, <사랑의 變奏曲>에서 그 ‘사랑’이 커다란 역사적 역경과 희생으로 이룩된 것이라는 깨달음을 작고 하찮은 사물을 이용하여 역설적으로 제시하였다. 김수영은 세계의 현상을 보이는 대로 인식하지 않고 그 본질을 근원적인 시각으로 파악하려 하였다. 따라서 상대적인 관점으로 볼 때 대립되거나 차등되는 관계가, 절대적인 관점에서 동등하거나 역전되는 것으로 파악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역설적 인식과 태도를 통해, 양심을 자각하고 사회의 문제를 고발하였으며 현실을 통찰하고 역사적 신념을 바탕으로 한 전망을 시도하였다. The paradox in the poems of Kim Soo-yeong was not used merely as technique but served as a perspective towards the worlds and phenomenon and futhermore worked as a methodology for perception. As the essence of objects are perceived as ambiguous and complicated forms, rather than being perceived as single and two-dimensional forms, the paradox may take on useful functions in integrating the experiences of the poet and achieving poetic uniformity. Kim Soo-yeong looked into the conflicts between his ego and reality and examined the conscientiousness as a poet while revealing problems of reality surrounding him through the medium of paradox. In a poem titled <Thief>, he revealed his realization and criticism towards impaired conscience paradoxically by comparing the thief breaking into the house and sins of poetic ego. In the <Lingering Imagery>, he presented an extension of his criticism towards the society that did not guarantee freedom, thereby completing paradoxical structures in his poem, in respect of the irony that trapped him with his own li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ry History>, he presented paradoxical structuralization of the voice from his poetic ego that realized the secular and violent reality and strived to break through. By contract, his poems titled <Thinking of the Room> and <Modern Bridge>, he showed a historic insight through paradox. In the <Thinking of the Room>, he expressed a positive belief in history through paradoxical attitude of winning by losing, an attitude that takes failure in revolution as a significant achievement. Such belief developed into a ‘love’ embracing both confusion and conflict through combination of contradictory values in <Modern Bridge>. In the <Variation of Love>, he made a paradoxical presentation of his realization that the ‘love’ was achieved by great historic adversities and sacrifices through the prism of small and trivial objects. Kim Soo-yeong attempted to keep track of the essence in the phenomenon of the world from fundamental standpoint, rather than perceiving it as it is seen. Thus, he sometimes figured out that conflicting and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seen from relative standpoint became equivalent or reversed when they were observed from absolute perspective. Moreover, that could be a methodology for perception based on premise of absolute belief in righteousness and truth.

      • KCI등재

        피노키오 역설에 대하여

        송하석 한국논리학회 2014 論理硏究 Vol.17 No.2

        The Pinocchio paradox that Eldridge-Smith suggested is a version of the semantic paradox. But it is unique in the sense that this paradox does not contain a semantic predicate. Tarski’s solution which appeals to the hierarchy of language and Kripke’s para-completeness which accepts the third truth value cannot solve the Pinocchio paradox. This paper argues that Eldridge-Smith’s trial to criticize semantical dialetheism is not successful and that the paradox implies the rule of the truth predicate is inconsistent. That is, the proper diagnosis to this paradox is that the Pinocchio principle should be considered to be potentially inconsistent, which suggests that semantic paradoxes such as the liar paradox arise because the rule of the truth-predicate is inconsistent. The Pinocchio paradox teaches us that consistent view of truth cannot be successful to solve the semantic paradoxes and that we should accept the inconsistent view of truth. 엘드리지-스미스가 제시한 피노키오 역설은 거짓말쟁이 역설과 같은 의미론적 역설의 변형이지만, 의미론적인 술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언어의 위계를 이용하여 의미론적 역설을 해결하려는 타르스키의 해결책이나, 진리 술어를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것으로 보고 거짓말쟁이 문장에 대해서 진리 틈새를 인정하는 크립케의 초완전성 견해는 피노키오 역설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이 아니다. 피노키오 역설을 통해서 양진주의에 대해서 비판하는 엘드리지-스미스의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음과 함께 이 역설의 중요한 함축은 진리 술어에 관한 규칙이 비일관적이라는 것을 논증한다. 이 역설에 대한 적절한 진단은 이 역설을 낳는 피노키오 원리가 잠재적으로 비일관적임을 인정하는 것이고, 이 점은 거짓말쟁이 역설과 같은 의미론적 역설이 발생하는 이유는 진리 술어에 대한 규칙이 비일관적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피노키오 역설을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의미론적 역설에 대한 진리 일관성주의적 해결책은 성공할 수 없고 진리 비일관성주의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