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일관계사 수업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의 요소와 성격

        허신혜 한국역사교육학회 2010 역사교육연구 Vol.- No.11

        학교교육의 질과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교사라고 흔히 말한다. 이렇듯 교실 속 수업의 성패가 교사에게 달렸다고 한다면 역사수업의 성패는 역사교사에게 달렸을 것이다. 그러나 이 말이 의미하는 바가 역사수업의 문제는 교사 개인의 의지와 책임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닐 것이다. 역사수업의 성패가 역사교사에게 달렸다고 하여 모든 수업 상황들이 교사 개인의 의지로 극복될 수 있을 것인가? 만일 그렇지 않다면 역사수업 속에서 교사들이 무엇을 어려워하고 있는지,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교사와 수업에 대한 연구는 출발해야 하지 않을까?그러므로 이 연구는 역사교사들이 당혹감을 느끼는 수업 주제 가운데 하나인 한일관계사 수업의 어려움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역사교사들이 한일관계사 수업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요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교사 자신의 관점과 지식, 그리고 학생들의 반일감정으로 드러났다. 교사들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역사수업 과정에서 그리고 역사적 사실에 대한 설명 과정에서 이같은 감정적 접근을 대체할 만한 대안적 설명들이 수업에서 제시되어야 하지만 현재의 한일관계사 수업은 그렇지 못하다. 왜냐하면 교사들은 지식이 결여될 수밖에 없는 구조 속에 놓여 있고, 이 결여의 틈새는 교사와 학생의 감정적 대응이 메우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의 감정적 대응은 동반 상승 작용을 하면서 수업에서 두 존재가 ‘반일감정’으로 일치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 준다. 이것은 한일관계사 수업에서 비록 교사가 의도했던 것은 아니었다고 하더라도 교사와 학생이 동일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교사와 학생의 이러한 감정적 일체감은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강화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의 교사도 예전에는 학생이었기 때문이다. 교사 자신의 의도와는 달리 실제 수업에서는 감정적 표현을 사용하게 되고 만다는 교사의 기술은 교사 또한 학생 시절부터 지속적으로 이러한 감정적 순환과정을 거쳐 온 결과물의 하나임을 말해준다. 따라서 한일관계사 수업은 수업을 하면 할수록 더욱 비역사적이 되어가는 아이러니컬한 상황이 반복되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역사교육과 한일관계의 문제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이 대체로 교과서 문제에 집중했던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역사교육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교사 들이 지향하고자 하는 수업을 위해 지식과 관점을 어떻게 균형을 맞추어 줄 수 있을 것인지, 그리고 학생들의 반일감정의 실체가 무엇이며 이것을 역사수업 속에서 어떻게 해결해 갈 것인지에 대한 연구 과제들로 그 관심을 확장시켜 갈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 KCI등재

        역사교사요인에 따른 수업의 像, 실현화·곤란

        김인경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역사 교사들이 수업 설계에서 겪는 사고(思考) 과정을 심층 면담하여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고찰하기 위해 수업 像, 실현화, 곤란이라는 연구 용어를 정립하였다. 연구과정은 다섯 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 교사들이 수업 설계에서 고려하는 역사교사요인과 그에 따른 수업 像과 실현화, 곤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로써 교과교육 차원에서 현장 교사들의 수업 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보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역사 수업의 주체인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역사교사요인을 ‘①역사 교과의 특성, ②역사 수업 방법, ③학습자의 특성, ④역사 수업 환경, ⑤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라는 5가지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역사교사요인에 따른 교사들의 수업 像을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에 따르면 대체로 교사들이 기대하는 수업 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하여 현실을 이해하는 수업, 역사적 상상력으로 당시대를 이해하는 수업, 다양한 역사 해석이 가능한 수업, 역사적 개념이나 사실을 흐름 속에서 이해하는 수업 상을 그렸다. 둘째, 역사 수업 방법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참여하는 수업,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수업, 교사의 스타일을 살려 구조화 한 수업, 다양한 역사 교재를 활용한 수업 상을 그렸다. 셋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수업,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한 수업 상을 그렸다. 넷째, 역사 수업 환경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 수, 기자재 같은 교실 환경을 고려한 수업, 입시·진도·동료교사와의 관계 같은 외부적 상황을 고려한 수업상을 그렸다. 다섯째, 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를 고려한 수업 상을 그렸다. 교사들은 교사의 역사교육관을 반영한 수업,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의 수업, 발전적이고 만족할 수 있는 수업 상을 그렸다. 본 연구는 교사에 따른 수업 설계 과정을 비교하고자 ‘조선 후기 문화’를 제시하고 수업 장면을 재구성하였다. 학습자를 가장 고려하는 (가)교사의 수업은 조선 후기 문화 자료가 많이 등장한다. 교과서 밖의 수업 자료도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자료를 통해 흥미를 갖고, 많은 자료를 경험하여 시험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수업 방법을 가장 고려하는 (나)교사는 학생들이 조선 후기 서민이 되어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수업을 한다. 이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활동 수업 상이 실현된 것이다. 역사 교과의 특성을 가장 고려하는 (다)교사는 학생들이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성장한 서민의식을 이해하기 바란다. 그리고 이와 함께 현실 사회도 읽어내기를 바란다. 이를 실현하고자 (다)교사의 수업은 질문이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면 경제 성장과 문화의 연계, 당시대 사람들의 삶을 유추하는 질문이다. 이는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켜 현실을 이해하는 수업 상이며, 역사적 흐름에서 개념과 사건을 익히는 수업 상이다. 수업 방법과 학습자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는 (라)교사는 학생 발표 수업으로 실현한다. 학생들은 서민 문화 같은 역사 용어를 풀이하고, 모르는 내용은 스스로 해결한다. 발표 수업은 어떠한 학생들이라도...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hough process of history teachers in curriculum designing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And in order to contemplate on this, the study term “class figure, realization and difficulty” was establishe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subjecting 5 teacher.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history teacher element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signing and the class figure, realization and difficulty of the history teachers. This study hereby expects to understand and supplement the curriculum designing process of teachers in educational field in terms of curriculum education.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5 history teach elements that teachers, the main subject of history class consider significant in designing clas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at are “①characteristic of history class ②teaching method of history class, ③characteristics of learner, ④history class environment , ⑤teacher’s understanding toward oneself. Also, the teachers were subjected to in-depth interview regarding class figur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 the class figures expected by most of th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figure is the cla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class. Teachers designed class which enables reality understanding by improving historical thinking, class which enables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period with historical imagination, class which enables various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class which enable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cept and fact in the flow. Second is the figure regarding the teaching method of history class. Teachers designed class that students participates, class with effective delivery of contents, class which well constructed teacher’s style, class which utilizes various historical material. Third is the cla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of learner. Teachers designed class reflecting interest of students, class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and clas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tudents. Fourth is the class figure considering history class environment. Teachers designed class considering class environment element such as number of students and classroom material, and class considering the external situation such as college admission, study progr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Fifth, the teachers designed class considering the understanding toward oneself. Teachers designed class reflecting the history education philosophy of oneself, class with contents that teachers see important, and class that is satisfactory and expansive. In order to compare the class design process by teachers, the teachers were provided with “late Joseon culture” and restructured class scene. Teacher (A) who considered students the most presented the largest amount of late Joseon culture material in the class. There were also many materials outside the textbook. This is to make students feel interested in class and experience many materials to prepare for exam. Teacher (B) who mostly concerned the teaching method designed class making story by students becoming the ordinary people from late Joseon. This has realized the activity class figure participated by students. Teacher (C) who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history education aim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thoughts of people lived in the social and financial background of late Joseon. Also, he wanted to read out the actual society. In order to actualized this, a lot of questions are in the class led by teacher (C). For example, the teacher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economical growth, culture and life of the people. This improves th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o understand reality, and it also let students learn concept and incidents in the historical flow. Teacher(D) who considers the teach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tualize the class figure by student presentation class. Students interpret hist...

      • KCI등재

        한국의 역사수업 연구(2014~2020)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백은진(Eunjin Baek),김민정(Kim Minju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역사수업 연구 논문을 분석한 선행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2014년부터 2020년 사이에 국내에서 발표된 한국의 초⋅중등학교 역사수업에 관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이후 시기 역사수업 연구의 주제, 연구 방법상 특징과 한계, 연구 문제와 결과 논의의 정합성, 이전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변화된 점을 포함하고 있다. 동료 평가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포함한 역사수업 연구 중에서 총 63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역사수업 연구자의 연구 주제와 이를 풀어가는 연구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공동 연구진의 개별 연구 분석 및 분석 틀에 입각한 분석 결과, 초⋅중⋅고등학교별 모든 학교 급에서 고른 연구가 이루어졌고, 역사수업에 대한 여러 측면이 서로 교차하는 교직(交織) 차원의 주제를 다루는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저자로는 교사 연구자가 많았고,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실행 연구를 수행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연구방법론의 타당성 검토는 해당 역사수업 연구가 채택한 연구방법론에 대한 개별적인 평가에 기초하여, 연구 문제 설정과 선행 연구와의 관계, 연구 방법과 연구 과정상에서 신뢰성 확보의 문제, 연구 문제와 연구 결과의 정합성 및 연구 결과 도출의 타당성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사례 분석과 제시를 통해 첫째, 역사수업에 대한 연구 문제 설정 시 선행 연구의 충실한 검토와 이론적 틀 속에 위치시키는 접근이 지닌 의미를 밝히고, 둘째, 연구 문제에 따라 적절한 연구 방법의 설계와 연구 과정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가 설정된 연구 문제와 차용된 연구 방법에 비추어 타당할 때, 역사수업 연구 결과가 우리의 역사수업 연구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난 20여 년간 이루어진 역사수업 연구 주제와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은 연구의 경향과 그 저변에서 흐르는 쟁점을 규명하고, 향후 역사수업 연구의 질적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in 2000-201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elementary and secondary history teaching published during 2014-2020, focusing on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questions include the themes, distinguishing features of methodologies and finally changes made from the previous results, if any. The analysis of the 63 empirical studies highlights the growing number of teacher researchers as authors, conducting mainly action research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termine whether each research method can be justified,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questions and previous research, the problem of securing reliability in data collection and coding,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research question and results as well as the validity of results from the research process. The discussion would highlight the discussion of further teaching history research as well as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성찰 탐색: ‘정몽주 살인사건’ 수업을 중심으로

        홍미화(Hong Mi Hwa)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9 사회과수업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수업설계와 실행과정에서의 성찰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영역 수업의 의미를 탐색한 연구이다. 예비교사들은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관계맺고 그 관계를 중심으로 사건을 해석하였으며, 역사적 해석을 기반으로 ‘정몽주 살인사건’ 내러티브를 생성하였다. 그들이 구성한 좋은 수업은 1)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사고력을 결합하여 흥미와 진지함을 동시에 충족하는 수업 2) 교사와 학생이 역사적 사건에 대하여 질문과 대답을 이어가는 수업 3) 과거의 시간으로 학생을 초대하여 인물의 입장을 이해하는 수업 4) 사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해시키는 내러티브적 수업이다. 그들은 실제 수업을 실행하면서 1) 사건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여야 자신의 입장을 제시할 수 있으며, 2) 인물과 사건의 관계를 내러티브 방식으로 가르치는 일은 효과적이지만 쉽지 않은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3)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사고력을 균형있게 가르치는 일은 매우 어려우며, 4) 사건을 내러티브로 구성하는 일 자체만으로는 학생들이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음도 알았다. 교사는 학습자 개개인의 지적 수준과 관심 영역을 활용하여 그들 스스로 역사이야기에 몰입하도록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좋은 역사수업은 교사가 만든 역사이야기와 학생이 만들어가는 역사이야기가 모두 존재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사회과 수업구성과 실천 경험에 담긴 예비교사의 성찰과정과 수업이야기를 통하여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영역 수업의 난제를 이해하고 그 고민을 공유하여 교사교육과 역사교육의 새로운 대안을 찾아 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a history class among subjec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by focusing on reflection of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 design and implementation by pre-service teachers. The teachers created a narrative for ‘the murder case of Jung Mong Ju’. The desirable class they constructed includes; 1) a class that satisfies both interest and seriousness simultaneously by combining the historical events and thoughts; 2) a class that both teacher and students continuously make questions and answers together on the historical events; 3) a class that makes students understand the historical event by inviting them into a certain time point of the past and enable them to speak about their position. While actually conducting a class, they confirmed that 1) students should fully understand a situation of certain event to present their own position and 2) classes with narrative style for describing an association between events and characters were effective, on the other hand, 3) it was a big challenge to teach historical facts and thoughts in balance. History class can be a meaningful class when the stories that are being created by both teacher and students are all alive.

      • KCI등재후보

        역사교사의 갑신정변 인식과 역사수업

        권정애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Teacher is the main for the overall determination and the leading in the history teaching. The contents, materials and methods of teaching depend on how teachers understand the history, therefor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teachers have an direct influence on the teaching conten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eacher how to have an effect on the teaching by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ing content and appraisal on the same historical matters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was selected as a model, and by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teaching contents were examined and analysed how to teach for the three different teachers who have dissimilar percep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revious knowledge on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one's view of text,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and mode of understanding on the students have an influence on teaching content, teaching material and special emphasis. However, some other explanation that of own perception was observed by the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eaching of teachers in academic high school.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pecific matter was incorporated by the teacher's value on the text and the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rather than exactly what they thought in the view of text description rather than own perception, otherwise the teachings of "Kwon" and "Kim" were proceeded by the each own perception. And own views of teachers were carefully expressed in teaching about controversy parts in academic world. Such a case was revealed in teacher Kim's classroom. This fact show that teachers still have heavy load on new development for historical knowledge and they places main reliance on the studies of historian. Although shackles of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eacher's thoughts on academic studies and subject what is called history were well brought out in this study. I could be convinced that through me intention of "Kwon" is teacher's historical view should be actively expressed on students, and that of "Kim" is the purpose of historical teaching is the supports of democratic development of society by having more desirable perception about realistic problem. 역사 수업의 전반적인 모습을 결정하고 이끌어나가는 주체는 교사이다. 교사가 어떤 식으로 역사를 이해하고 있느냐에 따라 수업의 내용, 자료 방법은 차이가 나며,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내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수업의 내용이나 수업에서 다루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가지고 있는 역사인식이 수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갑신정변’을 사례로 선택하고,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진 3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치는지 질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수업 내용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같은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한 세 교사의 수업 내용은 모두 같거나 비슷하지 않았다. 교사마다 자신이 갖고 있던 갑신정변에 대한 선행지식, 교과서에 대한 관점, 입시에 대한 부담정도, 학생에 대한 이해 방식 등에 수업내용, 자료, 강조점은 서로 달랐다. 그러나 입시 부담 등으로 자신의 인식과는 다른 설명을 하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수업은 입시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특정 사건에 대한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에 그대로 반영되기보다는 교사의 교과서관과 입시에 대해 느끼는 부담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 교사는 자신의 인식보다는 교과서의 서술 시각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권’ 교사와 ‘김’ 교사는 대체로 자신의 인식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사가 학계에서 논란이 되는 부분을 수업할 때, 자신의 견해를 매우 조심스럽게 표현하고 있었다. ‘김’ 교사의 수업에서 이런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가 여전히 새로운 역사지식 창출에 큰 부담을 갖고 있으며 주로 역사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라는 학문과 교과에 대해 갖고 있는 교사의 생각은 입시라는 굴레 속에서도 분명히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의 역사관을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권’ 교사와 역사교육의 목적이 현실 문제에 대해 좀 더 바람직한 인식을 가짐으로써 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돕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김’ 교사의 예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의 역사수업 연구(2014-2020)에 대한 메타 분석 : 최근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을 중심으로

        김민정(Kim, Minjung),백은진(Baek Eunji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연구 Vol.- No.42

        본 연구는 2014-2020년 국내에서 수행된 역사수업 연구 63편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같은 63편의 연구에 대해 방법론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의 후속 연구로, 최근 수년간 이루어진 역사수업 연구의 주요 담론을 규명하여 역사수업 연구의 역할과 의미를 재고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역사수업 연구가 전제로 하고 있는 연구의 출발점과 좋은 역사수업의 의미, 역사수업 연구의 개념 등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을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역사학의 특성이 반영되는 역사수업, 지향하는 가치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역사수업, 교사-역사-학생의 상호성과 개별 맥락 속에 위치하는 역사수업, 새로운 교수법을 실험하는 역사수업이라는 4개의 담론으로 범주화하고, 이에 해당하는 연구 성과들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특히 4가지 수업연구 담론이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공통적으로 다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해당 수업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 방식,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전개된 수업의 양상, 학생과의 상호작용 및 교사의 역할 등의 국면에 나타난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각 수업 연구 담론에서 배움의 공동체는 각각 역사 이해를 굴절시키는 비판의 대상, 지향과 실천의 대상, 분석하고 설명해야 할 교육 현상, 혁신적인 방법을 적용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문제로 인식된 상황이나 어려움은 각 담론에 따르면 역사학으로부터 분리된 활동 중심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 교사들이 협력하여 극복할 수 있는 문제,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한 분석과 설명이 필요한 문제 혹은 문제 상황의 제거와 적절한 시행 방법의 처방이 필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역사수업 연구의 담론별로 연구 문제 설정 방식뿐 아니라 연구 대상의 선정과 연구 방법의 선택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대한 견해 및 좋은 역사수업에 대한 정의 등에도 투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역사수업 연구 담론에 따른 차이를 인지하고, 정치한 연구 방법을 통해 역사수업 연구를 수행할 때 역사수업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상상이 확장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s of 63 history teaching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 2014-2020.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to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f the same 63 studies. It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reconsidering the role and meaning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by clarifying the main discourses of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focusing on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premised on the study of history lessons, the meaning of good history lessons, and the concept of history lesson research, the discourse of history lesson research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ategorized into four discourses: a history teach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a history teaching that aims to realize the values ​​pursued, a history teaching that is located in the individual context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history-students, and a history teaching that tests new teaching meth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

      • KCI등재

        근래의 역사 수업 연구 경향과 연구 방법에 대한 검토

        김민정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본 연구는 2000~2014년 동안 초·중등학교의 역사 수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32편의 연구논문에 대해 연구 경향과 연구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역사 수업 연구와 연구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역사 수업 연구의 설계와 수행이 정밀하게 이루어진 연구 결과는 역사 수업에 대한 맥락적 이해와 적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의 학계에서는 역사 수업과 관련하여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과학적, 경험적 사례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최근 교원평가제에 따라 수업 공개가 일상화되고, 교사연구자들이 자신의 수업 실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역사 수업의 내적 맥락을 긴밀하게 고찰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증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2편의 역사 수업 연구를 분석한 결과, 역사수업의 성패와 무관하게 역사 수업을 체계적이고 정밀하게 연구하는 방법론 측면에서 다소의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경험적, 실증적 연구논문은 연구 문제, 이론적 배경,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결론이라는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전제에 비추어볼 때, 분석 대상이 되는 연구 논문들이이 같은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지 못하거나, 이들 요소간의 유기적 관계를 설정하지 못하여 일관되고 정밀한 연구 설계와 다소 거리가 먼 경우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역사 수업에 대한 경험 연구를 표방할 때 연구 방법의 재인식과 함께 학술공동체 내 공유를 위해 좀 더 엄정한 학술지 심사와같은 절차가 요청된다. 이를 가능케 하려면 중장기적으로 역사 수업을 연구하는 구체적인 훈련의기회를 예비교사와 연구자들에게 체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research paper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history teaching published during 2000-2014, focusing their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The critical review of total number of 32 papers, all empirical studies, would highlight the discussion of further teaching history research as well as research methodology. Recent research demonstrates the growth of scientific and empirical approaches based on data from history teaching and classroom. In spite of its growth of research body,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eaching history still has shortcomings. Considering empirical studies usually consist of research questions,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result and discussion, the 32 focus papers, analyzed in this study, lack of consistency through inquiring own research questions, sometimes missing certain components of research papers. Unfortunately, some 192 역사교육연구_ Vol. 22 Key words : teaching history,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empirical study, research methodology findings turn out far from comprehensive and applicable results since it has inconsistent and delicate research design. In order to conduct scientific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emphasized throughout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역사 중심 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사회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세진,류희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교육논총 Vol.36 No.2

        본 연구는 역사 중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역사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수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학생들의 역사 수업에서의 학습 태 도를 사전검사를 통해 알아보고,사회과 역사 중심 STEAM 수업을 5개 주제(10차시)로 수업을 실 시한 후,역사 수업에서의 학습 태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사회과 역사 중심 STEAM 수업이 학생 들의 역사 수업에서의 학습 태도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역사 중심 STEAM 수업은 초등학생 들의 학습 태도 중 자율학습과 교우관계를 제외한 우월감,자신감,흥미,목적의식,성취동기,주의 집중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에서 개발 및 적용한 역사 중심 STEAM 수업 은 초등학생들의 역사 수업에서의 학습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역사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긍정적이라는 측면에서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수업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역사 수업의 지향과 실행에 대한 인식 - 교사 설문을 중심으로 -

        김민정,이현지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8

        The recent emphasis on history teaching based on national - social change and research outcomes, provides a rich repertoire to teachers, including teaching historical thinking and contestability, inspiring values and competences as a democratic citizen, and students as active participants in history classroo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history teachers perceive current theoretical foci in teaching history. To do so, the nation wide survey was conducted and participated by about 300 history teachers working at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o their instructional orientation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actually implemented in class, teachers’ reponses include that they tend to solve most significant problems related to history teaching with their colleagues and/or personal trials. While novice teachers required the mastery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a good teaching, expert teachers emphasized understanding of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students. Most teachers confirmed student centered approaches specific to the subject of history rather than the application of any particular teaching strategies sugges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research. In light of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and regions, this survey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consideration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policy. 역사적 사고력과 논쟁을 강조한 역사다운 역사 수업, 학습자의 학습 활동 참여를 강조하는 수업,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가치와 역량에 주목한 수업과 같이 역사 수업의 초점과 지향은 국가·사회적 변화와 연구 성과의 축적으로 강조점을 달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초점에 대해 역사교사가 자신의 수업 지향과 관련지어 인식하는 방식과 수업에서 실제 구현하는 정도에 비추어 살펴볼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역사 수업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역사 교수·학습 방향의 적절성과 그에 따른 정책의 실효성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수업 방식의 현황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문제의식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채택하여, 전국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약 300여명의 역사교사가 참여하였다. 모든 경력 단계의 교사들이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는 역사 수업 개선은 동료 교사와의 협업에 가장 많이 의존하고 있었다. 좋은 역사 수업을 위해 필요한 교사의 역량으로 초임 시절에는 교재와 교수법에 대한 이해를, 경력교사는 학생에 대한 이해와 의사소통 능력을 들면서 경력의 진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향에 대해서는 특정한 교재나 학습 활동의 적용을 선호하기보다, 역사과 고유의 인식과 이해 방법을 추구하는 수업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참여를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해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역사 수업의 지향과 목표로 간주되는 교수·학습 방향에 대해 교사들이 이해하고 적용하는 방식을 교직경력별로, 학교 급별로, 지역별로 파악함으로써, 수업 개선과 관련된 제반 정책 지원이나 평가 체제를 고안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 역사수업 사례들에 나타난 수업목적과 수업목표가 갖는 함의

        유현철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0 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중등학교 교실 역사수업에서 어떠한 수업목적과 수업목표들이 설정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역사교육 연구들에서 논의되어 온 역사수업의 목적들과 목표들에 대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분석 기준을 마련했다. 그리고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역사수업 사례들에 나타난 수업의 목적들과 목표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여기에서 분석 대상이 된 것은 전국역사교사모임에서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역사교육』지에 소개된 최근 10여 년간의 역사수업 사례들이다. 이 사례들이 실린 『역사교육』지는 전국의 역사교시들이 다른 어떤 단체보다도 가장 많은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는 곳에서 발간한 정기 간행물이다. 따라서 학교현장 역사수업의 흐름과 분위기를 파악하기에 매우 유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현재의 역사수업 사례들에서는 그동안 논의되어 온 다양한 역사수업의 목적과 목표들이 고르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특정한 수업목적과 목표에 집중하고 있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현재의 수업 목적과 목표 설정은 학생들의 활동 보다는 수업 내용의 성격이나 주제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수업의 내용뿐만이 아니라 수업의 형태나 학생들의 활동 방식을 바꾸는 수업을 운영한다면 다양한 수업 목적과 목표들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article attempts to investigate into that hidden meaning the goal and object of history learning by analyzing the goal and object of learning that appeared in history classes. The research about the goal and object of history learning are very inactive in history education comparatively. Thus The goal and object of the history education have applied the general goal of education. And those have no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based history education. We try to grasp that how determined the goal and object of learning in history classes and offer the foundation of research for goal and object of learning in history education. It was reviewed the history teaching cases that is in the 『History Education』 which published by history teachers for this research. We could find thes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this research. (1) The most of history class have a goal and object that was focusing a knowledge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2) The main object of history learning was in understanding of facts and concepts of history. (3) A lesson theme was an important factor which determined a goal and object of history learning. (4) A goal and object of history learning was also altered b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se result have such meaning. In spite of same lesson theme, the goal and object of history learning was changed by methods in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therefore, the research of methods in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active various classroom activity which can apply to same lesson theme for utilizing in history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